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베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지베섬은 모잠비크 해협에 위치한 마다가스카르 해안에서 약 8km 떨어진 섬으로, '큰 섬'을 의미한다. 17세기에는 '향기나는 섬'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사칼라바족이 처음 정착했다. 1824년 마다가스카르 역사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다가 1960년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관광이 주요 산업이며, 열대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 특히 오무라 고래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다가스카르의 섬 - 마다가스카르섬
마다가스카르섬은 인도양 서부에 위치하며 곤드와나 대륙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생태학적 보고로, 독특한 지형과 기후, 여우원숭이를 비롯한 다양한 고유 동식물이 서식한다. - 마다가스카르의 섬 -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는 모잠비크 해협의 프랑스 해외 영토로, 여러 섬과 암초로 이루어져 프랑스 해군의 보호를 받으며 해양 자원 관리에 중요한 배타적 경제 수역을 확보하고 있지만 주변국과의 영유권 분쟁이 있는 곳이다. - 마다가스카르의 도시 - 마나카라
마나카라는 마다가스카르 남동부 해안의 마나가히 강 어귀에 위치한 도시로, 울창한 열대 우림으로 둘러싸여 있고 팡갈라네스 운하와 인접하여 해안 교통의 요충지이며, 피아나란초아-코트 에스트 철도의 종착역이 위치해 있다. - 마다가스카르의 도시 - 안탈라하
마다가스카르 북동부의 안탈라하는 풍부한 강수량을 가진 열대 우림 기후 도시로, 국도 5a선과 해상 항구를 통해 연결되며, 교육 시설, 상설 법원, 병원 등의 기반 시설과 JS 안탈라하 축구 클럽이 존재한다.
노지베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큰 섬 |
현지어 이름 | Nosy Be |
의미 | 큰 섬 |
지리 | |
위치 | 모잠비크 해협 |
면적 | 320.02km2 |
최고 고도 | 450m |
최고봉 | 몽 로코베 |
행정 구역 | |
국가 | 마다가스카르 |
지역 | 디아나 지역 |
인구 통계 | |
인구 (2018년) | 109,465명 |
2. 역사
노지베섬은 마다가스카르어로 "큰 섬"을 의미하며, 17세기 초 식민지 시대에는 "향기나는 섬"이라는 뜻의 노시 마니트라로 불리기도 했다. 이 섬에는 사칼라바족이 처음 정착했고, 이후 안타카라나족 등이 소수 이주해 왔다. 코모로, 인도인, 안탄드로이도 이 섬에 거주하고 있다.
노지베섬이 마다가스카르 역사에 처음 등장한 것은 1824년이다. 1837년 보이나 왕국의 마지막 여왕 츠이오메코의 군대가 패배하면서 메리나 왕국에 병합되었고, 이후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 1960년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노지베섬은 마다가스카르의 영토가 되었다.
러일 전쟁 중이던 1905년 1월 9일,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이 이끄는 러시아 제국 제2태평양 함대가 노지베섬에 도착하여 드미트리 폰 푈케르삼 제독의 소규모 부대와 합류했다. 이들은 쓰시마 해전으로 떠나기 전까지 두 달 동안 이곳에서 개보수 및 석탄 보급을 받았다.[7][8]
2013년에는 프랑스인 관광객 2명과 현지인 1명이 현지 소년의 죽음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소문으로 인해 폭도들에게 린치를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마다가스카르 법원은 4명에게 종신 고역형을 선고했다.[9][10][11]
2. 1. 초기 역사
노지베는 마다가스카르어로 "큰 섬"을 의미한다. 17세기 초 식민지 시대에는 "향기나는 섬"을 의미하는 노시 마니트라로 불리기도 했다.[1] 이 섬에 처음 정착한 이들은 사칼라바족이었다. 뒤이어 안타카라나족 등이 소수 이주해 왔다. 현재는 더 나아가 코모로인, 인도인, 안탄드로이도 거주하고 있다. 노지베섬이 마다가스카르의 역사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1824년이다.[25]1824년 내륙에 있던 메리나 왕국의 라다마 1세가 사칼라바족의 보이나 왕국의 수도 마준가를 공략했고, 살아남은 사칼라바족은 노지베를 거점으로 저항을 계속했다.[25] 1837년 치오메코 여왕의 군대가 패배하면서 이 지역은 메리나령이 되었다.
