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리나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리나강은 디나르 알프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를 흐르는 강이다. 타라강과 피바강이 합류하여 형성되며, 총 길이는 약 346km이다. 드리나강은 카약과 래프팅 명소로 유명하며, 과거에는 오스만 제국의 중요한 수로였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의 격전지였으며,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는 수력 발전을 위한 댐이 건설되어 있으며, 멸종 위기종인 후첸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강 - 다뉴브강
    다뉴브강은 독일에서 발원하여 흑해로 흘러드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여러 나라의 수도를 지나며 수운 및 문화적 경계 역할을 하고, 풍부한 생물다양성과 역사적 유산을 지닌 국제적인 강이다.
  • 세르비아의 강 - 티미슈강
    티미슈강은 루마니아의 세메니크산맥에서 발원하여 루마니아와 세르비아를 거쳐 다뉴브강으로 합류하는 강으로, 10,280km2의 유역 면적을 가지며 하류 일부 구간은 항해가 가능하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강 - 네레트바강
    네레트바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를 흐르는 디나르알프스산맥의 주요 카르스트 강으로, 맑은 상류 협곡과 람사르 협약 등록 습지인 네레트바 삼각주를 이루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강 - 보스나강
    보스나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관통하며 보스나강 계곡을 따라 산업 중심지를 형성하고, 사라예보 외곽에서 발원하여 사바강으로 합류하는 강이다.
드리나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드리나 강
다른 이름Дрина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로마자 표기Drina
그리스어Δρεῖνος (Dreinos)
라틴어Drinus
지리
발원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글리치 산, 피바 고원, 훔 산 (페슈테르) 사이 (슈체판 폴레와 훔 마을 지역)
하구사바 강, 세르비아-보스니아 국경, 크르나 바라와 보산스카 라차 사이
수계사바 강
위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길이346 km
유량체호티나 강 어귀에서 125 m³/s, 사바 강 합류점에서 370 m³/s
유역 면적20,320 km²
드리나 강은 페루차츠 호수를 형성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드리나 강은 페루차츠 호수를 형성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의 타라 산에서 바라본 모습

2. 지리

드리나강은 몬테네그로에서 발원하는 타라강과 피바강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경의 훔과 셰판 폴례 마을 부근에서 합류하여 형성된다. 총 길이는 타라강 발원지로부터 약 487km이며, 이 중 346km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흐르고, 그중 206km 구간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의 국경을 이룬다.[9] 최종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동부의 보산스카 라차 마을 근처에서 사바강으로 흘러든다.

세르비아(왼쪽)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오른쪽) 사이의 경계인 드리나강


강은 즈비예즈다와 수시차 산 산맥 사이를 흐르며, 타라 산 북쪽 기슭에는 바이나 바슈타 발전소 건설로 인해 생긴 인공 페루차츠 호가 있다. 로가치차 마을 부근에서는 강이 큰 회전을 하며 북동쪽에서 북서쪽으로 방향을 완전히 바꾸는 지리적 특징을 보인다. 드리나강은 항해가 가능한 강은 아니지만, 타라강과 함께 발칸 반도에서 카약래프팅 명소로 알려져 있다.

2. 1. 발원 및 유로

드리나 강의 발원지, 하류를 바라본 모습: 오른쪽에서 타라 강이 들어오고, 왼쪽에서 피바 강이 들어와 강의 중앙에서 드리나 강을 형성하여 사진 상단으로 흐르기 시작한다.


드리나 강은 몬테네그로의 슈체판 폴리에(Šćepan Polje) 마을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훔(Hum) 마을 사이, 마글리치, 훔 산과 피바 플라니나 산의 경사면 사이에서 타라 강과 피바 강이 합류하며 시작된다. 두 강 모두 몬테네그로에서 발원하며, 타라 강의 총 길이는 144km이고 이 중 마지막 40km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를 흐르거나 양국의 국경을 형성한다. 드리나 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부를 총 346km 흐르며, 이 중 206km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의 국경을 따라 흐른다.[9]

발원지에서 드리나 강은 서쪽으로 흐르다가 말루사 산(Maluša)을 돌아 북동쪽으로 큰 곡선을 그리며 방향을 바꾼다. 이후 사바 강에 합류할 때까지 대체로 북쪽 방향으로 흐른다. 상류 구간에서는 왼쪽에서 수체스카 강, 벨라바 강, 비스트리차 강이 합류한다. 드리나 강은 코스만, 프리예델, 두첼리, 첼리코보 폴리에, 코필로비, 트르부슈체, 브로드 나 드리니 등의 마을을 지나 포차(Foča)에 이른다. 포차에서는 오른쪽에서 흘러오는 체호티나 강과 합류하여 수량이 크게 늘어난다.

