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지훈 (권투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지훈은 대한민국의 프로 권투 선수이다. 2003년 프로 복싱에 입문하여 2009년 IBO 주니어라이트급 세계 챔피언에 올랐으며, 한국 페더급, PABA 페더급, 한국 라이트급, WBO 아시아 태평양 웰터급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통산 전적은 25승 9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산중학교 (경기) 동문 - B.I
    B.I는 1996년생 대한민국 가수 겸 음반 프로듀서로, 아이콘 리더 데뷔 후 음악 제작을 주도하며 히트곡을 만들었으나, 마약 의혹으로 팀 탈퇴 후 독립 레이블 131을 설립하여 솔로 아티스트 및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음악적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 부천대학교 동문 - 김정은 (1987년생 농구 선수)
    김정은은 2005년 프로 데뷔하여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신인선수상, 베스트 5 선정, 동아스포츠대상 올해의 선수상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가진 농구 선수이다.
  • 부천대학교 동문 - 강지형
    강지형은 특전부사관 출신으로 금융 및 기업 컨설팅, 민간조사 기업 설립, 탐정학 강의, 유튜브 채널 운영, 저서 발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최근 사건에서 경찰 수사 문제점을 지적하고 모녀 살인 미수 혐의를 벗기는 데 기여했다.
김지훈 (권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링네임볼케이노(Volcano)
본명김지훈
국적대한민국
출생지경기도 고양
신장176cm
체급라이트급
스타일오소독스
리치188cm
소속일산주엽체육관
프로 데뷔2004년
전적
총 전적34
승리25
KO승19
패배9
무승부0
무효0

2. 경력

2004년 프로로 데뷔한 김지훈은 이듬해 한국 페더급 챔피언에 올랐으나 첫 방어에 실패했다. 2006년 일본 원정 경기에서 패배한 뒤 다시 한국 페더급 타이틀을 되찾았고, 같은 해 범아시아 복싱 협회 (PABA) 페더급 잠정 챔피언을 획득하여 2007년 정규 챔피언으로 인정받았다.

2008년 미국 무대에 진출하여 TKO승을 거두며 성공적인 데뷔를 알렸고, 2009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원정 경기에서 졸라니 말라리를 꺾고 국제 복싱 기구 (IBO) 세계 주니어라이트급 타이틀을 획득하며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후 미국을 주 무대로 활동하며 2010년 국제 복싱 연맹 (IBF) 라이트급 타이틀 도전권을 획득했으나, 미겔 바스케스와의 타이틀 결정전에서 패배하며 챔피언 등극에는 실패했다. 같은 해 호주에서 가진 재기전에서도 패배했지만, 2011년 한국 라이트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러나 이후 미국에서 가진 경기들에서는 연이어 패배를 기록했다.

2. 1. 복싱 입문 (2003-2004)

경기도 고양에서 태어났으며, 일산초등학교일산중학교를 졸업하였다. 신일정보산업고등학교 2학년이던 2003년 여름, 일산주엽체육관에서 김형열 관장을 만나 아마추어 복싱 경력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프로복싱에 입문하였다. 2004년 프로로 데뷔하였으나, 초기 5경기에서 3패를 기록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3]

2. 2. 국내 및 해외 활동 (2005-2008)

2005년 9월 25일, 한국 페더급 타이틀을 획득하며 국내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2006년 4월 22일 열린 첫 방어전에서는 5회 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2006년 7월 16일, 첫 해외 원정 경기로 일본 나고야 국제회의장에서 마교 스기타와 맞붙었으나, 10라운드 끝에 0-3 (94-98, 93-97, 94-97) 판정으로 패배했다. 같은 해 10월 7일, 다시 한국 페더급 타이틀을 되찾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10월 29일에는 범아시아 복싱 협회 (PABA) 페더급 잠정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2007년 2월, 기존 정규 챔피언이었던 사오힌 시리타이콘도가 타이틀을 반납하면서 김지훈은 PABA 페더급 정규 챔피언으로 인정받았다.

2008년 5월, 미국으로 건너가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의 토마스 & 맥 센터에서 첫 미국 무대 경기를 가졌다. 이 경기에서 조지아 출신의 코바 고고라제를 상대로 1라운드 2분 27초 만에 TKO 승리를 거두며 성공적인 미국 데뷔전을 치렀다. 상대 고고라제는 이 경기 후 은퇴했다.

