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널드 몰렛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널드 몰렛은 1945년 펜실베이니아주에서 태어나 뉴욕 브롱스에서 자란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그는 H.G. 웰스의 소설 《타임머신》에서 영감을 받아 시간 여행 연구를 시작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후 코네티컷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 중력, 시간 여행 등을 연구했다. 몰렛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고리 레이저를 이용한 시간 여행 기계 설계를 연구했으며, 2006년에는 자신의 연구를 담은 책을 출판했다. 그의 시간 여행 연구는 비판과 논쟁에 직면해 있으며, 특이점 문제와 에너지 요구량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네티컷 대학교 교수 - 마크 에머트
    마크 에머트는 1952년생으로 워싱턴 대학교 총장,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 총장, NCAA 회장을 역임했으며,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스캔들을 처리하고 운동선수 건강 증진에 기여했다.
  • 코네티컷 대학교 교수 - 대널 멀로이
    대널 멀로이는 민주당 소속의 미국 정치인으로, 코네티컷주 주지사(2011-2019)와 스탬퍼드 시장(4선)을 역임했으며, 주지사 시절 재정 적자 해결, 총기 규제 강화, 트랜스젠더 권리 보호 정책을 추진했고, 2019년부터 메인 대학교 시스템 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동문 - 윤진식
    윤진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관료, 기업인으로 재무부 공직, 관세청장, 산업자원부 장관, 국회의원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무역협회 회장과 한국-아랍소사이어티 이사장을 맡고 있다.
  •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동문 - 존 J. 요삭
    존 J. 요삭은 베트남 전쟁과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장군으로, 제1기병사단 사단장과 미 제3군 사령관을 역임하며 사막 방패 작전과 걸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수의 훈장을 수훈했다.
  • 1945년 출생 - 존 허드
    존 허드는 연극 배우로 시작하여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활약하며 《나 홀로 집에》 시리즈의 아버지 역으로 유명해졌고, 《소프라노스》로 에미상 후보에 오른 미국의 배우이다.
  • 1945년 출생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는 브라질의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으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그리고 2023년부터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회복지 프로그램으로 빈곤 감소에 기여하고, 부패 스캔들과 아마존 열대우림 벌채 문제 등의 논란을 겪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하여 현재 브라질 대통령으로서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
로널드 몰렛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널드 몰렛, 책상에서 책을 읽고 있다.
이름로널드 로렌스 말렛
원어명Ronald L. Mallett
출생일1945년 3월 30일
출생지로어링스프링, 펜실베이니아, 미국
거주지해당사항 없음
분야천체물리학 및 우주론
소속 기관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코네티컷 대학교
모교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해당사항 없음
박사 졸업생해당사항 없음
알려진 업적시간 여행, 양자 우주론, 상대론적 천체물리학
영향을 준 인물해당사항 없음
영향을 받은 인물해당사항 없음
수상해당사항 없음
종교해당사항 없음
각주해당사항 없음

2. 생애

로널드 몰렛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계기로 시간 여행을 통해 과거를 바꾸고자 하는 꿈을 꾸게 되었다. 이러한 열망은 그가 물리학자의 길을 걷게 되는 중요한 동기가 되었으며,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코네티컷 대학교에서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하며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 중력, 시간 여행 가능성에 대한 연구에 매진했다. 그의 시간 여행 연구와 관련된 삶의 이야기는 2007년 라디오 프로그램 ''디스 아메리칸 라이프''를 통해 소개되기도 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로널드 몰렛은 1945년 3월 30일 펜실베이니아주 로어링 스프링스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정의 일원으로 태어났으며, 이후 뉴욕 시의 브롱스에서 성장기를 보냈다. 1955년, 그가 10세 되던 해에 아버지(당시 33세)가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나면서 그는 깊은 슬픔과 우울감을 겪었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약 1년이 지난 11세 때, 몰렛은 H.G. 웰스의 소설 ''타임머신''을 각색한 ''클래식 일러스트레이티드'' 코믹스 버전을 접하게 되었다. 이 작품에 크게 감명받은 그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아버지의 죽음을 막겠다는 생각을 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과거로 돌아가 아버지에게 담배를 피우지 않도록 경고하여 생명을 구하겠다는 것이었다. 이 아이디어는 그의 평생에 걸친 열망이 되었으며, 훗날 시간 여행에 대한 그의 과학적 연구의 근간을 이루었다.[1]

