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는 2000년 민족해방(NL) 운동 주도로 결성된 단체로, 남북공동선언의 실천, 주한미군 철수, 북한 관련 운동 등을 추진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옹호하고, 뉴라이트의 역사관을 비판하는 등 활동을 펼쳤으며, 2007년에는 진보연대 결성에 참여했다. 2008년에는 촛불집회에 참여하고,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간부들이 체포되었으며, 이적 단체 구성 혐의로 기소되었다. 2009년에는 통일부로부터 비영리 단체 등록 말소 처분 사전 통지서를 받았고, 2010년 대법원에서 이적 단체로 최종 판결받았다. 이 단체는 주체사상을 존중하고, 대한민국을 미국의 식민지로 간주하는 등의 사상을 주장하며, 2004년 북한의 지령을 받아 활동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법령 지정 이적단체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 법령 지정 이적단체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은 1993년 전대협을 계승하여 출범한 대한민국의 학생 운동 단체였으나, 폭력 시위 논란, 이적단체 판결, 친북 성향 비판, 내부 갈등 등으로 쇠퇴하였다.
  • 2000년 설립된 단체 - 아름다운재단
    아름다운재단은 1% 나눔 운동, 아름다운Day, 공감 운영, 희망가게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캠페인과 사업을 통해 사회 문제 해결과 기부 문화 확산에 기여하는 한국의 공익재단이다.
  • 2000년 설립된 단체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남북 관계 - 국가보안법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가보안법은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반국가 활동을 규제하는 법률로, 인권 보호를 위한 개정이 이루어졌으나 표현과 사상의 자유 침해 논란 및 악용 사례로 인해 존폐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남북 관계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기본 정보
한국어 명칭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한자 명칭南北共同宣言實踐連帶
상세 정보
관련 정보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대규모 압수 연행]
새로운 둥지, 새로운 결심 한국민권연구소]

2. 연혁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약칭 실천연대)의 주요 활동과 사건은 다음과 같다.


  • 2000년대 중후반 ~ 2010년대: 2008년 뉴라이트 역사 교과서 비판, 김태영 합동참모의장 발언 규탄, 부시 방한 반대 시위 등 활동을 펼쳤다. 2008년 간부 체포 및 압수수색 이후 시민단체 및 야당과 연대하여 공안 탄압에 대응했다. 2009년 통일부로부터 비영리 활동 단체 등록 말소 처분 사전 통지를 받았다. 2010년 대법원으로부터 이적 단체 판결을 받았다.

2. 1. 2000년대 초반

2000년 10월, 민족해방(NL) 운동 주도로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가 결성되었다.[25] 2002년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방한 시에는 북한 투쟁 슬로건 표현을 일부 수정한 성명을 배포하기도 했다.[25]

2003년 4월 19일에는 4·19 혁명을 기념하여 "반미 반전 평화 수호 4·19 시가 대행진" 시위를 벌였다.[9] 2004년 7월 9일에는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보좌관 방한 시 전쟁 협력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요구하며 방한 규탄 대회를 개최했다.[10] 같은 해 12월 22일-23일에는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강진구 집행위원장이 중국에서 북한 통일전선부로부터 지령을 받았다. 지령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역적인 김영삼, 황장엽을 "청산"하기 위한 투쟁
  • 전대협을 통한 주한 미국 대사관 홈페이지 반미 규탄
  • 주한 미군 철수 공동위원회 조직 및 김일성 주석을 본받아 대중 속 반미 투쟁 행동 전개
  • 미군 철수 투쟁 전면화·전국화를 위한 미군 철수 공동위원회 조속 결성[11]


2006년 7월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하여, "미사일 발사는 미국과 일본의 자업자득"이라며, "북한의 발사체가 미사일이든 인공위성이든 이는 북한의 정당한 자주적 권리이며, 미일 양국의 대북 적대 정책·전쟁 책동에 대한 자위적 조치이므로, 국제사회가 이러쿵저러쿵할 문제가 아니다."라는 성명을 발표했다.[12]

