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큐 고도모노쿠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큐 고도모노쿠니선은 1967년 나가쓰타역에서 고도모노쿠니 테마파크로 가는 접근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1980년대 연선 지역의 택지화로 통근 수요가 증가하면서 2000년 온다역 개통과 함께 통근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요코하마 고속철도 Y000계 전동차가 나가쓰타역과 고도모노쿠니역을 왕복 운행하며, 평일 5시부터 24시까지, 주말 및 공휴일은 6시부터 23시까지 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노선 길이는 3.4km이며, 도쿄 급행 전철이 제2종 철도사업자,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제3종 철도사업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코하마 고속 철도의 철도 노선 - 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선
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선은 요코하마역과 모토마치·주카가이역을 잇는 4.1km의 철도 노선으로,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도쿄 도심 방면으로 연결되며 미나토미라이 21 지구의 주요 교통 수단 역할을 한다. - 도큐 고도모노쿠니선 - 나가쓰타역
나가쓰타역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요코하마 선, 도큐 덴엔토시 선, 고도모노쿠니 선의 환승역으로, JR 동일본,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운영하며, 요코하마 선의 특정 도구 시내 제도상 "요코하마 시내"의 서쪽 끝 지점에 해당하고, 인근에 나가쓰타 검차구가 있다. - 도큐 고도모노쿠니선 - 온다역
온다역은 요코하마 고속 철도 고도모노쿠니 선의 2면 2선식 지상역으로, 통근 노선 개량과 함께 신설되었으며, 나가쓰타 차량사업소 연결 측선이 존재하고,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이 가장 적은 도큐 전철 내 유일한 단선 구간 역이다. -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도요코선
도큐 도요코선은 도쿄 시부야역에서 요코하마역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다른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수도권 서부 교통망의 역할을 하며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고 전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 원맨 운전으로 전환되었다.
도큐 고도모노쿠니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고도모노쿠니 선 |
노선 종류 | 중전철 |
노선 상태 | 운행 중 |
노선 기점 | 나가쓰타역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미도리구) |
노선 종점 | 고도모노쿠니역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아오바구) |
역 수 | 3개 역 |
노선 기호 | KD |
노선 색상 | 파란색 |
개통일 | 1967년 4월 28일 |
소유자 | 요코하마 고속 철도 |
운영자 | 도큐 전철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 항목 참조 |
노선 거리 | 3.4km |
궤간 | 1,067mm (협궤)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
신호 방식 | ATC-P |
최고 속도 | 65km/h |
차량 기지 | 도큐 전철 나가쓰타 차량기지 |
노선도 | |
정차역 정보 |
2. 역사
1967년 4월 28일 고도모노쿠니선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1965년에 개원한 어린이 나라로 가는 접근 노선으로, 요코하마선 나가쓰타역에서 어린이 나라를 연결한다.[2] 초기에는 스태프 폐색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개통 당시부터 사회 복지 법인 어린이 나라 협회가 시설을 보유하고, 도큐에 운전 관리를 위탁하는 형태로 영업되었다. 1987년 4월 1일 철도 사업법 시행으로 협회가 제3종 철도 사업자, 도큐가 제2종 철도 사업자가 되었다.
1989년 1월 26일부터 1인 승무(원맨 운전)가 시작되었다.[12]
1997년 8월 1일, 고도모노쿠니 협회는 제3종 철도 사업을 요코하마 고속철도에 양도했다.[6] 이후 통근 노선화를 위한 개량 공사를 거쳐 2000년 3월 29일 온다 역이 영업을 개시하면서, 연선 주민들의 통근 수요를 담당하는 일반 철도 노선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노선 인근 지역 주민들은 고도모노쿠니 선을 북쪽으로 연장하여 오다큐 오다와라선 쓰루카와역과 연결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지만, 제안된 철도 노선이 짧은 거리에도 불구하고 가나가와현, 도쿄도 등 두 개의 현과 요코하마시 아오바구, 가와사키시 아사오구, 마치다시 등 세 개의 시를 관통하기 때문에 아직 계획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연표'''
- 1967년 (쇼와 42년) 4월 28일 - 개업.