수체스카 강과 합류하는 지점 근처의 상부 드리나 협곡.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상부 드리나 지역, 드리나 강과 체호티나 강이 합류하는 지점의 포차.


포차 하류에서 드리나 강은 야호리나 산 남쪽 경사면과 코바치 산 사이의 45km 길이의 수히 돌-비세로비나 지역의 넓은 계곡으로 들어선다. 이 계곡에는 즐라타리, 요샤니차, 우스티콜리나, 츠빌린, 제비나 슈마, 오사니차, 콜로바리체, 브라니치, 므라비냐츠, 빌린, 비트코비치, 줍치치 마을과 고라주데 시가 위치해 있다. 이 구간에서는 왼쪽에서 콜룬스카 리예카 강과 오사니차 강이 흘러든다.

드리나 강은 계속 북쪽으로 흘러 주젤로, 오자크, 코파치, 우스티프라차 마을을 지나 부체비차 산과 데베타크 산 사이의 26km 길이의 메제자 협곡(Međeđa)으로 들어간다. 협곡 중 가장 좁은 티예스노(Tijesno) 구간은 폭이 12m에 불과하지만 깊이는 12m에 달하며 길이는 8km이다. 이 협곡 구간에서는 왼쪽에서 프라차 강이, 오른쪽에서 야니나 강과 림 강이 합류한다. 트르보실레, 메제자, 오라호브치 마을이 협곡에 있으며, 협곡의 상당 부분은 비셰그라드 수력 발전소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 비셰그라드 호수에 잠겨 있다.

페루차츠 호에 의해 침수된 드리나 협곡


반스카 스테나에서 바라본 드리나 강 페루차츠 호


비셰그라드 시에서 드리나 강은 오른쪽에서 르자브 강을 받아들이고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수바 고라 산을 지나 38km 길이의 클로티예바츠 협곡(Klotijevac)으로 들어선다. 이 협곡은 깊이가 최대 1km에 달하며 복샤니차 산(서쪽)과 즈비에즈다 산(동쪽) 사이에 있다. 사세, 레스니크, 주레비치, 고르네 시티타레보 마을이 협곡에 위치하며, 쿠칼 강이 오른쪽에서 합류한다. 슬라프 마을에서는 오른쪽에서 제파 강을 받아들인 후 서쪽으로 급격히 방향을 틀어, 야고스티차 마을 근처부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 사이의 국경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아즈부코비차 산 서쪽 경사면을 따라 흐르며 드리나 강은 세르비아의 그보즈다츠, 오클레타츠, 스트르모보, 바체브치, 도네 코슐레, 들라체, 브르폴레, 도냐 부코비차 마을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볼레비치, 파코비치, 테가레, 시키리치, 볼레비차 마을을 지난다. 이후 세르비아의 류보비야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브라투나츠에 이른다. 여기서 드리나 강은 오른쪽에서 류보비자 강을 받아들이고 야고드냐 산과 보란야 산(세르비아), 글로고바 산(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이를 흐른다. 중세 도시 미쿨랴크 유적과 미치치, 우조브니차, 크르차, 볼레브치(세르비아), 크라사노비치, 두브라비체, 폴롬, 젤리니예(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을을 지나면 즈보르니크 수력 발전소의 댐으로 인해 형성된 인공 즈보르니크 호수가 나타난다. 아마이치, 쿨리네(세르비아), 소포트니크, 드리냐차, 제브니예(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을이 호숫가에 위치하며, 보스니아의 고르니 비라치 지역에서 흘러온 드리냐차 강이 왼쪽에서 호수로 유입된다.

