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트루비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트루비우스는 고대 로마의 건축가이자 군사 기술자이며, 그의 저서 《건축론》은 고전 시대에 쓰인 유일하게 현존하는 건축 관련 서적으로, 르네상스 시대 이후 건축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에서 군사 기술자로 복무하며 로마 포위 무기 제작을 담당했고, 건축가로서 건축, 건설 관리, 토목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갖추었다. 《건축론》은 건축가의 교육, 건축의 세 가지 분야, 건축 기술과 설계의 관계, 로마 기술 등을 다루며, 건축의 안정성, 실용성,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비트루비우스 삼위일체를 제시했다. 그의 저서는 르네상스 시대에 재발견되어 건축, 디자인,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그의 이론은 건축 분야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2. 생애와 경력

비트루비우스의 생애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대부분 그의 저서 《건축론(De Architectura)》을 통해 추론한다. 이름은 "마르쿠스 비트루비우스 폴리오"로 알려져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7]

자유 로마 시민으로 태어난 비트루비우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의 로마군에서 군사 기술자(praefectus fabrum)로 복무했다.[12] 그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푸블리우스 미니디우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등과 함께 복무했으며, 이들의 신원은 《건축론》 판본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10] 군사 기술자로서 비트루비우스는 발리스타(ballista)와 스콜피오(scorpio) 같은 로마 포위 무기 제작을 전문으로 담당했다.[11] 그는 카이사르의 수석 기술자인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발부스와 함께 복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1]

비트루비우스는 아프리카, 히스파니아(Hispania), 갈리아(Gaul)(아키텐(Gallia Aquitania) 포함), 폰투스(Pontus) 등 다양한 지역에서 복무했을 가능성이 높다.[13] 그는 기원전 56년 라리눔(Larino, Larignum) 포위 공격에 대한 유일한 기록을 남겼으며,[14] 갈리아 전쟁의 여러 전장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15][16] 또한, 카이사르의 내전에 관련된 장소들에서도 활동했다.[17]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이기도 했다. 로마 시대의 건축은 현대보다 더 광범위한 분야였으며, 현대 건축, 건설 관리, 건설 공학, 화학 공학, 토목 공학, 재료 공학, 기계 공학, 군사 공학, 도시 계획 등을 포함했다.[18] 그는 습지에서 나오는 불건강한 공기가 질병의 원인이라는 미아스마 이론(miasma theory)을 언급하기도 했다.[19]

비트루비우스는 기원전 19년에 파눔 포르투나에(Fanum Fortunae, 현재의 파노)에 바실리카(basilica)를 건설했다고 알려져 있다.[22][23] 이 건물은 완전히 사라져 위치조차 추측하기 어렵지만, 초기 기독교에서 로마 바실리카를 대성당으로 개조하는 관행에 따라 파노 대성당(Fano Cathedral)에 통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4]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그의 누이인 옥타비아 미노르(Octavia Minor)를 통해 비트루비우스를 후원하여 연금을 지급하고 재정적 안정을 보장했다.[4] 그의 사망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2. 1. 주요 전투 및 포위 공격 참여

3. 《건축론》(De architectura)

《건축론》(De architectura)은 비트루비우스의 대표적인 저서로, 고전 시대에 쓰인 유일하게 현존하는 건축 관련 서적이다. 아우구스투스 황제에게 헌정되었으며, 건축에 대한 지식을 황제에게 제공하고자 쓰였다.[27] 마르쿠스 아그리파의 공공 수리 및 개선 캠페인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등 르네상스 시대 이후 건축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7]

== 구성 및 내용 ==

비트루비우스는 자신의 분야에 대한 기록을 남긴 최초의 로마 건축가이다.[31] 그는 기존 건축 관행을 체계화한 인물로, 로마 건축가들은 다양한 분야를 다루었다.[31] 어원적으로 건축가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주인'과 '건축자'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한다. 10권 중 첫 번째 권은 현재 조경 건축의 범위에 속하는 많은 주제를 다룬다.

