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레브레니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레브레니차는 "은 광산"을 의미하는 지명을 가진 보스니아의 도시이다. 일리리아인과 로마 제국 시대부터 은광 채굴이 이루어졌으며, 중세 시대에는 보스니아 왕국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1992년 보스니아 전쟁 발발 이후 스레브레니차는 세르비아계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보스니아계 저항 단체에 의해 탈환되었고, 1995년에는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의해 스레브레니차 학살이 발생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치명적인 학살로 기록되었다. 현재는 보스니아인과 세르비아인이 함께 거주하며, 광천수와 스파를 활용한 관광 산업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릅스카 공화국의 도시 - 즈보르니크
    즈보르니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 드리나 강변에 위치하여 세르비아와 국경을 접하며, 교역 요충지이자 즈보르니크 산자크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난민 귀환이 진행 중이며 제조업, 도소매업, 운송업이 주요 산업인 도시이다.
  • 스릅스카 공화국의 도시 - 비셰그라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비셰그라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드리나 강과 르자프 강 합류 지점에 자리하며, "상부 도시/성/요새"를 뜻하는 남슬라브어 지명에서 유래했고, 온대 기후를 띠며,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다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랜드마크이다.
  • 온천 마을 - 합살루
    합살루는 에스토니아 서해안의 도시로, 중세 시대 주교령 수도였으며, 진흙 치료와 차이콥스키의 방문으로 제정 러시아 귀족 휴양지로 발전했고, 현재는 역사 건축물과 문화 행사로 유명하다.
  • 온천 마을 - 패르누
    패르누는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에스토니아의 항만 및 관광 도시로, 여러 차례의 외세 지배를 거쳐 1918년 에스토니아에 귀속되었으며, 19세기 중반부터 휴양지로 발전했다.
스레브레니차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스레브레니차 전경 (2017년)
스레브레니차 전경 (2017년)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구성체스릅스카 공화국
지역포드리녜
행정 구역81개
시장밀로시 부치치
소속 정당독립 사회 민주 동맹
면적 (시가지)2.62 제곱킬로미터
면적 (지방 자치체)529.83 제곱킬로미터
인구 (2013년, 시가지)2,607명
인구 밀도 (시가지)자동 계산
인구 (2013년, 지방 자치체)13,409명
인구 밀도 (지방 자치체)자동 계산
시간대CET
UTC 오프셋+1
하계 시간CEST
UTC 오프셋 (하계)+2
지역 번호56
웹사이트http://www.srebrenica.gov.ba
지리

2. 어원

'스레브레니차(Srebrenica)'()라는 지명은 "은 광산"을 의미하며, 옛 라틴어 지명 '아르젠타리아(Argentaria)'와 같다.[1] 다른 언어로는 독일어 ''Srebrenitza'', 알바니아어 ''Srebrenicë/a'', 튀르키예어 ''Srebrenitsa'', 헝가리어 ''Szrebrenica'', 루마니아어 ''Srebrenița'' 등으로 알려져 있다.[1]

3. 역사

1376년 스레브레니차는 서부 발칸 반도 지역에서 은광을 기반으로 한 중요한 교역 중심지로 성장했다. 현존하는 원광은 이미 로마 제국 시대부터 알려졌으며, 광산 근처에는 '도마비아'(Domavia)라는 집락이 존재했다. 당시 라구사 공화국의 많은 교역지가 설립되어 해로를 통한 은 수출과 국내 은 거래를 관리했으며, 이들은 라구사 항을 경유했다.

14세기에는 많은 독일인 광부들이 스레브레니차로 이주해왔다. 1420년대 중반, 보스니아 왕국의 국왕 트브르트코 2세의 군대가 도시 지배를 위해 싸웠으나, 1440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프란치스코회 수도원모스크로 바뀌었지만, 라구사와 작센 출신 가톨릭 신자들의 이슬람교 개종은 다른 지역보다 느리게 진행되었다.[9]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 가톨릭 인구가 감소하면서 스레브레니차의 라구사 공화국에 대한 경제적 중요성은 줄어들었다.

