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코하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코하마선은 히가시카나가와역과 하치오지역을 잇는 42.6km의 동일본 여객철도 노선이다. 전 구간 복선 및 전철화되어 있으며, 일본화물철도는 나가츠다역과 하치오지역 사이에서 제2종 철도사업자로 영업한다. 1908년 요코하마 철도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하치오지와 고신 지방에서 생산된 생사를 요코하마항으로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현재 E233계 전동차가 운행하며, 각역정차와 쾌속 열차가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고노선
고노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아키타현 히가시노시로역과 아오모리현 가와베역을 잇는 147.2km의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36년 개칭되었으며 해안을 따라 GV-E400계 기동차가 운행되고, 센보쿠이와 터널을 포함한다. - 190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시즈오카 철도 시즈오카시미즈선
시즈오카 철도 시즈오카시미즈선은 신시즈오카역과 신시미즈역을 잇는 총 11km의 철도 노선으로, 전 구간 복선 및 전철화되어 각역정차 열차만이 운행되며 IC 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 요코하마선 - 나가쓰타역
나가쓰타역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요코하마 선, 도큐 덴엔토시 선, 고도모노쿠니 선의 환승역으로, JR 동일본,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운영하며, 요코하마 선의 특정 도구 시내 제도상 "요코하마 시내"의 서쪽 끝 지점에 해당하고, 인근에 나가쓰타 검차구가 있다. - 요코하마선 - 나카야마역 (가나가와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미도리구에 있는 나카야마역은 JR 동일본 요코하마 선과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그린라인의 환승역으로, 요코하마 선은 하치오지 및 요코하마 방면을, 그린라인은 히요시역 방면을 운행하며 1908년 개업 후 환승역으로서 지역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요코하마선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노선 이름 | 요코하마선 |
| 원어 이름 | 横浜線 |
| 원어 이름 (언어) | ja |
| 노선 색상 | #9acd32 |
| 노선 로고 | File:JR JH line symbol.svg |
| 로고 크기 | 40px |
![]() | |
| 이미지 크기 | 300px |
| 노선 종류 | 일반 철도 (재래선, 간선) |
| 소재지 | 가나가와현, 도쿄도 |
| 기점 | 히가시카나가와역 |
| 종점 | 하치오지역 |
| 역 수 | 20개 |
| 노선 기호 | JH |
| 개업일 | 1908년 9월 23일 |
| 소유자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 운영자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전 노선)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나가쓰타 - 하치오지 구간) |
| 차량 기지 | 가마쿠라 차량 센터 가마쿠라 차량 센터 히가시카나가와 파출소 가마쿠라 차량 센터 하시모토 파출소 |
| 사용 차량 | 차량과 편성 참조 |
| 노선 길이 | 42.6 km |
| 궤간 | 1,067 mm |
| 선로 수 | 복선 |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볼트 (가공 전차선 방식) |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식 |
| 보안 장치 | ATS-P |
| 최고 속도 | 95 km/h |
| 노선 약호 | 하마세 |
| 일일 승객 수 | 840,200 (2015년 기준) |
| 별칭 | 하마센 도쿄 메가루프 |
| 차량과 편성 | |
| 사용 차량 | E233계 6000번대 |
2. 노선 정보
요코하마선은 동가나가와 - 하치오지 간 42.6km를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노선이다.[64] 전 구간 복선 및 직류 1,500볼트로 전철화되어 있으며, 궤간은 1,067mm(협궤)이다.[64] 일본화물철도는 나가츠다 - 하치오지 간 24.7km 구간에서 제2종 철도사업자로서 영업한다.
- 노선 거리 (영업 거리): 42.6km
- 역 수: 20 (기종점역 포함)[64]
- 요코하마선 소속 역으로 한정하면, 도카이도 본선 소속인 동가나가와 역과 주오 본선 소속인 하치오지 역을 제외한 18개 역이다.[64]
- 대피 가능 역: 4 (고기메, 나카야마, 마치다, 하시모토 역)
- 폐색 방식: 자동 폐색식
- 보안 장치: ATS-P
- 최고 속도: 95km/h
- 운전지령소: 도쿄 종합지령실[35]
- 열차운행관리시스템: 도쿄권수송관리시스템 (ATOS)[35]
- 대도시 근교 구간: 전선 (도쿄 근교 구간)[65]
- 전차특정구간: 전선
- IC 승차카드 대응 구간: 전선 (Suica의 수도권 지역)[66]
- 2023년도 혼잡률: 134% (고기메 → 신요코하마 7:21-8:21)[20]
동가나가와 - 하시모토 간은 요코하마 지사, 아이하라 - 하치오지 간은 하치오지 지사 관할이며, 하시모토 - 아이하라 간에 지사 경계가 있다.[67][68]
3. 역사
요코하마선은 1908년 9월 23일 사설 철도 회사인 요코하마 철도/横浜鉄道일본어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1910년 정부에 임대되었다가[4] 1917년 10월 1일 국유화되었다.[4] 당시 요코하마선은 하치오지와 고신 지방에서 생산된 생사를 요코하마 항으로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22]
1932년 10월 1일 히가시가나가와역에서 하라마치다역(현 마치다 역)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1941년 4월 14일 하라마치다역에서 하치오지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4] 이후 1932년에는 요코하마 역과 사쿠라기초 역까지 연장 운행을 시작했다.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에 따라 신칸센과 요코하마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신요코하마 역이 개업하면서 요코하마 시내와 신칸센의 피더 노선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히가시가나가와역에서 고즈쿠에역 구간은 1968년까지 복선화되었고, 1980년 아이하라역까지 연장되었으며, 1988년 3월 6일 하치오지역까지 완전 개통되었다.[4] 1960년대 후반부터 연선 개발 진행과 대학 설립 등으로 승객이 증가함에 따라 1967년부터 수송력 증강을 위해 복선화 공사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사가미선과의 직통 운행은 사가미 선이 완전 전철화된 1991년 3월 16일에 시작되었다.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JR 동일본으로 운영이 바뀐 이후에도 수도권의 통근·통학 노선으로 이용객이 증가하여, 1994년부터 혼잡 대책으로 전철은 한쪽에 문이 6개인 차량을 연결하여 8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역 번호는 2016년 8월 20일에 도입되었으며, 역에는 JH13에서 JH32까지의 역 번호가 부여되었다.[5][6] 번호는 하치오지 방면 서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2022년 3월 11일, 사가미 선으로부터 요코하마 선으로의 직통 운행이 종료되었다.[7]
국철 말기에는 운수정책심의회답신 제7호[23]에서 신선 "미나토미라이 21선"과의 직통 운전이 제안되었지만, 국철의 재정 상황과 국철 분할 민영화의 영향 등으로 건설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구간은 나중에 도큐 도요코 선과 직통 운전하는 형태로 변경된 후, 2004년 2월 1일에 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 선(노선명: 미나토미라이 21선)으로 개업했다.