제1권 제1장 "건축가의 교육"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는 그림, 기하학, 광학(조명), 역사, 철학, 음악, 연극, 의학 및 법률에 정통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1권 3장("건축의 부서")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을 건물, 해시계물시계의 건설,[32] 건설과 전쟁에서 기계의 설계와 사용[33][34]의 세 가지 분야로 나눈다. 그는 건물을 다시 공공 건물과 사적 건물로 나누고, 공공 건물에는 도시 계획, 공공 안전 구조물, 공공 시설, 종교적 용도의 사당과 사원 등이 포함된다고 설명한다.[31]

비트루비우스가 설계하고 감독한 파노(Fano)의 바실리카(basilica) 재건축 모습.


== 건축 기술 및 설계와의 관계 ==

비트루비우스의 이론은 건축 기술의 기초로 간주되며, 토목공학, 구조공학, 건축 기술, 건축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건축 기술과 설계의 관계는 계몽주의와 산업혁명 시대를 거치며 더욱 중요해졌으며, 기술 발전과 함께 건축 분야가 세분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건축술에 대하여》는 기원전 30년에서 기원전 23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이론은 어떤 건축물의 성공 여부는 장인의 기술이나 형식이 아니라 건축가의 작업이 사회와 갖는 상호 연관성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또한 "좋은 건축은 견고성, 편리성, 아름다움이라는 세 가지 조건으로 이루어진다"는 공식은 많은 경우 비트루비우스에게 돌려지지만, 이것이 직접 그의 이론인지, 아니면 번역가의 덧붙임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다.

오늘날까지 《건축술에 대하여》가 전해져 내려오는 것은 샤를마뉴 대제(카롤루스 대제)의 카롤링거 르네상스 덕분이다. 다른 라틴어 저작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에 많은 필사본이 제작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사본의 대부분은 이때 제작된 사본 중 하나(대영박물관 도서관 소장, 할리 사본 2767번)를 정본으로 하고 있다. 비트루비우스의 이론은 중세에도 알려져 있었지만, 르네상스 시대 건축가들에게 특히 주목받았고, 신고전주의 건축에 이르기까지 고전 건축의 기준으로 영향을 미쳤다.

비트루비우스는 《건축술에 대하여》에서 수차에 대해 논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 수차는 수평으로 흐르는 개울의 흐름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수평형 바퀴를 의미했고, 폭포처럼 낙하하는 물의 힘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현대적인 수차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비트루비우스는 《건축술에 대하여》에서 후자의 수차를 소개하고,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더 강력한 수력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유럽에서 처음으로 제창했다. 그리고 서양에서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 수차가 일반적인 것으로 계승되고 있다. 이로부터 물을 수직으로 떨어뜨려 작동시키는 형식의 수차는 수평형 그리스식/노르웨이식과 대조적으로 비트루비우스식이라고 불린다.

== 《건축론》에 언급된 인물 목록 (7권 서문)==

비트루비우스는 《건축론》 7권 서문에서 자신의 저술 자격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을 언급했다.[27] 이는 그가 폭넓은 지식을 가진 인물임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건축이 여러 전문 분야에 걸쳐 있음을 반영한다.

비트루비우스는 역사상 가장 재능 있는 인물들 중 일부는 잊혀지고 그들의 작품은 잊혀질 것이라고 예측하며, 덜 가치 있는 역사적 정치 인물들이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고 지적한다.[27]

비트루비우스가 언급한 인물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재발견 및 영향 ==

비트루비우스의 1450/건축론}}은 1414년 피렌체 인문주의자 포조 브라치올리니에 의해 생갈 수도원 도서관에서 "재발견"되었다.[38]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자신의 건축론({{circala)에서 이를 발표하며 재조명했다.[38] 1486년 로마에서 프라 조반니 술피티우스에 의해 최초의 라틴어 인쇄본이 출판되었고,[38] 이후 이탈리아어(체사레 체사리아노, 1521), 프랑스어(장 마르탱, 1547[39]), 영어, 독일어(발터 H. 리프, 1543), 스페인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원본 삽화는 분실되었으며, 1511년 프라 조반니 조콘도가 베네치아에서 텍스트 설명을 바탕으로 한 목판화 삽화를 포함한 최초의 삽화본을 출판했다.[40] 16세기 후반 안드레아 팔라디오다니엘레 바르바로의 비트루비우스 주석에 대한 삽화를 제공했다. 가장 유명한 삽화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비트루비우스적 인간''일 것이다.

