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당나귀 귀 설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나귀 귀 설화는 귀가 당나귀처럼 변한 왕의 비밀을 다루는 이야기로,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주요 내용은 그리스 신화의 미다스 왕 이야기와 신라 경문왕 설화로 대표되며, 이 외에도 중앙아시아, 아일랜드 등 여러 지역에서 유사한 설화가 존재한다. 이러한 설화들은 왕의 비밀, 진실의 은폐와 폭로, 권력과 사회의 관계 등을 주제로 다루며, 문학, 공연 예술 등 다양한 형태로 현대적으로 변용되어 전승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 - 아이깁토스
    아이깁토스는 이집트 왕 벨루스의 아들이자 리비아의 왕 다나오스의 형제이며, 50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아들들이 다나오스의 딸들과 결혼한 후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 그리스 신화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당나귀 귀 설화
설화 정보
이름당나귀 귀 설화
다른 이름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유형설화, 우화
지역한국, 중국, 일본, 유럽,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내용임금의 비밀스러운 신체적 특징을 숨기려는 시도와 그 비밀이 결국 알려지게 되는 이야기
한국 설화
기원신라 경문왕
등장 인물경문왕
복두장
이발사
줄거리경문왕의 귀가 갑자기 당나귀 귀처럼 길어졌고, 왕은 이 사실을 숨기려 했으나 복두장이 비밀을 알게 되었다. 복두장은 평생 이 비밀을 지켰지만, 죽기 직전 대나무 숲에 들어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쳤다. 이후 바람이 불면 대나무 숲에서 같은 소리가 났다.
변형이발사가 비밀을 알고 발설
도포장, 갓 만드는 사람이 비밀을 알고 발설
대나무 숲 대신 흙으로 만든 인형이 비밀을 발설
바람이 아니라 새가 소문을 냄
유사 설화
그리스 신화미다스 왕의 이야기. 미다스 왕의 머리카락이 아폴론의 분노로 인해 당나귀 귀로 변했다.
기타 지역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사한 모티프의 설화가 발견됨

2. 미다스 왕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프리게아의 왕 미다스에 관한 이야기는 당나귀 귀 설화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 이 설화는 미다스 왕이 신의 노여움을 사 당나귀 귀를 갖게 되고, 이 비밀이 이발사갈대를 통해 세상에 알려지는 과정을 다룬다.

이 이야기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5세기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개구리》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기원전 1세기 오비디우스의 서사시 《변신 이야기》에는 비교적 상세한 내용이 기록되어 전해진다.

설화 연구에서 이 이야기는 아르네-톰슨 분류 체계에 따라 '미다스와 당나귀 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유형의 핵심 요소는 '당나귀 귀를 가진 남자', '이발사에 의해 발견된 비밀스러운 신체적 특징', '갈대(또는 다른 매개체)가 비밀을 폭로함' 등이다.

미다스 왕의 귀는 그리스와 한국 설화에서는 주로 당나귀 귀로 묘사되지만,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다양한 변이형에서는 말 또는 염소 귀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 루마니아, 러시아, 그리스, 아일랜드, 칠레 등의 지역 설화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보인다.[3][4][5]

한국의 경문왕 설화와 비교하면, 비밀을 아는 인물이 미다스 이야기의 '이발사' 대신 '복두장이(모자 만드는 사람)'로, 비밀이 퍼져나가는 매개체가 '갈대' 대신 '대나무'로 등장하는 차이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주인공)이 당나귀 귀를 가졌다는 핵심 내용은 인도, 몽골,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아시아 여러 지역의 유사 설화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지리적, 문화적 연관성을 고려할 때 중국이나 일본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명확히 확인되지는 않았다.

이 설화는 현대 한국 문학에도 영향을 미쳐, 소설가 방기환은 1957년 미다스 왕 이야기를 모티프로 한 단편 소설 '귀'를 발표하기도 했다.

2. 1. 그리스 신화

《미다스 왕》(안드레아 바카로, 1670년경)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왕 미다스는 소아시아의 프리게아 왕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태양신 아폴로와 목신 사이의 음악 경연을 참관하게 되었다. 경연이 끝난 후, 미다스는 판의 연주가 더 훌륭했다고 평가하며 아폴로의 패배를 선언했다. 이에 노여움을 느낀 아폴로는 벌로 미다스의 귀를 길고 털이 난 당나귀 귀처럼 만들어 버렸다.

