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 라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성 라씨는 고대 중국 축융의 후예로, 고려 시대 삼한벽상일등공신 라총례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나주 나씨와 동성동본이족 관계이며, 조선 영조 때 무신흉변의 화를 면하기 위해 금성으로 본관을 바꾸었다.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4명, 사마시 12명을 배출했으며, 라세찬, 나대용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금성 라씨는 금성파, 안정파, 군위파로 나뉘며, 항렬표를 사용한다. 봉강사, 소충사, 나대용 장군 생가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라남도 나주시 일대에 집성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2000년에는 약 4만 명의 인구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성 라씨 - 나창주
나창주는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및 부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정치인으로, 국토통일원 연구관, 제1무임소 장관실 정책조정실장, 외무부 외교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과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이후 선거에서는 낙선하였다. - 금성 라씨 - 나성린
나성린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제18대, 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한국공공경제학회 회장,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 등을 지냈으며 윤석열 대통령 후보 캠프 경제특보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정치 및 학술 활동을 펼쳤으나 여론조사 결과 유출 및 바른정당 창당 발기인 명단 등재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금성 라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가문 정보 | |
가문명 | 금성 나씨 (錦城羅氏) 또는 금성 라씨 (錦城羅氏) |
종류 | 씨족 |
국가 | 조선 |
민족 | 한국 민족 (추정) |
주요 가문 | (정보 없음) |
칭호 | (정보 없음) |
경칭 | (정보 없음) |
영지 | 나주시 |
창건 | (정보 없음) |
단절 | (정보 없음) |
멸망 | (정보 없음) |
시조 | 나총례 (羅聰禮, Na Chong-rye) |
마지막 당주 | (정보 없음) |
현재 당주 | (정보 없음) |
저명한 인물 | (정보 없음) |
분가 | (정보 없음) |
기원 | |
원시조 | 나지강(羅至强, Na Ji-gang) 나경(羅璥, Na Gyeong) |
인구 통계 (2015년) | |
인구 | 58,838명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나득황 (羅得璜, Na Deuk-hwang) 나유 (羅裕, Na Yu) 나익희 (羅益禧, Na Ik-hui) 나문규 (羅文奎, Na Mun-gyu) 나세찬 (羅世燦, Na Se-chan) 나대용 (羅大用, Na Dae-yong) 나용환 (羅容煥, Na Yong-hwan) 나석주 (羅錫疇, Na Seok-ju) 나창주 (羅昌柱, Na Chang-ju) 나석호 (羅錫鎬, Na Seok-ho) 나오연 (羅五淵, Na O-yeon) 나성린 (羅聖린, Na Seong-rin) 나동연 (羅東淵, Na Dong-yeon) 나병모 (羅炳模, Na Byeong-mo) 나상기 (1949년) (羅相기, Na Sang-gi, 1949년) 나승일 (羅承일, Na Seung-il) 나경채 (羅경채, Na Gyeong-chae) 나승현 (야구인) (羅承鉉, Na Seung-hyeon) 나병유 (羅炳유, Na Byeong-yu) 나병율 (羅炳율, Na Byeong-yul) 나승호 (羅承호, Na Seung-ho) 나하연 (羅夏연, Na Ha-yeon) |
기타 | |
관향 | 전라남도 나주시 |
2. 기원
금성 라씨는 고대 중국 축융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 본래 운성이었으나, 기원전 759년(주나라 평왕 12)에 라국에 봉해진 후손들이 고을 이름을 따서 성(姓)으로 삼은 것이 라씨(羅氏)의 시초가 된다고 한다.[1]
금성 라씨의 시조 '''라총례'''(羅聰禮)는 고려 정종 때 삼한벽상일등공신(三韓壁上一等功臣)의 호를 받고 삼중대광보국숭록대부(三重大匡輔國崇祿大夫)로서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금성(錦城)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대한민국에서는 두음법칙에 따라 “나”씨로 표기하기도 했으나, 2007년 8월 1일부터 한자로 된 성을 한글로 기재할 때 “柳(류)·羅(라)·李(리)”처럼 소리 나는 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족관계등록 예규가 개정되었다.[5] 현재 '''금성 나씨'''와 '''금성 라씨'''가 혼용되어 사용된다.