로마 포럼을 비롯한 로마 시대 유적, 사원, 극장, 개선문과 그 부조 및 조각상은 비트루비우스 텍스트 내용의 시각적 예시를 제공했다. 건축론la의 인쇄 및 삽화본은 르네상스, 바로크신고전주의 건축에 영감을 주었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피렌체 대성당 돔의 큰 돌을 들어 올리기 위한 새로운 유형의 호이스트를 발명하며 건축론la판테온, 디오클레티아누스 목욕탕과 같은 기존 로마 유적에서 영감을 받았다.

건축론la, 1543


비트루비우스에 따른 로마식 주택 평면도


비트루비우스의 건축론(De architectura) 판본에 실린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체사레 체사리아노(1521) 삽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비트루비우스 저술에서 기하학과 인체 비율에 관한 구절에서 유래한 원과 정사각형에 내접하는 인체 삽화


비트루비우스는 구조물은 ''firmitatis, utilitatis, venustatis'' 즉, 안정성, 실용성, 아름다움의 세 가지 속성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것들은 때때로 비트루비우스적 미덕 또는 비트루비우스 삼위일체라고 불린다. 비트루비우스에 따르면, 건축은 자연의 모방이다. 새와 벌이 둥지를 짓듯이 인간은 자연 재료로 주택을 건설하여 자연 요소로부터 피난처를 마련했다. 그리스인들은 건축의 기술을 완성하면서 도리스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 건축 양식을 발명했다. 그것은 그들에게 비례에 대한 감각을 주었고, 가장 위대한 예술 작품인 인체의 비례를 이해하는 것으로 절정에 달했다. 이것은 비트루비우스가 비트루비우스의 인체 비례도를 정의하게 했고, 나중에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림으로 그렸다. 인체는 원과 정사각형(우주 질서의 기본적인 기하학적 패턴)에 새겨져 있다. 이 책 시리즈에서 비트루비우스는 주택 건축과 관련된 기후와 도시 위치 선택 방법에 대해서도 서술했다.[29][30]

3. 1. 구성 및 내용

비트루비우스는 그의 분야에 대한 기록을 남긴 최초의 로마 건축가이다.[31] 그는 기존 건축 관행을 체계화한 인물로, 로마 건축가들은 다양한 분야를 다루었다.[31] 어원적으로 건축가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주인'과 '건축자'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한다. 10권 중 첫 번째 권은 현재 조경 건축의 범위에 속하는 많은 주제를 다룬다.

제1권 제1장 "건축가의 교육"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는 건축가는 그림, 기하학, 광학(조명), 역사, 철학, 음악, 연극, 의학 및 법률에 정통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제1권 제3장("건축의 부서")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을 건물, 해시계물시계의 건설,[32] 건설과 전쟁에서 기계의 설계와 사용[33][34]의 세 가지 분야로 나눈다. 그는 건물을 다시 공공 건물과 사적 건물로 나누고, 공공 건물에는 도시 계획, 공공 안전 구조물, 공공 시설, 종교적 용도의 사당과 사원 등이 포함된다고 설명한다.[31]

3. 2. 건축 기술 및 설계와의 관계 (일본어판 내용 추가)

비트루비우스의 이론은 건축 기술의 기초로 간주되며, 토목공학, 구조공학, 건축 기술, 건축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건축 기술과 설계의 관계는 계몽주의와 산업혁명 시대를 거치며 더욱 중요해졌으며, 기술 발전과 함께 건축 분야가 세분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건축술에 대하여』는 기원전 30년에서 기원전 23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이론은 어떤 건축물의 성공 여부는 장인의 기술이나 형식이 아니라 건축가의 작업이 사회와 갖는 상호 연관성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또한 "좋은 건축은 견고성, 편리성, 아름다움이라는 세 가지 조건으로 이루어진다"는 공식은 많은 경우 비트루비우스에게 돌려지지만, 이것이 직접 그의 이론인지, 아니면 번역가의 덧붙임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다.

