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주 나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주 나씨는 송나라 예장 출신인 나부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나주는 본래 백제의 발라현이었으나 신라 신문왕 때 금산군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시대에 나주로 불리며 나주 나씨의 관향이 되었다. 나주 나씨는 고려 시대 감문위상장군을 지낸 나부를 시조로 하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27명을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대종교 창시자 나철, 독립운동가 나중소, 국회의원 나용균 등이 있다. 5대파로 분파되었으며, 충청남도 서천군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주 나씨 - 숙의 나씨 (중종)
    조선 중종의 후궁인 숙의 나씨는 나주 나씨로,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26세에 출산 중 사망하여 경빈 박씨와의 관계 속에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그녀의 묘는 이천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나주 나씨 - 나웅배
    나웅배는 롯데제과, 해태제과, 한국타이어 사장 등을 지낸 기업인 출신으로, 제11대부터 14대 국회의원과 경제기획원 장관, 통일원 장관, 재정경제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다.
나주 나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나주 나씨
한자 표기羅州 羅氏
다른 이름나주 라씨
로마자 표기Naju Na ssi
기원
국가한국
지역나주
시조나부
중시조나득규(羅得虬)
지역 분포
집성촌전라남도 영암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충청남도 서천군
주요 인물
주요 인물나공언
나득강
나덕헌
나무춘
나위소
나수연
나철
나중소
나진
나인협
나용균
나혜석
나운규
나익진
나항윤
나운영
나길조
나웅배
라종일
숙의 나씨
나경원
라미란
나문희
라종일
라웅배
나운규
나혜석
기타 정보
인구2015년 기준 112,241명
웹사이트www.najunassi.net

2. 역사

시조 나부(羅富)는 송나라 예장(豫章) 사람으로, 나라가 위급해지자 봉명사신(奉命使臣)으로 고려에 왔다가 송이 멸망하자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고려에 귀화하였다고 한다. 전라도 여황(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에 정착하였는데, 어질고(累仁) 덕(德)을 많이 베풀었으므로 호남(湖南)의 망족(望族)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나부(羅富)는 고려에서 감문위상장군(監門衛上將軍)이라는 무관직(武官職)을 지냈다. 감문위(監門衛)는 중앙군(中央軍)의 일부로서 궁성(宮城)의 수비(守備)를 담당(擔當)하는 부서이고, 상장군(上將軍)은 그 부서(部署)의 책임자로서 품계는 정삼품(正三品)으로 정의대부(正議大夫)이다. 시조의 중국 행적은 사료로 밝혀지지 않는다.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고려 시대 영동정(令同正)에 오른 '''나득규'''(羅得虬)를 1세조로 한다.[7] 나부(羅富)는 중국 출신 인물로, 고려 시대에 한반도로 건너와 나주에 정착했고, 그의 후손들이 나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나주시 대호동에 있는 성향공원에는 나주를 본관으로 하는 다른 여러 성씨들과 함께 "나주 나씨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3][4]

3. 본관

시조 나부(羅富)는 송나라 예장(豫章) 사람으로 나라가 위급해지자 봉명사신(奉命使臣)으로 고려에 왔다가 송이 멸망함에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고려에 귀화하였다고 한다. 전라도의 여황(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에 정착하였는데, 어질고(累仁) 덕(德)을 많이 베풀었으므로 호남(湖南)의 망족(望族)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나주는 본래 백제(百濟)의 발라현(發羅縣)인데 신라 신문왕 5년에 금산군이라 개칭하고 성을 금성(錦城)이라 하였다. 그 후 견훤후백제를 세우고 이 곳을 차지하였으나 후고구려의 궁예가 왕건을 시켜 해로로 금성을 공략하여 빼았고 나주로 고쳤으며, 고려 조에서도 그대로 나주로 불렀다.

고려 성종 14년에 나주에 절도사를 두었고 진해군(鎭海軍)이라 칭하여 해양도(海陽道)에 예속시켰다. 해양도는 나주, 광주, 정주, 승주, 구주, 담주, 낭주 등의 주현이다. 고려 현종 원년에 나주로 거란의 난을 피하였다가 귀환한 바 있어 9년에는 목(牧)으로 승격시켰다.

나주 나씨의 관향(貫鄕)이 나주로 정해진 것은 조선 초기로 보여진다. 이는 조선조 초에 여황현이 폐현(廢縣)되고 나주에 합병되었기 때문이다. 시조인 나부(羅富)는 중국 출신 인물로, 고려 시대에 한반도로 건너와 나주에 정착했고, 그의 후손들이 나주를 본관으로 삼았다.[3][4][7]

4. 분파

1세조 나득규부터 4세 나수영까지는 독자로 내려오다가 나수영이 5형제를 두었고, 이들 모두 관계에 진출하였다. 이들을 중시조로 하여 전서공파(典書公派), 시랑공파(侍郞公派), 금양군파(錦陽君派), 연안군파(延安君派), 직장공파(直長公派) 등 5대파로 분파되었다.


