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는 기원전 1세기의 로마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측근이었으나, 기원전 44년 카이사르 암살에 가담했다. 갈리아 전쟁에서 카이사르의 군단장으로 활약하며 해군 지휘 능력을 보여주었고, 카이사르의 내전에서도 활약했다. 카이사르는 그를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브루투스는 원로원파의 압력과 카이사르의 독재에 대한 반감으로 암살에 참여했다. 카이사르 사후 공화파에 가담하여 안토니우스에 대항했으나 무티나 전투 이후 패배하여 처형당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율리우스 시저》에서 "데키우스"로 등장하며, 카이사르의 마지막 대사인 "브루투스, 너마저"의 브루투스가 마르쿠스 브루투스가 아닌 데키무스 브루투스를 가리킨다는 설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3년 사망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기원전 106년에 태어난 로마의 정치가이자 웅변가, 문인으로, 로마 공화정 시대에 활동하며 뛰어난 웅변술과 저술 활동으로 라틴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43년 사망 - 퀸투스 툴리우스 키케로
    퀸투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 군인, 작가이며 유명한 웅변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의 동생으로, 쿠르수스 호노룸을 밟고 갈리아 전쟁에 참전, 카이사르 내전에서 폼페이우스를 지지했으나 사면 후 제2차 삼두정치 시기에 형과 함께 숙청되었으며 그리스 비극 작가로도 활동했다.
  • 갈리아 전쟁 관련자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기원전 83년경 로마에서 태어나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에서 갈리아 전쟁에 참전하여 두각을 나타낸 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카이사르 암살 후 옥타비아누스와 권력 다툼을 벌이다 클레오파트라 7세와의 관계로 옥타비아누스와 갈등, 악티움 해전 패배 후 자결했다.
  • 갈리아 전쟁 관련자 - 비트루비우스
    비트루비우스는 기원전 1세기 로마의 건축가이자 군사 기술자로,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가와 건축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건축론》을 통해 건축의 세 가지 요소인 안정성, 실용성,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인체의 비례를 건축의 주요 원천으로 묘사했다.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
로마자 표기Decimus Iunius Brutus Albinus
출생기원전 81년 4월 27일
사망기원전 43년 9월 (38세)
사망 장소갈리아
사망 원인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게 충성하는 갈리아 족장의 처형
국적로마
직업장군, 정치인
알려진 이유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가족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아버지), 셈프로니아 (어머니),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입양 아버지)
배우자발레리아 폴라
경력
소속율리우스 카이사르 (기원전 44년까지), 해방자 (기원전 44년~43년)
복무 기간기원전 56년~43년
참전 전투갈리아 전쟁, 카이사르의 내전, 무티나 전투
직위갈리아 총독
법무관 (기원전 45년)
집정관 (기원전 42년 지정)

2. 생애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는 기원전 77년집정관을 지낸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아들로, 젊은 시절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함께 활동했다.

브루투스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레가투스(총독 대리)로 참전하면서 역사에 이름을 알렸다. 기원전 56년 모르비앙 만 해전에서 베네티족을 상대로 승리했고, 알레시아 전투에도 참전하여 갈리아 전쟁 승리에 기여했다.

로마 내전에서도 카이사르 편에 섰다. 마실리아 포위전에서 함대를 지휘하여 루키우스 도미티우스의 함대를 격파하고 가이우스 트레보니우스와 함께 마실리아를 항복시켰다.

기원전 48년부터 기원전 46년까지 법무관급 부관으로서 갈리아를 통치했으며, 기원전 44년에는 갈리아 키살피나 집정관급 지휘권(임페리움)을 부여받았고, 기원전 42년의 집정관으로도 지명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44년 3월 15일,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와 함께 폼페이우스 극장에서 카이사르를 암살했다. 브루투스는 8번째로 카이사르를 찔렀다고 전해진다. 카이사르의 유언장에서 브루투스는 옥타비아누스(후의 아우구스투스)에 이은 제2상속인으로 지명되었다.