2007년 1월 1일에는 북한이 공동 사설을 발표한 직후, "한나라당에 대한 투쟁에 박차를 가하고, 대통령 선거 승리에 전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미국의 새로운 전쟁 책동을 단호히 막아내자"는 성명을 발표했다.[13] 9월에는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전국빈민연합(전빈련)·전국여성연대, 한국청년단체협의회(한청), 전대협 등 분야별 사회운동 단체와, 범민련 남측본부, 민주노동당 등과 협력하여 진보적 운동 단체의 연합 조직인 진보연대를 결성했다.[14][15]

2008년 3월 24일에는 뉴라이트의 대안 교과서에 대해 역사 왜곡이라고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고,[16] 3월 27일에는 김태영 합동참모의장의 대북 발언에 대해 "이명박 정권은 전쟁을 일으키려는 정권인가"라는 시위를 진행했다.[17] 8월 5일 부시 대통령 방한에는 많은 반미 좌파 단체와 함께 항의 시위(촛불집회)를 진행했고,[18] 경찰은 기동대를 동원하여 집회 장소 주변을 봉쇄하고 강제 진압했다.[19] 9월 27일에는 국가보안법 위반 및 이적 단체 구성 혐의로 간부 6명이 체포되었고,[2] 국가정보원, 검찰, 경찰의 압수수색에서 황장엽 전 비서 협박 관련 문서가 압수되었다.[1][20] 이에 대해 시민단체는 "촛불 시위에 대한 보복"이라며 한국진보연대를 중심으로 공안 탄압 대책 위원회를 발족했고, 민주노동당도 대책 위원회를 발족, 민주당, 창조한국당과 함께 공안 탄압에 공동 대응하기로 합의했다.[21] 10월 24일에는 실천연대 위원장 등 간부 4명이 이적 행위 등의 혐의로 기소되었다.[22]

2009년 11월 17일, 통일부는 실천연대가 법원에서 이적 단체로 판결받고 공익 활동이 없다는 점을 들어 비영리 활동 단체 등록 말소 처분 사전 통지서를 발송했다.[23] 2010년 7월 23일, 대법원은 국가보안법 제7조(찬양, 고무)를 적용하여 실천연대가 이적 단체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동시에 이적 단체 가입 및 이적 표현물 소지, 불법 집회 참가 등의 혐의로 기소된 간부에게 징역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다만, 대법관 4명은 실천연대를 이적 행위로 인정할 수 없다는 반대 의견을 냈다.[5]

2. 2. 2000년대 중후반

2002년 조지 W. 부시 대통령 방한 당시 북한에 대한 투쟁 슬로건 표현을 일부 수정한 성명을 배포했다.[25]

2003년 4월 19일, 1960년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린 4·19 혁명을 기념하여 "반미 반전 평화 수호 4·19 시가 대행진" 시위를 벌였다.[9]

2004년 7월 9일, 미국의 라이스 보좌관 방한 당시 전쟁 협력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요구하며 방한 규탄 대회를 개최했다.[10] 12월 22일-23일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강진구 집행위원장은 중국에서 북한 통일전선부로부터 다음과 같은 지령을 받았다.[11]

  • 역적인 김영삼, 황장엽을 "청산"하기 위해 투쟁 행동에 나서야 한다.
  • 전대협이 나서서 주한 미국 대사관 홈페이지를 반미 규탄의 장으로 만들고, 탈북자 활동의 싹을 잘라야 한다.
  • 주한 미군 철수 공동위원회를 조직하고, 김일성 주석을 본받아 대중 속에 들어가 반미 투쟁 행동을 전개하라.
  • 미군 철수 투쟁을 전면화·전국화하기 위해 미군 철수 공동위원회를 조속히 결성해야 한다.