2. 3. 세계 챔피언 등극 (2009-2010)

2009년 9월 1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의 엠퍼러스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국제복싱기구(IBO) 주니어라이트급 (슈퍼페더급, 58.97kg 이하) 원정 타이틀 매치에 나섰다. 이 경기에서 챔피언이었던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졸라니 마랄리를 9라운드 TKO로 꺾고 새로운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로써 김지훈은 대한민국 남자 프로복싱 역사상 44번째 세계 챔피언이 되었으며, 지인진2007년 7월 이종 격투기로 전향하며 챔피언 벨트를 반납한 이후 2년 2개월 만에 탄생한 한국 프로 복싱의 유일한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또한, 한국 복싱 선수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원정 경기에서 타이틀을 획득한 것은 1974년 홍수환아널드 테일러를 꺾고 세계복싱협회(WBA) 밴텀급 타이틀을 차지한 이후 35년 만의 일이었다. 김지훈에게 패배한 졸라니 마랄리는 1차 방어에 실패하며 통산 전적 20승(13KO) 3패를 기록하게 되었다.

2010년 2월 1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테메큘라에서 열린 경기에서 타이론 해리스를 상대로 5라운드 TKO승을 거두며 IBO 타이틀 1차 방어에 성공했다. 이 경기는 금요 야간 격투(Friday Night Fights)의 메인 이벤트로 치러졌다.

이후 2010년 5월 21일, 미국 텍사스주 라레도의 라레도 에너지 아레나에서 파나마의 아메스 디아스와 국제 복싱 연맹(IBF) 라이트급 챔피언 도전자 결정전을 가졌다. 김지훈은 이 경기에서 단 1라운드 2분 59초 만에 TKO로 승리하며 IBF 라이트급 타이틀 도전권을 획득했다.[1]

그러나 2010년 8월 15일, 공석이었던 IBF 라이트급 타이틀을 놓고 미겔 바스케스와 맞붙었으나, 12라운드 끝에 만장일치 판정패(0-3)를 당하며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했다. 이는 김지훈에게 4년 만의 첫 패배였다.[2]

2. 4. IBF 타이틀 도전과 이후 활동 (2010-2013)

2010년 8월 14일, 공석이었던 IBF 라이트급 타이틀을 놓고 미겔 바스케스와 대결했으나, 12라운드 0-3 판정으로 패배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이는 김지훈에게 4년 만의 첫 패배였다.[2]

같은 해 10월 31일, 재기를 위해 호주에서 레오나르도 자파비냐와 IBF 세계 라이트급 타이틀 도전자 결정전을 치렀지만, 1라운드 TKO로 패배하며 연패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1년 2월 27일, 한국 라이트급 타이틀 결정전에서 김동혁을 상대로 2-1 판정승을 거두며 타이틀을 획득, 국내 무대에서 재기에 성공했다.

이후 다시 미국 무대에 도전하여 2012년 12월 6일 라스베이거스에서 레이먼드 벨트란과 경기를 가졌으나, 10라운드 0-3 판정으로 패배했다. 2013년 5월 2일에는 캘리포니아주에서 마우리시오 헤레라와 맞붙었으나, 역시 10라운드 0-3 판정으로 패배하며 미국 무대에서 연패했다.

3. 경기 전적

"화산"이라는 별명을 가진 김지훈은 2004년 10월 대한민국에서 프로 권투 선수로 데뷔하여 초기 12번의 경기에서 8승을 거두었다. 2006년 7월에는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에서 첫 해외 경기를 가졌으나, 스기타 마쿄에게 10라운드 판정패를 당했다.

2008년 5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미국 데뷔전에서는 조지아 출신의 코바 고골라제를 상대로 1라운드 TKO승을 거두었다. 김지훈은 상대의 초반 공세를 견뎌낸 뒤 강력한 왼손 훅으로 다운을 빼앗고, 이어진 연타로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2009년 3월에는 텍사스주 라레도에서 열린 두 번째 미국 경기에서 길버트 살리나스를 8라운드 TKO로 꺾었다.

2009년 9월 12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IBO 슈퍼페더급 세계 타이틀전에서 졸라니 마랄리를 9라운드 TKO로 꺾고 챔피언에 올랐다.

2010년 2월 12일, 금요 야간 격투 메인 이벤트에서 타이론 해리스를 5라운드 TKO로 이겼고, 같은 해 5월 21일에는 아메스 디아스를 1라운드 TKO로 제압하며 연승 행진을 이어갔다.[1]

그러나 2010년 8월 15일, 공석이던 IBF 라이트급 타이틀을 놓고 미겔 바스케스와 맞붙었으나, 12라운드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하며 4년 만에 패배를 기록했다.[2] 이후 몇 차례 패배를 겪었으나, 2013년 7월 20일 로이 투아 마니후루크를 상대로 TKO승을 거두며 WBO 아시아 태평양 웰터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프로 복싱 통산 전적'''