이후 몰렛은 베트남 전쟁 시기에 미국 공군에 입대하여 4년간 복무했다. 1966년에 군 복무를 마치고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왔다. 같은 해에 방영을 시작한 과학 소설 TV 시리즈 ''스타 트렉''에 깊이 매료되었다. 특히 첫 번째 시즌에 방영된 에피소드 ''영원의 도시''는 시간 여행과 잃어버린 사랑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 그가 시리즈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에피소드가 되었다.[2]

1973년, 28세의 나이로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물리학 분야 철학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 같은 해, 그는 뛰어난 강의 능력을 인정받아 '우수 강의 조교상'(Graduate Assistant Award for Excellence in Teaching)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3]

2. 2. 학문적 경력

1973년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해 '우수 교육 대학원 조교상'(Graduate Assistant Award for Excellence in Teaching)을 수상했다. 1975년 코네티컷 대학교의 조교수로 임명되었고, 1980년 부교수로 승진했으며 1987년 정교수가 되었다.[5] 그는 여러 연구비를 지원받았고, 다수의 학문적 영예와 훈장을 받았다.[5]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블랙홀, 일반 상대성 이론, 양자 우주론, 상대론적 천체물리학, 시간 여행 등이다.[6] 2024년 현재, 그는 코네티컷 대학교 물리학과의 명예 교수이다.[7]

3. 시간 여행 연구

로널드 몰렛은 미국물리학자이자 코네티컷 대학교의 명예 교수로, 특히 시간 여행에 대한 이론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연구는 주로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기반하며, 에너지를 이용하여 시공간을 왜곡시켜 과거로의 여행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4][15][16]

몰렛은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E=mc²eng)에 착안하여, 거대한 질량뿐만 아니라 강력한 에너지, 특히 고리 레이저를 통해 생성된 순환하는 빛 에너지가 중력장을 만들고 시공간을 왜곡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방식으로 관성틀 끌림 현상을 넘어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닫힌 시간꼴 곡선(Closed Timelike Curve, CTC)을 생성할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9][10]

그는 자신의 이론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탁상용 크기의 실험 장치를 구상했으며, 아원자 입자의 수명 변화를 관측하여 시간 왜곡 효과를 간접적으로 증명하려 했다. 몰렛의 연구와 개인적인 이야기는 Time Traveler: A Scientist's Personal Mission to Make Time Travel a Realityeng라는 책으로 출판되었고, 영화 감독 스파이크 리가 영화화 판권을 획득하기도 했다.[11][12][13]

하지만 몰렛의 이론은 켄 올럼, 앨런 에버렛, J. 리처드 고트 등 다른 물리학자들로부터 특이점 문제, 비현실적인 에너지 요구량, 스티븐 호킹의 연대기 보호 가설과의 충돌 가능성 등 여러 비판을 받기도 했다.[17][21][23] 몰렛 자신도 연구가 초기 단계임을 인정하며, 시간 여행의 실험적 증명 가능성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22]

3. 1. 기반 이론

로널드 몰렛의 시간 여행 연구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다. 그는 아인슈타인이 밝힌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에 착안하여, 거대한 질량뿐만 아니라 강력한 에너지 역시 시공간을 왜곡시켜 중력장을 생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몰렛은 고리 레이저를 이용하여 시공간을 조작함으로써 시간 여행이 가능할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몰렛은 단일 방향으로 순환하는 광선이 만들어내는 중력장을 분석했다. 그는 약한 중력장 조건에서는 고리 레이저 내부에 놓인 회전하는 중성 입자가 관성틀 끌림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측했다.[9] 더 나아가, 충분히 강력한 에너지를 가진 순환 레이저는 관성틀 끌림을 넘어, 과거로의 시간 여행 가능성을 시사하는 닫힌 시간꼴 곡선(Closed Timelike Curve, CTC)을 생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몰렛은 순환하는 빛 기둥의 강한 중력장에 대한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의 새로운 해를 찾았으며, 이 해가 외부 중력장에서 CTC의 존재를 포함한다고 설명하며 자신의 타임 머신 설계의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10]

3. 1. 1.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로널드 몰렛의 시간 여행 연구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큰 물체는 마치 매트리스 위의 볼링공처럼 주변의 시공간을 휘게 만든다. 이 때문에 시간은 중력이 강한 곳, 예를 들어 지구 표면 근처에서 우주 공간보다 더 느리게 흐른다.