2006년 7월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하여 "미사일 발사는 미국과 일본의 자업자득이다. 북한의 발사체가 미사일이든 인공위성이든 이는 북한의 정당한 자주적 권리이며, 미일 양국의 대북 적대 정책·전쟁 책동에 대한 자위적 조치이므로, 국제사회가 이러쿵저러쿵할 문제가 아니다.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 중 한국을 향한 것이 한 발이라도 있었는가. 북한의 미사일은 털끝만큼의 오차도 없이 미국과 일본을 향했다. 우리 민족이 힘을 합치면 우리를 흔들 자는 지구상에 아무도 없다."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12]

2007년 1월 1일, 북한이 공동 사설을 발표한 직후 "한나라당에 대한 투쟁에 박차를 가하고, 대통령 선거 승리에 전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미국의 새로운 전쟁 책동을 단호히 막아내자"는 성명을 발표했다.[13] 9월에는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전국빈민연합(전빈련), 전국여성연대, 한국청년단체협의회(한청), 전대협 등 분야별 사회운동 단체와 범민련 남측본부, 민주노동당 등과 협력하여 진보적 운동 단체의 연합 조직인 진보연대를 결성했다.[14][15]

2008년 3월 24일, 뉴라이트의 대안 교과서에 기재된 "35년간의 일제 강점은 폭력적인 수탈이 아니라 근대적 재산 제도와 시장 경제의 원리에 따랐으며, 일본의 토지 수탈은 토지 재산에 대한 증명 제도를 완비함으로써 토지 거래와 담보 금융을 발전시켰다"라는 등의 기술에 대해 역사 왜곡이라고 강력히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6] 3월 27일, 김태영 합동참모의장의 "북한이 핵을 사용하기 전에 타격해야 한다"는 국회 발언에 대해 대한민국 국군 합동참모본부 정문 앞에서 "이명박 정권은 전쟁을 일으키려는 정권인가"라는 시위를 진행했다.[17] 8월 5일, 부시 대통령의 방한에 대해 많은 반미 좌파 단체와 함께 항의 시위(촛불집회)를 진행했고,[18] 경찰은 기동대를 동원하여 집회 장소 주변을 봉쇄하고 강제 진압했다.[19] 9월 27일, 서울지방경찰청은 국가보안법 위반 및 이적 단체 구성 혐의로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간부 6명을 체포했고,[2] 국가정보원, 검찰, 경찰은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사무실 압수수색에서 황장엽 전 비서 협박 관련 문서를 압수했다고 발표했다.[1][20] 이에 대해 시민단체는 "촛불 시위에 대한 보복"이라고 주장하며, 한국진보연대를 중심으로 공안 탄압 대책 위원회를 발족했다. 좌파 정당민주노동당도 "이명박 정권의 촛불 탄압, 공안 탄압 저지를 위한 대책 위원회"를 발족, 야당인 민주당과 창조한국당과 함께 공안 탄압에 공동 대응하기로 합의했다.[21] 10월 24일, 서울지방검찰청은 실천연대 위원장 등 간부 4명을 이적 행위 등의 혐의로 기소했다.[22]

2009년 11월 17일, 통일부는 실천연대가 법원에서 이적 단체로 판결받았고 공익 활동이 없다는 점을 문제 삼아 비영리 활동 단체 등록 말소 처분 사전 통지서를 발송했다.[23]

2010년 7월 23일, 대법원은 국가보안법 제7조(찬양, 고무)를 적용하여 실천연대가 이적 단체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동시에 이적 단체 가입 및 이적 표현물 소지, 불법 집회 참가 등의 혐의로 기소된 간부에게 징역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이적 단체 여부에 대해 대법관 중 4명은 "사건 기록에 나타난 사실 관계만으로는 실천연대를 이적 행위로 인정할 수 없다"는 반대 의견을 냈다.[5]

2. 3. 2010년대

2010년 7월 23일, 대법원은 국가보안법 제7조(찬양, 고무)를 적용하여 실천연대가 이적 단체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동시에 이적 단체 가입 및 이적 표현물 소지, 불법 집회 참가 등의 혐의로 기소된 간부에게 징역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이적 단체 여부에 대해 대법관 중 4명은 "사건 기록에 나타난 사실 관계만으로는 실천연대를 이적 행위로 인정할 수 없다"는 반대 의견을 냈다.[5]