3. 1. 개요
3. 2. 연표
요코하마선은 1908년 9월 23일 사설 철도 회사인 요코하마 철도에 의해 개통되었으며,[4] 하치오지와 고신 지방에서 생산된 생사를 요코하마로 수송할 목적이었다. 개통 당시 히가시가나가와역, 고기메역, 나카야마역, 나가츠다역, 하라마치다역(현재의 마치다역), 후치노베역, 하시모토역, 아이하라역, 하치오지역이 개업하였다.[4] 1910년 철도원에 임대되었다가,[4] 1917년 10월 1일 국유화되었다.[4]1932년 10월 1일 히가시가나가와역에서 하라마치다역(현 마치다역) 구간이 전철화되었고,[4] 1941년 4월 14일 하라마치다역에서 하치오지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4]
히가시가나가와역에서 고즈쿠에역 구간은 1968년까지 복선화되었고, 1980년 아이하라역까지 연장되었으며, 1988년 3월 6일 하치오지역까지 완전 개통되었다.[4]
사가미 선과의 직통 운행은 사가미 선이 완전 전철화된 1991년 3월 16일에 시작되었으나,[4] 2022년 3월 11일에 종료되었다.[7]
역 번호는 2016년 8월 20일에 도입되었으며, 역에는 JH13에서 JH32까지의 역 번호가 부여되었다.[5][6]
- 1911년(메이지 44년) 12월 10일 : 화물 지선 히가시가나가와역 - 우미가나가와역 간(1.93 km) 개업 및 우미가나가와역이 개업하였고 즉시 철도성이 임차하였다.
- 1912년(다이쇼 원년) 8월 10일 : 키타노 연락소가 폐지되었다.
- 1923년(다이쇼 12년) 9월 1일 : 관동 대지진으로 고기메역, 하라마치다역이 붕괴되었다.
- 1925년(다이쇼 14년) 3월 30일 : 히가시가나가와역 - 하라마치다역 간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 시운전이 시작되었다.[24]
- 1926년(다이쇼 15년) 9월 1일 : 키쿠나역이 개업하였다.
- 1930년(쇼와 5년) 4월 1일 : 히가시가나가와역 - 우미가나가와역 간의 화물 지선(2.0 km)이 도카이도 본선의 화물 지선으로 변경되었다.
- 1933년(쇼와 8년) 10월 1일 : 하라마치다역 - 하치오지역 간에 기동차가 투입되었다.[25][26]
- 1936년(쇼와 11년) 1월 : 사가미 철도(현재의 사가미 선)가 하시모토역 - 하치오지역 간에 진입을 시작하였다.[25]
- 1941년(쇼와 16년) 4월 5일 : 사가미하라역이 개업하였다.
- 1942년(쇼와 17년) 11월 14일 : 아이하라역 - 하치오지역 간에 카타쿠라 신호장이 설치되었다.[25]
- 1945년(쇼와 20년) : 요코하마 대공습으로 히가시가나가와역이 전소되었다.
- 1947년(쇼와 22년) 12월 20일 : 오구치역이 개업하였다.[25]
- 1949년(쇼와 24년) 6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발족하였다.
- 1950년(쇼와 25년) 9월 1일 : 후치노베역 - 사가미하라역 간에 사가미 임시 승강장을 설치하였다.[25]
- 1957년(쇼와 32년)
- * 10월 1일 : 사가미 임시 승강장이 역으로 변경되어, 야베역이 개업하였다.[25]
- * 12월 28일 : 카타쿠라 신호장이 역으로 변경되어, 카타쿠라역이 개업하였다.[25]
- 1959년(쇼와 34년) 4월 1일 : 도카이도 본선 화물 지선 히가시가나가와역 - 우미가나가와역 간이 폐지되었다.[25]
- 1962년(쇼와 37년) 12월 25일 : 카모이 신호장이 역으로 변경되어 카모이역이 개업하였다.[25]
- 1964년(쇼와 39년)
- * 5월 19일 : 네기시 선 사쿠라기초역 - 이소고역 간 개업에 따라, 직통 구간이 이소고역까지 연장되었다.
- * 10월 1일 :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에 따라 신요코하마역이 개업하였다.[25]
- 1967년(쇼와 42년) 10월 22일 : 키쿠나역 - 신요코하마역 간이 복선화되었다.[25]
- 1968년(쇼와 43년)
- * 2월 4일 : 신요코하마역 - 고기메역 간이 복선화되었다.[25]
- * 3월 12일 : 오구치역 - 키쿠나역 간이 복선화되었다.[25]
- * 3월 19일 : 히가시가나가와역 - 오구치역 간이 복선화되었다.[25]
- 1972년(쇼와 47년) 10월 2일 : 103계가 운용 개시되었다.
- 1978년(쇼와 53년) 10월 2일 : 고기메역 - 나카야마역 간이 복선화되었다.[25]
- 1979년(쇼와 54년)
- * 4월 1일 : 나카야마역 - 나가츠다역 간이 복선화되었고,[25] 토오카이치바역, 나리세역이 개업하였다.
- * 7월 15일 : 나가츠다역 - 하라마치다역 간이 복선화되었다.[25]
- * 9월 14일 : 후치노베역 - 아이하라역 간이 복선화되었다.[25]
- * 9월 30일 : 103계 투입 완료에 따라, 72계가 "고별 운전"을 실시하고 영업 운전을 종료하였다.
- 1980년(쇼와 55년)
- * 4월 1일 : 하라마치다역이 후치노베 쪽으로 0.4km 이전하여, 마치다역으로 개칭되었다.[27]
- * 9월 27일 : 마치다역 - 후치노베역 간이 복선화되었다.[25]
- 1981년(쇼와 56년) 6월 1일 : 차량의 소속이 가마타 전차구(현재의 오타 운수구)에 집약되어, 히가시가나가와 전차구의 배치가 없어졌다.
- 1985년(쇼와 60년) 3월 14일 : 네기시 선으로의 직통 구간이 오후나역까지 연장되었다.
- 1987년(쇼와 62년) 4월 1일 :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가 승계하였다. 일본화물철도가 나가츠다역 - 하치오지역 간의 제2종 철도 사업자가 되었다. 히가시가나가와역 - 나가츠다역 간의 화물 영업은 폐지되었다.
- 1988년(쇼와 63년)
- * 3월 13일 : 후루후치역이 개업되었고, 쾌속 운전을 개시하였다.[48]
- * 9월 22일 : 205계가 운용을 개시하였다.[28]
- 1989년(헤이세이 원년) 2월 26일 : 205계 투입 완료에 따라, 103계가 영업 운전을 종료하였다.[29]
- 1994년(헤이세이 6년) 12월 3일 : 낮 시간대 쾌속을 증편하여 운전 간격을 40분 간격으로 하였고,[48] 나가츠다역이 쾌속 정차역에 추가되었다.[48]
- 1996년(헤이세이 6년) 10월 1일 : 요코하마 지사가 발족하여, 히가시가나가와역 - 하시모토역 간이 요코하마 지사 관내가 되었다.