이후 브루투스는 공화파 장군으로서 카이사르의 후계자를 자처하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등 카이사르파에 저항했다. 무티나에서 안토니우스에게 포위되었으나, 아울루스 히르티우스, 가이우스 비비우스 판사 카이트로니아누스, 옥타비아누스의 도움으로 포위망을 탈출했다. 그러나 갈리아에서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가 안토니우스와 합류하자 패배하여 도주 중 살해되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율리우스 시저』에서 "데키우스"로 등장하지만, 이는 셰익스피어의 실수이다.

2. 1. 초기 생애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는 기원전 85년에서 81년경 로마의 유서 깊은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는 기원전 77년에 집정관을 지냈으며, 어머니는 셈프로니아로 추정된다.[2] 그는 어린 시절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친구로 지냈고,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 등과도 교류하였다. 이후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가문에 입양되었으나, 관례와 달리 자신의 이름을 바꾸지 않고 계속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로 불렸다.[3][4]

2. 2. 갈리아 전쟁과 내전

데키무스 브루투스는 갈리아 전쟁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군단장으로 복무했다. 기원전 56년 베네티족과의 해전에서 함대를 지휘하여 승리했는데, 긴 장대에 낫 모양의 갈고리를 장착하여 적의 돛을 공격해 배를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전술을 사용했다.[25][7][8]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와의 전투에도 참여했다.[25][8]

기원전 49년 카이사르의 내전이 발발하자, 데키무스 브루투스는 카이사르 편에 서서 마실리아 공방전에서 해상 봉쇄 임무를 수행했다. 그는 30일 만에 함대를 건조하여 마실리아 함대를 두 번 격파하고, 가이우스 트레보니우스와 함께 마실리아를 항복시켰다.[13]

카이사르는 내전에서 승리한 후, 자신의 유언장에서 데키무스 브루투스를 옥타비아누스 다음인 제2의 상속자로 지정했다.[24]

300x300px

2. 3. 카이사르 암살

기원전 44년 3월 15일, 데키무스 브루투스는 법무관으로서 마르쿠스 브루투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등 14명과 함께 폼페이우스 대극장에서 카이사르를 암살했다.[26] 카이사르의 신임을 받던 그가 암살에 가담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카이사르가 독재관으로서 권력을 독점하는 것에 대한 반감 때문으로 추정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줄리어스 시저》에서 카이사르가 암살당하며 남긴 마지막 대사 "브루투스, 너마저"의 '브루투스'는 마르쿠스 브루투스가 아닌 데키무스 브루투스를 가리킨다는 설이 있다.

2. 4. 암살 이후

카이사르 암살 다음날, 암살자들은 성난 로마 시민들과 카이사르의 군단병들에게 위협을 받았다. 브루투스와 암살자들은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몸을 낮추었고, 브루투스는 기원전 43년이 되자 어수선한 로마의 정세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임지로 되어있던 갈리아 키살피나로 서둘러 떠났다.[14] 그러나 로마의 정세는 급변하여 안토니우스는 원로원을 선동하여 브루투스의 임지인 갈리아 키살피나를 자신의 임지로 만들어 버리고 브루투스를 공격했다.

한편 로마에서 카이사르의 후계자로 점점 부각되고 있던 옥타비아누스는 키케로의 안토니우스 탄핵 연설인 《필리피카이》의 영향으로 군사를 이끌고 무티나에서 브루투스를 공격하는 안토니우스를 공격하여 승리했다. 데키무스 브루투스는 옥타비아누스 덕분에 구출되었으나, 옥타비아누스는 차갑게 자신은 안토니우스를 공격하러 왔을 뿐 카이사르의 암살자를 도우러 오지 않았다고 말하며 그에게 안토니우스를 공격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병사들은 모두 카이사르의 암살자와 함께 할 수 없다고 하며 데키무스를 버렸고, 절망한 데키무스는 마르쿠스 브루투스와 카시우스가 있는 마케도니아로 달아나려 했다.

그러던 중 그는 안토니우스 편인 갈리아 부족에게 붙잡혀 안토니우스의 명령으로 처형되었는데, 그는 카이사르의 암살자 중 가장 먼저 처형된 것이다.[17]

3. 평가 및 유산

Decimus Iunius Brutus Albinusla카이사르의 충실한 부하였으나, 결국 카이사르를 배신하고 암살에 가담했다는 점에서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카이사르 암살 이후 내전에서 패배하고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점도 부정적 평가의 요인이다.