- 1980년 (쇼와 55년) 7월 2일 - 차량이 초대 3000계열에서 7200계 알루미늄차로 교체[10].
- 1987년 (쇼와 62년) 4월 1일 - 철도사업법 시행에 따라 도쿄 급행 전철이 제2종 철도사업자, 고도모노쿠니 협회가 제3종 철도사업자가 됨.
- 1989년 (헤이세이 원년)
- * 1월 17일 - 차량이 7200계 알루미늄차에서 원맨 운전에 대응하는 7000계(7057 - 7052)로 교체[11].
- * 1월 26일 - 원맨 운전 시작[12]。
- 1990년 (헤이세이 2년) 12월 - 고도모노쿠니선 통근선화 계획에 반대하는 "도큐 고도모노쿠니선 연선 주민회"가 결성됨[8]。
- 1997년 (헤이세이 9년)
- * 8월 1일 - 고도모노쿠니 협회가 제3종 철도 사업을 요코하마 고속 철도에 양도[6]。 고도모노쿠니역 무인화.
- * 10월 - 통근선화를 위한 개량 공사 시작.
- * 11월 10일 - 개량 공사를 위해 휴원 시간표 운행 시의 열차를 전면 운휴하고, 버스 대행 시작[5]。
- 1999년 (헤이세이 11년) 8월 1일 - Y000계 운전 시작.
- 2000년 (헤이세이 12년) 3월 29일 - 통근선화[6]。 온다역 개업[6]。 휴원 시간표 폐지.
2. 1. 개통 초기 (1967년 ~ 1999년)
1967년 4월 28일, 요코하마선 나가쓰타역에서 분기하여 어린이 나라로 가는 접근 노선으로 개통되었다.[2] 초기에는 스태프 폐색 방식으로 운영되었다.개통 초기에는 오이마치역에서 직통하는 임시 쾌속 열차나 초등학생 소풍 등의 단체 열차 운행도 있었다.
당시부터 사회 복지 법인(1981년까지는 어린이 나라 협회법<현 폐지>에 근거한 법인) 어린이 나라 협회가 시설을 보유하고, 도큐에 운전 관리를 위탁하는 형태로 영업되었다. 1987년 4월 1일, 지방 철도법을 대신하는 철도 사업법 시행으로 인해 협회가 제3종 철도 사업자, 도큐가 제2종 철도 사업자가 되었다.
1989년 1월 26일부터 1인 승무(원맨 운전)가 시작되었으며, 차량 문 옆에 "원맨" 스티커를 붙였다.[12]
통근선화 이전에는 순수한 어린이 나라로의 접근 노선이라는 위치였으며, 운전 시간대는 어린이 나라의 개원 시간에 맞춰 전일 8시대 - 18시대였다.[6] 휴일 운행 횟수가 더 많고 열차 간격도 불균등했으며, 날씨나 어린이 나라의 이용 상황에 따라 운행되는 "부정기 열차"가 다수 설정되어 있었다. 또한, 어린이 나라의 휴원일인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날)은 "휴원일 운행"이라는 매시 1회 정도 운행하는 운행 방식이었으며, 이 "휴원일 운행"에는 통상의 휴원일에 사용되는 "평일 휴원일 운행"과 1월 1일 등 제한된 날에만 사용되는 "휴일 휴원일 운행"의 두 종류가 존재했다.
또한 도중에 교환 설비 (온다 역)가 없었기 때문에, 1편의 열차가 왕복하는 운행밖에 할 수 없었고, 골든 위크나 여름 방학 등 다객기에는, 오이마치선용 5량 편성의 열차를 운행하여 대응했다. 이 경우에는 원맨 운전을 중단하고, 차장이 승무했다.
