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 필멸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필멸주의는 부활 이후 영혼의 불멸성을 부정하는 기독교 신념으로, 죽은 자가 부활 때까지 무의식 상태로 존재하며 부활 후 영원한 생명 또는 멸망을 경험한다고 믿는다. 이 용어는 영혼 수면, 수면 영혼설, 생명 영혼설 등과 관련되어 사후 세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나타낸다. 존 파크허스트는 히브리어 '네페쉬'가 불멸의 영혼을 가리키지 않는다고 주장했고, 헨리 레이턴은 육체와 정신의 연관성을 근거로 필멸주의를 주장했다. 프랜시스 블랙번, 조지프 프리스틀리, 사무엘 본 등은 성경을 근거로 영혼 불멸성을 부정했다. 17~18세기에는 존 밀턴, 토마스 홉스, 존 로크 등이 영혼 수면을 지지했으며, 19~20세기에는 윌리엄 밀러, 그리스도 형제단, 여호와의 증인 등이 멸절주의를 주장했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기독교 필멸주의를 거부하며, 현대 성서 학계에서는 구약성서가 영혼 불멸에 대한 명확한 교리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 동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내세 - 영생 (기독교)
    영생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며 믿음을 통해 얻는 하나님의 선물로, 다양한 교파들이 각기 다른 교리를 가지고 있다.
  • 기독교의 내세 - 음간
    음간은 죽음 이후 영혼의 상태나 중간 상태를 의미하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다루어진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기독교 필멸주의
개요
다른 이름영혼 소멸설
영혼 수면설
조건부 불멸설
설명인간의 영혼이 자연적으로 불멸하지 않다는 믿음
상세 내용
핵심 내용성경은 분리된 비물질적 또는 불멸의 영혼의 존재를 가르치지 않으며, '영혼'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생명'을 의미한다고 본다. 분리된 영혼의 교리는 플라톤의 수입품이라고 주장한다.
관련 개념기독교 보편주의
신의 심판
종말론
불멸
최후의 심판
개별 심판
부활 (전체)
초월
전체 화해
칭의
단독주의
협력주의
무제한 속죄
추가 정보
처벌지옥 (기독교적 관점, 지옥의 문제)
연옥
영혼의 죽음
보상기독교적 천국
내세

2. 어원 및 용어

"영혼 수면" 또는 "영혼 죽음"이라는 문구는 성경이나 초기 교부 자료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 용어의 기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이 견해와 관련된 몇 가지 다른 용어들이 도입되었다. 현대 신학자들은 21세기부터 "기독교 필멸주의"라는 용어와 관련된 표현을 사용해 왔다.

2. 1. 영혼 수면

존 칼빈은 그의 라틴어 논문인 ''영혼 불멸론''(Psychopannychia|프시코판뉘키아la)의 부제에서 "영혼 수면"이라는 문구를 대중화한 것으로 보인다.[19][20] 이 소책자의 제목은 고대 그리스어로 '영혼'을 뜻하는 ''psyche''와 '밤샘', '밤새도록 하는 연회'를 의미하는 ''pan-nychis''(παν-νυχίς)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원래 ''영혼 불멸론''은 칼빈이 죽음 이후에도 영혼이 의식적이고 활동적이라고 본 견해를 나타낸다.

1542년 스트라스부르 초판의 제목과 부제는 다음과 같다.

: Vivere apud Christum non-dormire animas sanctas qui in fide Christi decedunt. Assertio.|그리스도의 믿음 안에서 죽은 거룩한 영혼들은 그리스도와 함께 살며 잠들지 않는다. 주장.la

1545년 라틴어 2판의 제목과 부제는 다음과 같다.

: Psychopannychia – qua repellitur quorundam imperitorum error qui animas post mortem usque ad ultimum iudicium dormire putant.|영혼 불멸론 – 죽음과 심판 사이의 기간 동안 영혼이 잠든다고 무지하게 생각하는 일부 무지한 사람들의 오류를 논박함.la

1558년 프랑스어판은 1545년 2판을 번역한 것이다.

: Psychopannychie – traitté par lequel est prouvé que les âmes veillent et vivent après qu'elles sont sorties des corps; contre l'erreur de quelques ignorans qui pensent qu'elles dorment jusque au dernier jugement.|프시코파니쉬 – 영혼이 육체에서 나온 후에도 깨어 있고 살아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논문; 영혼이 마지막 심판 때까지 잠들어 있다고 생각하는 일부 무지한 사람들의 오류에 반대함.프랑스어

2. 2. 기타 용어

"영혼 수면" 또는 "영혼 죽음"이라는 문구는 성경이나 초기 교부 자료에 나타나지 않아, 이 용어의 기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이 견해와 관련된 몇 가지 다른 용어들이 있다. 현대 신학자들은 21세기부터 "기독교 필멸주의"라는 용어와 관련된 표현을 사용해 왔다.