오늘날까지 『건축술에 대하여』가 전해져 내려오는 것은 샤를마뉴 대제(카롤루스 대제)의 카롤링거 르네상스 덕분이다. 다른 라틴어 저작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에 많은 필사본이 제작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사본의 대부분은 이때 제작된 사본 중 하나(대영박물관 도서관 소장, 할리 사본 2767번)를 정본으로 하고 있다. 비트루비우스의 이론은 중세에도 알려져 있었지만, 르네상스 시대 건축가들에게 특히 주목받았고, 신고전주의 건축에 이르기까지 고전 건축의 기준으로 영향을 미쳤다.

비트루비우스는 『건축술에 대하여』에서 수차에 대해 논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 수차는 수평으로 흐르는 개울의 흐름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수평형 바퀴를 의미했고, 폭포처럼 낙하하는 물의 힘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현대적인 수차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비트루비우스는 『건축술에 대하여』에서 후자의 수차를 소개하고,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더 강력한 수력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유럽에서 처음으로 제창했다. 그리고 서양에서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 수차가 일반적인 것으로 계승되고 있다. 이로부터 물을 수직으로 떨어뜨려 작동시키는 형식의 수차는 수평형 그리스식/노르웨이식과 대조적으로 비트루비우스식이라고 불린다.

3. 3. 《건축론》에 언급된 인물 목록 (7권 서문)

비트루비우스는 《건축론》 7권 서문에서 자신의 저술 자격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을 언급했다.[27] 이는 그가 폭넓은 지식을 가진 인물임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건축이 여러 전문 분야에 걸쳐 있음을 반영한다.

비트루비우스는 역사상 가장 재능 있는 인물들 중 일부는 잊혀지고 그들의 작품은 잊혀질 것이라고 예측하며, 덜 가치 있는 역사적 정치 인물들이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고 지적한다.[27]

다음은 비트루비우스가 언급한 인물 목록이다.

3. 4. 재발견 및 영향

비트루비우스의 1450/건축론}}은 1414년 피렌체 인문주의자 포조 브라치올리니에 의해 생갈 수도원 도서관에서 "재발견"되었다.[38]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자신의 건축론({{circala)에서 이를 발표하며 재조명했다.[38] 1486년 로마에서 프라 조반니 술피티우스에 의해 최초의 라틴어 인쇄본이 출판되었고,[38] 이후 이탈리아어(체사레 체사리아노, 1521), 프랑스어(장 마르탱, 1547[39]), 영어, 독일어(발터 H. 리프, 1543), 스페인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원본 삽화는 분실되었으며, 1511년 프라 조반니 조콘도가 베네치아에서 텍스트 설명을 바탕으로 한 목판화 삽화를 포함한 최초의 삽화본을 출판했다.[40] 16세기 후반 안드레아 팔라디오다니엘레 바르바로의 비트루비우스 주석에 대한 삽화를 제공했다. 가장 유명한 삽화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비트루비우스적 인간''일 것이다.

로마 포럼을 비롯한 로마 시대 유적, 사원, 극장, 개선문과 그 부조 및 조각상은 비트루비우스 텍스트 내용의 시각적 예시를 제공했다. 건축론la의 인쇄 및 삽화본은 르네상스, 바로크신고전주의 건축에 영감을 주었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피렌체 대성당 돔의 큰 돌을 들어 올리기 위한 새로운 유형의 호이스트를 발명하며 건축론la판테온, 디오클레티아누스 목욕탕과 같은 기존 로마 유적에서 영감을 받았다.