- 1997년(헤이세이 9년) 4월 1일 : 하치오지 미나미노역이 개업하고,[25] 쾌속 정차역에 추가되었다.
- 1998년(헤이세이 10년) 3월 14일 : 사가미하라역이 쾌속 정차역에 추가되었다.[48]
- 1999년(헤이세이 11년) 12월 4일 : 쾌속이 증편되어, 운전 간격이 40분에서 30분으로 변경되었다.[48]
- 2006년(헤이세이 18년) 3월 18일 : 쾌속이 키쿠나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 2008년(헤이세이 20년) 9월 23일 : 요코하마 선 개업 100주년이 되었다.
- 2010년(헤이세이 22년) 3월 13일 : 다이야 개정으로 쾌속의 운전 간격이 30분에서 20분으로 변경되었다.[49]
- 2014년(헤이세이 26년)
- * 2월 16일 : E233계 6000번대가 운용을 개시하였다.[32]
- * 8월 23일 : 205계가 이날을 마지막으로 모든 영업 운전이 종료되었다.[33][34]
- 2015년(헤이세이 27년) 7월 12일 : 도쿄권 수송 관리 시스템(ATOS)의 도입이 개시되었다.[35][36]
- 2016년(헤이세이 28년) 12월 17일 : 마치다역에 스마트 홈도어를 1량 분 시행 도입하였다(하치오지 방면 홈만).[37]
- 2017년(헤이세이 29년) 9월 23일 : 마치다역 홈도어 1편성분 설치 완료, 사용이 개시되었다.[38]
- 2019년(헤이세이 31년) 1월 3일 : 임시 특급 "하마카이지"가 운전을 종료하였다.
- 2020년(레이와 2년) 12월 25일 : 마치다역에서 개량을 위해 철거되었던[39] 스마트 홈도어가 재설치되어 사용이 개시되었다.[40]
3. 3. 입체 교차화 계획
나카야마역 동쪽에 있는 가와와 건널목은 보행자 병목 현상 건널목으로 지정되어 있다.[42] 요코하마시는 2020년도경까지를 목표로 단독 입체 교차 사업의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43]야베역~하시모토역 간 약 3.7km 구간에서는 연속 입체 교차 사업의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 있다.[44] 이 사업을 통해 니시몬 건널목, 사가미하라 건널목, 코야마 건널목, 코요 건널목, 오하라 건널목, 타카사고 건널목 등 6곳의 건널목이 폐지될 수 있으며, 교통 혼잡 해소 등이 기대된다.
아이하라역 부근에 있는 도쿄도도 제47호 하치오지마치다선(마치다 가도)의 오오토 건널목은 언더패스로 정비하는 동시에 도로를 확장할 예정이다.[45] 사업 기간은 2027년도까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교통 혼잡 해소가 기대된다.
4. 운행 형태
요코하마선은 기본적으로 히가시카나가와역과 하치오지역을 왕복한다. 일부 열차는 히가시카나가와역에서 게이힌 도호쿠 선 요코하마역을 거쳐 네기시 선 사쿠라기초역, 오후나역까지 운행된다.[46][47] 2008년 3월 14일까지는 요코스카 선 즈시역까지 운행되었던 열차도 있었다. 아침과 저녁에는 하시모토 역에서부터 사가미 선의 열차가 들어와서 하치오지역까지 운행된다.[46][47]
노선 이름과 달리, 모든 열차의 약 절반만이 요코하마역(横浜駅)까지 운행한다. 쾌속(快速, Kaisoku) 열차는 주간에 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 종별\역명 |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 | 요코하마(横浜) | 히가시가나가와(東神奈川) | … | 하시모토(橋本) | … | 하치오지(八王子) | ||
|---|---|---|---|---|---|---|---|---|---|
| 쾌속(快速) | 3편 | ||||||||
| 각역정차(各駅停車) | 3편 | ||||||||
| 3편 | |||||||||
각역정차와 쾌속이 운행되고 있다.
일중 시간대에는 1시간에 9편(하시모토역(橋本駅) - 하치오지역(八王子駅) 간은 6편) 운행된다. 이 시간대의 내역은 쾌속이 사쿠라기초마치역(桜木町駅) - 하치오지역(八王子駅) 간, 각역정차가 사쿠라기초마치역(桜木町駅) - 하시모토역(橋本駅) 간・히가시가나가와역(東神奈川駅) - 하치오지역(八王子駅) 간에서 각각 3편(각 20분 간격)이다.
하행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발 하치오지(八王子)행 쾌속은, 회차 상행 하치오지(八王子)발 히가시가나가와(東神奈川)행 각역정차가 되고, 하행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발 하치오지(八王子)행 각역정차는, 회차 상행 하치오지(八王子)발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행 쾌속이 되고, 하행 히가시가나가와(東神奈川)발 하시모토(橋本)행 각역정차는, 회차 상행 하시모토(橋本)발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행 각역정차가 된다. 사고・각종 트러블이 없이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경우, 쾌속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발 하치오지(八王子)행 → 각역정차 하치오지(八王子)발 히가시가나가와(東神奈川)행・각역정차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발 하치오지(八王子)행 → 쾌속 하치오지(八王子)발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행・각역정차 히가시가나가와(東神奈川)발 하시모토(橋本)행 → 각역정차 하시모토(橋本)발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행의 3가지 운용 패턴이 있다.
평일 일중 9 - 15시대, 토휴일 9 - 17시대는, 하치오지역(八王子駅) 발착의 쾌속과 하시모토역(橋本駅) 발착의 각역정차 1시간에 6편이 히가시가나가와역(東神奈川駅)에서 요코하마역(横浜駅) 및 네기시선(根岸線) 방면으로 직통하여, 사쿠라기초마치역(桜木町駅) 발착으로 운행되고 있다. 그 이외의 시간대에 대해서는 일부 열차가 네기시선(根岸線)의 사쿠라기초마치(桜木町駅)・이소고역(磯子駅)・오후나역(大船駅)(오후나행(大船行)은 아침뿐)까지 직통하지만, 평일 아침 시간대는 전체의 약 1/3 정도의 열차가 직통하고, 저녁 시간대는 1시간에 2편 정도, 야간은 1시간에 1편이 직통이 되고, 그 이외의 열차는 기본적으로 히가시가나가와역(東神奈川駅)에서 회차한다.
