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라드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라드파는 14세기 후반 존 위클리프의 가르침을 따르던 사람들을 경멸적으로 부르던 명칭으로,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고 교회의 부패를 비판했다. 이들은 성찬의 화체설을 부인하고, 세례와 고해성사가 구원에 필수적이라고 보지 않았으며, 만인사제설을 주장했다. 1395년 롤라드파는 12개 결론을 통해 자신들의 신념을 의회에 청원했고, 이는 롤라드파의 기본적인 사상을 보여준다. 위클리프의 가르침은 롤라드 부흥운동을 촉진시켰으나, 농민 반란 연루 및 1401년 이단자 화형법 제정 등으로 인해 심한 박해를 받았다. 15세기 이후에는 지하에서 활동하며 프로테스탄티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16세기 종교 개혁 시기에 프로테스탄트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롤라드파 - 존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14세기 영국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성경의 최고 권위를 주장하여 개신교 탄생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 롤라드파 - 존 볼 (사제)
존 볼은 14세기 잉글랜드의 사제이자 급진적인 설교가로,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며 떠돌이 설교자로 활동했고, 와트 타일러의 난 당시 설교로 유명했으며, 반란 후 처형되어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잉글랜드의 종교 개혁 - 존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14세기 영국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성경의 최고 권위를 주장하여 개신교 탄생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 잉글랜드의 종교 개혁 - 킹 제임스 성경
킹 제임스 성경(KJV)은 1611년 제임스 1세의 명령으로 47명의 학자들이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을 바탕으로 번역하여 영국 성공회의 공식 성경이 되었으며, 고풍스러운 문체와 웅장한 어휘로 영어 문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원문 선택과 번역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1769년 옥스퍼드판이 표준 본문으로 자리 잡았다. - 잉글랜드의 기독교사 - 두에-랭스 성경
두에-랭스 성경은 16세기 잉글랜드 종교 개혁 이후 가톨릭 신자들을 위해 프랑스 랭스와 두에 대학교에서 출판된 영어 번역 성경으로, 불가타 성경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킹 제임스 성경에도 영향을 미쳤고, 18세기 리처드 챌로너 주교에 의해 개정되어 20세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 잉글랜드의 기독교사 - 토머스 베켓
12세기 잉글랜드의 성직자이자 캔터베리 대주교였던 토머스 베켓은 헨리 2세의 총애를 받아 대법관까지 지냈으나, 대주교 임명 후 교회의 권리 옹호로 왕과 대립, 암살당해 순교자로 시성되어 숭배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후대 예술과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롤라드파 | |
---|---|
개요 | |
유형 | 기독교 개혁 운동 |
기원 | 14세기 후반 잉글랜드 |
창시자 | 존 위클리프 |
주요 인물 | 존 위클리프 |
역사 | |
발달 | 존 위클리프의 가르침에서 비롯됨 |
종교 개혁과의 관계 | 롤라드파의 사상은 후대의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침 |
신학적 특징 | |
성경 중심주의 | 성경을 신앙의 유일한 권위로 강조 |
성사 비판 | 당시 교회의 성사(성례)에 대한 비판적 태도 견지 |
평신도 중심주의 | 평신도의 역할과 권한을 강조 |
사회적 영향 | |
번역 성경 보급 | 영어로 번역된 성경을 보급하여 일반 신도들의 성경 접근성을 높임 |
사회 비판 | 당시 사회의 부패와 권력 남용을 비판 |
용어 | |
다른 이름 | 롤라드주의, 롤라드 운동 |
2. 용어의 기원
'롤라드(Lollard)'라는 용어는 존 위클리프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들을 경멸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헨리 크럼프가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기원은 확실하지 않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중세 네덜란드어 'lollaerd'(중얼거리는 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가장 크며, 이는 'lollen'(중얼거리다)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이 표현은 처음에는 프란치스칸과 위클리프 추종자들에게 적용되었다. 15세기 중엽까지 "lollard"는 일반적으로 이단으로 간주되었다.[2]
롤라드파는 성찬에서 그리스도의 실재를 인정했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가 주장하는 화체설은 부인했다. 이들은 성찬의 빵과 포도주가 성별 후에도 여전히 빵과 포도주로 남아 있다고 믿었다.[7][8] 1401년, 사제 윌리엄 소트리는 성별 후에도 "빵은 이전과 같은 성질로 남아 있다"고 설교하여 화형당했다.[12] 1517년의 한 롤라드파 신도는 "어떤 어리석은 자들은 좋은 주님을 보기 위해 교회에 오지만, 거기서 빵과 포도주 외에 무엇을 보겠는가?"라고 말하며 롤라드파의 입장을 요약했다.[12]
다른 어원으로는 라틴어 'lolium'(가라지)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왈덴스파 신앙으로 개종한 '롤하르트(Lolhard)'라는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4] 롤하르트는 쾰른에서 화형당했다.[5]
3. 롤라드파의 신념
15세기 중반, 리처드 와이치는 화체설에 대한 질문에 "나는 성체가 빵의 형태로 그리스도의 실제 몸이라고 믿는다"라고 답하며, "성경이 말하는 것 이외의 것을 믿을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다.[13]
롤라드파는 만인사제설을 믿었고, 사제의 고해성사 필요성을 부정했다. 성직자 독신제를 반대하고, 성직자가 세속적인 직책을 맡는 것을 비판했다. 또한 성상 숭배를 우상 숭배로 간주하고, 성인 숭배, 죽은 자를 위한 기도, 성지 순례 등을 비판했다. 롤라드파는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고, 영어 성경 번역과 보급을 중요하게 여겼다.