자신의 변한 귀를 부끄럽게 여긴 미다스는 큰 모자나 두건을 써서 귀를 가리고 다녔다. 하지만 머리카락을 자르기 위해 이발사를 부를 때만은 귀를 보여줄 수밖에 없었다. 미다스는 이발사에게 절대로 비밀을 누설하지 말라고 엄하게 명령했다. 그러나 비밀을 간직하는 것이 너무나 괴로웠던 이발사는 결국 인적이 드문 강가로 가서 땅에 구멍을 파고 그 안에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속삭인 뒤 구멍을 다시 흙으로 덮었다. 얼마 후, 그 자리에 무성하게 자라난 갈대들이 바람에 흔들릴 때마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결국 미다스 왕의 비밀은 온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미다스가 당나귀 귀를 가졌다는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의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기원전 5세기에 활동한 희극 작가 아리스토파네스는 그의 작품 《개구리》에서 미다스의 당나귀 귀를 언급했다. 이후 기원전 1세기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가 쓴 서사시 《변신 이야기》에도 위에서 설명한 미다스 왕의 이야기가 상세하게 기록되어 전해진다.

다른 버전의 이야기에서는 수금의 신과 피리의 신이 음악 실력을 겨루었고, 왕이 피리의 소리가 더 낫다고 판정하자 화가 난 수금의 신이 왕의 귀를 당나귀 귀로 만들었다고도 한다. 이 버전에서는 비밀을 알게 된 이발사가 갈대밭 구덩이에 외친 후, 갈대들이 소리를 내는 것을 왕이 알게 되자 이발사를 용서하고 당나귀 귀를 드러내고 살았다고 전해진다.

3. 경문왕 설화

대한민국에서는 신라의 제48대 왕인 경문왕과 관련된 설화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는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제2 '48대 경문대왕(四十八景文大王)' 조항에 수록되어 있다.[1] 이 조항에는 '당나귀 귀 임금' 이야기 외에도 '세 가지 좋은 일로 왕이 된 응렴(膺廉)', '뱀과 함께 잠자는 왕' 이야기가 함께 실려 있다.[1]

경문왕 설화는 왕의 귀가 당나귀처럼 길다는 비밀을 왕의 복두(幞頭)를 만들던 복두장이만이 알고 있었는데, 그가 죽기 전 도림사(道林寺) 근처 대나무 숲에 가서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친 이야기가 바람을 타고 퍼져나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8][1] 이후 왕이 대나무를 베고 산수유나무를 심었으나 소리는 계속되었다고 전해진다.[8][1]

이 설화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경문왕의 귀', 그리고 '여이설화(驢耳說話)'라고도 불린다.[2]

3. 1. 삼국유사

신라 제48대 왕 경문왕의 이야기는 대한민국에서 잘 알려진 설화로,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제2 '48대 경문대왕(四十八景文大王)' 조항에 수록되어 있다.[1]

경문왕은 즉위 후 귀가 갑자기 길어져 당나귀 귀처럼 변했다. 이 사실은 왕 자신 외에는 왕비나 궁녀들조차 아무도 몰랐으며, 오직 왕의 복두(幞頭, 관리가 쓰던 모자)를 만드는 복두장이만이 알고 있었다.[1] 복두장이는 평생 이 비밀을 누설하지 못하고 속앓이를 하다가, 죽음을 앞두고 경주의 도림사(道林寺) 근처 대나무 숲으로 갔다. 그는 대나무를 향해 '''"우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쳤다.[1][8]

그 후 바람이 불 때마다 대나무 숲에서는 "우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소리가 울려 퍼져 나갔다. 이 소리를 듣기 싫어한 경문왕은 대나무를 모두 베어 버리고 그 자리에 산수유나무를 심도록 명령했다. 하지만 이후 산수유나무에서도 "임금님 귀는 길다"라는 소리가 계속 들렸다고 한다.[8][1]

이 설화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경문왕의 귀', '여이설화(驢耳說話)' 등으로도 불린다.[2]

3. 2. 정치적, 사회적 해석

경문왕 설화는 왕족의 권위를 강화하고 귀족들의 저항을 누르려 했던 경문왕의 정치적 어려움과, 불안정한 민심으로 인해 혼란스러웠던 당시 신라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1]

