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통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교통공사는 대구광역시의 도시철도 운영 기관으로, 1989년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로 시작하여 1995년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로, 2008년 대구도시철도공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22년 대구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와 통합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3호선을 운영하며, 1호선은 설화명곡역에서 하양역까지, 2호선은 문양역에서 영남대역까지, 3호선은 칠곡경대병원역에서 용지역까지 운행한다. 1000호대, 2000호대, 3000호대 전동차를 보유하고 있으며, 열차 접근음은 상행선은 비발디의 '사계' 중 '봄', 하행선은 슈베르트의 '군대행진곡'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5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1~9호선 대부분을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소사~원시 구간) 운영도 담당하고, 65세 이상 고령자의 무료 이용 등으로 인한 적자, 시위 대응 과정에서의 논란 등 여러 현안에 직면해 있다. - 대구광역시의 기업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 시장 안정과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부동산 감정 평가에서 부동산 가격 공시 및 시장 관리 등으로 업무를 확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기업 - 대구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은 1963년 한국방송공사 대구방송국으로 개국하여 대구와 경북 지역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역 민영방송으로, 2023년 창사 60주년을 맞이했다.
대구교통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 명칭 | 대구교통공사 |
영문 명칭 | Daegu Transportation Corporation |
약칭 | DTRO |
한글 명칭 | 대구교통공사 |
한자 명칭 | 大邱交通公社 |
로마자 표기 | Daegu gyotong gongsa |
회사 개요 | |
종류 | 공기업 |
산업 | 도시 철도 |
서비스 | 도시철도 운송사업 |
설립일 | 1995년 11월 20일 |
설립 장소 | 대구광역시 |
본사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월배로 250 |
사업 지역 | 대구광역시 |
모기업 | 대구광역시청 |
직원 수 | 2,064명 |
웹사이트 | 대구교통공사 공식 웹사이트 |
재무 정보 (2015년 기준) | |
자본금 | 4조 6,084억 454만 3,831원 |
매출액 | 1,660억 3,457만 8,993원 |
영업 이익 | -1,664억 8,239만 1,864원 |
순이익 | -935억 4,812만 5,487원 |
자산 총액 | 3조 3,577억 4,996만 7,997원 |
주요 인물 | |
사장 | 김기혁 |
연혁 | |
이전 명칭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1995년 ~ 2008년) 대구도시철도공사 (2008년 ~ 2022년) |
2. 연혁
1989년 9월 1일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1995년 11월 20일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가 창립되었다.[1] 이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2003년에는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었으나, 복구 작업을 통해 운행을 재개하고 전 객차 불연재 교체를 완료하였다.
2008년 10월 1일 '''대구도시철도공사'''로 사명을 변경하였고,[1] 2022년 9월 1일 대구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와 통합하여 현재의 '''대구교통공사'''가 되었다.[1]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발생 |
2003년 10월 21일 | 교대역~동대구역 구간 운행 재개 (중앙로역 제외) |
2003년 12월 31일 | 중앙로역 재개통, 전 구간 운행 완전 재개 |
2005년 4월 1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전 객차 불연재 교체 완료 |
2005년 10월 18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1단계(문양~사월) 구간 개통 |
2008년 10월 1일 | 대구도시철도공사로 사명 변경 |
2012년 9월 19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경산 연장구간(사월~영남대) 개통 |
2015년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칠곡경대병원~용지 구간 개통 |
2016년 9월 8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4단계 화원읍 연장구간(설화명곡~대곡) 개통 |
2017년 5월 25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2개 역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9개 역, 총 61개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만 로프형, 나머지 역들은 완전 밀폐형) |
2022년 9월 1일 | 대구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와 통합, 대구교통공사 출범 |
2. 1. 설립 초기 (1989년 ~ 2002년)
1989년 9월 1일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가 설립되었다.[1] 1995년 11월 20일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가 창립되었다.[1] 1997년 11월 26일 1호선 1단계 구간(진천~중앙로)이 개통되었고,[1] 1998년 5월 2일 2단계 구간(중앙로~안심)이 개통되었다.[1] 2002년 5월 10일 1호선 3단계 대곡 연장구간(대곡~진천)이 개통되었다.[1]날짜 | 내용 |
---|---|
1989년 9월 1일 |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 |
1995년 11월 20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 |
1997년 11월 26일 | 1호선 1단계(진천~중앙로) 구간 개통 |
1998년 5월 2일 | 1호선 2단계(중앙로~안심) 구간 개통 |
2002년 5월 10일 | 1호선 3단계 대곡 연장구간(대곡~진천) 개통 |
2. 2.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와 복구 (2003년)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교대역~동대구역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1]2003년 10월 21일 : 교대역~동대구역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단, 중앙로역 제외)[1]
2003년 12월 31일 : 중앙로역 재개통으로 전 구간 운행이 완전히 재개되었다.[1]
2005년 4월 1일 : 1호선 전 객차에 불연재 교체 작업이 완료되었다.[1]
2. 3. 노선 확장과 사명 변경 (2005년 ~ 2022년)
2005년 4월 1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전 객차에 불연재 교체 작업을 완료하였다.[1] 같은 해 10월 18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1단계(문양~사월) 구간이 개통되었다.[1]2008년 10월 1일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는 '''대구도시철도공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2012년 9월 19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경산 연장구간(사월~영남대)이 개통되었다.[1]
2015년 4월 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칠곡경대병원~용지 구간이 개통되었다.[1]
2016년 9월 8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4단계 화원읍 연장구간(설화명곡~대곡)이 개통되었다.[1]
2017년 5월 25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2개 역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9개 역, 총 61개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만 로프형, 나머지 역들은 완전 밀폐형)[1]
2022년 9월 1일 대구도시철도공사는 대구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와 통합하여 '''대구교통공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2. 4. 대구교통공사 출범 (2022년 ~ 현재)
2022년 9월 1일 대구도시철도공사는 대구광역시 도시철도 건설본부와 통합하여 '''대구교통공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3. 조직
대구교통공사는 2016년 1월 1일 기준으로 사장 아래 3본부, 1감사, 3실, 7처, 23부와 14개의 원, 센터, 소로 구성되어 있다.[1] 조직 형태는 지방 공기업이며, 관련 법률은 지방공기업법 제49조 및 동법 시행령 제47조, 그리고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설치조례이다.[1] 총 인원은 2,468명이다.[1]
3. 1. 경영지원본부
경영지원본부는 대구교통공사의 3개 본부 중 하나이다. [1]조직 형태 | 지방 공기업 (지방공기업법 제49조 및 동법 시행령 제47조,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설치조례) [1] |
---|---|
설립 목적 | 대경권 도시철도인 대구 도시철도 운영 및 부대사업, 도시교통 발전과 시민복리 증진 [1] |
본사 | 대한민국|大韓民國한국어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로 250 (상인동) [1] |
조직 | 사장 3본부 1감사 3실 7처 23부 / 14원·센터·소 (2016.1.1) [1] |
인원 | 2,468명 [1] |
3. 2. 운영본부
대구교통공사는 대경권 도시철도인 대구 도시철도 운영 및 부대사업, 도시교통 발전과 시민복리 증진을 위해 설립된 지방 공기업이다.[1] 운영본부는 대구교통공사의 3개 본부 중 하나이다.3. 3. 기술본부
대구교통공사는 3본부 체제로 운영되며, 기술본부는 이 중 하나이다.3. 4. 안전관리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안전관리실'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은 없다.3. 5. 사업소
대구교통공사는 14개의 사업소를 운영하고 있다.[1]사업소 수 | 14개 |
---|
4. 역대 사장
7대
11대
12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