2. 2. 통근선화 (2000년 ~ 현재)
1986년경부터 연선 지역에 대규모 택지 개발이 진행되면서,[4] 연선 인구 증가와 함께 통근 수요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도모노쿠니선은 공익법인 고도모노쿠니 협회의 목적에 부합하는 시설이었기 때문에, 통근 수요를 담당하는 일반 철도 노선으로 운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1997년 8월 1일, 고도모노쿠니 협회는 제3종 철도 사업을 제3섹터 법인인 요코하마 고속철도에 양도하였다.[6]요코하마 고속철도는 1997년 10월부터 통근 노선화를 위한 개량 공사에 착수하였다. 11월 10일부터는 고도모노쿠니 휴원일 시간표가 적용되는 월요일에 첫차와 막차를 제외한 열차 운행을 중단하고,[5] 대행 버스를 운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고도모노쿠니역 역사 개축, 선로 롱레일화 등의 공사가 진행되었다. 또한, 열차 교행이 가능한 온다역을 신설하고, 2000년 3월 29일부터 전 시간대 운행을 시작하여 연선 주민들의 통근 수요를 담당하는 일반 철도 노선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도큐 전철은 이를 "통근선화"라고 불렀다.[6] 통근선화 완공에 앞서 1999년 8월 1일부터 요코하마 고속철도 Y000계 전동차의 영업 운전이 시작되었다.
통근선화 공사 이전에는 탄약고 인입선으로 사용되었던 흔적인 사용하지 않는 선로나 피트가 남아있었지만, 통근선화 공사에 따라 대부분 철거되었다.
온다역 부근에는 나가츠타 차량사업소가 있으며, 도큐 전철과 요코하마 고속철도 소속 모든 차량의 정비와 지방으로 양도되는 차량의 개조 등을 실시하고 있다.
고도모노쿠니선의 통근선화 계획에 대해 연선의 나가쓰다 부근 일부 주민들은 반대 운동을 일으켰다. 1990년 12월에 "도큐 고도모노쿠니선 연선 주민회"를 결성하고,[7] 요코하마시와 도큐 전철에 교섭을 진행하였다.[8][9]
주민들은 통근선화 반대의 주요 이유로 나가쓰다 부근 급커브로 인한 소음·진동 문제를 제기하였다.[8] 도큐 전철은 연선 주민들을 배려하여 커브 구간에서 추가적인 속도 저하, 레일에 우레탄 부착 등의 대책을 실시하였다.[8][9]
반대 운동을 전개했던 "주민회"는 대체안으로 소음·진동이 적은 가이드웨이 버스나 LRT 채용을 주장했지만, 고도모노쿠니선은 나가쓰다 차량 사업소로의 출입고 노선이기도 하며, 도큐의 철도 노선과 통일적·일체적으로 운행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기각되었다.[8][9]
3. 운행 형태
나가쓰타역과 고도모노쿠니역을 왕복하는 형태로 운행되며 다른 노선과의 직결 운행은 하지 않는다.[6] 평일에는 아침/저녁 혼잡 시간대에 최대 10분 간격, 낮 시간대에는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주말 및 공휴일에는 종일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골든 위크나 여름 방학 등 이용객이 많은 기간에는 운행 간격을 10분으로 단축하여 운행한다. 운행 시간대는 평일 5시대 - 24시대, 토요일/휴일은 6시대 - 23시대이다. 급행 등의 우등 열차 운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4. 차량
현재 Y000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모든 열차는 온다역 전에 위치한 지선을 통해 접근 가능한 나가스다 차량사업소에 배치된다. 1999년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2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혼잡 시에는 2개 편성을 연결하여 4량 편성으로 운행하기도 한다. Y000계는 어린이 나라선에 처음으로 직접 투입된 신차이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운행되었다.
운행 기간 | 차량 |
---|---|
1967년 ~ 1975년 | 도큐 3000계(초대) |
1975년 ~ 1980년 | 도큐 3600계 |
1980년 ~ 1993년 | 도큐 7200계 (때때로 도큐 5000계(초대), 6000계(초대) 및 8000계로 대체)[13][14] |
1993년 ~ 2000년 | 도큐 7000계(초대) |
1996년에는 도큐 9000계 9007F가 3일간 3량 편성으로 어린이 나라선에서 운용된 적이 있다.[15] 2019년 11월 10일에는 도큐 7000계가 임시 운용에 추가되었는데,[16] 이는 18m 차량이 어린이 나라선에서 20년 만에 운용된 사례이다.
5. 역 목록
동일본 여객철도: -- 요코하마선 (JH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