4. 다른 지역 설화



당나귀 귀 설화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지역에서 비슷한 형태로 전해 내려온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프리게아의 왕 미다스 이야기이다.[3][4][5] 미다스는 음악 경연에서 아폴로의 노여움을 사 귀가 당나귀처럼 변했고, 이 비밀을 알게 된 이발사가 땅에 구멍을 파고 비밀을 외친 뒤 묻었으나 그 자리에 자란 갈대가 바람에 흔들리며 비밀을 퍼뜨렸다는 내용이다. 이 이야기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5세기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개구리》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기원전 1세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를 통해 자세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러한 유형의 이야기는 민속학에서 아르네-톰슨 분류 체계에 따라 '미다스와 당나귀 귀'(유형 782)로 분류된다. 대체로 왕이나 귀인의 신체적 비밀(주로 귀 모양)과 그 비밀을 아는 특정 인물(주로 이발사나 모자 만드는 사람)이 등장하며, 결국 비밀이 누설되는 구조를 공통적으로 가진다.[3][4][5]

설화의 세부 내용은 지역마다 차이를 보이는데, 주인공의 귀 모양(당나귀, , 염소 등), 비밀을 아는 인물(이발사, 복두장이 등), 비밀이 퍼져나가는 매개체(갈대, 대나무, 하프 등)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3][4][5][8] 아시아 지역에서는 비교적 당나귀 귀 모티프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4. 1. 중앙아시아

전설에 따르면, 중앙아시아이식쿨호가 생기기 전 그 지역을 다스리던 왕은 당나귀 귀를 가지고 있었다. 왕은 자신의 비밀을 지키기 위해 이발사들을 모두 죽였다. 그러나 살아남은 이발사 한 명이 우물 속에다 왕의 비밀을 털어놓았고, 그 결과 우물이 넘쳐서 오늘날의 이식쿨 호수가 생겼다고 한다.

4. 2. 아일랜드

아일랜드 전설 속 왕인 Labraid Loingsech는 말의 귀를 가지고 있었다. 왕의 비밀을 알게 된 이발사는 이를 남에게 말할 수 없어 병이 들었다. 이발사는 드루이드의 조언에 따라 커다란 버드나무를 찾아가 나무에게 왕의 비밀을 털어놓았다. 시간이 흘러 시인 Craiftine이 우연히 그 버드나무로 하프를 만들었다. 그런데 그 하프를 연주할 때마다 ‘Labraid Lorc는 말의 귀를 가지고 있다’는 노래가 흘러나왔다고 한다.

이처럼 당나귀 귀 설화는 지역에 따라 귀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프랑스, 루마니아, 러시아, 그리스, 아일랜드, 칠레 등에서는 말 또는 염소의 귀로 묘사된다.[3][4][5]

4. 3. 기타 지역

이 설화는 풍부한 민속성을 바탕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어 일찍부터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아르네-톰슨의 분류법에 따르면 '미다스와 당나귀 귀' 유형 782로 분류되며, 기본적으로 '당나귀 귀를 가진 남자', '이발사에 의해 발견된 비밀스러운 신체적 특징', '갈대대나무 등이 비밀을 드러낸다'는 구조를 가진다.[3][4][5]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인 그리스 신화미다스 왕 이야기는 당나귀 귀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서는 귀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 루마니아, 러시아, 그리스, 칠레 등에서는 이나 염소의 귀를 가진 인물로 이야기가 변형되어 나타난다.[3][4][5] 아일랜드의 전설 속 왕인 Labraid Loingsech는 의 귀를 가졌으며, 그의 비밀은 이발사드루이드의 조언에 따라 버드나무에 털어놓은 뒤, 그 나무로 만든 하프를 통해 알려졌다고 한다.

한편, 아시아 지역에서는 당나귀 귀 모티프가 비교적 일관되게 나타난다. 인도, 몽골,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에서도 유사한 이야기가 존재하며, 내용 면에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등장인물의 귀가 당나귀 귀라는 공통점을 보인다. 중앙아시아이식쿨호 생성 전설 역시 당나귀 귀를 가진 왕과 그의 비밀을 지키려다 죽은 이발사들, 그리고 우물에 비밀을 털어놓아 호수가 생겼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처럼 기본적인 줄거리는 유사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서는 지역별 차이가 발견된다. 예를 들어 한국경문왕 설화에서는 비밀을 아는 사람이 '복두장이(모자 만드는 사람)'이고 비밀이 퍼져나가는 매개체가 '대나무'인 반면, 그리스의 미다스 이야기에서는 '이발사'와 '갈대'가 등장한다.[8] 지리적, 문화적 요인을 고려할 때, 중국이나 일본에도 유사한 설화가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아직 확인된 바는 없다.