금성(錦城)은 전라남도 나주시의 옛 이름이다. 백제 때 발라군(發羅郡)으로 불렸고, 뒤에 죽군성(竹軍城)으로 바뀌었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이곳에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으며, 686년(신라 신문왕 6)에는 통의군(通義郡)으로, 757년(경덕왕 16) 이후로는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부르며 무주(武州:광주)의 관할로 두었고, 회진현(會津縣)·여황현(艅艎縣)·철야현(鐵冶縣) 등이 부속으로 영입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나주로 지명이 바뀌었고, 983년(성종 2)에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나주진해군절도사(羅州鎭海軍節度使)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다시 나주목으로 고쳐 5개의 속군(무안·담양·곡성·낙안·남평)과 11개의 속현(철야·반남·안노·복룡·원율·여황·창평·장산·회진·진원·화순)을 거느렸다. 1310년(충선왕 2)에 지주사(知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승격하였다.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주로 목(牧), 부(府)로서 전남지역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로서 나주군 등을 관할하였고,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하여 금성시로 승격하여 나주군에서 분리되었고, 금성시는 1985년 나주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되어 나주시로 개편되었다.[1]
《금성라씨대동보(錦城羅氏大同譜)》에 따르면, 축융의 후손 주공(珠公)이 한고조 때 나라에 공을 세우고 예장군(豫章君)에 봉해져서 '''예장 나씨'''(豫章羅氏)가 되었다.[1] 그의 후손 지강(至强)은 당나라 태종 때 상서좌복야로 고구려 정벌을 반대하다가 미움을 받자 동래(東來)하여 백제의 발라현(發羅縣 : 현재의 나주)에 정착하였다고 한다.[1]
3. 역사
시조 라총례의 아들 라은고(羅恩誥)는 자의대부(資義大夫: 고려 때 종2품 의빈품계)로 공빈승을 지내고 금산군에 봉해졌으며, 이후 11세손에 이르기까지 3명의 후손이 대광(大匡: 정1품 품계)의 벼슬에 오르고 4명의 부원군(府院君)과 5명이 봉군되어 금성 라씨는 성족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3]
고려 태조 왕건의 나주 공략에 나주 호족 종례(宗禮)[4]와 오다련(吳多憐)이 도움을 주었고, 공을 인정받아 성씨를 하사받았다. 각각 금성 나씨, 나주 오씨의 시조가 되었다. 관향은 금성이었으나 후일 금성(錦城)을 나주로 개창함에 따라 나주 나씨로 이름하게 되었다. 나주 나씨와는 동성동본이족(同姓同本異族)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 영조 때 무신흉변의 화를 면하려고 나주의 옛 이름인 금성으로 본관을 바꾸었다. 그러나 라총례의 후손이면서 나주를 본관으로 하는 계통도 있고 안정, 군위, 수성 등으로 본관을 하는 계통도 있다.