  • 첫째인 나위는 호조전서를 제수받아 전서공파의 파조가 되었으며, 후손들은 평안도 용강과 성천 일대에 거주하였다.
  • 둘째인 나계는 중서시랑을 지내 시랑공파의 파조가 되었으며, 후손들은 경기도 강화 일대에 거주하였다.
  • 셋째인 나석은 사온서직장 영동정을 지내고 금양군에 봉해져 금양군파의 파조가 되었으며, 후손들은 전라도 김제 일대에 거주하였다.
  • 넷째인 나세는 연안군에 봉해져 연안군파의 파조가 되었다. 그는 우왕 6년(1380년) 해도원수로서 금강 하구 진포에서 최무선이 발명한 화약을 이용, 전함 100척으로 서해안에 침입한 왜구의 배 500척을 격파하는 큰 공을 세웠고, 이후 문하평리가 되었다. 후손들은 충청도 서천 일대에 거주하였다.
  • 다섯째인 나원은 사온서직장 동정을 지내 직장공파의 파조가 되었으며, 후손들은 전라도 나주 일대에 거주하였다.

금성나씨는 1767년에 나주 나씨에서 분파되었다.

5. 인물


  • 나공언 : 공조전서(工曹典書) 나진(羅璡)의 아들. 전농시정(典農寺正)을 역임하고, 1381년(우왕 7) 무등산에서 왜적을 섬멸하였다.
  • 나득강(1378년 ~ 1444년) : 전라도 김제 출신. 조부는 나석(羅碩)이고, 부친은 조선 태조가 우의정으로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은 나중우(羅仲佑)이다. 1419년(세종 1) 식년 문과에 급제하고, 1431년(세종 13) 예조정랑(禮曹正郞)과 전농시소윤(典農寺少尹), 봉상시소윤(奉常寺少尹)을 거쳐 의금부지사(義禁府知事)로 승진하였다. 이후 관직을 사임하고 귀향하였는데, 세종이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吏曺判書) 겸 세자시강원찬선(世子侍講院贊善)으로 임명하였으나 병을 핑계로 사양하였으며 고향에서 여생을 보냈다.
  • 나덕헌(1573년 ~ 1640년) : 아버지는 이성현감(尼城縣監) 나사침(士忱)이다. 1603년(선조 36)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을 거쳐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때 공을 세워 진무원종공신에 봉해졌다. 길주목사(吉州牧使)를 거쳐 1635년 창성부사(昌城府使)·의주부윤을 역임하였다. 1636년 춘신사(春信使)로 심양에 가서 하례를 거부하고 항거하여 병자호란 후 도통어사로 특진되었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며,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 나무춘(1580년 ~ 1619년) : 1612년(광해군 4) 문과에 급제하여 감찰을 지냈고, 이조참의에 증직되었다. 담양의 구산사(龜山祠)에 제향되었다.
  • 나위소(1583년 ~ 1667년) : 1623년(인조 1)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정랑, 임천군수, 예조정랑, 태상시정 등을 거쳐 경주부윤에 이르렀다.
  • 나철 : 대종교 창시자, 독립운동가.
  • 나중소(1867년 ~ 1928년) : 독립 운동가. 북로군정서 참모장. 신민부 참모부 위원장.
  • 나용균(1895년 ~ 1984년) : 제6대 보건사회부 장관. 제4·5·6대 국회의원.
  • 나길조(1923년 ~ 2008년) : 전 대법원 판사. 제11대 국회의원.
  • 나상목(1924년 ~ 1999년) : 한국화가. 1954~ 4연속 국전 특선, 국전 추천작가/심사위원. 원광대학교 미술대학장 역임. 벽골제 벽천미술관 기부. 한국의 풍경을 그린 그림을 '동양화'라 부르지 말고 '한국화'라 부르자고 제안하였다.
  • 나병선(1934년 ~ ) : 제14대 국회의원. 前 한국석유공사 사장.
  • 나웅배(1934년 ~ ) : 제2대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원 장관. 제11~14대 국회의원.
  • 나혜석 : 일제강점기 화가

6. 과거 급제자

나주 나씨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이름한자
나두영羅斗永
나득강羅得康
나득경羅得卿
나만성羅晩成
나만영羅晩榮
나무송羅茂松
나무춘羅茂春
나사선羅士愃
나석희羅錫熙
나선
나순영羅純榮
나시용羅時鏞
나신국羅藎國
나안세羅安世
나요羅曜
나위문羅緯文
나위소羅緯素
나윤명羅允明
나의소羅宜素
나의신羅義臣
나전羅恮
나창羅昶
나충좌羅忠佐
나태성羅台晟
나학소羅學素
나홍점羅泓漸
나흡羅恰