사가미하라시(相模原市)를 중심으로 구 사가미하라 시역과 구 사가미코마치(相模湖町), 후지노마치(藤野町)와의 접근성 향상이나, 리니어 중앙신칸센(リニア中央新幹線)이 진입하는 하시모토역(橋本駅)을 광역 교통 네트워크의 거점으로 하고 싶다는 의향에서, 중앙본선(中央本線)사가미코(相模湖)・오쓰키(大月) 방면이나 하치코선(八高線)으로의 직통 운전의 요망이 있지만, JR측은 직통함으로써 요코하마선(横浜線) 및 중앙본선(中央本線)・하치코선(八高線)의 운행 체계를 대폭 변경할 필요가 있고, 열차 다이야에 주는 영향이 막대한 것이 될 것, 중앙본선(中央本線) 다카오역(高尾駅) 이서(以西)에서 요코하마선(横浜線) 연선으로의 이용자 수보다, 신주쿠・도쿄 방면으로 직통하는 이용자 수가 많다는 이유로,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46][47]
쾌속은 JR 동일본 출범 후인 1988년 3월 13일 열차 운행 개정으로 운행이 시작되었다.[48]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3편이 운행되며, 모든 열차가 요코하마역과 네기시선에 진입하여 사쿠라기초역까지 운행된다. 히가시가나가와역~하시모토역(현재는 사실상 사가미하라역까지이지만, 역사적 경위를 고려하여 하시모토역으로 표기) 구간에서는 통과 운전을 하고, 하시모토역~하치오지역 구간과 네기시선 내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평일에는 사쿠라기초역 출발이 10~15시대, 하치오지역 출발이 9~15시대 운행이지만,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9~17시대 운행이며, 하치오지역 출발 8시대는 오부네행, 17시대는 이소고행, 사쿠라기초역 출발은 9~17시대 운행이다.
계획 당시 히가시가나가와역~하시모토역 구간의 중간 정차역은 나카야마역·마치다역 2개 역뿐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도카이도 신칸센에 연결되는 신요코하마역을 통과하게 되어, 환승객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재검토한 결과, 신요코하마역과 카모이역 2개 역이 추가되어, 히가시가나가와역~하시모토역 구간의 중간 정차역은 신요코하마역·카모이역·나카야마역·마치다역의 4개 역이 되었다. 등장 당시에는 낮에 60분 간격으로 운행되었고,[48] 상하행 모두 나카야마역과 하시모토역에서 대피하도록 설정되었다.
1994년 12월 3일에는 운행 간격이 40분 간격으로 되었고, 도큐 다엔토시선·고도노쿠니선이 연결되는 나가츠다역이 정차역에 추가되어, 요코하마 방면으로부터의 편의성이 향상되었다.[48] 1998년 3월 14일에는 사가미하라역이 정차역에 추가되었다.[48] 1999년 12월 4일 개정에서는 운행 간격이 더욱 단축되어 30분 간격(1시간에 2편 체제)이 되었고,[48] 상행의 완급 접속도 대부분이 마치다역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2006년 3월 18일 개정에서는 도큐 동요코선과 연결되는 키쿠나역이 정차역에 추가되었다. 그리고 2010년 3월 13일 개정에서는 운행 간격이 약 30분 간격에서 약 20분 간격으로 되었고, 현행의 1시간에 3편 체제[49]로 증발되었다.
낮 시간대의 각역정차와의 접속은 하행 열차는 히가시가나가와역·마치다역·하시모토역, 상행 열차는 하시모토역[50]·나카야마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토요일과 공휴일의 상행 열차의 일부는 마치다역에서만 각역정차와 연락한다.
모든 역에 정차하는 종류로, 종일 운행된다. 낮 시간대에는 요코하마역·사쿠라기초역까지 운행하지만, 아침·밤 시간대에는 요코하마 선 내의 회차 운행이 중심이다. 단, 2024년 3월 다이야 개정으로 아침·저녁 일부 열차의 요코하마 방면 운행이 증발된다.
아침·저녁 러시 시간대는 약 2~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낮 시간대는 1시간에 6편(하시모토역~하치오지역 간은 3편) 운행된다. 이 중 3편이 요코하마역을 경유하여 네기시 선 사쿠라기초역까지 운행되며, 역시 3편 운행되는 쾌속과 번갈아 사쿠라기초역까지 운행한다.
5. 차량
'''쾌속 및 각역정차 서비스'''
요코하마 선에서는 모든 열차가 가마쿠라 차량센터(鎌倉車両センター) 소속의 E233계 6000번대 8량 편성으로 운행된다.[8] 차량 외관에는 황록색과 녹색의 두 가지 색상의 줄무늬를 두르고 있으며, 이는 요코하마 선의 노선색으로 다른 노선과 구별된다. 약냉방차는 편성 중간의 5호차에 설치되어 있다.[8]
E233계 6000번대는 205계를 대체하기 위해 2014년 2월 16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58] 출발식은 눈보라로 취소되었다.[58] 차체가 확장되어 정원은 205계보다 약 10% 증가했으며, 6도어차는 연결되지 않았다. 차체에는 연선 시의 나무 등 독창적인 장식이 되어 있으며, 역 스탬프를 붙인 스티커가 모든 편성의 선두 차량 승무원실 쪽 측면에 부착되었으나, 2015년도 중에 제거되었다.[59]
차량 배치는 가마쿠라 차량센터이지만, 요코스카 선 차량도 배치되어 있고 요코하마 선 연선에서 멀리 떨어진 오후나역까지 회송해야 하므로, 가마쿠라 차량센터로 입고되는 운용은 적다. 실질적으로는 하시모토 파출소가 요코하마 선의 중심적인 차량 기지로 기능하고 있다. 하시모토 파출소 외에 히가시가나가와 파출소, 하치오지 역, 하시모토 역, 마치다 역, 나카야마 역, 고즈 역, 히가시가나가와 역에 야간 주박을 겸하여 분산 배치된다.
과거에는 요코하마 선용 차량 기지로 히가시가나가와 전차구와 게이힌 도호쿠 선 차량과 함께 사용하던 가마타 전차구(오타 운수구(大田運輸区))가 있었지만, 히가시가나가와 전차구는 국철 시대 말기에 기관사만 배치되어 차량 기지 기능을 폐지하고 가마타 전차구에 차량 배치를 일원화한 후, 민영화 후 요코하마 지사 발족 시 오후나 전차구(현재의 가마쿠라 차량센터)로 이관되었다.