  • 영혼 수면설: 라틴어 ''Psychopannychia''는 실제로는 영혼 수면설에 대한 반박, 즉 정반대의 개념이다. 칼뱅이 ''-pannychis''를 수면(그리스어로 ''-hypnos'', 수면, ''-pannychis'', 경계가 아님)으로 의미했다는 혼란을 야기했을 수 있다.[21] 부제 le sommeil de l'âme프랑스어는 Seelenschlaf|영혼 수면de으로 채택되었다.[22] 루터는 칼뱅 이후 몇 년 만에 이 견해를 옹호하는 내용을 출판했다.
  • 수면 영혼설: ''hypno-'' + ''psyche'' ("영혼의 수면")에서 유래한 이 용어는 칼뱅의 편집자가 만든 용어보다 그리스어에서 더 정확하게 만들어졌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유스트라티오스 (582년 이후)는 이 용어를 사용하여 필멸설을 이단으로 규정했다.
  • 생명 영혼설: thnetos|트네토스grc [필멸의] + psyche|프시케grc [영혼, 정신]에서 유래.[23] 이 용어는 가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와 다마스쿠스의 요한이 아랍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필멸주의적 견해를 묘사한 데서 유래되었다.[24][25] 1600년대에도 이 구절은 윌리엄 틴데일, 루터 및 기타 필멸주의자들의 견해에도 적용되었는데, 이는 칼뱅의 용어 ''Psychopannychia''가 원래는 자신이 오류라고 부르는 믿음이 아니라 자신의 믿음을 묘사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 용어는 또한 재세례파의 견해에도 사용된다. 재세례파의 견해는 영혼이 육체와 함께 죽어 죽은 자의 부활 때 생명으로 되살아난다는 것이거나, 영혼이 육체와 분리되지 않아 육체의 죽음 이후 살아남을 "영적인" 자아가 없다는 것이다. 두 경우 모두, 사망자는 심판의 날까지 보상을 누리거나 처벌을 받기 시작하지 않는다.

3. 필멸주의 주장의 역사

기독교 필멸주의자들은 역사적으로 자신들의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신학적, 어휘적, 과학적 주장을 펼쳐왔다. 1702년, 의사 윌리엄 코워드 박사는 에스티비우스 사이칼레테스라는 가명으로 저술한 책 『인간 영혼에 대한 재고』에서 영혼이 인간의 몸과 결합된 불멸의 영적 실체라는 개념은 순전히 이교도들의 발명품이며 철학, 이성, 종교의 원리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5]

3. 1. 신학적 주장

프랜시스 블랙번,[25] 조지프 프리스틀리,[26] 사무엘 본 등은 성경이 영혼의 지속적인 존재를 가르치지 않는다고 주장한 필멸주의자들이다.[25] 리처드 오버턴은 영혼 수면에 대한 신학적, 철학적 논거를 제시했고,[25] 토마스 홉스는 신학적 논증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27]

필멸주의자들은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Psalm%206%3A5&version=KJV 시편 6:5],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Psalm%20115%3A17&version=KJV 115:17],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Psalm%20146%3A4&version=KJV 146:4],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Ecclesiastes%209%3A5&version=KJV 전도서 9:5],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Luke+8%3A52-53&version=KJV 누가복음 8:52-53],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John%2011%3A11-14&version=KJV 요한복음 11:11-14],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1%20Corinthians%2015%3A51-54&version=KJV 고린도전서 15:51-54],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1%20Thessalonians%204%3A16-17&version=NKJV 데살로니가전서 4:16-17] 등의 성경 구절을 근거로 영혼 수면을 주장한다.

리바이어던의 저자 토마스 홉스 등 필멸주의자들은 자연적 불멸 교리가 성경 속 히브리 사상이 아닌, 그리스 철학과 플라톤의 가르침, 또는 기독교 전통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34] 더럼 주교 N.T. 라이트는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1%20Timothy%206%3A15-16&version=KJV 디모데전서 6:15-16]에서 "하나님만이 불멸"이며,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2%20Timothy%201%3A10&version=KJV 디모데후서 1:10]에서는 불멸이 복음을 통한 선물로만 인간에게 주어진다고 가르친다고 설명한다.[35]

3. 2. 어휘적 주장

18세기 후반, 존 파크허스트[37]의 표준 히브리어 사전과 문법은 히브리어 단어 ''네페쉬''를 불멸의 영혼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통적으로 번역하는 것은 어휘적 근거가 없다는 견해를 표명했다.[38] 19세기의 필멸주의자들은 지옥과 불멸의 영혼에 대한 전통적인 교리를 부인하기 위해 어휘적 논거를 사용했다.[39]

3. 3. 과학적 주장

18세기 필멸주의자 헨리 레이턴은 생리학에 근거한 주장을 제시했다.[40] 19세기 과학적 주장은 영혼 수면과 자연적 불멸성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해졌으며, 필멸주의자 마일스 그랜트는 영혼의 불멸성이 과학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본 여러 과학자들의 말을 인용했다.

  • 프린스턴 대학교 천문학 교수 찰스 A. 영(Charles A. Young, LL.D): "뇌와 신경계의 기능에 대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개인적 의식의 불멸성을 믿기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솔직히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40]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해부학 및 동물학 교수 조셉 레이디(Joseph Leidy, MD, LL.D): "개인적 의식은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형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모든 살아있는 동물에게서 관찰되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은 죽음과 함께 소멸되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저는 현대 과학에서 이 조건의 지속, 즉 '개인적 존재의 불멸성'을 믿기 어렵게 만드는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과학은 전도서 3장 19절에 표현된 것 이상을 배우지 못했습니다. '사람의 아들들에게 일어나는 일은 짐승에게도 일어난다. 심지어 한 가지 일이 그들에게 일어난다. 하나가 죽듯이 다른 하나도 죽는다. 그렇다, 그들은 모두 한 호흡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짐승보다 나을 것이 없다.'"[40]
  • 워싱턴 D.C. 스미스소니언 협회 레스터 F. 워드(Lester F. Ward, AM): "의식은 과학적으로 조사했을 때 뇌의 특성으로 나타납니다... 뇌의 변화는 의식의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파괴는 의식의 파괴를 초래한다는 것은 과학의 보편적인 귀납입니다. 이 법칙에 대한 예외는 관찰된 적이 없습니다."[40]
  • 하버드 대학교 전 총장 토머스 힐(Thomas Hill, DD): "현대 과학이 가진 많은 사실들은 불멸성을 믿기 어렵게 만듭니다."[40]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Alexander Graham Bell): "생각할 뇌가 없는 사고의 가능성은 경험에 반하지만, 신체가 죽은 후에도 '개인적 의식'이 지속된다는 것은 이러한 가정을 포함합니다."[40]
  • 저명한 F.K.C.L. 뷔히너(F.K.C.L. Büchner): "편견 없는 철학은 개인의 불멸성과 죽음 이후의 개인적 지속에 대한 생각을 거부할 수밖에 없습니다. 과학의 목소리는 개인적 의식의 불멸성이라는 교리에 명백히 반대한다는 것은 확실합니다."[40]