아인슈타인은 또한 시간의 흐름이 물체의 운동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밝혔다. 이 현상은 1975년 캐롤 알리비(Carrol Alleyby) 교수가 원자 시계를 제트기에 싣고 지구를 도는 실험을 통해 실제로 증명되었다. 비행 중인 시계는 지상에 고정된 시계보다 아주 미세하게 느리게 갔으며, 착륙 후에도 그 차이는 유지되었다. 이는 운동 상태에 따라 시간 경험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아인슈타인은 질량과 에너지가 본질적으로 같다는 것(E=mc²)을 밝혔는데, 몰렛은 이 점에 착안했다. 그는 거대한 질량뿐만 아니라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것이라면 무엇이든 시공간을 왜곡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막대한 질량 대신 강력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시공간을 휘게 함으로써 시간 여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몰렛이 구상한 타임머신은 고리 레이저를 핵심 기술로 사용한다. 이 장치는 두 개의 강력한 레이저 광선 고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빛의 속도를 점차 늦추면서 동시에 광선의 세기를 높이면, 회전하는 빛 에너지가 주변의 시공간을 끌어당기며 왜곡시키는 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예측했다. 몰렛의 이론에 따르면, 이렇게 왜곡된 시공간 속에서 특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 과거로 갈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이론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책상 위에 놓을 수 있는 크기의 실험 장치를 설계하고 있다. 이 장치는 거울 배열을 이용해 회전하는 광선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몰렛은 수명이 매우 짧은 특정 아원자 입자들을 이 회전하는 광선 근처에 두어 입자들의 수명이 연장되는지를 관측함으로써, 시간 왜곡 효과를 간접적으로 증명하고자 한다. 만약 입자들의 수명이 길어진다면, 이는 입자들이 미래로 향하는 시간 고리를 통과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몰렛은 커피잔 속 커피(빈 공간)를 스푼(회전 광선)으로 휘저을 때 각설탕(아원자 입자)이 휘말려 움직이는 것에 비유하며, 공간의 왜곡이 시간의 왜곡으로 이어져 시간 여행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한다.

몰렛은 자신의 고리 레이저 설계가 실제로 측정 가능한 수준의 관성계 끌림(frame-dragging, 회전하는 질량이나 에너지가 주변 시공간을 함께 끌고 도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여러 학술 논문을 통해 이를 뒷받침하려 했다.[9] 그는 특히 회전하는 단일 방향 광선이 약한 중력장과 강한 중력장을 모두 생성할 수 있으며, 약한 중력장 내에서는 회전하는 중성 입자가 끌려갈 것이라고 예측했다.[24] 또한, 고리 레이저의 전자기 복사 에너지로 발생된 중력장이 전자기파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는 패러데이 효과 관찰을 통해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25]

더 나아가, 몰렛은 충분한 에너지의 순환 광선이 만드는 강한 중력장에 대한 아인슈타인 중력장 방정식의 새로운 해를 찾았다고 주장했다. 이 해에 따르면, 광선 외부의 중력장은 닫힌 시간꼴 곡선(Closed Timelike Curve, CTC)을 포함하며, 이는 과거로의 시간 여행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것이 순환하는 광선을 이용한 타임머신 제작의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10][26]

몰렛의 연구와 개인적인 이야기는 작가 브루스 헨더슨과 공동 집필한 책 Time Traveler: A Scientist's Personal Mission to Make Time Travel a Realityeng에 담겨 2006년 출판되었다. 2008년에는 영화 감독 스파이크 리가 이 책의 영화화 판권을 획득했다고 발표했으나,[11][12] 영화 제작은 완료되지 않았다.[13]