3. 1. 12가지 결론
롤라드파는 1395년 의회에 12가지 결론을 제출하여 자신들의 신념을 밝혔다. 이 문서의 네 번째 항목은 성찬에 대한 롤라드파의 가르침을 담고 있다.[15] 롤라드파는 만인사제설을 믿었으며, 교회가 사제 서품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에 반대했다. 또한 사제의 특별한 지위를 부정하며, 죄를 용서할 능력이 없다고 보았기 때문에 사제에게 고해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16] 롤라드파는 성직자 독신제에 반대했으며, 사제가 정부 직책을 맡는 것은 영적 사명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கூடாது고 믿었다.
또한 롤라드파는 성인에게 기도하고 그들의 이미지를 존중하는 것을 우상 숭배로 간주했다. 맹세, 금식, 죽은 자를 위한 기도 등은 성경적 근거가 없다고 보았다. 성수, 종, 오르간, 교회 건물 등 가톨릭 교회의 허례허식에 부정적이었으며, 교황의 면죄부 가치를 인정하지 않았다.[18]
4. 역사
롤라드파(Lollard)는 14세기 말 존 위클리프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경멸적인 별명이었다. 이들은 영어로 성경을 번역하고, 부패한 교회를 비판하며 개혁을 부르짖었다. '롤라드'라는 명칭은 중세 네덜란드어 동사 'lollen(중얼거리다)'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0]
위클리프는 초기 교회의 성서적 유산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교회는 그의 가르침을 이단으로 정죄했다. 그럼에도 위클리프의 제자들은 1382년 신구약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여 1000년 동안 라틴어 성경만을 허용했던 가톨릭 교회의 전통을 깨뜨렸다.
위클리프는 '가난한 사제들'이라고 불린 순회 설교자들을 조직하여 영국 전역에 복음을 전파했다. 이들은 기성 교회로부터 '롤라드'라고 불리며 심한 박해를 받았다. 1382년 니콜라스 히어포드가 영어로 첫 설교를 한 것을 계기로, 롤라드 부흥 운동은 15세기 초까지 영국인 두 명 중 한 명이 영향을 받을 정도로 확산되었다.[40] 존 위클리프는 종교 개혁의 새벽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위클리프를 정죄했고, 1382년 공의회는 그의 교리 24개 항목을 이단 또는 오류로 판결했다. 위클리프는 1384년 사망했지만, 그의 사후에도 교황은 칙명을 내려 그의 유해를 화형에 처하고 재를 강에 뿌리게 했다. 그러나 롤라드 운동은 계속 확산되어 유럽 대륙까지 영향을 미쳤다. 1523년 에라스무스는 롤라드 운동을 '정복되었으나 소멸되지 않는' 부흥 운동이라고 평가했다.[40]
롤라드파는 1381년 농민 반란 이후 심각한 박해에 직면했다. 1401년에는 ''화형에 처하는 것에 관한 법령''이 제정되어 이단이 정치적 반란과 동일시되었다. 1410년 존 배드비가 화형당한 것을 시작으로 많은 롤라드파가 순교했다. 존 올드캐슬의 반란(1413년) 이후 박해는 더욱 심해졌다.
15세기 이후 롤라드파는 지하로 숨어 비밀리에 활동을 이어갔다. 16세기 종교 개혁 시기에는 프로테스탄티즘 운동에 흡수되거나 영향을 주었다. 토마스 모어 등은 프로테스탄트를 롤라드파와 동일시했고, 토마스 크랜머 등 영국 종교 개혁 지도자들도 롤라드파를 언급했다. 16세기 초 암어샴 순교자들과 1532년 토마스 하딩 등 마지막 롤라드파 박해 대상자들이 있었다. 가톨릭 메리 1세 통치 기간(1554~1559년)에는 이단 법률 부활로 롤라드파가 다시 박해받았다.