4. 로마 기술

8권, 9권, 10권은 로마 기술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부분의 기초를 형성하며, 프랑스 바르베갈(Barbegal)의 물레방아와 같이 현존하는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에 의해 보강되었다. 정보의 또 다른 주요 출처는 훨씬 후대인 서기 75년경에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가 편찬한 박물지(Naturalis Historia)la이다.

리오 틴토(Rio Tinto) 광산의 배수 톱니바퀴


; 기계

이 저서는 윈치, 크레인, 도르래와 같은 토목 구조물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계들과 투석기, 발리스타, 공성병기와 같은 군사 기계에 대한 설명으로 중요하다. 실무 엔지니어였던 비트루비우스는 다른 사람들의 업적을 단순히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하고 있을 것이다. 그는 또한 해시계물시계의 제작과 대기의 움직임(바람)의 본질을 보여주는 실험으로 압력솥(최초의 증기기관)의 사용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 수도교

비트루비우스는 수도교 건설에 대한 설명에서 측량 방법과 필요한 재료의 신중한 선택을 포함하고 있다. 1세기 후반에 로마의 많은 수도교를 관리하도록 임명된 장군인 프론티누스(Frontinus)는 건설과 유지보수에 수반되는 실질적인 문제에 대해 훨씬 더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비트루비우스의 저서가 이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비트루비우스는 기원전 1세기에 저술했는데, 이 시기에 세고비아(Segovia)와 퐁 뒤 가르(Pont du Gard)의 수도교와 같이 가장 훌륭한 로마 수도교들이 건설되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역사이폰(inverted siphon)의 사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사이폰 바닥의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문제점이 기술되어 있는데, 그는 이러한 실질적인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건축 재료

비트루비우스는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된 여러 가지 건축 자재와 회반죽 그림과 같은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콘크리트와 석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다.

비트루비우스는 납 광산 및 제련, 식수관에서의 사용, 그리고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연결한 가장 초기의 자료 중 하나로 인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식수 공급에 점토 파이프와 석조 수로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50]

비트루비우스는 아르키메데스가 목욕 중에 질량 대 부피 비율을 발견했다는 일화의 출처이다. 왕관 제작에 사용된 금의 혼합 여부를 조사하라는 요청을 받은 아르키메데스는 왕관의 부피를 물의 변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유레카!"라고 외치며 거리로 뛰어나갔다.

; 배수 기계

비트루비우스는 10권에서 아르키메데스의 나선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밭에 물을 대고 광산의 물을 빼내는 데 널리 사용되었던 장치였다. 그가 언급한 다른 양수기계로는 끝없이 회전하는 바구니 체인과 역전 수차가 있다. 옛 광산이 스페인의 리오 틴토 강 지역, 루마니아의 로시아 몬타나(Rosia Montana), 그리고 서웨일스(Wales)의 돌라우코티(Dolaucothi)에서 다시 개장되었을 때, 물을 퍼 올리는 데 사용되었던 수차의 잔해가 발견되었다.

아르키메데스의 나선펌프 설계도
리오 틴토 수차는 현재 영국 박물관(British Museum)에 전시되어 있으며, 돌라우코티의 표본은 웨일스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Wales)에 전시되어 있다.

; 측량 도구

비트루비우스가 측량에 능숙했음은 그가 설명한 측량 도구, 특히 수준기 또는 코로바테스(chorobates)에서 알 수 있다. 그는 이 도구를 수직선(plumb line)을 사용하는 그로마(groma)와 비교하며 그 장점을 설명한다. 이러한 도구들은 모든 건축 공사에 필수적이었지만, 특히 수로 건설에서는 중요했다. 수로의 벽이 손상되지 않도록 균일한 경사를 유지하여 규칙적인 물 공급을 확보하는 데 중요했기 때문이다. 그는 또한 회전할 때마다 돌멩이를 용기에 떨어뜨리는, 알려진 둘레의 바퀴로 구성된 초기의 주행계(odometer) 중 하나를 개발했다.