3. 주요 활동 및 주장

2000년 6·15 남북 공동 선언에 따라 민족 해방(NL) 운동 주도로 결성된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는 진보주의적 시민 운동 단체와 노동 운동 단체가 참여하는 각종 시위에 참여했다. 이 단체는 인터넷 텔레비전 "6.15TV"를 운영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언론의 보도를 그대로 게재했고[1],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로부터 지령을 받아 활동했다는 의혹도 받았다.[2]

2010년 대한민국 대법원국가보안법 상의 "이적 단체"로 판결했고[5], 이에 따라 실천연대는 해산되었다.
주요 주장:

3. 1. 주요 활동


  • 2000년 6·15 남북 공동 선언에 따라 민족 해방(NL) 운동 주도로 결성되었다.[1] 진보주의적 시민 운동 단체와 노동 운동 단체가 참여하는 각종 시위에 참여해 왔다.
  • 2002년 조지 W. 부시 대통령 방한 시 북한 투쟁 슬로건 표현을 일부 수정한 성명을 배포했다.[25]
  • 2003년 4월 19일: 1960년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린 4·19 혁명을 기념하여 "반미 반전 평화 수호 4·19 시가 대행진" 시위를 벌였다.[9]
  • 2004년
  • 7월 9일: 미국의 라이스 보좌관 방한 시 전쟁 협력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요구하며 방한 규탄 대회를 개최했다.[10]
  • 12월 22일-23일: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강진구 집행위원장은 중국에서 북한 통일전선부로부터 다음과 같은 지령을 받았다.[11]
  • 역적인 김영삼, 황장엽을 "청산"하기 위해 투쟁 행동에 나서야 한다.
  • 전대협이 나서서, 주한 미국 대사관 홈페이지를 반미 규탄의 장으로 만들고, 탈북자 활동의 싹을 잘라야 한다.
  • 주한 미군 철수 공동위원회를 조직하고, 김일성 주석을 본받아 대중 속에 들어가 반미 투쟁 행동을 전개하라.
  • 미군 철수 투쟁을 전면화·전국화하기 위해 미군 철수 공동위원회를 조속히 결성해야 한다.
  • 2006년 7월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하여, "미사일 발사는 미국과 일본의 자업자득. 북한의 발사체가 미사일이든 인공위성이든 이는 북한의 정당한 자주적 권리이며, 미일 양국의 대북 적대 정책·전쟁 책동에 대한 자위적 조치이므로, 국제사회가 이러쿵저러쿵할 문제가 아니다.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 중 한국을 향한 것이 한 발이라도 있었는가. 북한의 미사일은 털끝만큼의 오차도 없이 미국과 일본을 향했다. 우리 민족이 힘을 합치면 우리를 흔들 자는 지구상에 아무도 없다." 등의 성명을 발표했다.[12]
  • 2007년
  • 1월 1일: 북한이 공동 사설을 발표한 직후, "한나라당에 대한 투쟁에 박차를 가하고, 대통령 선거 승리에 전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미국의 새로운 전쟁 책동을 단호히 막아내자"는 성명을 발표했다.[13]
  • 9월: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전국빈민연합(전빈련)·전국여성연대, 한국청년단체협의회(한청), 전대협 등 분야별 사회운동 단체와, 범민련 남측본부, 민주노동당 등과 협력하여 진보적 운동 단체의 연합 조직인 진보연대를 결성했다.[14][15]
  • 2008년
  • 3월 24일: 뉴라이트의 대안 교과서에 기재된 "35년간의 일제 강점은 폭력적인 수탈이 아니라 근대적 재산 제도와 시장 경제의 원리에 따랐으며, 일본의 토지 수탈은 토지 재산에 대한 증명 제도를 완비함으로써 토지 거래와 담보 금융을 발전시켰다" 등의 기술에 대해 역사 왜곡이라고 강력히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6]
  • 3월 27일: 김태영 합동참모의장의 "북한이 핵을 사용하기 전에 타격해야 한다"는 국회 발언에 대해 대한민국 국군 합동참모본부 정문 앞에서 "이명박 정권은 전쟁을 일으키려는 정권인가"라는 시위를 진행했다.[17]