4. 영혼 필멸성을 옹호한 역사적 인물

영혼 필멸성은 유대교와 기독교 역사 전반에 걸쳐 많은 지지자를 가지고 있었다.[41][42][43] 세례자 요한의 역사에서도 조건부 불멸성 또는 전멸주의에 대한 다양한 개념이 나타났다.[43]

19세기와 20세기에는 조건적 불멸성과 멸절주의에 대한 믿음이 확산되었고,[107] 주류 기독교 내에서도 이러한 믿음이 나타나기 시작했다.[109] 이 교리를 믿는 다양한 집단들이 등장했는데, 대표적인 19세기 옹호자들은 다음과 같다.

인물활동 시기 및 기타
밀러주의자들1833년부터
에드워드 화이트1846년[110]
그리스도 형제단1848년부터[111]
토마스 세이어1855년[112]
프랑수아 고센1863년 사망[44]
헨리 컨스터블1873년[113]
루이 버니어(왈덴스인, 1878년 사망)[44]
침례교 조건부주의 협회1878년[44]
카메론 D. 만1888년[114]
임마누엘 페타벨-올리프1891년
마일스 그랜트1895년[44]
조지 가브리엘 스토크스1897년[2]



현대의 영혼 수면 옹호자로는 니키 검블,[115] 원시 침례교 보편주의자, 일부 루터교 신자 등이 있다. 여호와의 증인[117],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120], 그리스도 형제단[111] 등도 영혼 수면을 옹호한다.

4. 1. 유대교

현대 학자들은 사후에 영원한 행복이나 고통을 겪는 불멸의 영혼이라는 개념이 바빌론 유배 이후 주류 유대교에 유입되었다고 본다.[44] 제2 성전 시대에는 '영혼 수면'과 '영혼 죽음' 개념도 존재했다.[44][45]

영혼 수면은 제2 성전 시대의 일부 위경 저작물,[46][47][48][49][50] 후기 랍비 문헌,[51][52]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1092–1167),[53] 마이모니데스(1135–1204), 요셉 알보(1380–1444)와 같은 중세 시대 랍비들에게서도 나타난다.[53]

보수 유대교 내 일부 권위자, 특히 닐 길먼은 죽은 자의 영혼이 부활까지 무의식 상태에 있다는 개념을 지지한다.[54]

그러나 전통적인 랍비 유대교는 영혼의 불멸, 죽음 이후의 형벌과 보상에 대한 믿음이 시나이 산에서 토라가 주어졌을 때부터 일관된 믿음이었다는 견해를 유지해 왔다. 전통적인 유대교는 토라를 이러한 관점에서 읽으며, 예를 들어 카레트(제거)의 형벌은 영혼이 사후세계에서 하나님으로부터 끊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한다.[55][56]

4. 2. 기독교적 관점

현대 학자들은 사후에 영원한 행복이나 고통을 겪는 불멸의 영혼이라는 개념이 바빌론 유배 이후 주류 유대교에 유입되었으며, 제2 성전 시대 전체에 걸쳐 존재했지만, '영혼 수면'과 '영혼 죽음' 역시 존재했다고 본다.[44][45]

영혼 수면은 제2 성전 시대의 일부 위경 저작물,[46][47][48][49][50] 후기 랍비 문헌,[51][52]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1092–1167),[53] 마이모니데스(1135–1204), 요셉 알보(1380–1444)와 같은 중세 시대 랍비들에게서도 나타난다.

보수 유대교 내 일부 권위자, 특히 닐 길먼은 죽은 자의 영혼이 부활까지 무의식 상태에 있다는 개념을 지지한다.[54]

그러나 전통적인 랍비 유대교는 영혼 불멸에 대한 믿음과 죽음 이후의 형벌과 보상이 시나이 산에서 토라가 주어졌을 때부터 일관된 믿음이었다는 견해를 견지해 왔다. 전통적인 유대교는 토라를 통해 카레트(제거)의 형벌은 영혼이 사후세계에서 하나님으로부터 끊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55][56]

4. 2. 1. 2세기

2세기 기독교 저술가 타티아누스는 "영혼은 그 자체로 불멸이 아니다... 만약 진리를 알지 못한다면, 그것은 죽어 몸과 함께 소멸하지만, 세상의 마지막 날에 몸과 함께 다시 부활하여 불멸 속에서 벌로서 죽음을 받는다. 그러나 만약 하느님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면, 비록 잠시 소멸될지라도 죽지 않는다."라고 기록했다.[57] 타티아누스와 동시대 사람인 아테나고라스는 영혼이 죽음과 부활 사이에서 꿈도 꾸지 않고 잠든다고 가르쳤다. 그는 "[죽은 자]와 잠자는 자는 적어도 정지 상태와 현재나 과거, 또는 존재 자체와 자신의 삶에 대한 모든 감각의 부재와 관련하여 유사한 상태에 있다."라고 하였다.[58]