; 중앙 난방

비트루비우스는 주민들의 생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건축 설계에 도입된 많은 혁신들을 설명한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하이포코스트의 개발인데, 이는 불로 발생한 열기를 바닥 아래와 공중목욕탕 및 빌라의 벽 속으로 통과시키는 일종의 중앙 난방 시스템이다. 그는 연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러한 건물을 설계하는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칼다리움이 테피다리움 옆에 있고 그 뒤에 프리기다리움이 위치하는 식이다. 그는 또한 열탕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의 사용을 권장하는데, 이는 원형 개구부 아래 지붕에 설치된 청동 원반으로, 도르래를 사용하여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환기를 조절할 수 있다. 비록 그 자신은 제안하지 않았지만, 그의 배수 장치, 예를 들어 역전 수차는 디오클레티아누스 목욕탕과 같은 더 큰 테르메의 꼭대기에 있는 상부 탱크로 물을 끌어올리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카라칼라 목욕탕에서 밀가루를 갈아내는 데 사용되었던 것도 그 중 하나이다.

로마 빌라 바닥 아래의 하이포코스트 유적. 엑세드라 아래 부분은 덮여 있다.

4. 1. 기계

이 저서는 윈치, 크레인, 도르래와 같은 토목 구조물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계들과 투석기, 발리스타, 공성병기와 같은 군사 기계에 대한 설명으로 중요하다. 실무 엔지니어였던 비트루비우스는 다른 사람들의 업적을 단순히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하고 있을 것이다. 그는 또한 해시계물시계의 제작과 대기의 움직임(바람)의 본질을 보여주는 실험으로 압력솥(최초의 증기기관)의 사용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4. 2. 수도교

비트루비우스는 수도교 건설에 대한 설명에서 측량 방법과 필요한 재료의 신중한 선택을 포함하고 있다. 1세기 후반에 로마의 많은 수도교를 관리하도록 임명된 장군인 프론티누스(Frontinus)는 건설과 유지보수에 수반되는 실질적인 문제에 대해 훨씬 더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비트루비우스의 저서가 이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비트루비우스는 기원전 1세기에 저술했는데, 이 시기에 세고비아(Segovia)와 퐁 뒤 가르(Pont du Gard)의 수도교와 같이 가장 훌륭한 로마 수도교들이 건설되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역사이폰(inverted siphon)의 사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사이폰 바닥의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문제점이 기술되어 있는데, 그는 이러한 실질적인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3. 건축 재료

비트루비우스는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된 여러 가지 건축 자재와 회반죽 그림과 같은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콘크리트와 석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다.

비트루비우스는 납 광산 및 제련, 식수관에서의 사용, 그리고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연결한 가장 초기의 자료 중 하나로 인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식수 공급에 점토 파이프와 석조 수로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50]

비트루비우스는 아르키메데스가 목욕 중에 질량 대 부피 비율을 발견했다는 일화의 출처이다. 왕관 제작에 사용된 금의 혼합 여부를 조사하라는 요청을 받은 아르키메데스는 왕관의 부피를 물의 변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유레카!"라고 외치며 거리로 뛰어나갔다.

4. 4. 배수 기계

비트루비우스는 10권에서 아르키메데스의 나선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밭에 물을 대고 광산의 물을 빼내는 데 널리 사용되었던 장치였다. 그가 언급한 다른 양수기계로는 끝없이 회전하는 바구니 체인과 역전 수차가 있다. 옛 광산이 스페인의 리오 틴토 강 지역, 루마니아의 로시아 몬타나(Rosia Montana), 그리고 서웨일스(Wales)의 돌라우코티(Dolaucothi)에서 다시 개장되었을 때, 물을 퍼 올리는 데 사용되었던 수차의 잔해가 발견되었다. 리오 틴토 수차는 현재 영국 박물관(British Museum)에 전시되어 있으며, 돌라우코티의 표본은 웨일스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Wales)에 전시되어 있다.