- 73계 전동차
- 103계 전동차(1972년 10월 2일 ~ 1989년 2월 26일)
- 205계 8량 편성(1988년 ~ 2014년 8월)[11][12][33]
- 205-500계 전동차 4량 편성(1991년 3월 16일 ~ 2022년 2월 25일, 사가미선 직통 운행)[9]
- E131-500계 전동차 4량 편성(2021년 11월 18일 ~ 2022년 3월 11일, 사가미선 직통 운행)[10]
- 40계 17m 차량
- 40계
- 72계
1988년에 도입된 8량 편성 205계 전동차는 히가시가나가와 방향으로부터 두 번째 차량에 6쌍의 문이 설치된 객차가 포함되어 있었다.[60] 205계는 2014년 8월 23일까지 운행되었다.[33]
103계는 1979년까지 3량+4량 분할 편성이었으나, 이후 7량 고정 편성으로 통일되었다. 초기에는 게이힌토호쿠 선과 같은 스카이 블루(청22호) 도색이었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우구이스색(황록6호) 차량이 증가했다. 국철 말기에는 스카이 블루, 에메랄드 그린, 오렌지색의 3색 혼색 편성도 등장했다.[61]
205계는 도카이도 본선 전철선·네기시 선과의 직통 운행 시 승객의 오승 방지를 위해 2002년경 방향막을 우구이스색으로 교체했다. 전면 행선 표시기는 LED식으로 변경되어 노선명과 행선을 교차 표시했다. 1994년 12월 3일부터는 혼잡 완화를 위해 히가시가나가와 쪽 2호차에 6도어 차량인 사하204형 1량을 투입하여 순차적으로 8량 편성화했다.
5. 1. 현재 운행 차량
요코하마 선에서는 모든 열차가 가마쿠라 차량센터(鎌倉車両センター) 소속의 E233계 6000번대 8량 편성으로 운행된다.[8] 차량 외관에는 황록색과 녹색의 두 가지 색상의 줄무늬를 두르고 있으며, 이는 요코하마 선의 노선색으로 다른 노선과 구별된다. 약냉방차는 편성 중간의 5호차에 설치되어 있다.[8]E233계 6000번대는 205계를 대체하기 위해 2014년 2월 16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58] 출발식은 눈보라로 취소되었다.[58] 차체가 확장되어 정원은 205계보다 약 10% 증가했으며, 6도어차는 연결되지 않았다. 차체에는 연선 시의 나무 등 독창적인 장식이 되어 있으며, 역 스탬프를 붙인 스티커가 모든 편성의 선두 차량 승무원실 쪽 측면에 부착되었으나, 2015년도 중에 제거되었다.[59]
차량 배치는 가마쿠라 차량센터이지만, 요코스카 선 차량도 배치되어 있고 요코하마 선 연선에서 멀리 떨어진 오후나역까지 회송해야 하므로, 가마쿠라 차량센터로 입고되는 운용은 적다. 실질적으로는 하시모토 파출소가 요코하마 선의 중심적인 차량 기지로 기능하고 있다. 하시모토 파출소 외에 히가시가나가와 파출소, 하치오지 역, 하시모토 역, 마치다 역, 나카야마 역, 고즈 역, 히가시가나가와 역에 야간 주박을 겸하여 분산 배치된다.
과거에는 요코하마 선용 차량 기지로 히가시가나가와 전차구와 게이힌 도호쿠 선 차량과 함께 사용하던 가마타 전차구(오타 운수구(大田運輸区))가 있었지만, 히가시가나가와 전차구는 국철 시대 말기에 기관사만 배치되어 차량 기지 기능을 폐지하고 가마타 전차구에 차량 배치를 일원화한 후, 민영화 후 요코하마 지사 발족 시 오후나 전차구(현재의 가마쿠라 차량센터)로 이관되었다.
2022년 3월 11일까지 운행되었던 사가미선 직통 열차는 사가미 선용 205계 500번대, E131계 500번대 4량 편성(고후츠 차량센터(国府津車両センター) 소속)이 사용되었다.
5. 2. 과거 운행 차량
73계 전동차, 103계 전동차(1972년 10월 2일 ~ 1989년 2월 26일), 205계 8량 편성(1988년 ~ 2014년 8월)이 요코하마 선에서 운행되었다.[11][12][33] 1988년에 도입된 8량 편성 205계 전동차는 히가시가나가와 방향으로부터 두 번째 차량에 6쌍의 문이 설치된 객차가 포함되어 있었다.[60] 205계는 2014년 8월 23일까지 운행되었다.[33]103계는 1979년까지 3량+4량 분할 편성이었으나, 이후 7량 고정 편성으로 통일되었다. 초기에는 게이힌토호쿠 선과 같은 스카이 블루(청22호) 도색이었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우구이스색(황록6호) 차량이 증가했다. 국철 말기에는 스카이 블루, 에메랄드 그린, 오렌지색의 3색 혼색 편성도 등장했다.[61]
205계는 도카이도 본선 전철선·네기시 선과의 직통 운행 시 승객의 오승 방지를 위해 2002년경 방향막을 우구이스색으로 교체했다. 전면 행선 표시기는 LED식으로 변경되어 노선명과 행선을 교차 표시했다. 1994년 12월 3일부터는 혼잡 완화를 위해 히가시가나가와 쪽 2호차에 6도어 차량인 사하204형 1량을 투입하여 순차적으로 8량 편성화했다.
'''사가미 선 직통 운행'''과 관련해서는, 205-500계 전동차 4량 편성(1991년 3월 16일 ~ 2022년 2월 25일)[9]과 E131-500계 전동차 4량 편성(2021년 11월 18일 ~ 2022년 3월 11일)[10]이 운행되었다.
E233계 투입 이전에는 40계 17m 차량(33계 전동차, 쿠모하12·쿠모니13 외), 40계, 72계(32계에서 개조된 차량 포함) 등이 사용되었다.