3. 1. 고대 및 중세 시대

로마 제국 시대에는 광산 근처에 '도마비아'라는 정착지가 있었고, '아르겐타리아'라고도 알려졌다.[2][4] 일리리아인들이 이 지역에 거주하며 은을 채굴했는데, 은은 로마가 이 지역을 침공한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1] 이곳의 은광석은 비아 아르겐타리아를 통해 남서쪽의 살로나와 북동쪽의 시르미움에 있는 조폐창으로 옮겨졌다.[3] 사세 수도원 근처에서는 로마 시대의 묘비가 발굴되었고, 6세기 경 지어진 초기 기독교 교회가 발견되었다.[5]

13세기와 14세기에는 보스니아 반국과 보스니아 왕국의 일부였다. 1376년 문헌에 처음 등장하며, 당시 이미 서부 발칸 반도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6] 라구사 공화국 상인들이 정착하여 은 무역을 통제했고,[6] 14세기에는 많은 독일인 광부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7] 1411년부터 1463년까지 헝가리 왕국, 세르비아, 보스니아, 오스만 제국이 번갈아 가며 지배했다.[8]

3. 2. 오스만 제국 시대

13세기14세기에 스레브레니차 지역은 보스니아 반국의 일부였으며, 이후 보스니아 왕국에 속했다. 스레브레니차라는 이름이 가장 오래된 기록은 1376년의 것으로, 이미 서부 발칸 반도에서 은광을 기반으로 한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6] 당시 라구사 공화국의 많은 상인들이 그곳에 정착하여 국내 은 무역과 라구사 (두브로브니크) 항구를 통한 해상 수출을 거의 전적으로 통제했다.[6] 14세기 동안에는 많은 독일인 광부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7]

1420년대 중반, 보스니아 왕국의 국왕 트브르트코 2세의 군대가 도시 지배를 위해 싸웠으나, 1440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다. 프란치스코회 수도원모스크로 바뀌었지만, 라구사와 작센 출신의 많은 가톨릭 신자들로 인해 다른 지역보다 이슬람교로의 개종이 느리게 진행되었다.[9]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 가톨릭 인구가 감소하면서 스레브레니차의 라구사 공화국에 대한 경제적 중요성은 줄어들었다.

오사트 지역은 제1차 세르비아 봉기(1804–1813) 동안 크르비차 출신의 카라-마르코 바시치의 지도하에 잠시 해방되었다. 봉기가 발발하자 메트로폴리탄 하지 멜렌티예 스테바노비치는 바시치에게 연락했고, 바시치는 반군 지도부를 만났다. 드리나 강(1804) 전투에 참여한 후, 바시치는 카라조르제에게 오사트 해방을 위한 군대를 요청했다. 라자르 무탑이 파견되어 이 지역은 반군 통치하에 들어갔다. 1808년 오스만 제국은 오사트를 정리했고, 1813년까지 반군은 이 지역을 떠났다.

3.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1905년 백색 모스크


1918년 이전 마토니에 의해 판매된 스레브레니차의 ''구버-퀘렐레''(Guber-Quelle) 미네랄 워터 광고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보스니아 빌라예트 점령이 승인되면서 스레브레니차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908년에는 시슬라이타니아와 트란스라이타니아의 공동 관리하에 있는 공동 통치국이 되었다. 천연 미네랄 워터 샘 크르니 구버("검은 구버")는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보헤미안 회사 마토니는 ''구버-퀘렐레''(Guber-Quelle, "구버 샘")라는 이름의 물을 채취하여 제국 전역과 해외로 수출하기 위한 유통 기반 시설을 구축했다.[10] 온천 건설이 권장되었다.[11] 행정, 전기, 도로, 학교, 전화, 의료, 우편 서비스 등 현대적인 기반 시설이 도입되었다.[12]

오스트리아 통치자들은 민족주의 확산을 막고 자신들의 헤게모니 하에 종교적 관용을 갖춘 다종교적, 다문화적 구성을 선호했지만, 보스니아를 세르비아와 통일하려는 세르비아 민족주의는 의심과 적대감을 받았다. 현대 교육이 일반적인 문해 수준을 높이면서, 신문과 출판물의 등장으로 아이디어가 퍼져나갔다. 민족주의가 모든 집단으로 확산되면서 이 지역은 점점 더 불안해졌다.

3. 4. 제1, 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체트니크우스타샤에 의해 많은 잔학 행위가 저질러졌다. 파르티잔은 전쟁 중에 체트니크우스타샤에 맞서 싸웠으며, 스레브레니차 사람들은 전몰한 희생자를 위한 파르티잔 추모 묘비 기념물을 세웠다.

3. 5. 유고슬라비아 시대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관광 산업이 중요해졌으며, 온천을 활용한 건강 휴양 시설이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반야 구버'가 건설되었다. 1990년대까지 9만 명이 넘는 숙박객이 이곳을 찾았으며, 연간 약 300만달러의 수입을 올렸다.[1]

3. 6. 보스니아 전쟁과 스레브레니차 학살

스레브레니차 학살 추모관


보스니아 전쟁(1992–1995) 발발 이후, 스레브레니차는 세르비아계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보스니아계 저항 단체에 의해 탈환되었다.[14] 1993년 유엔은 스레브레니차를 "안전 구역"으로 선포하고 유엔 보호군(UNPROFOR)을 파견했다.