4. 5. 측량 도구

비트루비우스가 측량에 능숙했음은 그가 설명한 측량 도구, 특히 수준기 또는 코로바테스(chorobates)에서 알 수 있다. 그는 이 도구를 수직선(plumb line)을 사용하는 그로마(groma)와 비교하며 그 장점을 설명한다. 이러한 도구들은 모든 건축 공사에 필수적이었지만, 특히 수로 건설에서는 중요했다. 수로의 벽이 손상되지 않도록 균일한 경사를 유지하여 규칙적인 물 공급을 확보하는 데 중요했기 때문이다. 그는 또한 회전할 때마다 돌멩이를 용기에 떨어뜨리는, 알려진 둘레의 바퀴로 구성된 초기의 주행계(odometer) 중 하나를 개발했다.

4. 6. 중앙 난방

비트루비우스는 주민들의 생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건축 설계에 도입된 많은 혁신들을 설명한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하이포코스트의 개발인데, 이는 불로 발생한 열기를 바닥 아래와 공중목욕탕 및 빌라의 벽 속으로 통과시키는 일종의 중앙 난방 시스템이다. 그는 연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러한 건물을 설계하는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칼다리움이 테피다리움 옆에 있고 그 뒤에 프리기다리움이 위치하는 식이다. 그는 또한 열탕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의 사용을 권장하는데, 이는 원형 개구부 아래 지붕에 설치된 청동 원반으로, 도르래를 사용하여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환기를 조절할 수 있다. 비록 그 자신은 제안하지 않았지만, 그의 배수 장치, 예를 들어 역전 수차는 디오클레티아누스 목욕탕과 같은 더 큰 테르메의 꼭대기에 있는 상부 탱크로 물을 끌어올리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카라칼라 목욕탕에서 밀가루를 갈아내는 데 사용되었던 것도 그 중 하나이다.

5. 유산

비트루비우스의 이론과 저술은 서양 건축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건축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51]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건축 관련 용어와 개념들이 존재한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비트루비우스의 인체는 비트루비우스의 이론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예시이다. 18세기 영국 건축물에 관한 저서인 비트루비우스 브리타니쿠스와, 이에 영향을 받은 덴마크 건축물에 관한 저서 덴스케 비트루비우스[51], 그리고 베르너 헤게만이 쓴 20세기 토목 건축에 관한 저서 미국의 비트루비우스 등은 비트루비우스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아일랜드 건축가 서 리처드 모리슨의 아들 윌리엄 비트루비우스 모리슨 또한 비트루비우스의 이름을 땄으며, 저택, 다리, 법원 및 교도소 건축에 기여했다. 의 크레이터와 몬스 비트루비우스 산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건물을 위한 설계 품질 지표(DQI) 도구는 비트루비우스의 원리를 사용한다.