프랑스는 1840년부터 이 섬을 식민지화하여 헬-빌(헬 제독에서 유래)이라는 전초 기지를 세웠다.[1] 1848년 프랑스 식민지 노예 제도의 폐지 선언으로 노예 무역에 광범위하게 연루된 사칼라바족이 프랑스에 반란을 일으켰다.[2]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 섬은 마다가스카르 식민지 내의 내부 보호령으로 프랑스에 의해 통치되었다. 이 전초 기지는 모잠비크 해협의 중요한 무역 항구가 되었다.[3]
19세기 동안, 프랑스 정착민들은 현금 작물 농업(주로 사탕수수)을 개발하고 동아프리카에서 고용 계약 노동자를 모집했다.[4] 프랑스는 해안을 통제하기 어려웠지만, 노지베섬에 주로 설탕과 현금 작물을 생산하는 농장을 세웠다.[5] 프랑스는 군사력과 외교를 모두 사용하여 섬에서의 입지를 유지했으며, 노지베섬의 전 통치자 비나오를 섬의 ''주지사''로 임명했다.[6]
이 지역은 양항을 가지고 있어 군함의 정박지로도 이용되었으며, 1904년에는 러일 전쟁을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하던 러시아 제국의 발트 함대가 이곳 노지베에 3개월 정도 정박했다.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이 이끄는 주력 함대는 1905년 1월 9일 노지베섬에 도착하여 이미 1904년 12월 28일에 도착한 드미트리 폰 푈케르삼 제독이 이끄는 소규모 부대와 합류했다.[7] 함대는 개보수 및 석탄 보급을 위해 두 달 동안 머물렀으며, 10주 후 쓰시마 해전에서 운명을 맞이하기 위해 3월 17일에 출발했다.[8]
2. 2. 마다가스카르 왕국 시대
1824년 내륙의 메리나 왕국 라다마 1세가 사칼라바족의 보이나 왕국 수도 마준가를 공략했고, 살아남은 사칼라바족은 노지베섬을 거점으로 저항을 계속했다.[25] 1837년 보이나 왕국 마지막 여왕 츠이오메코의 군대가 패배하면서 이 지역은 메리나 왕국령이 되었다.프랑스는 1840년부터 이 섬을 식민지화하여 헬-빌(헬 제독에서 유래)이라는 전초 기지를 세웠다.[1] 1848년 프랑스 식민지 노예 제도의 폐지 선언으로 노예 무역에 광범위하게 연루된 사칼라바족이 프랑스에 반란을 일으켰다.[2]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 섬은 마다가스카르 식민지 내의 내부 보호령으로 프랑스에 의해 통치되었다. 이 전초 기지는 모잠비크 해협의 중요한 무역 항구가 되었다.[3]
19세기 동안, 프랑스 정착민들은 현금 작물 농업(주로 사탕수수)을 개발하고 동아프리카에서 고용 계약 노동자를 모집했다.[4] 프랑스는 해안을 통제하기 어려웠지만, 노지베섬에 주로 설탕과 현금 작물을 생산하는 농장을 세웠다.[5] 프랑스는 군사력과 외교를 모두 사용하여 섬에서의 입지를 유지했으며, 노지베섬의 전 통치자 비나오를 섬의 ''주지사''로 임명했다.[6]
2. 3. 프랑스 식민지 시대
1837년 보이나 왕국 마지막 여왕 치오메코의 군대가 패배하면서 이 지역은 라나발로나 1세의 소유가 되었다.[25] 이후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프랑스는 1840년부터 이 섬을 식민지화하여 헬-빌(프랑스어 헬 제독에서 유래)이라는 전초 기지를 세웠다.[1] 1848년 프랑스 식민지 노예 제도의 폐지 선언으로 노예 무역에 광범위하게 연루된 사칼라바족이 프랑스에 반란을 일으켰다.[2]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 섬은 마다가스카르 식민지 내의 내부 보호령으로 프랑스에 의해 통치되었다. 이 전초 기지는 모잠비크 해협의 중요한 무역 항구가 되었다.[3]