No.결과전적상대타입라운드, 시간날짜장소비고
3425–9로이 투아 마니후루크TKO3 (12), 0:572013년 7월 20일대한민국 예산 예산고등학교WBO 아시아 태평양 웰터급 타이틀 획득
3324–9마우리시오 에레라UD102013년 5월 2일미국 캘리포니아주 코로나 오메가 프로덕츠 인터내셔널
3224–8레이 벨트란UD102012년 12월 6일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미라지 호텔 & 카지노WBC-NABF 라이트급 타이틀 도전 실패
3124–7알리셰르 라히모프UD102012년 5월 25일미국 미주리주 세인트찰스 아메리스타 카지노
3023–7야쿠부 아미두UD102012년 1월 27일미국 워싱턴주 에어웨이하이츠 노던 퀘스트 카지노
2922–7김동혁SD102011년 2월 27일대한민국 문경 문경 실내체육관대한민국 라이트급 타이틀 획득
2821–7레니 자파비냐TKO1 (12), 1:412010년 10월 31일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올림픽 파크 스포츠 센터
2721–6미겔 바스케스UD122010년 8월 14일미국 텍사스주 라레도 라레도 에너지 아레나IBF 라이트급 타이틀 도전 실패
2621–5아메스 디아즈TKO1 (12), 2:592010년 5월 21일미국 텍사스주 라레도 라레도 에너지 아레나
2520–5타이론 해리스TKO5 (10), 1:522010년 2월 12일미국 캘리포니아주 테메큘라 페창가 리조트 카지노
2419–5졸라니 마랄리TKO9 (12), 0:282009년 9월 12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켐튼 파크 엠페러스 팰리스IBO 슈퍼페더급 타이틀 획득
2318–5유인수TKO4 (6), 2:052009년 7월 20일대한민국 울산 양남스파코리안 콘텐더 라이트급 준결승
2217–5염형주TKO2 (4), 2:392009년 4월 17일대한민국 서울 아이파크몰코리안 콘텐더 라이트급 8강
2116–5길버트 살리나스TKO8 (8), 2:452009년 3월 20일미국 텍사스주 라레도 라레도 엔터테인먼트 센터
2015–5모정석KO2 (4), 2:052008년 12월 13일대한민국 제주 라마다 플라자 호텔코리안 콘텐더 라이트급 16강
1914–5코바 고골라제TKO1 (6), 2:272008년 5월 26일미국 네바다주 파라다이스 토마스 & 맥 센터
1813–5에드워드 아파압KO3 (12), 2:462007년 11월 4일대한민국 고양 고양예술고등학교WBA-PABA 페더급 타이틀 방어
1712–5정재광KO6 (12), 2:072007년 7월 1일대한민국 고양 어울림누리WBA-PABA 페더급 타이틀 방어
1611–5프롬부트 타위신 (와유 윈디짐)KO3 (12), 2:362006년 12월 16일대한민국 정읍 정읍 건강 문화 센터WBA-PABA 페더급 타이틀 방어 (잠정)
1510–5마크 살레스SD122006년 10월 29일대한민국 서울 도봉고등학교WBA-PABA 페더급 타이틀 획득 (잠정)
149–5배수명KO2 (10), 1:422006년 10월 7일대한민국 고양 어울림누리대한민국 페더급 타이틀 2차 방어
138–5스기타 마키요UD102006년 7월 16일일본 나고야 나고야 국제 회의장
128–4이동국KO5 (10), 2:092006년 4월 22일대한민국 성남 신구대학교대한민국 페더급 타이틀 1차 방어
117–4임흥식UD102005년 12월 14일대한민국 전주 전주대학교
107–3우 샤오송 (송욱소)KO6 (10), 0:102005년 10월 27일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96–3김정훈KO2 (10), 1:582005년 9월 25일대한민국 경주 경주실내체육관대한민국 페더급 타이틀 획득
85–3남원창PTS82005년 7월 15일대한민국 의정부 신한대학교
74–3배한욱KO5 (8), 2:372005년 5월 6일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63–3박훈석PTS62005년 4월 2일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52–3윤병경KO1 (6), 0:372005년 1월 26일대한민국 부천 드림타워 클럽
42–2조주환PTS42004년 12월 22일대한민국 무주 문화회관
32–1이우석KO2 (4), 0:262004년 12월 20일대한민국 무주 문화회관
21–1배한욱KO2 (4), 2:222004년 10월 24일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10–1우우성PTS42004년 10월 5일대한민국 충주 충주체육관프로 데뷔전


4. 타이틀

김지훈 선수가 획득한 주요 타이틀은 다음과 같다.

기구/지역체급타이틀 종류비고
한국페더급챔피언
PABA페더급잠정 챔피언
PABA페더급챔피언제8대
IBO페더급세계 챔피언
한국라이트급챔피언


참조

[1] 웹사이트 Ji-Hoon Kim - Boxer https://web.archive.[...] 2010-05-22
[2] 웹사이트 Ji-Hoon Kim - Boxer https://web.archive.[...] 2010-05-22
[3] 뉴스 2010년 5월 21일 조선일보 http://blog.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