6. 역 목록
| 역 번호 | 역명 | 일어 역명 | 쾌 속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
| JH 13 | 히가시카나가와 | 東神奈川일본어 | ● | 게이힌 도호쿠 선 (JK 13, 직결 운행)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 (게이큐 히가시카나가와 역, KK 35) | 0.0 | 가나가와현 | 요 코 하 마 시 | 가나가와구 | |
| JH 14 | 오구치 | 大口일본어 | │ | 2.2 | 2.2 | ||||
| JH 15 | 기쿠나 | 菊名일본어 | ● |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 (TY 16) | 2.6 | 4.8 | 고호쿠구 | ||
| JH 16 | 신요코하마 | 新横浜일본어 | ● | 도카이도 신칸센 요코하마시 교통국 지하철 블루 라인 (B 25) | 1.3 | 6.1 | |||
| JH 17 | 고즈쿠에 | 小机일본어 | │ | rowspan="2" | | 1.7 | 7.8 | |||
| JH 18 | 가모이 | 鴨居일본어 | ● | 3.1 | 10.9 | 미도리구 | |||
| JH 19 | 나카야마 | 中山일본어 | ● | 요코하마시 교통국 지하철 그린 라인 (G 01) | 2.6 | 13.5 | |||
| JH 20 | 도카이치바 | 十日市場일본어 | │ | 2.4 | 15.9 | ||||
| JH 21 | 나가쓰타 | 長津田일본어 | ● | 도쿄 급행 전철 덴엔토시 선 (DT 22) 도쿄 급행 전철 고도모노쿠니 선 (KD 01) | 2.0 | 17.9 | |||
| JH 22 | 나루세 | 成瀬일본어 | │ | 2.3 | 20.2 | 도쿄도 | 마치다시 | ||
| JH 23 | 마치다 | 町田일본어 | ● |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OH 27) | 2.7 | 22.9 | |||
| JH 24 | 고부치 | 古淵일본어 | │ | rowspan="4" | | 2.8 | 25.7 | 가나가와현 | 사가미하라시 | |
| JH 25 | 후치노베 | 淵野辺일본어 | │ | 2.7 | 28.4 | ||||
| JH 26 | 야베 | 矢部일본어 | │ | 0.8 | 29.2 | ||||
| JH 27 | 사가미하라 | 相模原일본어 | ● | 1.8 | 31.0 | ||||
| JH 28 | 하시모토 | 橋本일본어 | ● | 사가미 선 게이오 전철 사가미하라 선 (KO 45) | 2.8 | 33.8 | |||
| JH 29 | 아이하라 | 相原일본어 | ● | rowspan="3" | | 1.9 | 35.7 | 도쿄도 | 마치다시 | |
| JH 30 | 하치오지미나미노 | 八王子みなみ野일본어 | ● | 2.9 | 38.6 | 하치오지시 | |||
| JH 31 | 가타쿠라 | 片倉일본어 | ● | 1.4 | 40.0 | ||||
| JH 32 | 하치오지 | 八王子일본어 | ● | 주오 쾌속선 (JC 22) 하치코 선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 (게이오 하치오지 역, KO 34) | 2.6 | 42.6 | |||
7. 연선 개황
히가시카나가와역을 출발하여 북동쪽으로 가면, 내륙 쪽부터 차례로 국도 1호선, 요코스카선(쇼난 신주쿠 라인)·도카이도선·게이힌 도호쿠선 북행선·요코하마선·게이힌 도호쿠선 남행선, 그리고 약간의 간격을 두고 게이큐 본선 순으로 도로와 선로가 나란히 놓여 있다. 고가로 올라가 남쪽(바다 쪽)으로 방향을 바꿔 게이힌 도호쿠선 남행선 남쪽으로 나온 후, 게이큐 본선 코아사역 부근에서 게이힌 도호쿠선·도카이도선·요코스카선(쇼난 신주쿠 라인) 각 복선, 총 6선을 한꺼번에 건넌다.
주택가를 통과하여 국도 1호선을 건너, 이리가에 강과 나란히 북쪽으로 향하면 오구치역에 도착한다. 오구치역을 지나면 곧바로 차폐막으로 덮인 도카이도 화물선(화물열차 외에, 사이쿄선과 사가미 철도와의 직통 열차가 경유)의 고가 밑을 지나, 테라오 터널 직전까지는 직선 구간이며, 수도도를 건너 테라오 터널에 진입한다(상행선은 신테라오 터널). 터널을 나온 후에는 직선 구간이 이어지다가 옛 쓰나시마 가도와 도큐 도요코선을 건너 둑 위에 있는 기쿠나역에 도착한다. 기쿠나역에서 한동안 주택가를 지나면 절개지를 지나, 도카이도 신칸센과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사가미 철도(사가미 철도)의 사가미 철도 신요코하마선, 도큐 전철(도큐)의 도큐 신요코하마선과의 환승역인 신요코하마역에 도착한다. 이 부근은 원래 제방 위를 달리고 있었지만, 신칸센 개업 시 절개지가 되었다. 도큐 신요코하마선은 도큐 도요코선과의 직통 열차도 있지만, 주로 메구로선(및 도에이 지하철 미타선과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사이타마 고속철도)과의 직통 열차가 많이 발착한다.
신요코하마역을 출발하면 환상 2호선을 지난다. 사이테쓰 신요코하마선·도큐 신요코하마선의 지상을 달리며, 토리야마가와 직전까지는 북쪽이 오피스와 호텔이 늘어서 있고, 남쪽이 창고가 늘어서 있다. 토리야마가와를 건너면 전원 지대가 되고, 북쪽에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본거지인 요코하마 국제종합경기장(닛산 스타디움)이 있다. 요코하마 이쿠타 선의 신하 폐쇄기를 건너면 2면 3선의 승강장과 2개의 유치선을 갖춘 코기메역에 도착한다. 코기메역을 출발하면 한동안 인상선이 병주행하며, 제3게이힌 도로 직전까지 이어진다. 제3게이힌 도로를 지나, 곧 시로야마 터널(상행선 80m, 하행선은 신시로야마 터널 75m)[62]을 빠져나와 쓰루미가와와 병주한다. 요코하마 가마가야 도로를 지나면 쓰루미가와 연변에는 농지와 공장이 펼쳐지고, 반대편은 주택가가 되어 가모이역에 도착한다. 가모이역을 출발하면 가모이케오하시를 지나 쓰루미가와 연변을 따라간다. 시라야마 하이테크 파크를 지나치면서, 얼마 후 쓰루미가와에서 벗어나, 가와와 폐쇄기를 건너면 곧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그린 라인과의 환승역인 나카야마역에 도착한다.
나카야마역을 출발하면, 쓰루미가와의 지류인 엔다가와가 보이고, 엔다가와 쪽은 농지가 펼쳐져 있으며, 반대편은 최근 확장된 도시계획도로 야마시타나가쓰다 선을 사이에 두고 주택가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지를 통과하지만, 다시 엔다가와가 보이고 농지가 펼쳐져 있다. 잠시 후 다시 절개지를 통과하면 주니치이치바역에 도착한다.
주니치이치바역을 출발하면 니시다가도교에서 도메이 고속도로를 넘어, 잠시 주택가 속 절개지를 지나, 국도 246호선을 건너면 곧 도큐 덴엔토시선이 병주행하기 시작하고, 곧 나가쓰타역에 도착한다. 나가쓰다역에서는 JR과 도큐선의 별도 개찰구를 이용하여 환승할 수 있지만, 도큐 고도모노쿠니선이나 도큐 덴엔토시선, 그리고 덴엔토시선에서 도큐 오이마치선으로 직통하는 열차로 환승할 수 있다. 나가쓰다역을 출발하면 도큐 덴엔토시선을 지나, 잠시 도큐 나가쓰다 검차구 옆을 지나가는데, 이 부근에서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서 도쿄도 마치다시로 진입한다. 절벽 가장자리를 따라 진행하면 나루세역에 도착한다. 나루세역을 출발하면 절개지를 지나 마치다 가도를 지나 잠시 후 요코하마선 내 승하차객 수가 가장 많은 마치다역에 도착한다. 주변에는 번화가가 펼쳐져 있다.