4. 표기
대법원은 한자로 된 성을 호적에 한글로 기재할 때 맞춤법(두음법칙)에 따라 표기하도록 하는 예규를 개정하여, 류·라·리 등으로 쓸 수 있게 예외를 인정하였다.[5] 이는 성씨가 사람의 혈통을 표시하는 고유명사이고, 일상생활에서 소리 나는 대로 사용한 사람까지 두음법칙을 강제하는 것은 헌법상 기본권인 인격권, 자기결정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5]
5. 본관
6. 인물
6. 1. 고려
고려 정종 때 금성 라씨의 시조 '''라총례'''(羅聰禮)는 삼한벽상일등공신(三韓壁上一等功臣) 호를 받고 삼중대광보국숭록대부(三重大匡輔國崇祿大夫)로서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하고 금성(錦城)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시조 라총례의 아들 라은고(羅恩誥)는 자의대부(資義大夫: 고려 때 종2품 의빈품계)로 공빈승을 지내고 금산군에 봉해졌다. 이후 11세손에 이르기까지 3명의 후손이 대광(大匡: 정1품 품계) 벼슬에 오르고, 4명의 부원군(府院君)과 5명이 봉군되어 금성 라씨는 성족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3]
고려 태조 왕건의 나주 공략에 나주 호족 종례(宗禮)[4]와 오다련(吳多憐)이 도움을 주었는데, 공을 인정받아 성씨를 하사받았다. 각각 금성 나씨, 나주 오씨의 시조가 되었다. 관향은 금성이었으나 후일 금성(錦城)을 나주로 개창함에 따라 나주 나씨로 이름하게 되었다. 나주 나씨와는 동성동본이족(同姓同本異族)으로 알려져 있다.6. 2. 조선
조선 영조 때 무신흉변의 화를 면하려고 나주의 옛 이름인 금성으로 본관을 바꾸었다.[3] 그러나 라총례의 후손이면서 나주를 본관으로 하는 계통도 있고 안정, 군위, 수성 등으로 본관을 하는 계통도 있다.[3]
7. 과거 급제자
금성 라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 사마시 12명을 배출하였다.[6]
문과 | 생원시 | 진사시 |
---|---|---|
라경성 | 라기순 | 라원집 |
라세찬 | 라득주 | 라정순 |
라홍순 | 라빈 | 라찬경 |
라현돈 | 라석정 | 라효창 |
라세찬 | ||
라시혁 | ||
라언 | ||
라원석 |
7. 1. 문과
금성 라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 사마시 12명을 배출하였다.[6]명단 |
---|
라경성 |
라세찬 |
라홍순 |
라현돈 |
7. 2. 생원시
금성 라씨는 조선시대 생원시 합격자 8명을 배출하였다.[6]합격자 |
---|
라기순(羅箕淳) |
라득주(羅得周) |
라빈(羅彬) |
라석정(羅錫正) |
라세찬(羅世纘) |
라시혁(羅時赫) |
라언(羅偃) |
라원석(羅元錫) |
7. 3. 진사시
이름 |
---|
라원집 |
라정순 |
라찬경 |
라효창 |
8. 항렬표
금성 라씨는 각 파마다 항렬표가 다르다. 항렬은 이름자에 특정 부수를 포함하는 글자를 사용하여 세대 순서를 나타내는 방식이다.[2]
파 | 항렬 |
---|---|
금성파 | 33세손 승(承) ~ 50세손 희(熙) |
안정파 | 22세손 기(基) ~ 31세손 헌(憲)·우(遇) |
군위파 | 25세손 동(東) ~ 32세손 재(在) |
8. 1. 금성파
○세손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
행렬자[2] | 승(承) | 주(柱) | 병(炳) | 채(埰) | 선(善) | 수(洙) | 동(東) | 열(烈) | 재(在) | 호(鎬) | 홍(洪) | 수(秀) | 성(性) | 효(孝) | 용(鎔) | 식(湜) | 근(根) | 희(熙) |
8. 2. 안정파
8. 3. 군위파
9. 집성촌
10. 문화재
11. 인구
연도 | 가구 | 인구 |
---|---|---|
1985년 | 9,490가구 | 39,905명 |
2000년 | 12,869가구 | 40,493명 |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2]
웹사이트
나씨(羅氏) 본관(本貫) 금성(錦城)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3]
박물관
효월드 족보 박물관 - 라(羅)
http://www.djjunggu.[...]
2016-03-05
[4]
문서
라총례의 본래 이름
[5]
뉴스
지난해 ‘유씨→류씨, 나씨→라씨’ 姓변경 5만명
http://www.fnnews.co[...]
파이낸셜 뉴스
2009-02-20
[6]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