19세기 동안, 프랑스 정착민들은 현금 작물 농업(주로 사탕수수)을 개발하고 동아프리카에서 고용 계약 노동자를 모집했다.[4] 프랑스는 해안을 통제하기 어려웠지만, 노지베섬에 주로 사탕수수와 현금 작물을 생산하는 농장을 세웠다.[5] 프랑스는 군사력과 외교를 모두 사용하여 섬에서의 입지를 유지했으며, 노지베섬의 전 통치자 비나오를 섬의 ''주지사''로 임명했다.[6]
2. 4. 러일 전쟁
러일 전쟁 당시 러시아 제국 제2태평양 함대는 노지베섬을 보급 기지로 활용했다. 1905년 1월 9일,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이 이끄는 주력 함대가 노지베섬에 도착하여, 1904년 12월 28일에 먼저 도착한 드미트리 폰 푈케르삼 제독의 소규모 부대와 합류했다.[7] 이들은 개보수와 석탄 보급을 위해 두 달간 머물렀으며, 10주 후 쓰시마 해전에서 패배하기 위해 3월 17일에 섬을 떠났다.[8]2. 5. 독립 이후
1837년 보이나 왕국의 마지막 여왕 츠이오메코의 군대가 패배하면서 이 지역은 메리나 왕국령이 되었다. 이후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고, 1960년에는 독립한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25]프랑스는 1840년부터 이 섬을 식민지화하여 헬-빌(프랑스어 헬 제독에서 유래)이라는 전초 기지를 세웠다.[1] 1848년 프랑스 식민지 노예 제도의 폐지 선언으로 노예 무역에 광범위하게 연루된 사칼라바족이 프랑스에 반란을 일으켰다.[2]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 섬은 마다가스카르 식민지 내의 내부 보호령으로 프랑스에 의해 통치되었다. 이 전초 기지는 모잠비크 해협의 중요한 무역 항구가 되었다.[3]
19세기 동안, 프랑스 정착민들은 현금 작물 농업(주로 사탕수수)을 개발하고 동아프리카에서 고용 계약 노동자를 모집했다.[4] 프랑스는 해안을 통제하기 어려웠지만, 노지베섬에 주로 설탕과 현금 작물을 생산하는 농장을 세웠다.[5] 프랑스는 군사력과 외교를 모두 사용하여 섬에서의 입지를 유지했으며, 노지베섬의 전 통치자 비나오를 섬의 ''주지사''로 임명했다.[6]
이 지역은 양항을 가지고 있어 군함의 정박지로도 이용되었으며, 1904년 러일 전쟁을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하던 러시아 제국의 발트 함대가 이곳 노지베섬에 3개월 정도 정박했다.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이 이끄는 주력 함대는 1905년 1월 9일 노지베섬에 도착하여 이미 1904년 12월 28일에 도착한 드미트리 폰 푈케르삼 제독이 이끄는 소규모 부대와 합류했다.[7] 함대는 개보수 및 석탄 보급을 위해 두 달 동안 머물렀으며, 10주 후 쓰시마 해전에서 운명을 맞이하기 위해 3월 17일에 출발했다.[8]
2013년, 프랑스인 관광객 2명과 현지인 1명이 현지 소년의 죽음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폭도들에게 린치(폭행 및 화형)를 당했다.[9][10] 마다가스카르 법원은 폭도 린치 사건에 대해 4명에게 종신 고역형을 선고했다.[11]
2. 6. 2013년 폭동
2013년, 프랑스인 관광객 2명과 현지인 1명이 현지 소년의 죽음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소문이 돌아 폭도들에게 린치를 당해 폭행당하고 화형당했다.[9][10] 마다가스카르 법원은 이 폭도 린치 사건에 대해 4명에게 종신 고역형을 선고했다.[11]3. 지리
노지베섬은 마다가스카르 본섬에서 8km 떨어진 모잠비크 해협에 위치해 있으며, 주변에는 노시 콤바 섬, 노시 미치오 섬, 노시 사카티아 섬, 노시 타니켈리 섬 등 휴양지로 쓰이는 섬들이 있다. 주요 산업은 관광이며, 다이빙 및 로코베 자연 보호 구역에서의 휴양을 위한 관광객들이 많이 방문하고, 섬에는 리조트 호텔이 산재해 있다.