4. 2. 2. 3세기 ~ 7세기

타티아누스는 2세기 후반에 "영혼은 그 자체로 불멸이 아니다... 만약 진리를 알지 못한다면, 그것은 죽어 몸과 함께 소멸하지만, 세상의 마지막 날에 몸과 함께 다시 부활하여 불멸 속에서 벌로서 죽음을 받는다. 그러나 만약 하느님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면, 비록 잠시 소멸될지라도 죽지 않는다."라고 기록했다.[57] 아테나고라스는 타티아누스와 동시대 인물로, 영혼이 죽음과 부활 사이에서 꿈도 꾸지 않고 잠든다고 가르쳤다.[58]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펠릭스가 쓴 옥타비우스의 이교도와 기독교인 간의 논쟁에 대한 기록에서, 논쟁에 참여한 기독교인은 필멸주의를 일반적인 합의 사항으로 여겼다.

영혼 수면은 다양한 비잔틴 작가들이 성도들이 잠들어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상대로 성도 공경 교리를 옹호해야 했기 때문에 지속되었다. 요한 부제(11세기)는 "성도들에게 기도하는 것은 마치 그들이 망각의 신화적인 물을 마신 것처럼 귀머거리의 귀에 소리치는 것과 같다고 감히 말하는" 사람들을 공격했다.[65]

교황 요한 22세는 구원받은 자들이 심판의 날까지 지복직관(이탈리아어: ''Visione beatifica differita'', "지연된 지복직관") 즉, "하나님을 뵙지 못한다"고 암시함으로써 지복직관 논쟁 (1331–1334)을 일으켰는데, 이는 영혼 수면과 일치하는 견해일 수 있다. 성 추기경단은 1334년 1월 이 문제에 대한 공의회를 열었고, 교황 요한은 더 정통적인 이해에 굴복했다. 같은 해 그의 후임자인 교황 베네딕토 12세는 의로운 자들이 최종 심판 전에 천국을 본다고 선언했다. 1336년 교황 베네딕토 12세는 교황 칙서 베네딕투스 데우스를 발표했다. 이 문서는 죽은 자의 영혼이 최후의 심판까지 무의식적인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죽은 직후 영원한 상을 받는다는 교회의 믿음을 정의했다.[66]

4. 2. 3. 9세기 ~ 15세기

9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비잔틴 작가들은 성도 공경 교리를 옹호하기 위해 영혼 수면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맞서 싸웠다.[58] 요한 22세는 지복직관에 대한 논쟁을 일으켰는데, 이는 기독교 필멸주의와 관련된 논쟁이었다.[59]

4. 2. 4. 종교 개혁

종교 개혁 이후 영혼 수면 사상이 다시 나타났다.[88] 17세기에 영혼 수면은 프로테스탄트 사상의 주요 흐름 중 하나로 여겨졌다.[89]

마르틴 루터는 죽음을 영혼이 의식을 잃은 채 잠자는 것으로 보았다. 윌리엄 틴데일은 최후의 심판 날까지 죽은 자들이 잠들어 있다가 그리스도에 의해 부활한다고 주장하며, 영혼 불멸 교리에 반대했다.

4. 2. 5. 17세기 ~ 18세기

17세기 프로테스탄트 사상에서 영혼 수면은 주요 흐름 중 하나였으며, 존 밀턴, 토마스 홉스, 존 로크와 같은 지식인들이 이 견해를 지지했다.[44]

4. 2. 6. 19세기 ~ 20세기

조건적 불멸성과 멸절주의에 대한 믿음은 19세기에 점점 더 확산되었다.[107] 20세기에 들어서며 이러한 믿음은 주류 기독교 내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109]

이 시기에는 이 교리를 믿는 다양한 집단들이 등장했는데, 그 중 대표적인 19세기 옹호자들은 다음과 같다.

  • 밀러주의자들(1833년부터)
  • 에드워드 화이트(1846)[110]
  • 그리스도 형제단(1848년부터)[111]
  • 토마스 세이어(1855)[112]
  • 프랑수아 고센(1863년 사망)[44]
  • 헨리 컨스터블(1873)[113]
  • 루이 버니어(왈덴스인, 1878년 사망)[44]
  • 침례교 조건부주의 협회(1878)[44]
  • 카메론 D. 만(1888)[114]
  • 임마누엘 페타벨-올리프(1891)
  • 마일스 그랜트(1895)[44]
  • 조지 가브리엘 스토크스(1897)[2]


현대의 영혼 수면 옹호자로는 니키 검블,[115] 원시 침례교 보편주의자, 일부 루터교 신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재림 기독교 교회, 애프터라이프 그룹,[116] 그리스도 형제단, 하나님의 교회 (제칠일), 하나님의 교회 (제7일) – 세일럼 컨퍼런스, 하나님의 아브라함 신앙 교회, 그리고 허버트 W. 암스트롱의 세계 하나님의 교회의 오래된 가르침을 따르는 다양한 다른 하나님의 교회 단체 및 관련 교파, 그리고 성경 연구 운동이 있다.