롤라드파와 후대 영국 프로테스탄트 그룹(침례파, 청교도, 퀘이커교 등) 사이의 유사성은 롤라드파 사상이 종교 개혁을 통해 계승되었음을 보여준다.[37]
4. 1. 초기 롤라드파와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신학자이자 성직자로, 교회의 권위와 부패를 비판하고 성경의 권위를 강조했다. 위클리프는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주도했으며, 이는 롤라드파 운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위클리프의 가르침은 롤라드파 운동을 촉진시켰고, 15세기 초에는 많은 영국인들이 그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았다.[40] 위클리프는 교황과 교회로부터 이단으로 정죄받았지만, 그의 사상은 롤라드파를 통해 계속 이어졌다.[40]위클리프는 영국 대학가와 교계를 향해 초기 교회의 성서적인 유산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여러 해 동안 강조했다. 그러나 교회는 그의 가르침이 이단적이며 잘못되었다고 정죄했다. 위클리프 이전에는 가톨릭 교회는 성경을 라틴어로만 읽게 했으나 1382년 위클리프의 제자들은 가톨릭 교회와의 오랜 전통을 끊어버리고 신구약 성경을 영어로 번역했다. 이는 1천년 동안의 전통을 깨고 유럽의 언어로 성경이 완역된 첫 사례였다.
위클리프는 순회 설교자들을 조직하여 영국 국민들에게 직접 가르쳤다.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교회 문에 95개 조항을 붙이기 2세기 이전에 위클리프를 따르는 ‘가난한 사제들’은 영국 전역의 마을을 돌면서 영어로 설교했으며, 부패한 교회의 개혁을 부르짖었다. 롤라드 부흥운동은 기성교회로부터 심한 박해를 받았다.
1382년 그리스도의 승천 날에 영어로 첫 설교를 한 ‘롤라드’는 니콜라스 히어포드였는데, 이것은 영국 전역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보통 사람들에게 전하는 계기가 됐다. 역사가들은 위클리프를 ‘종교 개혁의 아침 별’이라고 불렀다.
기성 교회는 이들 ‘가난한 사제들’을 ‘롤라드들’(Lollards)이라고 불렀다. ‘롤라드’ 부흥운동은 위클리프가 죽기 2년 전에 시작됐다.
위클리프는 교회의 부패를 공개적으로 비판했으며, 성경만이 모든 교리와 실천을 위한 궁극적인 권위라고 말했다. 교황도 성경의 가르침과 다른 말을 할 때는 믿어선 안된다고 함으로써 기성교회와 다른 입장을 취했다.
교황 그레고리 9세는 위클리프를 정죄했으며, 1382년에 켄터베리 주교의 지휘 아래 공의회는 위클리프의 교리 24개 항목을 정죄했는데 10개항은 이단으로, 14개항은 잘못된 것으로 판결했다.
위클리프는 1384년 12월 31일 중풍으로 세상을 떠났다. 위클리프가 죽은 다음 44년이 지난 후에 교황은 칙명을 내려 위클리프의 사체를 발굴하여 이단으로 화형에 처하게 했으며, 그의 재를 자신이 목회하던 루터워스를 지나는 스위프트 강에 뿌리게 했다. 이것은 그에 대한 명예살인을 의미하는 것이다. 위클리프의 재가 강을 따라 바다로 흘러감과 동시에 그가 조직한 ‘가난한 사제들’(롤라드 부흥운동)의 복음은 영국을 넘어 유럽 대륙으로 계속 전달됐으며, 성도들의 운동으로 점차 확대되어 갔다.[40]
초기 롤라드파는 주로 옥스퍼드 대학교 머튼 칼리지의 소규모 학자 집단이었으며, 그중 일부는 중요한 지위에 있었다. 그들은 1360년대와 1370년대에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았다. 위클리프가 사망한 후, 그들은 모두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쿠르트네이에게 항복하여 위클리프의 논쟁적인 교리들을 포기했고, 장기적인 결과를 겪은 사람은 없었다.[25] 특히 니콜라스 헤러퍼드는 위클리프 성경(Wycliffe's Bible) 즉, 중세 영어 성경(Wycliffe's Bible|Middle English Bible)의 구약 대부분을 번역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4. 2. 롤라드파의 확산과 박해
존 위클리프는 순회 설교자들을 조직하여 영국 국민들에게 직접 가르쳤다.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교회 문에 95개 조항을 붙이기 2세기 이전에 위클리프를 따르는 ‘가난한 사제들’은 영국 전역의 마을을 돌면서 영어로 설교했으며, 부패한 교회의 개혁을 부르짖었다. 롤라드 부흥운동은 기성 교회로부터 심한 박해를 받았다.[40] 1382년 그리스도의 승천 날에 영어로 첫 설교를 한 ‘롤라드’는 니콜라스 히어포드였는데, 이것은 영국 전역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보통 사람들에게 전하는 계기가 됐다. 역사가들은 위클리프를 ‘종교 개혁의 아침 별’이라고 불렀다.[40]기성 교회는 이들 ‘가난한 사제들’을 ‘롤라드’(Lollards)라고 불렀다.[40] 롤라드 부흥운동은 위클리프가 죽기 2년 전에 시작됐다. 위클리프의 가르침은 롤라드 부흥운동을 촉진시켜 다음 세대로 이어졌으며, 15세기 초에는 영국인 두 명 중 한 명은 그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았다.[40] 1523년에 네덜란드의 신학자 에라스무스(Erasmus, 1466-1536)는 롤라드 운동을 ‘정복되었으나 소멸되지 않는’ 부흥운동이라고 했다.[40]
1395년 2월, 한 무리의 롤라드파가 웨스트민스터 홀 문에 롤라드파의 12개 결론을 게시하여 의회에 청원을 제출했다. 이는 롤라드파의 중심적인 신앙 진술은 아니었지만, 12개 결론은 롤라드파의 기본적인 사상을 보여준다.