3. 1. 부정적 평가

Decimus Iunius Brutus Albinusla카이사르의 신임을 배신하고 암살에 가담한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행위였다.[1] 그는 암살 이후 안토니우스에게 대항하여 내전을 벌였으나, 결국 도피와 배신을 거듭하며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1]

3. 2. 기타

셰익스피어의 희곡 《줄리어스 시저》와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에서 데키무스 브루투스는 '데키우스'로 잘못 표기되었다.[19]

셰익스피어의 《줄리어스 시저》에 나오는 카이사르의 마지막 대사 "브루투스, 너마저도!"의 브루투스는 많은 연구자들이 마르쿠스 브루투스가 아닌 데키무스 브루투스라고 본다.[22] 수에토니우스는 《황제열전》에서 카이사르가 마르쿠스 브루투스를 보고 그리스어로 "καὶ σὺ τέκνον"(번역하면 "아들아, 너도?")라고 마지막으로 말했다고 했으나 플루타르코스에는 마지막 말에 대한 아무런 언급이 없다.

조지프 애디슨의 희곡 ''카토, 비극''에서도 데키무스 브루투스는 "데키우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19] 그는 자신의 실제 이름으로 희곡 ''키케로의 비극''에 등장한다.[20]

앨런 매시의 1993년 저서 ''카이사르''에서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는 자신이 카이사르의 암살에 가담하게 된 이야기와 그 이유를 갈리아 족 추장에게 붙잡혀 있는 동안 이야기한다.

콜린 매컬로의 소설 ''카이사르''와 ''10월의 말''(그녀의 로마의 지배자 시리즈)에서 데키무스 브루투스는 중요한 인물이다. 이 소설에서 그는 가이우스 트레보니우스와 함께 암살 공모의 실제 지도자로 묘사된다.

콘 이글든의 소설 시리즈 ''황제''에서 데키무스 브루투스와 마르쿠스 브루투스의 역사적 인물은 마르쿠스 브루투스라는 한 인물로 합쳐진다.

벤 케인의 소설 ''잊혀진 군단'', ''은색 독수리'', ''로마로 가는 길''에서 데키무스 브루투스는 줄거리와 나머지 책에서 파비올라의 연인으로 꽤 중요한 인물로 묘사된다.[21]

S.J.A 터니의 소설 시리즈 ''마리우스 뮬스''에서 데키무스 브루투스는 뛰어난 해군 지휘관이자 카이사르의 가장 충성스러운 장교 중 한 명으로 크게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Roman Republican Coinage
[2] 논문 No Son for Caesar?
[3] 서적 Roman Republican Coinage
[4] 서적 (제목 없음)
[5] 논문 Bastards in the Roman Aristocracy
[6] 논문 No Son for Caesar?
[7] 서적 Gallic Wars https://archive.org/[...] Boston, Houghton Mifflin
[8] 서적 Gallic Wars https://archive.org/[...] Boston, Houghton Mifflin
[9] 서적 Julius Caesar: The Colossus of Rome https://books.google[...]
[10] 서적 Epistulae ad Familiares
[11] 서적 (제목 없음)
[12] 서적 Cicero's Letters to Atticus
[13] 서적 The Civil War
[14] 서적 Cicero’s Letters to his Friends Atlanta
[15] 서적 Cicero’s Letters to his Friends Atlanta
[16] 서적 Cicero’s Letters to his Friends Atlanta
[17] 서적 Cicero’s Letters to his Friends Atlanta
[18] 서적 An Overview of Leonardo's Career and Projects Until C.1500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 서적 The Works of Joseph Addison https://books.google[...]
[20] 서적 Drama of the English Republic, 1649–60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Forgotten Legion (The Legion Chronicles) Preface
[22] 서적 Dictator Alfred A. Knopf
[23] 서적 皇帝伝
[24] 서적 로마 황제전
[25] 서적 갈리아 전쟁기
[26] 서적 로마인 이야기 제5권: 율리우스 카이사르 한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