2006년 당시 몰렛은 순환하는 빛을 이용한 시간 여행의 가능성이 향후 10년 안에 실험적으로 검증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14] 그는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해 시공간을 왜곡시키는 순환 광선 생성 장치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기도 했다.[15][16]

3. 1. 2. 다중 우주론

다중 우주론(多重宇宙論)은 우주가 여러 가지 일어나는 일들과 조건에 의해 갈래가 나뉘어, 서로 다른 일이 일어나는 우주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는 이론이다. 평행우주론(平行宇宙論)이라고도 부른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사는 우주 외에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수많은 우주가 존재하며 각기 다른 역사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다중 우주론은 시간 여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역설(타임 패러독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과거로 돌아가 어떤 사건에 영향을 미치더라도, 그 영향은 새로운 평행 우주를 만들어낼 뿐 원래 우주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타임 머신과 같은 장치를 통한 시간 여행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우리 우주에 영향을 주지 않고 평행하게 진행되는 다른 우주를 관측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관측할 수 없는 것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다중 우주론이 물리학적으로 타당한지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3. 2. 타임머신의 원리

로널드 몰렛이 제안한 타임머신은 아인슈타인상대성이론에 기반하며 고리 레이저를 핵심 기술로 사용한다. 이 설계에서 두 개의 광선 고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빛의 속도를 늦추면서 동시에 광선의 강도를 높이면 시공간의 왜곡이 발생한다고 본다. 몰렛의 이론에 따르면, 이렇게 회전하는 빛에 의해 공간과 시간이 왜곡되어 시간 역시 공간처럼 하나의 차원이 되며, 이 왜곡된 차원의 고리 속으로 들어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면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

몰렛은 이러한 시간 왜곡 고리가 실현 가능하다면, 이를 활용한 실용적인 탁상용 크기의 장치를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는 거울 배열을 통해 공간을 왜곡할 수 있는 회전하는 광선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론의 검증 방법으로는 수명이 매우 짧은 특정 원자 구성입자를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입자들을 회전하는 광선 근처에 두었을 때, 시간 왜곡의 영향으로 입자의 수명이 더 길어지는 현상이 관찰된다면 시간 고리의 존재를 실험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커피잔과 스푼 비유를 사용했다. 커피(빈 공간)에 담긴 각설탕(원자 구성입자)이 회전하는 스푼(광선)에 의해 휘저어지는 것처럼, 왜곡된 공간 속에서 입자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처럼, 공간에 가해진 변화는 시간에 영향을 미치므로, 공간 왜곡을 통해 이론적으로 시간 여행도 가능해진다고 설명한다.

몰렛의 시간 여행 기계 계획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의 맥락에서 고리 레이저가 가지는 특성에 기반한다. 그는 고리 레이저가 실험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준의 약한 관성틀 끌림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고 처음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9]

: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물질과 에너지는 모두 중력장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빛의 에너지도 중력장을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제 현재 연구는 단일의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단방향 광선에 의해 생성되는 약한 및 강한 중력장을 모두 고려합니다. 단방향 고리 레이저의 약한 중력장에서는 회전하는 중성 입자를 고리 안에 놓으면 결과 중력장에 의해 끌려갈 것으로 예측됩니다."

더 나아가, 몰렛은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순환 레이저는 관성틀 끌림뿐만 아니라,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가능하게 하는 닫힌 시간꼴 곡선 (CTC)까지 생성할 수 있다고 후속 논문에서 주장했다:[10]

: 순환하는 빛의 원통의 강한 중력장에 대해, 저는 광선 원통의 외부 및 내부 중력장에 대한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의 새로운 정확한 해를 발견했습니다. 외부 중력장은 닫힌 시간꼴 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닫힌 시간꼴 선의 존재는 과거로의 시간 여행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순환하는 빛의 원통을 기반으로 한 시간 여행 기계의 토대를 만듭니다.