나주 나씨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이름한자
나경두羅景斗
나경삼羅景三
나경원羅京元
나경추羅擎樞
나경함羅景含
나경항羅慶恒
나계현羅繼賢
나국필羅國弼
나군신羅軍信
나극성羅極星
나극현羅克賢
나길羅吉
나대길羅大吉
나대용羅大用
나덕창羅德昌
나덕후羅德厚
나두민羅斗旻
나두웅羅斗雄
나두천羅斗天
나두추羅斗樞
나득천羅得天
나만갑羅萬甲
나만구羅萬龜
나만도羅晩道
나만제羅晩齊
나명득羅命得
나문회羅文會
나보인羅甫仁
나삼득羅三得
나삼채羅三采
나석봉羅碩鳳
나성
나성관羅星官
나성일羅成一
나수일羅秀一
나순신羅舜臣
나순필羅舜弼
나영건羅永建
나영례羅永禮
나영록羅永祿
나영순羅英純
나오성羅五星
나완복羅完福
나운표羅雲豹
나운학羅雲學
나이병羅而丙
나이생羅二生
나이한羅爾翰
나적羅迪
나정륜羅正倫
나정언羅廷彦
나정일羅正日
나정좌羅廷佐
나제일羅悌一
나종성羅宗星
나종학羅從鶴
나준羅俊
나준식羅俊植
나중남羅仲男
나천기羅天紀
나천용羅天用
나천유羅天維
나천장羅天章
나충민羅忠民
나취규羅聚奎
나치삼羅致三
나태빈羅台彬
나태상羅台尙
나태운羅太云
나팔기羅八紀
나필성羅弼聖
나한동羅翰東
나현득羅賢得
나형록羅亨祿
나홍규羅弘揆
나홍상羅弘祥
나효성羅孝成
나휘성羅徽星
나흥규羅興奎
나흥남羅興男



나주 나씨 조선시대 생원시 급제자
이름한자
나겁羅衱
나경조羅景祚
나고羅𣉞
나광조羅光祖
나기재羅杞材
나덕표羅德表
나동륜羅東綸
나두동羅斗冬
나두일羅斗一
나두장羅斗章
나만영羅晩榮
나만항羅晩恒
나무춘羅茂春
나문철羅文喆
나반羅襻
나사羅舍
나사성羅士惺
나사술羅思述
나사침羅士忱
나석채羅錫采
나석호羅錫祜
나성유羅聖愈
나시영羅時永
나신국羅藎國
나언남羅彦男
나연羅縯
나염羅袡
나영칠羅永七
나요羅曜
나원구羅愿逑
나원길羅元吉
나위문羅緯文
나위소羅緯素
나윤제羅允悌
나은반羅隱磻
나의羅禕
나의신羅義臣
나이계羅以桂
나이헌羅以櫶
나익문羅益文
나인집羅麟集
나재휘羅在徽
나전羅恮
나준羅俊
나중기羅重器
나진羅袗
나진옥羅振玉
나창羅昶
나천로羅天老
나천심羅天心
나천추羅天樞
나천형羅天衡
나취명羅取明
나태준羅台𤎱
나필해羅弼諧
나학륜羅學倫
나한준羅漢俊
나협羅恊
나휴羅休
나희羅僖



나주 나씨 조선시대 진사시 급제자
이름한자
나경羅儆
나계위羅繼胃
나계증羅繼曾
나광조羅光祖
나덕기羅德基
나덕명羅德明
나덕원羅德元
나덕윤羅德潤
나두삼羅斗三
나두춘羅斗春
나두휘羅斗徽
나득우羅得愚
나득화羅得華
나만상羅晩相
나만우羅晩遇
나무송羅茂松
나민羅僶
나병규羅炳奎
나봉서羅逢緖
나봉채羅鳳采
나빈羅贇
나사경羅士憬
나사선羅士愃
나서羅曙
나석겸羅錫謙
나순羅恂
나시찬羅時瓚
나신종羅信宗
나안세羅安世
나안인羅安仁
나영달羅永達
나윤상羅允尙
나윤채羅潤采
나의소羅宜素
나이구羅以龜
나이헌羅以櫶
나인석羅奭
나정일羅廷一
나준羅晙
나진문羅振文
나진수羅鎭修
나진조羅進朝
나찬규羅燦奎
나처광羅處光
나천정羅天鼎
나침羅忱
나택채羅澤采
나항羅恒
나해륜羅海崙
나해봉羅海鳳
나호羅祜
나후륜羅後綸
나흡羅恰
나흥羅興
나희석羅喜錫


7. 항렬자






























[5]

8. 집성촌

충청남도 서천군은 2015년 통계 기준 나주 나씨가 1,200명 거주하여 총인구의 2.41%를 차지하는데,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비율이다.[6]

나주 나씨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9. 인구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많은 지자체의 총인구 대비 비율이 1% 미만이지만, 충청남도 서천군에서는 2%를 넘는다.[6] 서천군의 나주 나씨 인구는 1,200명으로, 총 인구의 2.41%를 차지한다.[5]

10.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나주나씨 羅州羅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3] 웹사이트 ‘八道姓氏’올림픽 열린다 http://www.namdonews[...] 2005-08-24
[4] 저널 明堂의 고장 '나주' - 종가의 뿌리 찾아 역사 속으로 http://www.donga.com[...]
[5] 웹사이트 나씨(羅氏) 본관(本貫) 나주(羅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6]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7] 저널 [허정구의 이야기 여행] 明堂의 고장 '나주' - 종가의 뿌리 찾아 역사 속으로 http://www.dong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