참조

[1] 백과사전
[2] 서적 A History of Architectural Theory from Vitruvius to the Present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reek and Roman art and architecture
[4] 문서 De Arch. Book 1, preface. section 2.
[5] 서적 The Imperial Roman Army Routledge
[6] 학술지 Seventy-Eight Vitruvius Manuscripts 1967
[7] 서적 Vitruvian Man: Rome under Construction Oxford UP
[8] 서적 Ricerche sulla storia e sul diritto publico di Roma https://archive.org/[...]
[9] 학술지 A Newly Observed Stratum in Roman Floor Mosaics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1968-01
[10] 서적 Description of the First Discoveries of the Ancient City of Heraclea, Found Near Portici A Country Palace Belonging to the King of the Two Sicilies https://archive.org/[...] R. Baldwin
[11] 웹사이트 Classical Sources, Greek and Roman Esthetics Reading: The Grand Tour Reader; Vitruvius Background: Life of Marcus Vitruvius Pollio (c. 90–20 BC) http://medieval.ucda[...] 2009-11-18
[12] 웹사이트 The Military Institutions of the Romans http://www.digitalat[...]
[13] 웹사이트 Works that pre-date 1900 – Firmness, Commodity, and Delight – The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https://www.lib.uchi[...] 2022-04-06
[14] 서적 Planning the twentieth-century American city https://books.google[...] JHU Press
[15] 문서 De bello Gallico 7.29 http://etext.virgini[...]
[16] 문서 Vitruvius mentions Massilia several times, and the siege itself in Book X.
[17] 웹사이트 Vitruvius http://www.kirjasto.[...] Kuusankoski Public Library
[18] 웹사이트 The "Vitruvius Project" https://www.cs.cmu.e[...] 2008
[19] 서적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https://www.gutenber[...] Harvard University Press 1914
[20] 웹사이트 De Aquis https://penelope.uch[...] 2008-08
[21] 학술지 New Scientist Careers Guide: The Employer Contacts Book for Scientists https://books.google[...] Reed Business Information 2013-05-06
[22] 웹사이트 De Arch. https://penelope.uch[...] 2008-08
[23] 웹사이트 Vitruvius Basilica in Fano, Italy, journey through the virtual space of the reconstructed memory http://www.gisdevelo[...] 2008-08-03
[24] 학술지 Vitruvius' basilica at Fano: the drawings of a lost building from De architectura libri decem http://www.commissio[...] 2016-02-03
[25] 웹사이트 Mathematical and Philosophical Dictionary http://archimedes.mp[...]
[26] 서적 The Constitutions of the Free-Masons (1734). An Online Electronic Edition. https://digitalcommo[...] Faculty Publications, UNL Libraries
[27] 서적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Courier Dover Publications
[28] 서적 Greek Architecture Penguin
[29] 백과사전 Philosophy of Architecture https://plato.stanfo[...]
[30] 웹사이트 Vitruvius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http://www.gutenberg[...]
[31] 웹사이트 LacusCurtius • Vitruvius on Architecture — Book I https://penelope.uch[...] 2017-06-20
[32] 서적 Sic itur ad astra Harrassowitz Verlag
[33] 서적 The Architecture of Science The MIT Press
[34] 서적 Vincenzo Scamozzi and the Chorography of Early Modern Architecture Routledge
[35] 웹사이트 LacusCurtius • Vitruvius on Architecture — Book III https://penelope.uch[...] 2017-06-20
[36] 서적 Leonardo da Vinci Spirits of Invention. A Search for Traces A.TE.M. 2019
[37] 웹사이트 Bibliographic reference http://www.thewholeu[...] The Whole Universe Book 2011-11-30
[38] 웹사이트 CPSA Palladio's Literary Predecessors https://web.archive.[...] 2017-06-20
[39] 웹사이트 Architectura – Les livres d'Architecture http://architectura.[...]
[40] 웹사이트 Architectura – Les livres d'Architecture https://web.archive.[...] 2017-06-20
[41] 웹사이트 bibliotheca Augustana http://www.hs-augsbu[...] 2017-06-20
[42] 웹사이트 Vitruvius https://web.archive.[...] 2017-06-20
[43] 웹사이트 LacusCurtius • Vitruvius de Architectura — Liber Primus https://penelope.uch[...] 2017-06-20
[44] 웹사이트 http://homes.chass.u[...]
[45] 웹사이트 Books on architecture by Claude Perrault http://architectura.[...] 2020-01-18
[46] 서적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14
[47] 서적 Vitruvius: On Architec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1931
[48] 서적 Vitruvius: 'Ten Books on Archite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9] 서적 Vitruvius on Architecture The Monacelli Press 2004
[50] 논문 Vitruvius, Lead Pipes and Lead Poisoning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1981-10
[51] 웹사이트 Den Danske Vitruvius http://www.denstored[...] AOK 2009-06-23
[52] 서적 西洋美術史入門 実践編 筑摩書房
[53] 웹사이트 ダ・ヴィンチのウィトルウィウス的人体図をわかりやすく解説 https://davincist.co[...] 桜川Daヴィんち
[54] 서적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Humphrey Mil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14
[55] 서적 Architectural Technology: Research and Practice Wiley-Blackwell 2013-05
[56] 서적 잔혹한 책읽기 작은이야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