  • 8월 5일: 부시 대통령의 방한에 대해 많은 반미 좌파 단체와 함께 항의 시위(촛불집회)를 진행했고[18], 경찰은 기동대를 동원하여 집회 장소 주변을 봉쇄하고 강제 진압했다.[19]
  • 9월 27일: 서울지방경찰청은 국가보안법 위반 및 이적 단체 구성 혐의로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간부 6명을 체포했고[2], 국가정보원, 검찰, 경찰의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사무실 압수수색에서 황장엽 전 비서 협박 관련 문서를 압수했다.[1][20] 이에 대해 시민단체는 "촛불 시위에 대한 보복"이라고 하여, 한국진보연대를 중심으로 공안 탄압 대책 위원회를 발족했다. 또한 좌파 정당민주노동당도 "이명박 정권의 촛불 탄압, 공안 탄압 저지를 위한 대책 위원회"를 발족, 야당인 민주당과 창조한국당과 함께 공안 탄압에 공동 대응하기로 합의했다.[21]
  • 10월 24일: 서울지방검찰청은 실천연대 위원장 등 간부 4명을 이적 행위 등의 혐의로 기소했다.[22]
  • 2009년 11월 17일: 통일부는 실천연대가 법원에서 이적 단체로 판결을 받고 공익 활동이 없다는 점을 문제 삼아 비영리 활동 단체 등록 말소 처분 사전 통지서를 발송했다.[23]
  • 2010년 7월 23일: 대법원국가보안법 제7조(찬양, 고무)를 적용하여 실천연대가 이적 단체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동시에 이적 단체 가입 및 이적 표현물 소지, 불법 집회 참가 등의 혐의로 기소된 간부에게 징역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이적 단체 여부에 대해 대법관 중 4명은 "사건 기록에 나타난 사실 관계만으로는 실천연대를 이적 행위로 인정할 수 없다"는 반대 의견을 냈다.[5]
  • 김영삼 전 대통령을 비방하는 협박문과 칼이 꽂힌 김 전 대통령의 인형이 자유북한방송(김영삼 전 대통령이 명예위원장을 맡고 있는 탈북자 중심의 방송국) 사무실에서 발견된 사건, 그리고 황장엽에게 이 든 소포가 우송된 사건에도 실천연대가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고 있다.[2]
  •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의 강 모 위원장은 2004년 12월에 받은 북한의 지령 내용을 "베이징 회담 대화록"이라는 문서로 정리하여, 광주·대전·경기 지부와 산하 단체 간부들에게 "우리와 관련 단체, 관계자 외에는 송부하지 말 것"이라는 주의를 붙여 이메일로 보냈다.[11] 또한, 전국연합과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등 8개 단체에 "주한 미군 철수 남북 공동 대책 위원회" 결성을 공식적으로 촉구하며 북한의 지령을 실천하기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24]
  • 남북공동선언의 실천을 위한 민간 교류 사업과 주한미군의 철수 및 "북한을 올바르게 알기 위한 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에 반대하는 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1]
  • 산하의 6.15TV는 북한 매체가 보도한 내용을 그대로 게재하거나, 미국산 쇠고기 문제를 둘러싼 촛불 시위를 생중계하고 있다.[1]
  • 홈페이지에 게재된 북한 체제를 미화하거나 주체사상을 찬양하는 북한 친화적인 내용 400건을 삭제하라는 경찰의 요구를 거부했다.[1]
  • "6·15"라는 이름의 어린이집을 만들어, 그곳에 다니는 아이들에게 주체사상을 가르치고 어린 아이들에게 테러와 같은 행위를 모방하도록 가르치고 있다.[2]
  •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는 핵심 멤버만 로그인할 수 있는 비밀 사이트를 통해 지시를 내렸다. 컴퓨터 파일과 사용 기록을 삭제하여 복구 불가능하게 만드는 프로그램도 있었으며, 멤버들이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두었다. 멤버 대다수는 대외적으로 가명을 사용했으며, 위조한 신분증 등을 소지했다.[25]