류보비야 근처의 드리나 강


즈보르니크(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말리 즈보르니크(세르비아) 두 도시를 지나면 드리나 강은 마예비차 산(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과 구체보 산(세르비아) 사이를 흐르며 하부 포드린제 지역으로 들어선다. 코줄루크 마을 이후 보스니아 측에는 얀야 마을(강에서 약간 떨어져 있음) 외에는 큰 정착지가 드물다. 반면 세르비아 측에서는 브라시나, 레차네 마을, 중세 도시 코빌킨 그라드 유적, 반야 코빌랴차 온천, 로즈니차 시와 그 교외 지역인 로즈니치코 폴레 등을 지난다.

드리나 강은 판노니아 평원 남부로 흘러 들어가 세르비아의 야다르 지역(왼쪽에서 야다르 강 합류)과 이베라크 지역(왼쪽에서 레슈니차 강 합류)을 지난다. 이 지역에서 강은 여러 갈래로 나뉘며 넓은 범람원을 형성한다. 이 범람원은 동쪽의 세르비아 마치바 지역과 서쪽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셈베리야 지역(왼쪽에서 얀야 강 합류)으로 나뉜다. 드리나 강은 유량이 변동적이고 지대가 낮아 과거 여러 차례 유로가 변경되었으며, 한때는 현재 하구보다 동쪽으로 30km 떨어진 샤바츠 근처에서 사바 강으로 흘러들기도 했다.

최종적으로 드리나 강은 세르비아의 크르나 바라 마을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산스카 라차 마을 사이에서 사바 강으로 흘러든다. 타라 강의 발원지에서 사바 강 합류점까지 드리나 강의 총 길이는 약 487km이다. 드리나 강은 항해가 불가능하지만, 타라 강과 함께 발칸 반도에서 카약래프팅 명소로 유명하다.

반스카 스테나에서 본 드리나 강 협곡


드리나 강 협곡


페루차츠 호수와 비셰그라드 사이의 드리나 강

2. 2. 수문학적 특징

드리나강은 매우 빠르고 차가운 고산 강으로, 175:346의 매우 높은 사행비를 가지며, 비교적 깨끗한 물을 자랑한다. 이는 강이 침식한 지역의 기반암인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카르스트 지형과 플라이쉬 지형을 통과하는 대부분의 고산 강이 가지는 일반적인 특징인 짙은 녹색을 띤다.

평균 깊이는 3m 에서 5m이며, 가장 깊은 곳은 티예스노에서 12m이다. 평균적으로 드리나강의 폭은 50m 에서 60m이지만, 티예스노에서는 12m 에서 20m에 불과하고 바이이나 바슈타와 류보비야에서는 최대 200m에 달한다.

유역 면적은 19570km2이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및 알바니아로 뻗어있다. 드리나강은 흑해 유역에 속한다.

여러 발전소에 의해 규제되기 전에는 드리나강이 계곡을 범람하곤 했다. 가장 참혹한 홍수는 1896년에 발생하여 류보비야 마을을 파괴했다.

2. 3. 지류

드리나 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좌안 지류'''

지류 이름합류 지점
수트예스카코스만 부근
비엘라바트르부슈체 부근
비스트리차브로드 나 드리니 부근
콜룬스카 리예카우스티콜리나 부근
오사니차오사니차 부근
프라차우스티프라차 부근
제파제파 부근
드리냐차드리냐차 부근
카메니차제바네 부근
사프나카라카이 부근
얀야얀야 부근



'''우안 지류'''

지류 이름합류 지점
체호티나포차 부근
얀니나사모보르 부근
브로다르 부근
르자프비셰그라드 부근
쿠칼주레비치 부근
로가치차로가치차 부근
트레슈니차류보비야 남쪽
류보비자류보비야 부근
야다르스트라자 부근
레슈니차레슈니차 부근



이 중 가장 긴 지류는 림 강으로, 길이는 220km이다.

2. 4. 주요 도시 및 지역

드리나강은 포드리니예 지역을 통과하며 흐른다. 이 지역은 험난한 지형과 부족한 철도 및 주요 도로 시설 때문에 주변 지역의 인구 밀도가 낮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 유역이나 강변에는 여러 도시와 정착지들이 자리 잡고 있다.