여호와의 증인은 영혼이 곧 몸이며(창세기 2:7) 죽는다(에스겔 18:20; 전도서 9:5,10)는 점에서 죽음 정신주의의 한 형태를 가르친다.[117] 그들은 144,000명의 선택된 자들만이 하늘에서 그리스도와 함께 왕과 제사장으로 통치하기 위해 불멸을 받을 것이라고 믿는다(계 7:4; 14:1,3).[118] 그러나 다른 모든 구원받은 자들은 마지막 날에 부활하여(요한 5:28,29) 낙원 지구에서 영생을 얻을 것이다(계시록 7:9,14,17).[119]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은 죽음이 부활 때까지 무의식적인 수면 상태라고 믿는다. 그들은 "죽은 자는 아무것도 모른다"고 언급하는 전도서 9:5, 그리고 죽은 자가 재림 때 무덤에서 부활하는 것에 대한 묘사가 담겨 있는 데살로니가전서 4:13-18과 같은 성경 구절에 이 믿음을 두고 있다. 이 구절들은 죽음이 단지 잠시 또는 잠의 한 형태일 뿐임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120]

4. 3. 현대 기독교 단체

여호와의 증인은 영혼이 곧 몸이며 죽는다고 가르친다.[117] 이들은 144,000명의 선택된 자들만이 하늘에서 그리스도와 함께 통치하기 위해 불멸을 얻으며,[118] 나머지 구원받은 자들은 마지막 날에 부활하여 낙원 지구에서 영생을 얻을 것이라고 믿는다.[119]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죽음이 부활 때까지 무의식 상태의 잠과 같다고 믿는다. 이들은 전도서 9장 5절과 데살로니가전서 4장 13-18절을 근거로 제시한다.[120]

그리스도 형제단 등 다른 기독교 단체들도 영혼 수면을 옹호하는 현대 기독교 단체에 속한다.

5. 비판 및 반대자

기독교 필멸주의에 대한 비판은 주로 영혼 불멸 교리를 믿는 전통적인 기독교 교파에서 제기된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는 중간 상태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육신의 죽음 직후 영혼이 불멸하며 개별 심판을 받는다고 본다.[121] 가톨릭 교회는 일부 영혼이 연옥에서 정화 과정을 거쳐 천국에 들어간다고 가르친다.[121] 동방 정교회, 감리교, 성공회, 몰몬교는 영혼이 죽은 자의 거처, 하데스, 또는 영의 세계에서 보편적 부활을 기다린다고 가르친다.[122][123][124][125] 이들은 구원받은 자는 빛 가운데서 안식하고, 저주받은 자는 어둠 속에서 고통받는다고 믿는다.[122] 제임스 타보르에 따르면, 동방 정교회의 개별 심판 개념은 1세기 유대교 및 초기 기독교의 개념과 유사하며, 죽은 자들은 아브라함의 품에서 평안히 잠들거나 하데스에서 고통을 겪는다고 한다.[126] 존 칼빈은 영혼의 불멸이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보았고, A. A. 호지, W. G. T. 쉐드, 루이스 벌코프와 같은 19세기 개혁 신학자들도 영혼 불멸을 가르쳤다. 그러나 헤르만 바빙크와 G. C. 벌코우어와 같은 일부 후기 개혁 신학자들은 이 개념을 비성경적이라고 비판했다.

영혼 수면과 영혼의 일시적 죽음에 반대하는 이들로는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대부분의 주류 개신교 교파, 그리고 대부분의 보수적인 개신교, 복음주의자, 근본주의자가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영혼 수면을 심각한 이단으로 간주하며,[121] 제5차 라테란 공의회는 1513년 영혼 수면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이를 믿는 자들을 가톨릭 신앙을 훼손하는 혐오스러운 이단자로 처벌해야 한다고 선언했다.[59]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는 영이 현세의 죽음 이후에도 의식적이고 활동적인 존재로 지속된다고 가르친다. 후기 성도 경전은 "모든 사람의 영혼은 선하든 악하든 그들에게 생명을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간다"고 말한다.[125] 이들은 영의 세계에서 천국이나 지옥(영옥)으로 배정되며, 최종 심판 때까지 그 상태에 머무른다.[125] 후기 성도 교리는 그리스도를 받아들일 기회가 없었던 영혼들을 위해 영옥에서 설교가 가능하다고 가르치며, 베드로전서 3장 18-20절과 4장 5-6절을 근거로 제시한다.[125]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교도들처럼, LDS 교회는 의로운 산 자들의 기도가 죽은 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125] LDS 교회는 더 나아가 대리 의식을 통해 구원을 위한 침례와 성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125] 그들은 영옥에서 그리스도를 받아들인 영혼들이 산 자들의 대리 침례와 성찬을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으며, 고린도전서 15장 29절을 근거로 제시한다.[125]

5. 1. 영혼 불멸

정통 기독교의 중간 상태에 대한 믿음은 육신의 죽음 직후 영혼의 불멸과 개별 심판으로 이어진다.[121] 가톨릭교에서는 일부 영혼이 연옥에 일시적으로 머물면서 천국을 위해 정화된다고 가르친다. 동방 정교회, 감리교, 성공회, 몰몬교는 다른 용어를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영혼이 죽은 자의 거처, 특히 하데스 또는 영의 세계에서 보편적 부활까지 기다린다고 가르치며, 구원받은 자는 빛 가운데서 안식하고 저주받은 자는 어둠 속에서 고통받는다고 가르친다.[122][123][124][125] 제임스 타보르에 따르면, 이러한 동방 정교회의 개별 심판의 그림은 1세기 유대교와 아마도 초기 기독교[126]의 개념과 유사하며, 죽은 자들은 아브라함의 품 (루카 복음서에 언급됨)에서 "평안히 잠들고" 있거나 하데스에서 고통을 겪는다. 존 칼빈도 이러한 견해를 옹호했지만, 칼빈은 불멸은 영혼의 본질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것이라고 가르쳤다. A. A. 호지, W. G. T. 쉐드, 루이스 벌코프와 같은 19세기 개혁 신학자들 또한 영혼의 불멸을 가르쳤지만, 헤르만 바빙크와 G. C. 벌코우어와 같은 일부 후기 개혁 신학자들은 이 생각을 비성경적이라고 거부했다.