섬은 열대 기후이나, 12월에서 2월까지 3개월 동안의 여름만 약간 습윤한 기후이다. 로코베 자연 보호 구역에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개구리나 카멜레온 등이 서식하고 있다.
3. 1. 지형
노지베섬은 모잠비크 해협의 마다가스카르 해안에서 약 8km 떨어져 있으며, 노시 콤바, 노시 미치오, 노시 사카티아, 노시 타니켈리와 같은 몇몇 작은 섬들이 근처에 위치해 있다. 섬의 주요 도시는 헬빌이다.이 화산섬의 면적은 약 312km2이며, 길이는 30km, 너비는 19km이며, 가장 높은 봉우리는 450m의 몽 로코베이다. 화산은 홀로세에 기원했지만 기록된 역사상 분화한 적은 없다.[13] 섬에는 11개의 화산호가 있다.
노지베는 열대 기후로, 12월부터 2월까지의 여름 3개월 동안 약간 습하다. 최고봉은 로코베 산으로, 해발 450m이다. 홀로세에 형성된 화산섬이며, 섬 안에는 11개의 칼데라 호가 있지만, 유서 깊은 화산 활동은 기록되지 않은 휴화산이다.[26] 섬에는 세계 최소 크기의 개구리와 카멜레온이 서식하며, 마다가스카르에 있는 5개의 엄정 보호 구역 중 하나인 로코베 자연 보호 구역이 설치되어 있다.
4. 생태
노지베섬은 열대 기후이며, 12월에서 2월까지 3개월 동안 여름철에 약간 습윤한 기후를 보인다. 최고봉은 로코베 산으로, 해발 450m이다. 이 섬은 화산섬이며 11개의 칼데라 호가 있으나, 역사상 화산 활동이 기록되지 않은 휴화산이다.[26] 섬에는 마다가스카르에 있는 5개의 자연 보호구역 중 하나인 로코베 자연 보호 구역이 있다.
4. 1. 동식물
노지베섬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개구리 중 하나인 '''Stumpffia pygmaea'''와 카멜레온 '''Brookesia minima'''이 서식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14] 마다가스카르에 있는 5개의 엄정 보호 구역 중 하나인 로코베 엄정 자연 보호 구역이 설치되어 있다. 노지베섬에는 또한 특정한 색상의 팬서 카멜레온(Furcifer pardalis)이 서식한다.야행성 동물로는 여우원숭이(쥐, 드워프), 카멜레온(짧은 코, 뭉툭한 꼬리 등), 잎꼬리 도마뱀붙이, 개구리, 새 등이 있다.[15]

최근 연구에 따르면 노지베섬[16]과 마다가스카르 사이의 해협 주변 해역은 상당수의 오무라 고래의 서식지이며,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이 희귀종을 대상으로 최초로 현장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17][18]
노지베섬 주변의 산호초는 도시화, 설탕 산업 폐수 배출, 규제되지 않은 관광의 영향을 받는다.[19]
4. 2. 해양 생물
노지베섬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개구리 중 하나인 '''Stumpffia pygmaea'''와 카멜레온 '''Brookesia minima'''이 서식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14] 또한, 특정한 색상의 팬서 카멜레온(Furcifer pardalis)도 서식한다. 야행성 동물로는 여우원숭이(쥐, 드워프), 카멜레온(짧은 코, 뭉툭한 꼬리 등), 잎꼬리 도마뱀붙이, 개구리, 새 등이 있다.[15]최근 연구에 따르면 노지베섬[16]과 마다가스카르 사이의 해협 주변 해역은 상당수의 오무라 고래의 서식지이며,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이 희귀종을 대상으로 최초로 현장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17][18]
노지베섬 주변의 산호초는 도시화, 설탕 산업 폐수 배출, 규제되지 않은 관광의 영향을 받는다.[19]
5. 기후