드리나강 유역의 주요 도시 및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

국가주요 도시 및 정착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포차, 고라즈데, 비셰그라드, 스레브레니차, 브라투나츠, 즈보르니크, 얀야
세르비아바이나 바스타, 류보비야, 말리 즈보르니크, 반냐 코빌랴차, 로즈니차 (포드린제 지역 중심지), 로즈니치코 폴리에, 바도빈치



드리나강 위에는 여러 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 주요 다리가 위치한 곳은 다음과 같다.

국가다리 위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비셰그라드, 스켈라니, 브라투나츠, 즈보르니크
세르비아로즈니차, 바도빈치 (가장 최근 건설된 다리는 파블로비차 츄프리야 다리)


3. 역사

드리나강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강이다. 고대 로마 제국 시절에는 동로마 제국서로마 제국을 나누는 경계선의 일부였으며, 이후에도 문명과 제국의 경계 역할을 자주 수행했다.[1] 강 유역에서는 고대 비잔틴 제국 시기의 중요한 도시 유적이 발견되기도 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해 메흐메트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와 같은 중요한 건축물이 세워졌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이의 주요 전선이 되어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3. 1. 고대 및 중세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말리 즈보르니크 근처 강 바로 위에 위치한 오를로비네 지역에서 실시된 고고학적 조사 결과, 눈에 보이는 돌 성벽 유적이 실제로는 훨씬 더 큰 비잔틴 도시의 일부였음이 밝혀졌다. 현대의 말리 즈보르니크보다 더 넓었던 이 정착지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시대에 기원하며, 당시 큰 행정 중심지이자 주교의 자리였다. 더 이후 시대의 유물은 세르비아의 차슬라프 통치 시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성벽은 드리나 강까지 뻗어 있었으며, 발굴된 유물로는 암포라, 모자이크, 유리 공예품, 물탱크, 아치형 문, 경비탑의 일부 등이 있다. 특히 세르비아에서 발견된 가장 큰 비잔틴 교회 중 하나로 여겨지는 건물 유적(30m × 60m)과 호화로운 ''주교좌''도 확인되었다. 관련 발굴 작업은 202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3. 2. 오스만 제국 시대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메흐메트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비셰그라드에 위치해있다.


오스만 제국 시대 드리나 강에는 중요한 건축물인 메흐메트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가 건설되었다. 이 다리는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 메흐메트 파샤 소콜로비치가 건설을 의뢰하여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1571년부터 1577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 비셰그라드의 드리나 강 위에 세워졌으며, 오스만 제국의 유명한 궁정 건축가 미마르 시난이 설계를 담당했다.

이 역사적인 다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 기념물 보존 위원회에 의해 국가 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또한,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그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3. 3.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4년 9월 8일부터 9월 16일까지 드리나강은 세르비아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전투 현장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체르 전투와 드리나 전투가 포함된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세르비아 서부 국경에서 드리나강을 건너 대규모 공세를 펼쳤으며, 이로 인해 수많은 소규모 교전과 전투가 벌어졌다.

4. 생태

드리나강은 멸종 위기에 처한 후첸(다뉴브 연어, Hucho huchola)의 유럽 내 주요 서식지이자 산란 장소이다. 그러나 수력 발전을 위한 건설과 어도 시설 부족으로 강의 생태계가 단절되어, 후첸의 이동 경로가 막히고 개체군이 유전적으로 분리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에 드리나 국립공원이 설립되는 등 강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4. 1. 생물 다양성

드리나강은 후첸(다뉴브 연어)의 주요 서식지이다.


드리나강은 댐 건설 이전의 타라강과 피바강을 포함한 원류 지류, 비스트리차강, 체호티나강, 림강, 프라차강, 드리냐차강과 같은 주요 상류 지류들과 함께 멸종 위기에 처한 연어과 어종인 후첸(다뉴브 연어, Hucho huchola)의 유럽 주요 서식지이자 산란지이다. 그러나 건설과 어도 시설 미비로 인한 집중적인 수력 발전 이용은 강줄기를 단절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재 세 곳의 수력 발전소 지점에서 후첸 개체군 DNA 그룹이 서로 분리되었으며, 먹이 종과의 연결을 방해하고 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막아 상류 유역의 산란지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드리나강 유역에는 현재까지 지정된 보호 구역이 거의 없다. 드리나 국립공원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드리나강 주변에 최근 설립되었으며, 2017년 여름에 보호 구역 지정을 위한 법률이 통과되었다.