영혼 수면과 영혼의 일시적 죽음의 반대자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 (이 주제와 관련된 성도의 중보에 대해서도 가르침), 대부분의 주류 개신교 교파, 그리고 대부분의 보수적인 개신교, 복음주의자, 그리고 근본주의자가 포함된다.

5. 2. 로마 가톨릭 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는 영혼 수면을 심각한 이단으로 간주한다.[121] 가톨릭 교회는 일부 영혼이 연옥에 일시적으로 머물면서 천국을 위해 정화된다고 가르친다.[121]

제5차 라테란 공의회는 1513년 12월 19일, 8차 회기에서 "계몽된 기독교 신앙의 진리에 반하는 모든 명제에 대한 정죄"를 통해 영혼 수면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가톨릭 신앙을 훼손하는 혐오스럽고 가증스러운 이단자이자 불신자로 모든 면에서 피하고 처벌해야 한다고 선언했다.[59]

5. 3.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영이 현세의 죽음 이후에도 의식적이고 활동적이며 독립적인 존재로 지속된다는 생각은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의 중요한 가르침이다. 후기 성도 경전은 "모든 사람의 영혼은 선하든 악하든 그들에게 생명을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간다"(앨마서 40:11)고 말한다.[125] 그들은 그리스도를 믿고 현세의 삶을 어떻게 살았는지에 따라 영의 세계에서 천국이나 지옥(영옥이라고 불림)으로 배정된다(앨마서 40:12–14).[125] 영들은 최종 심판 때까지 이 상태에 머물다가, 하나님의 왕국에서 영광스러운 상태로 받아들여지거나, 바깥 어둠으로 쫓겨난다.[125]

후기 성도 교리는 그리스도를 받아들일 수 없거나 무지하여 영옥에 갇힌 영혼들에게 그리스도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영옥에서 설교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 이는 베드로전서 3:18–20에서 그리스도가 "옥에 있는 죽은 자들"에게 설교했다고 묘사하고, 베드로전서 4:5–6에서 "육신으로는 사람과 같이 심판을 받지만, 영으로는 하나님을 따라 살게 하려 함이라"라고 말하는 LDS 해석에서 유래한다.[125]

많은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교도들과 마찬가지로, LDS 교회는 의로운 산 자들의 기도가 죽은 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가르친다.[125] LDS 교회는 대리 의식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가, 구원을 위해 물과 성령으로의 침례와 성찬의 필요성을 설교한다.[125] 그들은 영옥에서 그리스도를 받아들인 이전의 무지한 영들이 산 자들의 대리 침례와 성찬을 통해 구원하는 의식을 받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125] 이는 바울이 고린도전서 15:29에서 "만일 죽은 자가 도무지 다시 살아나지 못하면 죽은 자들을 위하여 세례를 받는 자들이 어찌하여 세례를 받으리요"라고 한 질문에서 유래한다.[125]

LDS 교회는 이것이 고대 기독교 교회에서 행해졌고 초기 기독교에서 정통으로 여겨졌던, 바울을 포함한 죽은 자를 위한 대리 사역에 대한 언급이라고 믿는다. 따라서 그는 부활에 대한 올바른 교리의 예로 그것을 사용했다. 이것이 죽은 자를 위한 침례의 LDS 관행의 기원이다. 이와 같이, LDS 교리와 관행의 많은 부분이 죽음 이후와 심판 전에 인간 영의 지속적인 존재와 활동에 대한 생각과 관련되어 있다.[125]

6. 현대 학계의 관점

하비 W. 스콧은 1917년에 "구약성서에 미래의 삶이나 개인의 불멸에 대한 교리가 명확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성경 학계의 일반적인 합의이다."라고 썼다.[132] 20세기 학계에서는 적어도 초기 시대에는 구약성서의 가르침이 몸과 독립된 불멸의 영혼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에 대체로 동의했다.[133][134][135] 이러한 견해는 다양한 학문적 참고 자료에서 일관되게 나타난다.[136][137]

Donelley는 "20세기 성서 학문은 고대 유대인들이 구약 시대의 아주 늦은 시기까지 개인적인 내세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거의 갖지 못했다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라고 설명한다.[136] 학자들은 "영혼이 기쁨 가운데 육체 없이 존재하는" 개념이 히브리적 세계관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141]

그러나 N. T. 라이트는 "성경은 사후 세계에 대한 다양한 믿음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129] 골딩게이는 코헬렛이 "인간이 긍정적인 내세를 누릴 것이라는" 증거가 없다고 지적한다.