2006년, 몰렛은 순환하는 빛의 빔을 이용한 시간 여행의 가능성이 향후 10년 안에 검증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일반 상대성 이론을 통해 입증하려 했으며[14], 레이저를 사용하여 시공간을 비트는 순환 광선을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하는 관련 방정식들을 제시했다.[15][16]

3. 3. 관련 논문

로널드 몰렛은 고리 레이저가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준의 관성틀 끌림(frame-dragging, 질량이 큰 회전체가 주변 시공간을 끌고 회전시키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9] 그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라 물질뿐만 아니라 에너지도 중력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빛의 에너지 역시 중력장을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몰렛은 단일 방향으로 계속 순환하는 빛(고리 레이저)이 약한 중력장과 강한 중력장을 모두 생성할 수 있으며, 약한 중력장 내에서는 회전하는 중성 입자가 고리 안에 놓일 경우 그 중력장에 의해 끌려갈 것이라고 예측했다.[24] 이 연구는 2000년 ''피직스 레터 A''에 발표되었다.

: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큰 물체와 에너지는 중력장을 발생시킨다. 이는 광선의 에너지도 중력장을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나의 진행 중인 연구에 따르면 각각의 약하고 강한 중력장들은 회전하는 단일방향의 광선을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고 본다. 고리 안의 회전하는 중립자로 생각되는 물체는 일방향 고리 레이저의 약한 중력장 내에서 발생한 중력장에 의해 끌려나온다."
[로널드 몰렛, ''"고리 레이저의 전자기적 순환의 약한 중력장"'', Phys. Lett. A 269, 214 (2000)][24]

이후 몰렛은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순환 레이저가 관성틀 끌림뿐만 아니라,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가능하게 하는 닫힌 시간꼴 곡선(Closed Timelike Curve, CTC)까지 생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0] 그는 2003년 ''파운데이션스 오브 피직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회전하는 빛의 원통(순환하는 광선)이 만드는 강한 중력장에 대한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새로운 해를 찾았다고 밝혔다. 이 해에 따르면, 광선 원통 외부의 중력장은 닫힌 시간꼴 곡선을 포함하며, 이는 과거로의 시간 여행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순환하는 빛의 원통을 기반으로 한 타임머신의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 "나는 회전하는 광선의 강한 중력장으로부터 아인슈타인 중력장방정식(광선에서 발생한 내외부의 중력장 방정식)의 새로운 정확한 해답을 찾았다. 외부 중력장은 시간과 근접한 어떤 선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시간과 비슷한 선들의 존재는 과거로의 시간여행의 가능성을 말해준다. 이는 회전하는 광선을 이용한 타임머신을 만드는데 유용할 것이다."
[로널드 몰렛, ''"회전하는 광선에 대한 중력장"'', Foundations of Physics 33, 1307 (2003)][26]

또한 몰렛은 2007년 ''파운데이션스 오브 피직스''에 발표한 다른 논문에서, 아인슈타인 중력장 방정식과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하여 전자기파가 고리 레이저의 복사 에너지로 인해 생성된 중력장에 의해 회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실험을 통해 고리 레이저가 유도하는 패러데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 "아인슈타인 중력장 방정식과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하면 전자기파가 고리 레이저의 전자 복사에너지로 발생된 중력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실험으로 고리레이저가 유도한 패러데이 효과를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로널드 몰렛, ''"고리 레이저에 의해 발생된 중력에 대한 패러데이 효과"'', Found. Phys. 37, 723 (2007)][25]