4. 2. 보존 노력



드리나강과 그 원류인 타라강, 피바강을 비롯해 비스트리차강, 체호티나강, 림강, 프라차강, 드리냐차강 등 주요 지류들은 멸종 위기에 처한 연어과 어종인 후첸( Hucho hucho|후코 후코la, 다뉴브 연어)의 유럽 내 주요 서식지이자 산란 장소이다.

그러나 수력 발전을 위한 댐 건설과 물고기 이동 통로인 어도 시설 부족은 강의 생태계를 단절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다. 현재 세 곳의 수력 발전소는 후첸 개체군을 유전적으로 분리시키고 먹이 활동을 방해하며, 상류 산란지로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드리나강 유역은 오랫동안 보호 구역 지정이 미흡했다. 다행히 2017년 여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의 드리나강 주변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이 통과되어 드리나 국립공원이 설립되었다. 이는 드리나강의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다.

5. 문화

드리나강은 발칸 반도 지역의 역사와 문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강 자체의 지리적 특성과 강 유역에서 벌어진 역사적 사건들은 이 지역의 문학, 예술, 대중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특히 강이 구불구불하게 흐르는 모습에서 유래한 "굽은 드리나"라는 표현은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을 묘사하는 관용구로 사용되는 등, 언어와 문화 속에 스며들어 강의 상징적인 의미를 더하고 있다.

5. 1. 문학과 예술



드리나강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축물이 세워져 있다. 대표적인 것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 비셰그라드에 위치한 메흐메트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이다.[1] 이 다리는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이었던 메흐메트 파샤 소콜로비치의 의뢰로 1571년부터 1577년 사이에 건설되었다.[1] 당대 최고의 건축가로 꼽히는 미마르 시난이 설계를 맡았다.[1]

메흐메트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는 뛰어난 건축미와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 기념물 보존 위원회에 의해 국가 기념물로 보호받고 있으며,[1]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1] 이 다리는 오스만 건축의 중요한 예시이자 드리나강을 대표하는 상징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5. 2. 대중문화

드리나 강의 하류는 구불구불하게 흐르는데, 이 모습에서 "크리바 드리나"(굽은 드리나)라는 별칭이 유래했다. 이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을 해결하려 할 때 사용하는 세르비아어 관용구로 자리 잡았으며, 그런 사람을 가리켜 "굽은 드리나를 똑바르게 만들려 한다"고 표현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4년 벌어진 드리나 전투를 기리기 위해 세르비아 작곡가 스타니슬라프 비니키는 '드리나 행진곡'을 작곡했다. 1964년에는 지카 미트로비치 감독이 이 행진곡과 같은 이름의 영화를 제작했다. 그러나 이 영화는 전투 장면의 사실적인 묘사와 당시 금지되었던 비니키의 행진곡을 사용했다는 이유로 공산주의 정부에 의해 한동안 상영이 금지되기도 했다. 슬로베니아의 밴드 라이바흐는 1994년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에 발매한 앨범 ''나토''에서 '드리나 강변의 Marš|마르시hbs'라는 제목으로 이 곡을 커버했다.

드리나 강과 강의 상징적인 건축물인 메흐메드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노벨상 수상 작가 이보 안드리치의 1945년 소설 ''Na Drini ćuprija|나 드리니 추프리야hbs'' (드리나 강의 다리)를 통해 가장 널리 알려졌다. 이 소설은 16세기 오스만 제국 시대에 비셰그라드 근처에 메흐메드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가 건설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7]

한편, 불가리아의 밴드 젠데마의 노래 "Разговор с дядо|라즈고보르 스 댜도bul" (할아버지와의 대화)는 드리나 강을 서쪽 경계로 하여 동쪽의 흑해까지 이르는 영토를 포함하는 대불가리아의 민족주의적 염원을 담고 있다.[8]

5. 3. 관광

드리나 강에서 카약을 즐기는 모습.