스티븐 쿡에 따르면, 학자들은 "몸과 분리될 수 있는 영혼이라는 생각이 전(前)바벨론 이스라엘에서 거의 또는 전혀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오래된 일반적인 입장에 대해 현재 격렬하게 논쟁하고 있다."[140]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Modern Christian Thought''(1995)는 "구약성서에는 불멸의 영혼에 대한 개념이 없으며, 신약성서에서도 인간의 영혼을 불멸이라고 부르지 않는다."라고 언급한다.[143] 하퍼 성경 사전(1985년 초판)은 "히브리인에게 '영혼'은 인간의 인격을 나타냈습니다. 히브리인들은 살아있는 몸이었지, 몸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라고 설명한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eventeenth-century philosophy
[2] 서적 Bodies of thought: science, religion, and the soul in the early Enlightenment
[3] 서적 Western political thought: a bibliographical guide to post-war research
[4] 서적 Death and eternal life
[5] 서적 Eternity and eternal life: speculative theology and science in discourse
[6] 서적 The Machiavellian moment: Florentine political thought and the Atlantic Republic Tradition
[7] 서적 The four major cults: Christian Science, Jehovah's Witnesses, Mormonism, Seventh-Day Adventism
[8] 서적 The truth about Seventh-Day Adventism
[9] 서적 The Rainbow, a magazine of Christian literature
[10] 서적 The faiths of the world: an account of all religions and religious sects
[11] 서적 Christian mortalism from Tyndale to Milton
[12] 서적 Hobbes's theory of the will
[13] 간행물 The tradition of Christian mortalism Goshen College
[14] 서적 Surviving Death
[15] 서적 Christian mortalism in England (1643–1713)
[16] 서적 The books of nature and Scripture: recent essays on natural Philosophy, Theology, and Biblical Criticism in the Netherlands
[17] 서적 Polytheism and Society at Athens
[18] 서적 Milton and the manuscript of De doctrina Christia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 entry Lexicon https://www.perseus.[...] Tufts
[20] 서적 The theology of John Calvin
[21] 서적 Histoire de la réformation en Europe au temps de Calvin
[22] 서적 Johannes Calvin: Leben und ausgewählte Schriften
[23] 서적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John Knox Press
[24] 간행물 St John Damascene (676–760) in liber de Haer
[25] 서적 Fundamentals of Catholic dogma
[26] 서적 Disquisitions relating to matter and spirit
[27] 서적 Republics Ancient and Modern: New modes and orders in early modern political thought
[28] 서적 Socinianism and Arminianism: Antitrinitarians, Calvinists, and Cultural Exchange in Seventeenth-Century Europe Brill
[29] 서적 Jeffersonian Legacies
[30] 서적 Death and the Afterlife
[31] 웹사이트 The nature of hell https://www.worldcat[...] ACUTE (Paternoster Pub.) 2000
[32] 웹사이트 The "Immortality" http://www.fatherale[...]
[33] 웹사이트 The nature of hell: a report Acute 2000
[34] 웹사이트 General Introduction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1-30
[35] 간행물 Pastoral work with older people http://dx.doi.org/10[...] 1950-03
[36] 서적 What Form after Death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22-11-30
[37] 서적 The use of PAS in the New Testament
[38] 서적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without points: in which the Hebrew and Chaldee words of the Old Testament are explained in their leading and derived senses. To this work are prefixed, a Hebrew and a Chaldee grammar, without points
[39] 서적 The Doctrine of Hell Torments Overthrown: In Three Parts
[40] letter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church history: essays presented to George Huntson Williams
[41] 서적 The Evolution of Immortality
[42] 서적 Immortality: An Essay in Discovery, Co-Ordinating Scientific, Psychical, and Biblical Research
[43] 서적 A brief history of Seventh-Day Adventists
[44] 서적 The New Testament and the People of God
[45] 서적 Guide to Jewish Traditions JPS
[46] 서적 Psalms
[47] 서적 Sybilline Oracles
[48] 서적 Pseudo-Philo
[49] 서적 The Fire That Consumes
[50] 서적 Four Views on Hell
[51] 서적 Hut ha-meshulash
[52] 서적 The Talmud
[53] 서적 The Doctrine of Last Things Contained in the New Testament, Compared With Notions of the Jews and the Statements of Church Creeds
[54] 서적 The Death of Death: Resurrection and Immortality in Jewish Thought Jewish Lights
[55] 서적 Sanhedrin
[56] 서적 Hilkhoth Teshuvah
[57] 웹사이트 Tatian's Address to the Greeks http://www.earlychri[...] 2018-07-07
[58] 서적 Athenagoras, On the Resurrection https://en.wikisourc[...] 2018-07-07
[59] 웹사이트 Ante-Nicene Fathers, Vol. IV https://www.tertulli[...]
[60] 웹사이트 Church History (Book VI) https://www.newadven[...]
[61] 서적 The Westminster handbook to Origen
[62] 서적 Origenes; Leben und Lehre
[63]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AD 64–1517
[64] 서적 The hope of the early church: a handbook of patristic eschatology
[65] 서적 Léthargie des âmes et culte des saints: un plaidoyer inédit de Jean diacre et maïstor
[66] 웹사이트 Benedictus Deus On the Beatific Vision of God – Papal Encyclicals Online https://www.papalenc[...] 1334-12-20
[67] 서적 Sir Thomas Browne: the world proposed
[68] 서적 An Answer to Sir Thomas More's Dialogue
[69] 서적 Death and the Afterlife
[70] 서적 The contentious triangle: church, state, and university: a festschrift in Honor of Professor George Huntston Williams
[71] 서적 The life and thought of Michael Sattler
[72] 논문 A Re-examination of Luther's View on the State of the Dead 2011
[73] 서적 An Exposition of Salomon's Booke, called Ecclesiastes or the Preacher
[74] 서적 WA
[75] 서적 The end of the World and the ends of God: science and theology on eschatology
[76] 서적 The Popular Encyclopedia of Apologetics: Surveying the Evidence
[77] 서적 Zeitschrift für die gesammte lutherische Theologie und Kirche
[78] 서적 Lectures in Genesis, Chapters 21–25 Concordia
[79] 간행물 Western Conference Pastoral Conference 1978-10-03
[80] 서적 Conversations with Luther: Selections from Recently Published Sources of the Table Talk The Pilgrim Press 1915