中山역 - 나루세역 간 엔다가와와 대략 병주하는 구간에서는, 같은 하천의 지류인 우메다가와나 이와가와 등을 넘는 교량이 있다. 이 중, 이와가와를 넘는 교량은 상하행선에서 위에서 본 모습이 약간 다른 교량을 지나기 때문에, 상하행선이 아주 조금 떨어진 곳을 달린다(상행선이 하행선에서 멀어진다).
마치다역을 출발하면 오다큐 오다와라선 고가철로 아래를 지나고, 이곳부터 하시모토역까지 역 구내를 제외하고는 거의 직선의 완만한 오르막 경사가 이어진다. 고가철로 아래를 지나면 오른쪽에 마치다 시청이 있다. 이후 한동안 사카이가와와 나란히 달린다. 마치다시 쪽은 마치다 시민 홀 부근까지 상업시설이나 입시학원 등이 보이지만, 사카이가와 강변에는 사이클링 로드와 숲, 작은 밭 등이 보인다. 가나가와현도·도쿄도도 52호 사가미하라 마치다선을 지나면 주택가가 된다. 한편, 사가미하라시 쪽은 절벽 위에 시가지가 펼쳐져 있기 때문에, 사카이가와 강변은 녹지대이다. 사카이가와를 건너 사가미하라 시내로 들어가면 주택가 속의 굴착구간을 지나 고부치역에 도착한다. 고부치역을 지나면 지표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달린다. 주택가를 지나 아오야마가쿠인 대학 사가미하라 캠퍼스 옆을 지나면 주일미군 사가미 종합보급창으로 이어졌던 측선 등의 유적이 남아 있는 후치노베역에 도착한다. 후치노베역을 출발하면 육교 2개를 지나 바로 야베역에 도착한다. 이 구간은 800m로 요코하마선에서 역간 거리가 가장 짧다. 야베역에서 사가미하라역까지는 사가미 종합보급창 옆을 달리는 형태가 되며, 동 시설의 메인 게이트 앞을 통과하면 곧 사가미하라역에 도착한다. 사가미하라역을 출발하면 잠시 후 공업지대가 되고, 북쪽에는 하시모토역의 전차 보관소가, 서쪽에는 아리오 하시모토가 보인다. 사가미선이 합류하고, 게이오 사가미하라선 고가철로 아래를 지나면 하시모토역에 도착한다. 역 주변에는 초고층 맨션이 즐비하며, 역 인접지에서는 동일본 여객철도(JR동일본)에 의해 2019년[63]부터 리니어 중앙 신칸센의 가나가와현역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하시모토역을 출발하면 시가지를 지나, 국도 16호는 본선은 육교로, 측도는 건널목으로 교차한다. 잠시 주택가를 지나 곡선으로 이어진다. 이 곡선 중간에 있는 다지리 건널목(제43호 건널목) 부근이 요코하마선 내 최고 지점이 된다. 사카이가와를 다시 건너면 마치다시로 돌아와, 마치다 가도와 교차하여 아이하라역에 도착한다. 소하라역을 출발하면 잠시 후 상하행선이 약간 떨어지고, 상행선은 소하라 터널(367m), 하행선은 신소하라 터널(985m)을 통과한다. 이 터널 중간 지점 부근에서 하치오지시에 들어선다. 조성지와 신흥 주택가를 지나면 요코하마선에서 가장 새로운 역인 하치오지미나미노역에 도착한다. 하치오지미나미노역을 출발하면 국도 16호를 건너 가타쿠라역에 도착한다. 가타쿠라역을 출발하면 게이오 다카오선을 지나, 곧 오른쪽에 게이오선과 합류하여 잠시 병주한다. 건설 중인 국도 20호선(하치오지 남부 바이패스)를 건너, 병주하고 있던 게이오선과 헤어져 진로를 서쪽으로 바꾸면 이번에는 오른쪽에 주오 본선·하치코선과 병주하여 종점인 하치오지역에 도착한다. 하치오지역은 주오선(주오 본선)·하치코선이 연결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8. 관련 정보
요코하마선은 동일본 여객철도 요코하마 지사 및 하치오지 지사에서 관리하는 노선 중 하나이다.[71] 2008년에는 개업 100주년을 기념하여 205계 일부 편성에 103계에서 사용되었던 사인보드를 재현한 기념 헤드마크를 선두차 전면에 장착했다. 또한, 고즈키역에서 요코하마 이야기호 전시, 기념 헤드마크 레플리카, 휴대용 스트랩, 한정 역 도시락, 센베이, 한정판 빵 등을 판매하는 이벤트가 열렸다.[77]
요코하마선 각 역의 2023년도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다음과 같다.[71]
| 순위 | 역명 | 인원 |
|---|---|---|
| 1 | 마치다역 | 98,307 |
| 2 | 하치오지역 | 75,519 |
| 3 | 하시모토역 | 59,596 |
| 4 | 나가츠다역 | 55,287 |
| 5 | 신요코하마역 | 47,580 |
| 6 | 나카야마역 | 37,426 |
| 7 | 기쿠나역 | 36,274 |
| 8 | 후치노베역 | 34,569 |
| 9 | 가모이역 | 33,668 |
| 10 | 히가시카나가와역 | 33,583 |
| 참고 | 요코하마역 | 362,348 |
| 참고 | 사쿠라기초역 | 70,661 |
발차멜로디는 기본적으로 동양미디어링크스 제작 멜로디를 사용하며, 상행선은 「Water Crown」, 하행선은 「Verde Rayo」를 사용한다. 단, 하시모토역(2·5번선 사용 열차 제외)과 하치오지미나미노역은 상하행이 반대이다. 히가시카나가와역 2번선은 「창가의 꽃 장식」(경함도호쿠·네기시선 포함), 3번선은 「햇살이 비치는 산책길」(모두 스위치 제작)이다. 하시모토역 2번선(시발·대기 사용)은 「Mellow time」, 마치다역 3번선 상행선(평일 아침 2편만)은 「스프링박스」, 아이하라역 상행선은 「먼 푸른 하늘」, 하행선은 「봄을 기다리는 바람」(이상 사쿠라이음악공방 제작), 가타쿠라역은 「JR-SH2-3」( 고칸공방 제작)이다. 그 외에도 지역 멜로디로 하치오지역에서는 「석양소년」, 후치노베역에서는 「은하철도 999」, 고기메역에서는 요코하마F·마리노스 응원가 「We are F・Marinos」[72][73]가 사용되고 있다.