1995년 7월, 라트코 믈라디치가 이끄는 스릅스카 공화국군이 스레브레니차를 점령하고, 전투 연령의 남성들을 조직적으로 학살했다. (스레브레니차 학살)[15] 이 학살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가장 치명적인 학살로, 구 유고 국제형사재판소(ICTY)에 의해 집단 학살로 규정되었다.[16][17]

보스니아 전쟁에서 라트코 믈라디치가 이끄는 세르비아계 세력은 "보스니아인 무장 단체가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인 브라투나츠를 공격하여 다수의 세르비아인 희생자가 발생했기 때문에 세르비아인에 대한 학살에 대한 보복을 한다"라며 많은 주민을 학살했다. 그러나 1999년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에서는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없다고 밝히고 있다.

이 지역은 유엔이 보호하는 안전 지대로 지정되어 네덜란드 군으로 편성된 유엔 보호군이 파견되었으나, 병력은 최대 약 700명으로 세르비아계 세력에 거의 저항하지 못했다. (아카시 전 유고슬라비아 문제 담당 국제 연합 사무총장 특별 대표는 구 유고 지역 전체에 3만 명의 증파를 요청했지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그 약 1/4인 7,600명의 증파만 승인했다.) 더군다나 일부 병사에게서 빼앗은 군복 등의 장비가 추가적인 학살에 이용되기도 했다. 유엔군 내부의 불통일로 인해 공습 등의 지원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유엔군 눈앞에서 학살이 벌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유엔은 1999년에 작성한 보고서에서 "유엔 회원국 및 유엔 보호군 간의 정보 공유에 실패했다. 이러한 의사 결정의 어려움이 유엔의 평화 유지 활동의 약점이다."라고 분석하고 있다.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에서도 이 학살문제를 다루었으며, 스릅스카 공화국 정부는 이 사실을 인정하고 사죄했다.[18]

2010년 3월 31일에는 세르비아 의회도 학살을 인정하고 비난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3. 7. 전후

이 마을은 대략 절반은 무슬림, 절반은 정교회 신자로 이루어져 있다. 파괴된 이 마을의 23개 모스크 대부분은 해외 기부와 지원을 통해 재건되었다.[24][25]

경제 파괴와 더딘 재건으로 인해 실업률은 나라의 많은 지역과 마찬가지로 높다. 광천수 및 스파 사업을 다시 부활시킬 계획이 있다. ''반자 구베르''(Banja Guber)의 재건은 2019년으로 예정되었지만 지연되었다.[26]

4. 정치

2007년, 스레브레니차 시의회는 스릅스카 공화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당시 시의회 소속 세르비아계 의원들은 이 결의안에 대해 투표하지 않았다.[27] 2016년 선거에서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출신으로 스레브레니차 출신인 믈라덴 그루이치치가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5. 인구

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레브레니차 시의 총 인구는 13,409명이다.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29]

스레브레니차 시의 민족 구성 (2013년)
민족인구비율
보스니아인7,248명54.05%
세르비아인6,028명44.95%
기타117명0.873%
크로아티아인16명0.119%
총계13,409명100.0%



1991년 인구 조사와 비교하면 보스니아인의 비율은 감소(75.12%→54.05%)하고, 세르비아인의 비율은 증가(22.68%→44.95%)했다.

1971년, 1981년, 1991년 인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레브레니차 시의 민족 구성 (1971년, 1981년, 1991년)
연도합계보스니아인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유고슬라비아인기타
1991년36,666명27,572명 (75.19%)8,315명 (22.67%)38명 (0.10%)380명 (1.03%)361명 (0.98%)
1981년36,292명24,930명 (68.69%)10,294명 (28.36%)80명 (0.22%)602명 (1.65%)386명 (1.06%)
1971년33,357명20,968명 (62.85%)11,918명 (35.72%)109명 (0.32%)121명 (0.36%)241명 (0.72%)