5. 현대적 변용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설화는 그 내용의 보편성 덕분에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재창작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방기환 작가가 1957년 소설 '귀'를 통해 이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각색했으며, 일본에서는 극단 사계가 1965년부터 어린이 뮤지컬로 각색하여 꾸준히 공연하고 있다.[6] 이러한 현대적 변용은 설화가 가진 '숨겨진 진실', '권력자의 약점', '소문의 힘'과 같은 주제가 시대를 초월하여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준다.

5. 1. 문학

이 설화를 현대적으로 각색한 작품으로는 1957년 11월 문학예술에 발표된 방기환의 소설 '귀'가 있다.

5. 2. 공연 예술

일본에서는 극단 사계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제목으로 어린이 뮤지컬을 상연하고 있다. 이 뮤지컬은 1965년에 초연되었으며, 작가는 테라야마 슈지이다.[6] 극단 사계가 주식회사로 전환하기 전, 닛세이 명작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작곡은 이즈미 타쿠, 연출은 아사리 케이타가 맡았다.[6]

뮤지컬의 줄거리는 원전 설화에 이어 숲의 나무들이 임금님 귀의 비밀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왕은 비밀을 감추기 위해 나무들을 베어내려 하고, 이에 반발한 민중들은 왕에게 진실을 말하도록 요구하며 노래 시합을 벌인다. 시합에서 왕이 지고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자 당나귀 귀가 떨어지는 해피 엔딩으로 마무리된다.

1970년대에는 배우 타키타 사카에가 왕 역할을 연기했다.

5. 3. 출판

일본에서는 극단 사계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제목으로 어린이 뮤지컬을 상연하고 있다. 이 뮤지컬은 1965년에 초연되었으며, 작가는 테라야마 슈지, 작곡은 이즈미 타쿠, 연출은 아사리 케이타가 맡았다.[6] 극단 사계가 주식회사로 전환되기 전, 닛세이 명작 극장의 일환으로 상연되었다.

뮤지컬 내용은 원전 이야기에 이어, 숲의 나무들이 왕의 귀 비밀을 퍼뜨리는 것으로 시작된다. 왕이 비밀을 감추기 위해 나무를 베려 하자, 진실을 밝히라는 백성들과 왕 사이에 노래 대결이 벌어진다. 결국 왕이 패배하고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자 당나귀 귀가 사라지는 해피 엔딩으로 마무리된다. 1970년대에는 배우 타키타 사카에가 왕 역할을 맡기도 했다.

일본어로 출판된 관련 서적 및 연극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저자제목출판사출판 연도/시리즈비고
우노 테루오 (역)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그리스 신화슈에이샤1980년 3월 (어린이를 위한 세계 명작 동화)
기시다 에리코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차일드 본사2014년 12월 (세계 옛날이야기 명작선 9)ISBN 978-4-8054-4101-5
테라야마 슈지인어공주·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테라야마 슈지 세계 명작 동화신쇼칸1973년
세가와 마사오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아사히 소노라마1978년 10월 (세계 옛날이야기)
무라노 모미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웅계사1988년 9월 (수탉 애니메이션 그림책관 40)ISBN 978-4-277-85240-1
야마무로 시즈카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프뢰벨관1985년 8월 (세계 옛날이야기 4)ISBN 978-4-577-01134-8
테라야마 슈지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극단 사계(명작 동화에 의한 어린이를 위한 뮤지컬 플레이)[7]뮤지컬 극본
미야자키 미치하루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국토사2007년 3월 (초등학교 즐거운 극의 책 고학년, 일본 연극 교육 연맹 편)ISBN 978-4-337-27103-6, 극본


참조

[1] 웹사이트 경문왕[景文王]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22-11-30
[2] 간행물 경문왕의 귀설화(景文王─說話)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2-11-30
[3] 뉴스 Carpaccio Created the Graphic Novels of the Renaissance https://www.smithson[...] 2022-12-06
[4] 뉴스 Should Ovid’s Metamorphoses Have a Trigger Warning? https://www.newyorke[...] 2022-11-07
[5] 뉴스 4. King Midas and the golden touch https://www.bbc.co.u[...] 2022-12-06
[6] 웹사이트 "あの方は、“人を喜ばす天才”でした」 - 王様・牧野公昭が語る、寺山修司" http://www.shiki.jp/[...] 劇団四季 2011-12-07
[7] 웹사이트 왕님의 귀는 로바의 귀 https://iss.ndl.go.j[...] 국립국회도서관 서치 2016-05-07
[8]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꽃으로 보는 한국문화3:임금님의 귀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