각 연도별 평균 통과 인원(人/日)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平成27年 大都市交通センサス 首都圏報告書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
잡지
Tokyo Megaloop: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trains and line
Kōtsū Shimbun
2014-08-01
[3]
서적
Hamasen chimei arekore yokohama-hen
230 Club Shinbunsha
[4]
잡지
横浜線開業100周年~その2: 開業から現在までの他線との接続の歴史
2009-02-01
[5]
웹사이트
⾸都圏エリアへ 「駅ナンバリング」を導⼊します
https://www.jreast.c[...]
2016-04-06
[6]
웹사이트
JA・JK・JT・AKB…JR東日本、首都圏で駅ナンバリングなど導入へ
https://response.jp/[...]
2016-04-07
[7]
웹사이트
20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八王子支社)
https://www.jreast.c[...]
2021-12-17
[8]
웹사이트
E233系6000番台が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4-02-17
[9]
잡지
横浜線開業100周年~その1: バトンタッチしてきた車両たち
2009-02-01
[10]
웹사이트
相模線E131 系営業運転開始について
https://www.jreast.c[...]
2021-09-17
[11]
잡지
JR東日本 横浜線にE233系6000番代を投入
Kōtsū Shimbun
2013-12-01
[12]
웹사이트
横浜線用の205系が営業運転を終了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4-08-24
[13]
서적
鉄道電報略号
1959-09-17
[14]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15]
문서
JR yokoHama線の駅名表記について
[16]
규칙
JR東日本 旅客営業規則 第78条
[17]
웹사이트
「グループ経営ビジョン2020-挑む-」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8-04-01
[18]
잡지
週刊東洋経済 臨時増刊
東洋経済新報社
2011-07-08
[19]
문서
横浜線と他路線の直通運転の中止について
[20]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2023)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10-22
[21]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9~2023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29
[22]
서적
全線全駅鉄道の旅4 関東JR私鉄2100キロ
小学館
[23]
문서
みなとみらい21線に関する記述
[24]
뉴스
横浜線の東神奈川-原町田間電化工事完了
1925-03-28
[25]
잡지
神奈川往還・絹の道 横浜線
[26]
서적
鉄道省年報。 昭和9年度
鉄道省
1934-08-15
[27]
뉴스
一日 横浜線二駅が新装オープン
交通協力会
1980-03-30
[28]
잡지
JR横浜線ニュース
鉄道ジャーナル社
1988-12-01
[29]
잡지
横浜線103系さよなら運転。205系化が完了
鉄道ジャーナル社
1989-05-01
[30]
뉴스
踏切で高齢の男性救助の女性死亡 横浜、電車にはねられ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13-10-01
[31]
뉴스
JR横浜線踏切事故:救助女性に書状と紅綬褒章、菅長官「勇気胸に刻む」/神奈川
http://www.kanaloco.[...]
2013-10-04
[32]
뉴스
JR横浜線の新型車両、14年2月16日に運転開始 ヘッドマーク4種期間限定取り付け/神奈川
http://www.kanaloco.[...]
2013-12-13
[33]
뉴스
横浜線205系 8月23日営業運転終了
http://rail.hobidas.[...]
2014-07-24
[34]
뉴스
横浜線「205系」あす引退 26年活躍
https://web.archive.[...]
2014-08-22
[35]
웹사이트
『東日本ユニオンよこはま』No.88
http://jrtu-east.org[...]
JR東日本労働組合横浜地方本部
2015-05-20
[36]
문서
[37]
PDF
スマートホームドア® の試行開始日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横浜支社
2016-11-24
[38]
PDF
町田駅スマートホームドア®の八王子寄り2扉を設置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横浜支社
2017-09-06
[39]
PDF
町田駅スマートホームドア® の改良を行い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横浜支社
2019-11-28
[40]
문서
[41]
보도자료
20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横浜支社
2021-12-17
[42]
PDF
踏切安全通行カルテ 川和
http://www.ktr.mlit.[...]
国土交通省 関東地方整備局
2019-09-05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43]
웹사이트
踏切安全対策実施計画
https://www.city.yok[...]
横浜市道路局建設部建設課
2019-09-05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44]
웹사이트
JR横浜線連続立体交差事業の推進
http://www.city.saga[...]
相模原市相模原駅周辺まちづくり課
2019-09-05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45]
웹사이트
JR相原駅前の「大戸踏切」渋滞解消を目的に、立体交差化が事業着手
https://kawariyuku-m[...]
変わりゆく町田の街並み
2021-03-25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46]
웹사이트
神奈川県鉄道輸送力増強促進会議 平成27年度の要望及び鉄道事業者からの回答 中央本線
http://www.pref.kana[...]
2016-05-09
[47]
웹사이트
神奈川県鉄道輸送力増強促進会議 令和2年度の要望及び鉄道事業者からの回答 横浜線
https://www.pref.kan[...]
2023-08-23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48]
학술지
【特集】大都市圏JR線区の快速運転 - JR各社の快速運転状況 JR東日本 東京圏
電気車研究会
2003-09
[49]
PDF
2010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プレスリリース
2009-12-18 # 발행일을 date로 설정
[50]
문서
[51]
문서
[52]
웹사이트
冬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9-08-03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53]
웹사이트
春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9-08-03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54]
웹사이트
快速“横濱線100周年号”,「やまなみ」で運転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雑誌)
2008-09-24
[55]
웹사이트
横浜線100周年記念で「いろどり(彩)」走る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2008-09-24
[56]
웹사이트
快速“ベイ・ドリーム横濱号”運転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2008-09-14
[57]
웹사이트
快速“富士河口湖”号運転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2011-08-07
[58]
뉴스
交通新聞
2013-10-01
[59]
간행물
j-train Vol.62
イカロス出版
[60]
문서
[61]
간행물
レイルマガジン 2014年4月号「JR東日本横浜線用E233系6000番代」
ネコ・パブリッシング
[62]
문서
[63]
뉴스
リニア、相模原市の新駅で起工式 中間駅で初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9-11-22
[64]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1998
[65]
문서
[66]
웹사이트
Suica 首都圏のご利用可能エリア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67]
PDF
JR東日本事業概要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会社要覧
[68]
문서
[69]
서적
でか字マップ 横浜・川崎(横須賀・鎌倉)
昭文社
[70]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07-28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71]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 2023年度 ベスト100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21
[72]
뉴스
JR横浜線小机駅 発車メロをマリノス応援曲に変更
交通新聞社
2016-01-27
[73]
웹사이트
発車メロディを「We are F・Marinos」に変更!JR横浜線 小机駅が 横浜F・マリノス一色に!
http://www.f-marinos[...]
横浜F・マリノス公式ホームページ
2016-01-14
[74]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0~2014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8-02
[75]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4~2018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8-02
[76]
보도자료
首都圏主要線区でワンマン運転を実施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11-06
[77]
보도자료
いよいよ横浜線は開業100周年を迎えます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八王子支社・横浜支社
2008-07-17
[78]
웹사이트
相模原の未来を考える会・横浜線の地下化
http://sagamimirai.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