6. 문화


  • 사세 수도원: 13세기에 지어진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이다.
  • 하얀 모스크: 17세기에 프란체스코 수도회 가톨릭 교회 터전에 세워졌다.
  • 차르시야 모스크: 1836년 셀마나가 셀마나기치에 의해 건설 또는 재건되었다. 1988년 재건, 1995년 철거, 2011년 아흐메드 스마일로비치에 의해 재건되었다.[30]
  • 붉은 모스크
  • 성모 호수 교회 (스레브레니차): 1903년에 건립되었다.[31]
  • 성 마리아 가톨릭 예배당[32]
  • 지역 박물관[33]
  • 모스크 청소년 센터 (''Omladinski centar''): 2019년 신 오스만 스타일로 완공되었다.[34]
  • 미네랄 워터 샘 및 스파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세르비아 정교회 사세 수도원


하얀 모스크

7. 경제

1992년 이전 스레브레니차에는 금속 공장이 있었고, 인근에는 , 아연, 금광이 있었다.[24] 마을 이름인 '스레브레니차'는 "은광"을 의미하며, 이는 오래된 라틴어 명칭인 ''아르젠타리아''(Argentaria)와 같은 뜻이다.[24]

전쟁 이전에는 스레브레니차에 큰 온천이 있었고, 크르니 구베르("Crni Guber") 철분 샘물을 비롯한 여러 샘물을 활용한 웰니스 관광이 발달하여 마을 경제에 기여했다.[24]

크르니 구베르("Crni Guber") 철분 샘물
오늘날 스레브레니차에는 어느 정도 관광 산업이 남아있지만, 전쟁 이전보다는 훨씬 덜 발전된 상태이다. 현재 이 마을에서는 펜션, 모텔, 호스텔 등이 운영되고 있다.[24]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국제협력기구(JICA)는 스레브레니차 시와 그 주변 지역의 농업 생산 기반을 회복하고, 분쟁으로 파괴되어 방치되었던 음용 및 농업용 수로를 정비하는 데 지원을 제공했다.

;경제 개요

다음 표는 법인에 고용된 등록 인원수를 2018년 기준 핵심 활동별로 나타낸 것이다.[35]

활동총계
농업, 임업 및 어업135
광업 및 채석업537
제조업48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23
수도 공급;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환경 복원 활동27
건설업14
도매 및 소매업,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83
운송 및 보관63
숙박 및 음식 서비스26
정보 및 통신8
금융 및 보험 활동9
부동산 활동-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20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10
공공 행정 및 국방; 강제 사회 보장232
교육186
인간 건강 및 사회 사업 활동104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28
기타 서비스 활동28
총계2,013


8. 출신 인물

이름출생 연도직업
나세르 오리치1967년보스니아 전쟁 당시 보스니아 군 장교[36]
미르사드 베크티치1991년보스니아계 미국인 UFC 파이터[36]
아스미르 술지치1991년축구 선수
데스니차 라디보예비치1952년보스니아 정치인
에미르 술야기치1975년작가
에미르 술레이마노비치1995년농구 선수
에스미르 아흐메토비치1991년축구 선수
함자 알리치1979년포환던지기 선수
이르빈 무이치치1987년인권 운동가
유라이 드라기시치(1445년경) - 1520년프란치스코회 신학자이자 철학자
카디르 호지치1994년축구 선수
미로라드 시미치1946년언어학자
미르자드 메하노비치1993년축구 선수
믈라덴 그루이치치1982년보스니아계 세르비아 정치인, 스레브레니차 시장
무아메르 야히치1979년축구 선수
사바후딘 부그달리치1953년스포츠 기자, 전 축구 골키퍼
사닌 무미노비치1990년크로아티아 축구 선수
셀만 셀마나기치1905년바우하우스 건축 학교 출신 보스니아계 독일 건축가[36]