3. 4. 비판 및 논쟁

켄 올럼과 앨런 에버렛은 2005년 논문[17]에서 몰렛의 분석에 몇 가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첫째, 그들은 몰렛이 분석에 사용한 시공간 모델이 레이저 전원이 꺼져 있을 때조차 특이점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는 빈 공간에서 순환하는 레이저가 활성화될 때 자연스럽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현상이다. 몰렛은 이에 대해 직접적인 답변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그의 저서 《시간 여행자》에서 빛의 경로를 휘게 하는 광섬유나 포토닉 결정을 직접 모델링할 수 없었기 때문에, 빛이 직선으로 이동하는 대신 순환하도록 만드는 "선형 광원"(일종의 1차원 특이점)을 포함시켰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 선형 광원이 "기하학적 제약" 역할을 하여 빛이 나선형 경로를 따라 진공 속에서 순환하도록 시공간을 왜곡시킨다고 설명했다.[18] 몰렛은 선형 광원과 순환하는 빛이 모두 있는 시공간에는 닫힌 시간꼴 곡선(CTC)이 존재하지만, 선형 광원만 있는 시공간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시간의 닫힌 루프는 움직이지 않는 선형 광원이 아니라 빛의 순환 흐름에 의해 생성되었다"고 주장했다.[19] 그러나 그는 선형 광원 없이, 물리적 매질(예: 포토닉 결정)을 통과하여 빛이 순환하는 다른 시공간에서도 CTC가 나타날 것이라는 추가적인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참고로, 티플러 실린더와 같이 CTC를 생성하는 무한 실린더에 대한 이전 해법들은 빛의 순환이 아닌 실린더 자체의 회전으로 인해 CTC가 발생한다.

둘째, 올럼과 에버렛은 설령 몰렛이 선택한 시공간 모델이 정확하다고 하더라도, 시공간을 충분히 왜곡시켜 CTC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비현실적으로 막대하며, 현재 기술 수준의 레이저로는 고리의 둘레가 관측 가능한 우주보다 훨씬 커야 한다고 지적했다. 몰렛은 한때 진공에서의 에너지 요구량이 비현실적이라는 점에 동의하면서도, 빛이 매질을 통과하며 속도가 느려지면 필요한 에너지가 줄어든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레네 호의 실험처럼 빛이 초유동체를 통과하며 초당 약 17m까지 느려진다면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20]

그러나 물리학자 J. 리처드 고트는 이러한 주장을 비판했다. 그는 매질 속에서 빛의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일반 상대성 이론 방정식의 상수 ''c''(진공에서의 광속) 값을 낮추는 것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고트는 "빈 공간에서의 광속은 상수이고, 다른 모든 매질을 통과하는 광속은 엄청나게 다양하다는 것을 구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빛은 빈 공간보다 물을 통과할 때 더 느리게 이동하지만, 이것이 스쿠버 다이빙을 하는 동안 더 천천히 늙거나 물속에서 시공간을 비트는 것이 더 쉽다는 의미는 아니다... 지금까지 수행된 실험은 빈 공간에서의 광속을 낮추지 않으며, 단지 매질에서의 광속만 낮출 뿐이며, 시공간을 비틀기 더 쉽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매질에서 주어진 크기의 블랙홀이나 타임머신을 형성하는 데 드는 질량-에너지는 줄어들지 않아야 한다"고 설명했다.[21] 이후 몰렛은 느린 빛을 이용해 에너지 요구량을 줄이려는 아이디어를 포기했으며, "한동안, 나는 빛을 느리게 하면 고리 레이저의 중력 프레임 드래깅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했다... 그러나 느린 빛은 내 연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지지 않았다"고 그의 저서에서 밝혔다.[22]

마지막으로, 올럼과 에버렛은 스티븐 호킹이 1992년 연대기 보호 가설에 관한 논문에서 증명한 정리를 언급했다.[23] 이 정리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약한 에너지 조건을 만족하는, 즉 이국적인 물질이 없는 유한한 시공간 영역에서는 CTC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보여준다. 몰렛의 원래 해법은 무한한 길이의 선형 광원을 포함했기 때문에 이국적인 물질 없이도 이 정리를 위반하지 않았지만, 올럼과 에버렛은 이 정리가 "이 시공간에 대한 모든 유한 크기의 근사치에서는 CTC 생성을 배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즉,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한 유한한 크기의 장치로는 CTC를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몰렛은 이러한 비판들에 대해 명확한 반박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저서에서 자신의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임을 인정했다.

4. 개인사

로널드 몰렛은 1945년 3월 펜실베이니아 롤링 스프링에서 태어났다. 그가 10살이 되었을 때, 그의 아버지가 33세의 젊은 나이에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H. G. 웰스의 소설 타임 머신을 각색한 만화를 보고 깊은 영감을 받은 몰렛은 과거로 돌아가 아버지에게 금연을 권유하여 생명을 구하는 것을 평생의 목표로 삼게 되었다.