노지베섬은 열대 기후로, 12월부터 2월까지의 여름 3개월 동안 약간 습하다. 최고봉은 로코베 산으로, 해발 450m이다. 홀로세에 형성된 화산섬이며, 섬 안에는 11개의 칼데라 호가 있지만, 역사상 화산 활동이 기록된 적은 없는 휴화산이다.[2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1.1 | 31.1 | 31.8 | 32.0 | 31.2 | 30.0 | 29.6 | 29.9 | 31.0 | 32.0 | 32.0 | 31.5 | 31.1 |
평균 기온 (°C) | 26.2 | 26.3 | 27.6 | 26.5 | 25.2 | 23.1 | 22.3 | 23.3 | 24.4 | 25.7 | 26.4 | 26.5 | 25.3 |
평균 최저 기온 (°C) | 22.6 | 22.8 | 22.8 | 22.4 | 20.9 | 19.0 | 18.0 | 17.8 | 19.1 | 20.8 | 22.0 | 22.5 | 20.9 |
평균 강수량 (mm) | 518.5 | 435.9 | 294.7 | 156.5 | 61.1 | 44.3 | 37.4 | 36.2 | 39.3 | 84.6 | 148.1 | 371.6 | 2228.2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21 | 20 | 18 | 12 | 6 | 6 | 5 | 5 | 6 | 7 | 13 | 18 | 137 |
평균 일조 시간 | 187.0 | 171.2 | 224.0 | 245.0 | 271.3 | 248.9 | 263.7 | 284.9 | 277.6 | 281.1 | 249.1 | 219.7 | 2923.5 |
[27]
노지베섬은 열대 사바나 기후를 보인다. 여름(12월~2월)에 가장 습하다. 차라타나나 산괴는 8월이나 열대 저기압 동안 이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강한 북동풍으로부터 섬을 부분적으로 보호한다. 우기는 10월부터 5월 초까지 지속되며, 그 뒤를 9월까지 이어지는 비교적 짧은 건기가 따른다. 하지만 기후의 특성상 건기에도 적당량의 강수량을 보인다. 낮 기온은 연중 30°C 부근에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며, 밤에는 건기 동안 약간 더 시원해진다.
6. 행정
노지베섬은 디아나 지역 내의 구역을 구성하며 노지베시(Commune Urbaine de Nosy Be)로 조직되어 있다. 시장은 비타 자르가 씨이다.
7. 경제
사탕수수 농장과 그 파생 상품(설탕, 럼주) 생산의 주요 장소였던 노지베섬의 현재 주요 활동은 일랑일랑[22](에센셜 오일 생산용) 농업과 관광 산업이다. 노지베는 마다가스카르에서 가장 발달된 관광지이며, 대규모 리조트를 찾을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 섬에는 신호등이 없고, 대신 로터리가 사용된다.
모잠비크 해협 내에 위치하며, 마다가스카르 섬에서 약 8km 떨어진 해협으로 분리되어 있다. 노시 콤바 섬, 노시 사카티아 섬, 노시 미치오 섬, 노시 이란자, 노시 타니켈리 등의 섬들이 노시 베 근처에 있으며, 노시 베에서 당일치기 관광지로 이용된다.
7. 1. 주요 산업
노지베섬의 주요 산업은 관광이며, 다이빙 및 자연 보호 구역에서 휴양하기 위한 관광객들이 많이 방문하고 있다. 섬에는 리조트 호텔이 산재해 있다.[22] 노지베는 마다가스카르에서 가장 발달된 관광지 중 하나이며, 대규모 리조트를 찾을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 한때 사탕수수 농장과 그 파생 상품(설탕, 럼주) 생산의 주요 장소였으나, 현재 주요 활동은 일랑일랑(에센셜 오일 생산용) 농업과 관광 산업이다.[22]해변 리조트, 다이빙 등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며, 섬 안에는 리조트 호텔이 즐비하다. 노시 베 근처에는 노시 콤바 섬, 노시 사카티아 섬, 노시 미치오 섬 등 당일치기 관광지로 이용되는 섬들이 있다.