참조

[1] 웹사이트 Istorijat Srebrenice https://www.srebreni[...] 2021-03-08
[2] 웹사이트 Сребреница кроз историју {{!}} Туристичка организација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https://turizamrs.or[...] 2021-03-08
[3] 웹사이트 Remembering Srebrenica – a town that once prospered from its metal industry and spa tourism, before the war came https://www.thiscity[...] 2017-07-11
[4] 웹사이트 Srebrenica https://citiesintran[...] 2014-08-19
[5] 웹사이트 Srebrenica: Ostaci crkve iz šestog vijeka za vjerske obrede, nastavu i turiste (FOTO) http://lat.rtrs.tv/v[...] 2021-03-08
[6] 서적 Die Handelsstrassen und Bergwerke von Serbien und Bosnien während des Mittelalters: historisch-geographische Studien Verl. der Kön. Böhmischen Ges. der Wiss.
[7] 문서 Za istoriju rudarstva u srednjevekovnoj Srbiji i Bosni
[8] 서적 Etnologija sjeveroistočne Bosne: rasprave, studije, članci https://books.google[...] Muzej istočne Bosne 2016-01-01
[9] 문서 A Short History of Bosnia
[10] 웹사이트 Guber voda: Kako je sve počelo i gdje smo sada https://www.esrebren[...] 2020-07-11
[11] Google books Durch Bosnien und die Hercegovina kreuz und quer https://books.google[...]
[12] Google books Durch Bosnien und die Hercegovina kreuz und quer https://books.google[...]
[13] 웹사이트 Banja Guber – nada bolesnicima i Srebreničanima | DW | 24.11.2013 https://www.dw.com/b[...] 2020-07-12
[14] 웹사이트 Tolimir et al. CASE NO. IT-04-80-I http://www.icty.org/[...] 2010-08-26
[15] 웹사이트 Srebrenica reburies 308 victims of massacre https://www.nbcnews.[...] 2008-07-11
[16] 웹사이트 'It''s getting out of hand': genocide denial outlawed in Bosnia https://www.theguard[...] 2021-07-24
[17] 웹사이트 Krstic – Judgement https://www.un.org/i[...]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4-04-19
[18] 웹사이트 Serbs sorry for Srebrenica deaths http://news.bbc.co.u[...] BBC 2004-11-10
[19] 웹사이트 7th Session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http://forum-mensche[...] 2008-02-21
[20] Webarchive Prelude to the Srebrenica Genocide – mass murder and ethnic cleansing of Bosniaks in the Srebrenica region during the first three months of the Bosnian War (April–June 1992) http://www.bosnia.or[...] Bosnian Institute UK 2010-11-18
[21] 웹사이트 Naser Oric Trial Judgement, ICTY http://www.icty.org/[...] 2009-10-10
[22] 웹사이트 Declassified British papers: Serbs were right about Srebrenica provocations https://www.britic.c[...] 2024-05-19
[23] 웹사이트 YUGOSLAVIA. Internal situation: UK/Yugoslavia relations; part 46 https://discovery.na[...] The National Archives, Kew 2020-01-12
[24] 웹사이트 Obnova džamija u Srebrenici: Nakon rušenja 23 bogomolje, 19 ih je obnovljeno | Faktor.ba http://www.faktor.ba[...] 2022-01-12
[25] 웹사이트 U Srebrenici svečano otvorena Đozića džamija | BNN http://bnn.ba/vijest[...] 2022-01-12
[26] 웹사이트 Banja Guber ne počinje sa radom ove godine https://istinomjer.b[...] 2019-12-10
[27] 웹사이트 Srebrenica pushes for partition http://www.b92.net/e[...] B92 2007-03-25
[28] webarchive http://www.srebrenic[...]
[29]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NYU Press
[30] 웹사이트 Remains of Carsija Mosque in Srebrenica found, mined and demolished in 1995 – Sarajevo Times https://www.sarajevo[...] 2020-02-08
[31] 문서 https://www.esrebren[...]
[32] 웹사이트 Religijsko bogatstvo - Kapela Svete Marije u Srebrenici https://www.esrebren[...] 2020-07-17
[33] 웹사이트 Muzej Srebrenica – Turisticka organizacija Srebrenice https://tours-srebre[...] 2020-07-14
[34] 웹사이트 Vijesti http://www.srebrenic[...] 2018-04-26
[35] 웹사이트 Cities and Municipalities of Republika Srpska http://www2.rzs.rs.b[...] Republika Srspka Institute of Statistics 2019-12-25
[36] 웹사이트 Selman Selmanagić: The Architect from Srebrenica https://bosphorusrev[...] 2021-01-27
[37] 웹사이트 Srebrenica pushes for partition http://www.b92.net/e[...] B92 2007-03-25
[38] 서적 Die Handelsstrassen und Bergwerke von Serbien und Bosnien während des Mittelalters: historisch-geographische Studien Verl. der Kön. Böhmischen Ges. der Wiss.
[39] 서적 Za istoriju rudarstva u srednjevekovnoj Srbiji i Bosni
[40] 서적 A Short History of Bosnia Macmillan
[41] 서적 A Short History of Bosnia
[42] 웹사이트 http://www.un.org/ic[...]
[43] 뉴스 http://news.bbc.co.u[...]
[44] 뉴스 2010年4月1日付朝日新聞 朝日新聞 2010-04-01
[45] 웹사이트 "人"を通じた援助−「信頼醸成のための農業・農村開発プロジェクト」(ボスニア・ヘルツェゴビナ)− https://www.jica.go.[...] 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 2018-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