[81] 서적 What Luther Says – An Anthology Concordia
[82] 웹사이트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Luther and Seventh-day Adventists? https://www.ministry[...] [[Ministry (magazine)|Ministry]] 1955
[83] 서적 Works Concordia
[84] 서적 Letter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55
[85] 웹사이트 A Statement on Death, Resurrection and Immortality http://www.lcms.org/[...] A Report of the Commission on Theology and Church Relations of the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1969-03-15
[86] 서적 Milton Studies
[8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eventeenth-century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8] 서적 Bodies of thought: science, religion, and the soul in the early Enlightenment
[89] 서적 Bodies of thought: science, religion, and the soul in the early Enlightenment
[90] 서적 Milton and the manuscript of De doctrina Christia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1] 문서 De Doctrina Christiana
[92] 서적 The role of religion in modern European history
[93]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Baptists
[94] 서적 La formazione storica della alterità: studi di storia della tolleranza nell'età moderna offerti a Antonio Rotondò Secolo XVI
[95] 서적 FD Maurice and Unitarianism
[96] 서적 A discourse of the torments of hell: The foundation and pillars thereof discovered, searched, shaken and removed. With many infallible proofs, that there is not to be a punishment after this life for any to endure that shall never end
[97] 서적 The life of John Milton: a critical biography
[98] 문서 'John Locke: Writings on Religion'
[99] 서적 Science and dissent in England, 1688–1945
[100] 서적 Judaism and Enlightenment
[101] 서적 Piracy: The Intellectual Property Wars from Gutenberg to Gates
[102] 논문 John Wesley: Folk-Theologian
[103] 서적 A theological dictionary: containing definitions of all religious terms
[104] 서적 History of English Thought in the Eighteenth Century
[105] 서적 Religion, reform and modernity in the eighteenth century: Thomas Secker and the Church of England
[106] 서적 A free discussion of the doctrine of materialism, and philosophical necessity
[107] 서적 New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108] 서적 Hell Under Fire: Modern Scholarship Reinvents Eternal Punishment
[109]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110]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evangelicals
[111] 간행물 Tour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Letter from Dr. Thomas
[112] 서적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Doctrine of Endless Punishment
[113] 서적 The Intermediate State of Man
[114] 서적 Five Discourses on Future Punishment
[115] 서적 Alpha: Questions of Life Hodder & Stoughton
[116] 문서 About us http://www.afterlife[...] After life
[117] 서적 What Does the Bible Really Teach? http://www.jw.org/en[...] Watch Tower Society
[118] 뉴스 The Mystery Solved! Watch Tower 1988-07-08
[119] 간행물 Letters The Watchtower 1950-01-15
[120] 웹사이트 What do Seventh Day Adventists Really Believe? https://www.adventis[...] 2022-11-30
[121] 서적 Heaven and the Afterlife: The Truth About Tomorrow and What It Means for Today, Vol. 1–3 Moody Publishers
[122] 백과사전 Spirit World http://eom.byu.edu/i[...] 2018-01-16
[123] 서적 The Anglican Catechist: Manual of Instruction Preparatory to Confirmation Joseph Masters
[124] 서적 United Methodists and the Last Days Hermeneutic 2009-04-20
[125] 문서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Orthodoxy and Roman Catholicism? http://www.ocf.org/O[...] OCF 2006-11-26
[126] 문서 What the Bible Says About Death, Afterlife, and the Future http://www.religious[...] UNCC
[127] 서적 Gospel Principles https://www.churchof[...]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128] 백과사전 Judgment http://eom.byu.edu/i[...] 2018-01-16
[129] 백과사전 Spirit Prison http://eom.byu.edu/i[...] 2018-01-16
[130] 백과사전 Ordinances http://eom.byu.edu/i[...] 2018-01-16
[131] 백과사전 Baptism for the Dead http://eom.byu.edu/i[...] 2018-01-16
[132] 서적 Religion, Theology and Morals
[133] 서적 Encyclopedia of psychology & counseling Baker
[134] 서적 Care for the soul: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psychology & theology
[135] 서적 Beauty and the Priest: Finding God in the New Age
[136] 서적 Bible Dictionary Eerdmans
[137] 서적 Tyndale Bible dictionary
[138] 서적 Afterlife and Resurrection Beliefs in the Pseudepigrapha Bloomsbury Publishing
[139] 간행물 To Be or to Have a nephesh?
[140] 웹사이트 Oxford Bibliographies: Afterlife and Immortality, Stephen L. Cook (Last reviewed: Nov. 2022) https://www.oxfordbi[...]
[141] 서적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142] 서적 Shades of Sheol: Death and Afterlife in the Old Testament IVP Academic
[143]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Modern Christian Thought
[144] 서적 New Bible Dictionary
[145] 서적 New Dictionary of Theology
[146] 서적 Dictionary of the Bible Eerdmans
[147]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14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149] 서적 New Testament Theology
[150] 서적 The modern theologians: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theology since 1918 Blackwell
[151] 서적 Winds of doctrin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Southern Baptist theology
[152] 간행물 Review of "The Garden of Eden and the Hope of Immortality", by James Barr
[153] 간행물 What Is Man?
[154] 서적 Philosophical theology and Christian doctrine
[155] 웹사이트 Theology http://www.afterlife[...] After life
[156] 간행물 コミュニケーション学博士論文紹介 https://repository.t[...] 東京経済大学 コミュニケーション学会
[157] 문서 Burns, Norman T (번즈, 노먼 T.) Christian Mortalism from Tyndale to Milton, 하버드 대학, 캠브리지 1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