3. 2. 사상 및 주장


  • 주체사상을 존중하며, 대한민국미국식민지로 전락했다고 주장한다.[2]
  • 국가보안법 철폐, 주한 미군 철수, 한미 동맹 파기, 신자유주의 반대, 강대국에 의한 제국주의적 지배 정책으로부터의 자주권 쟁취 등을 주장한다.[14]
  • 친북반국가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한국 정부 주도의 과거사 진상 규명 활동에 대항해 왔으며,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의 강령·규약·발표문 등을 통해 한국 측의 통일 방안인 국가 연합제를 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주장하는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연방제를 지지한다고 지적하고 있다.[26]
  • 공식 블로그에서는 2009년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에 대한 일본의 대응에 대해, 일본의 과도한 반응에는 우익에 의한 군국주의나 군사 대국화와 같은 목적이 숨어 있으며, 군사력 강화가 이루어질 경우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위협하는 것은 북한이 아니라 일본이라고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27]

4. 이적 단체 규정 및 논란

실천연대는 검찰에 의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반국가단체 구성 및 찬양·고무)로 이적단체로 규정되었고, 간부 4명이 구속되었다.[30][31]

검찰은 실천연대의 강령이 이적단체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지녔다고 주장했다.[32] 그러나 회원들은 검찰의 주장이 무리하게 공안정국을 조성하려는 시도라며 반발했고, 검찰과 실천연대 사이에 입장이 대립했다.[33] 실천연대는 공안당국이 반민주적으로 압수수색을 자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34]

하지만 검찰은 법원에서 북한의 지령을 실천한 구체적인 행동이 인정되었고,[35] 광화문 네거리에서 북한 체제를 찬양하는 전시 활동을 벌였으며,[36] 구속된 실천연대 간부에게 로동신문 등이 전달된 점[37] 등을 근거로 이적단체가 맞다고 주장하며 논쟁이 이어졌다. 결국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실천연대가 북한의 주체사상을 찬양·선전해왔고, 중국에서 북한 간부와 만나 활동 지침을 받은 사실이 인정되는 등 국가 질서에 해악을 끼칠 위험이 있는 이적 단체"라고 판결하며 간부들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38]

2009년 11월 17일, 통일부는 실천연대가 법원으로부터 이적단체 판결을 받았고 공익활동이 없다는 점을 들어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말소 처분 사전 통지서를 보냈다.[39] 그동안 실천연대는 6.25 남침유도설,[40] 북한 핵개발의 미국 책임론[41] 등 북한의 주장을 그대로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42]

2010년 7월 23일, 대한민국 대법원은 실천연대가 국가보안법상 이적단체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43]

5. 해산 이후

2010년 7월, 대한민국 대법원국가보안법 상 "이적 단체"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려[5] 실천연대는 해산되었다. 다만, 실천연대의 부설 기관이었던 한국민권연구소는 단체 해산 후에도 존속되었고[6], 실천연대 해산 직전인 2010년 6월에 결성된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민권연대)[7]가 실천연대의 조직을 계승했다고 대한민국보수 성향 전국지인 조선일보는 지적하고 있다.[8]

