그릇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릇은 음식이나 물건을 담고 보관,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인류는 10만 년 이상 그릇을 사용해 왔으며, 초기에는 음식 저장, 운반, 보호를 위해 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활용했다. 기술 발전과 함께 유리,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와 형태의 그릇이 개발되었으며, 현대에는 내용물 보호, 사용 편의성, 재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릇은 재료, 형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식기, 조리용 그릇, 저장 용기, 운반 용기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릇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 그릇 - 항아리
항아리는 물건을 담아 저장하는 둥글고 배부른 그릇으로, 전통적으로 옹기가 많았으나 현대에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한국에서는 발효식품 보관에, 서양에서는 식품 저장, 과학 실험, 장식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그릇 |
---|
2. 역사
인류는 수십만 년 전부터 용기를 사용해 왔으며, 초기에는 음식 저장을 위해 속이 빈 호리병과 같은 자연물을 활용했다.[4][5][6][7] 타루족과 하와이 원주민에게서 그 원시적인 예를 찾을 수 있다.[8][9] 시간이 지나면서 엮은 바구니, 조각된 나무, 도기 등 다양한 재료와 형태의 용기가 등장했다.[10]
현대 용기는 내용물을 충격과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다양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작업자가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내용물을 넣고 꺼내기 용이해야 한다. 또한, 배송 중 취급이 쉽도록 설계되어야 한다.[16]
용기는 재료, 형태,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페니키아인들은 초기 유리병을 생산했으며, 키프로스와 로도스에서 발견된 페니키아 반투명 및 투명 유리병은 향수를 담는 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11][12] 고대 로마인들은 페니키아인들로부터 유리 제조법을 배워 비교적 작은 크기의 훌륭한 유리병을 다수 생산했다.[13] 18세기 초에는 시장에 맞게 유리병과 같은 소매용 용기의 크기가 표준화되었다.[13]
1810년 프랑스인 필리프 드 지라르는 깡통 제조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특허 냈고,[14] 영국 상인 피터 듀런드를 대리인으로 삼았다. 이 깡통 개념은 프랑스 발명가 니콜라 아페르가 유리 용기를 이용한 식품 보존 작업에 기초하였다. 브라이언 덩킨과 존 홀은 이 특허를 구매하여 공정과 제품을 개선하였고, 런던에 세계 최초의 상업용 통조림 공장을 설립, 영국 해군에 최초의 깡통 통조림 제품을 공급했다.
20세기에는 강철 해운 컨테이너가 개발되어 대규모 상품 운송이 보편화되었다. 20세기 말, 컴퓨터 지원 설계 도입으로 특수 용기 설계 및 맞춤 라벨 제작이 가능해졌다.[15]
3. 현대 용기의 특징
좋은 용기는 편리하고 읽기 쉬운 라벨 부착 위치를 제공하며, 효율적인 적재 및 보관에 적합한 모양을 갖추고 있다. 더불어, 수명이 다했을 때 쉽게 재활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16]
4. 종류
대부분 담는 물건의 성질에 맞는 용기가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새롭게 준비되는 경우도 있으며, 범용 용기에서 전용 용기까지 다양하게 이용된다.
용기는 재사용을 전제로 하는 것과 일회용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 나뉜다. 예를 들어 병은 리터너블 병과 원웨이 병으로 분류된다. 상업에서는 상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기까지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패키지(포장)라는 일회용 용기가 사용되며, 반복 사용을 위한 범용 운반 도구로는 가방이 있다. 케이스는 내용물이 정해져 있고, 내용물을 보존하고 필요에 따라 꺼내 쓸 수 있게 해준다. 케이스 안의 내용물은 소모품으로 소비되어 교체되기도 한다.
특정 목적에 맞게 필요한 물품을 모아두는 용기도 있으며, 특히 상자는 다양한 목적별로 사용된다. 이러한 용기는 인간이 문명을 쌓아가는 과정에서 만들어져 이용되어 왔다. 오늘날 "문화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용기는 필수적이며, 인간 활동이 있는 곳에는 다양한 용기가 널리 사용된다.
"용기"는 때때로 경제・사회상의 개념으로 사용되며, 주로 영역에 관한 것이다.
4. 1. 재료에 따른 분류
4. 2. 형태에 따른 분류
Container영어의 형태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해상 컨테이너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그릇이 존재한다.
4. 3. 용도에 따른 분류
5. 사회경제적 개념으로서의 용기
"용기"라는 단어는 때때로 경제 및 사회 분야에서 영역과 관련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 "대한민국의 경제적 용기는 세계 시장에서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Illustrated Glossary of Packaging Terms
Institute of Packaging Professionals
[2]
논문
Pots as Tools
[3]
서적
Pots, Potters, And Model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t the SRI Locus of the West Branch Site, Tucson, Arizona
[4]
서적
Origins and Revolutions: Human Identity in Earliest Prehistory
[5]
서적
A Place For Everything
[6]
서적
Human Evolution: An Introduction to Mans Adaptations
https://books.google[...]
[7]
서적
Exploring Package Design
[8]
서적
The Tharu: Their Arts and Crafts
[9]
서적
The Hawaiian Calabash
[10]
간행물
Growth in the Size of Unit Loads and Shipping Containers from Antique to WWI.
[11]
기타
Histoire de l'art
[12]
서적
History of Phoenicia
Green Longmans publisher
[13]
기타
Food Chains: From Farmyard to Shopping Cart
[14]
웹사이트
The story of how the tin can nearly wasn't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4-21
[15]
서적
Design and Technology of Packaging Decoration for the Consumer Market
[16]
서적
Socio-economic Interventions in Organizations
[17]
문서
検索キーワード[ コンテナ 通販 ][ コンテナ ボックス収納 ]
[18]
웹사이트
ヒョウタン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0-06-15
[19]
웹사이트
箪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0-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