1973년, 몰렛은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같은 해 뛰어난 강의 능력을 인정받아 '대학원 조교상(Graduate Assistant Award for Excellence in Teaching)'을 수상했다. 1975년에는 코네티컷 대학교의 조교수로 임용되어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그는 1980년에 부교수로, 1987년에는 정교수로 승진했다.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일반 상대성 이론, 양자 중력, 그리고 그의 오랜 꿈과 연결된 시간 여행이다. 몰렛은 연구 활동을 위해 여러 차례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2007년에는 그의 시간 여행 연구와 관련된 인생 이야기가 미국의 유명 라디오 프로그램인 디스 아메리칸 라이프 (에피소드 #324)를 통해 소개되기도 했다.

그의 형제는 예술가 키스 몰렛(Keith Mallett)이다.

참조

[1] AV미디어 Dr. Ronald Mallett Builds a Time Machine https://www.youtube.[...] YouTube 2012-07-16
[2] 서적 Time Traveler: A Scientist's Personal Mission to Make Time Travel a Reality https://www.amazon.c[...] Bruce Henderson 2007-11-09
[3] 웹사이트 Biography, Bibliography and Professional Summary of Ronald L. Mallett, Professor, Department of Physics http://www.phys.ucon[...] 2018-07-10
[4] 웹사이트 Ronald Mallett (1945– ) • https://www.blackpas[...] 2023-12-20
[5] 웹사이트 Professional Summary of Ronald L. Mallett http://www.phys.ucon[...] 2018-07-10
[6] 웹사이트 Home Page of Ronald L. Mallett http://www.phys.ucon[...]
[7] 웹사이트 Emeritus faculty https://physics.ucon[...] 2018-11-12
[8] 웹사이트 Tragedy Minus Time Equals Happily Ever After https://www.thisamer[...] 2007-01-26
[9] 학술지 Weak gravitational field of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a ring laser https://web.archive.[...] 2006-05-20
[10] 학술지 The gravitational field of a circulating light beam https://web.archive.[...] 2006-05-20
[11] 웹사이트 Time Traveler: A Spike Lee Film http://www.phys.ucon[...]
[12] 웹사이트 Spike Lee's Time Traveler – /Film http://www.slashfilm[...]
[13] 웹사이트 Meet the scientist trying to travel back in time https://www.cnn.com/[...] 2023-06-21
[14] 웹사이트 Professor predicts human time travel this century http://www.physorg.c[...] 2018-07-10
[15] 웹사이트 The scientist trying to travel back in time https://www.cnn.com/[...] 2020-01-03
[16] 뉴스 Astrophysicist Says He Knows How to Build a Time Machine - But his peers are far from convinced that it'll work. https://futurism.com[...] Futurism.om 2020-01-03
[17] 학술지 Can a circulating light beam produce a time machine?
[18] 서적 Time Traveler: A Scientist's Personal Mission to Make Time Travel a Reality https://archive.org/[...] Thunder's Mouth Press
[19] 서적 Time Traveler: A Scientist's Personal Mission to Make Time Travel a Reality https://archive.org/[...] Thunder's Mouth Press
[20] 웹사이트 Getting In A Twist Over Time http://www.spacedail[...] Space Media Network 2006-12-19
[21] 웹사이트 "...they can't come to us..," Carl Sagan https://web.archive.[...] 2006-12-19
[22] 서적 Time Traveler: A Scientist's Personal Mission to Make Time Travel a Reality https://archive.org/[...] Thunder's Mouth Press
[23] 학술지 Chronology protection conjecture http://link.aps.org/[...]
[24] 문서 로널드 몰렛, 고리 레이저의 전자기적 순환의 약한 중력장(2000).pdf http://www.phys.ucon[...]
[25] 문서 로널드 몰렛, 고리 레이저에 의해 발생된 중력에 대한 패러데이 효과(2007).pdf http://www.phys.ucon[...]
[26] 문서 로널드 몰렛, 회전하는 광선에 대한 중력장(2003). pdf http://www.phys.uc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