7. 2. 교통
파센 공항이 있으며, 에어 마다가스카르, 에어 오스트랄, Airlink, Ewa, 에티오피아 항공의 상업 항공편이 운항하며, 네오스 항공을 통해 유럽에서 직항편을 이용할 수 있다.[26] 주요 도시이자 항구인 안두아니는 안키피에서 배로 이동할 수 있다. 섬 내에서는 툭툭, 스쿠터, 보트, 자동차 등을 이용한 이동이 일반적이다.
8. 교육
노지베섬에는 프랑스 국제 학교와 현지 공립 학교가 있다. 프랑스 국제 학교로는 라마르틴 프랑스 초등학교가 있으며, 현지 공립학교로는 EPP 안다바코토코, EPP 갈리에니, EPP 만소 대로, CEG 암발라카타카, 노시베 혼성 리세 등이 있다.[23]
8. 1. 프랑스 국제 학교
라마르틴 프랑스 초등학교가 있다.[23]8. 2. 현지 공립 학교
- EPP 안다바코토코[23]
- EPP 갈리에니[23]
- EPP 만소 대로 (?)[23]
- CEG 암발라카타카타[23]
- 노시베 혼성 리세[23]
9. 자매 도시
노지베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논문
Commerce régional et à longue distance dans l'ouest de Madagascar au XIXème siècle
https://www.academia[...]
2008
[2]
서적
Un mouvement antiabolitionniste et anticolonial : La révolte sakalava de 1849 dans le Nord-Ouest de Madagascar
Karthala
[3]
논문
Complex Strands: Changing Textile Trades in Western Madagascar and the Mozambique Channel in the Nineteenth Century, Evidence from Nosy Be Island
https://www.academia[...]
2017-01-02
[4]
서적
De l'engagisme au salariat dans le Sud-Ouest de l'océan Indien. La colonie de plantation de Nosy Be, Madagascar (1840–1960)
https://www.academia[...]
Riveneuve
[5]
서적
Persuasion, escarmouches, prises d'otages. L'exercice du pouvoir dans la colonie française de Nosy Be, Nord-Ouest de Madagascar (1839–1896)
Les Indes Savantes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adagascar
Scarecrow Press
2005
[7]
서적
Shipwrecks of Madagascar
Strategic Book Publishing
[8]
서적
Hubris. The Tragedy of War in the Twentieth Century
HarperCollins
[9]
뉴스
A Madagascar, la folle rumeur qui a mené trois hommes sur le bûcher
http://www.lemonde.f[...]
2018-04-23
[10]
뉴스
Triple lynchage de Madagascar : coopération judiciaire difficile entre Paris et Antananarivo
https://www.lemonde.[...]
2013-11-12
[11]
뉴스
Four sentenced to hard labour for life over Madagascar mob lynching
https://www.france24[...]
2015-10-09
[12]
서적
The SAG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ravel and Tourism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6-09-01
[13]
gvp
[14]
서적
Astonishing Animals: Extraordinary Creatures and the Fantastic Worlds They Inhabit
Atlantic Monthly Press
[15]
서적
Madagascar Wildlife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08
[16]
웹사이트
petit rorqual minke whale.avi
https://www.youtube.[...]
YouTube
2015-10-25
[17]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Guide to their Identification
Academic
[18]
논문
Omura's whales (Balaenoptera omurai) off northwest Madagascar: ecology, behaviour and conservation needs
[19]
서적
Coral Reefs of the Indian Ocean: Their Ecology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0-10-12
[20]
웹사이트
Nosybe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25
[21]
웹사이트
Nosy Be/Fascene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10-19
[22]
뉴스
Jacarandas cultivates Madagascar scents: from ylang-ylang to pink peppercorn
https://www.premiumb[...]
2024-09-26
[23]
웹사이트
École primaire française Lamartine
http://www.aefe.fr/r[...]
2015-05-07
[24]
웹사이트
Comune di Napoli -Gemellaggi
http://www.comune.na[...]
2013-08-08
[25]
간행물
週刊朝日百科世界の地理108 モザンビーク・マダガスカル・コモロ・モーリシャス・セーシェル
朝日新聞社
1985-11-17
[26]
gvp
2011-01-16
[27]
웹사이트
Nosy Be/Fascene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