드리나강은 현재 상업적인 항해는 어렵지만, 타라 강과 더불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몬테네그로 지역에서 카약래프팅을 즐기기 위한 주요 목적지로 인기가 높다. 역사적으로는 17세기 초부터 소형 선박을 이용한 교통이 발달했으며, 오스만 제국의 여행가 에블리야 첼레비는 당시 사람들이 통나무를 파내 만든 원시적인 보트(단일 통나무 배)를 이용했다고 기록했다.[1] 특히 포차 지역은 19세기 벌목 산업의 발달과 함께 래프팅의 중심지가 되었는데, 벌목꾼들이 타라 강 상류에서 벤 나무를 뗏목으로 엮어 드리나강의 급류를 타고 포차의 제재소까지 운반했던 것에서 유래했다.

오늘날 드리나강과 타라강에서는 다양한 길이의 래프팅 코스를 즐길 수 있다. 대표적인 코스로는 브르스노비차에서 스체판 폴리까지 이어지는 약 18km 길이의 당일 코스가 있다.

매년 여름에는 드리나 레가타(Drina Regatta)라는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행사가 열린다.[2][3] 1994년부터 S.T.C. "바이나 바슈타"와 바이나 바슈타 시가 주관하는 이 행사는[4] 서부 세르비아에서 가장 많은 방문객이 찾는 여름철 주요 수상 축제이다.

드리나강 유역의 중요한 문화 유산으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비셰그라드에 위치한 메흐메트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가 있다.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 메흐메트 파샤 소콜로비치의 의뢰로 당대 최고의 건축가 미마르 시난이 설계하여 1571년부터 1577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이 다리는 오스만 건축의 걸작이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중요한 국가 기념물로 보호받고 있으며, 2007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9]

또한, 세르비아의 협궤 유산 철도인 샤르간 에이트(Šargan Eight)는 모크라 고라 마을에서 샤르간 비타시 역까지 운행하며, 2010년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비셰그라드까지 연장되었다. 이 철도 노선은 드리나강 상류의 페루차크 호수를 따라 보트 투어를 포함하는 관광 코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6. 경제

드리나강은 유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경제적 기반을 제공한다. 특히 수력 발전 잠재력이 풍부하여 여러 발전소가 운영되고 있지만, 개발 잠재력은 여전히 크다. 또한, 강은 어업 활동의 터전이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바탕으로 관광 산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6. 1. 수력 발전

드리나강은 발원지의 고도 432m에서 시작하여 사바강으로 흘러드는 지점의 고도 75m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낙차를 가진다. 또한, 유량도 꾸준히 증가하여 체호티나강 하구에서는 초당 125 m³/s, 사바강 합류 지점에서는 초당 370 m³/s에 달한다. 이러한 지리적 조건 덕분에 드리나강은 약 60억 킬로와트시(kWh)에 달하는 막대한 수력 발전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바이나 바슈타 수력 발전소


하지만 현재까지 드리나강의 수력 발전 잠재력은 일부만 활용되고 있다. 주요 수력 발전소(HE)로는 ''즈보르니크 수력 발전소'', ''바이나 바슈타 수력 발전소'', ''비셰그라드 수력 발전소'' 등 3곳이 건설되어 운영 중이다. 특히 바이나 바슈타 수력 발전소는 타라 산 북쪽 기슭에 인공 호수인 페루차츠 호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이 호수의 물은 발전 외에도 무지개 송어 양식 등에도 활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된 발전소는 드리나강이 가진 전체 잠재력에 비하면 제한적인 수준이다.

참조

[1] 간행물 Monoksil izronio iz Drine 2017-05-21
[2] 뉴스 Drinska regata: Spust 15.000 ljudi http://www.novosti.r[...] 2020-07-22
[3] 뉴스 Drinska regata Bajina Bašta 2008. http://www.b92.net/z[...] 2020-07-22
[4] 서적 Serbia - Culture Smart!: The Essential Guide to Customs & Culture https://books.google[...] Kuperard 2012-10-30
[5] 뉴스 Kad se kralj spremao za život u podzemlju https://www.politika[...] 2022-01-28
[6] 웹사이트 Arheološki lokalitet "Orlovine" https://www.malizvor[...] 2022-01-28
[7] 웹사이트 Ivo Andrić Revisited: The Bridge Still Stands http://escholarship.[...] Division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5
[8] AV media Razgovor s djado https://www.youtube.[...] 2020-04-10
[9] 서적 ドナウ、小さな水の旅:ベオグラード発 左右社 202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