참조

[1] 뉴스 南北共同宣言実践連帯6人を逮捕…「北を称賛した疑い」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8-09-29
[2] 뉴스 【社説】「李明博の手先を忘れるな」と諭す実践連帯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10-03
[3] 뉴스 韓国政府、暴力デモ隊に1億7千万ウォン支援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6-06-07
[4] 뉴스 【社説】国民の税金が暴力デモ団体に提供されてい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01-06
[5] 뉴스 最高裁 "6・15実践連帯は利敵団体" http://japan.hani.co[...] 2013-02-11
[6] 뉴스 새로운 둥지, 새로운 결심 한국민권연구소" http://minjok.com/bb[...] 2018-11-09
[7] 웹사이트 민권연대 5년 되새기기 http://www.mkyd.org/[...]
[8] 뉴스 韓国の親北・左派団体、ソウル都心で金正恩氏をたたえる集会" http://www.chosunonl[...] 2018-11-09
[9] 뉴스 またも別々に開催…寂しい「4・19」集会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3-04-20
[10] 뉴스 ライス補佐官訪韓に反対デモ相次ぐ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4-07-09
[11] 뉴스 「実践連帯」が北朝鮮から受けた指令とは(上)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10-01
[12] 뉴스 【ミサイル発射】韓総連「米国と日本は自業自得」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6-07-06
[13] 뉴스 親北団体はまるで北の拡声器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01-08
[14] 뉴스 米国産牛肉:覆面に投石、少数のデモ団体が主導(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6-28
[15] 간행물 【トップ記事】常設的な単一連合体「統一時代に民衆勝利を」韓国進歩連帯が出帆 http://www.korea-htr[...] 在日韓国民主統一連合 2007-10-01
[16] 뉴스 “뉴라이트 ‘대안교과서’는 일본 우익 판박이” http://www.chammalo.[...] Chamalo 2008-03-24
[17] 뉴스 金議長の「北朝鮮先制攻撃」発言に過剰反応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4-04
[18] 뉴스 ブッシュ来韓:デモ隊に向け放水(上)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8-06
[19] 뉴스 【記事1】キャンドル集会 警察が強硬弾圧 市民ら強く抗議 http://www.korea-htr[...] 2008年8月15日 2008-08-15
[20] 뉴스 ファン・ジャンヨプ氏を脅迫、容疑者を検挙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9-29
[21] 뉴스 【記事2】政党と社会団体 共同の機構で反撃へ 李明博政権、保安法で公安弾圧 http://www.korea-htr[...] 2008年10月15日 2008-10-15
[22] 뉴스 '이적혐의' 실천연대 간부4명 기소(‘利敵行為’実践連帯幹部4名起訴) http://economy.hanko[...] 2013-02-11
[23] 뉴스 ‘실천연대, 비영리단체 등록 말소’(‘実践連帯、非営利団体登録抹消’) http://www.independe[...] 2013-02-11
[24] 뉴스 「実践連帯」が北朝鮮から受けた指令とは(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10-01
[25] 뉴스 「実践連帯」が北朝鮮から受けた指令とは(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10-01
[26] 뉴스 「韓国9団体の統一案は北朝鮮の連邦制と一致」(上)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11-03
[27] 웹사이트 ミサイル問題で日本大使館に抗議「軍事大国化」を糾弾 https://web.archive.[...]
[28] 뉴스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대규모 압수 연행" http://www.jajuminbo[...] 자주민보 2008-09-27
[29] 뉴스 새로운 둥지, 새로운 결심 한국민권연구소" http://www.jajuminbo[...] 자주민보 2015-01-08
[30] 뉴스 '이적혐의' 실천연대 간부4명 기소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13-02-11
[31] 뉴스 '실천연대' 간부 4명 기소…`이적단체' 규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0-24
[32] 뉴스 검찰, 실천연대 왜 '이적단체' 규정했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0-24
[33] 뉴스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실체는?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8-10-24
[34] 뉴스 실천연대 "공안당국 반인권적 압수수색 자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9-30
[35] 뉴스 공안당국 "北 지령 구체적 실천 구속"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11-13
[36] 뉴스 "[집중분석]‘6·15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는 어떤 단체인가?"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09-06-10
[37] 뉴스 실천연대 수감자들에 로동신문 배달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11-13
[38] 뉴스 "[단신] 법원, '실천연대' 이적단체 규정" http://imnews.imbc.c[...] MBC 2009-04-22
[39] 뉴스 ‘실천연대, 비영리단체 등록 말소’ http://www.independe[...] 독립신문 2009-12-21
[40] 뉴스 실천연대, ‘6.25 남침유도설’ 우회 주장 http://www.independe[...] 독립신문 2009-12-22
[41] 뉴스 北핵개발이 美의 대북제재 때문? http://www.independe[...] 독립신문 2009-12-22
[42] 뉴스 “실천연대의 조국은 북한인가?” http://www.independe[...] 독립신문 2009-12-22
[43] 뉴스 대법 "실천연대는 이적단체"…간부 징역형 확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