결론 | 내용 |
---|---|
첫 번째 결론 | 교회 지도자들의 세속적 부 축적을 거부. 부를 축적하는 것은 그들을 종교적 관심사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탐욕으로 이끈다. |
네 번째 결론 | 성체성사가 성경에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은 논쟁적인 교리라는 롤라드파의 견해. 빵이 빵으로 남아 있는지, 아니면 그리스도의 몸이 되는지는 복음서에서 일관되게 명시되어 있지 않다. |
여섯 번째 결론 | 교회 내 권력을 가진 교회 관리들은 세속적인 문제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 이는 영적인 문제와 국가의 문제 사이의 이해 상충을 구성하기 때문. |
여덟 번째 결론 | 그리스도의 고난을 묘사한 이미지에 대한 숭배가 롤라드파의 시각에서 얼마나 우스꽝스러운지를 지적. "그리스도의 십자가, 못, 창, 가시관이 존중되어야 한다면, 유다의 입술도 존중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만약 그것을 찾을 수 있다면 말입니다." |
열한 번째 결론 | 미혼 여성은 자신의 욕정을 억제할 수 없어 임신하고 낙태를 저지를 수 있기 때문에 여성의 종교 서원이 안전하지 않다. |
기타 | 값비싼 교회 미술품은 과도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빈곤층을 돕고 설교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믿었다. 이콘 또한 위험한 것으로 여겨졌는데,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을 숭배하는 것보다 이콘을 더 열렬히 숭배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 |
롤라드파는 가톨릭 교회의 금식과 절제를 지키지 않았다. 마저리 벡스터에 대한 이단 재판에서, 하인 소녀가 사순절 첫 번째 토요일에 오트밀 냄비에서 베이컨을 발견했다는 것이 증거로 제시되었다. 식단 제한을 지키지 않은 것은 토마스 모네에 대한 또 다른 노퍽 사건에서 이단의 증거로 사용되었는데, 고기 섭취가 금지된 부활절 저녁 식사에 돼지 새끼를 먹었다는 주장이 있었다.[20] 특별 서원은 그리스도에 의해 확립된 신성한 질서와 상충하는 것으로 간주되었고 파문으로 여겨졌다.[21] 일부 롤라드파는 일요일에 일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믿었다.[27]
롤라드파는 1381년 농민 반란 이후 처음으로 심각한 박해에 직면했다. 위클리프와 다른 롤라드파는 반란에 반대했지만, 농민 지도자 중 한 명인 존 볼은 롤라드파의 주장을 설파했다. 1382년 이전에는 위클리프파의 신앙은 주교에 대한 왕권의 우월성을 지지했기 때문에 정부에서 관용되었다. 그러나 정부와 왕족은 종교 권력을 비판하는 것을 신하들에게 장려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주저했다.[19]
1382년 이후 왕족과 귀족들은 롤라드파가 교회뿐만 아니라 영국 사회 전체에 위협이 된다고 여기게 되었다. 롤라드파가 누렸던 적은 보호마저 사라졌다. 이러한 지위 변화에는 존 오브 곤트(랭커스터 공작, 존 위클리프의 보호자)가 1386년에 카스티야 왕위를 계승하기 위해 잉글랜드를 떠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리처드 2세(Richard II, 1377~1399년) 통치 기간 동안 활동했던 귀족 집단은 위클리프의 주장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생전 또는 사후에 "롤라드 기사단(Lollard Knights)"으로 알려졌다. 헨리 나이튼(Henry Knighton)의 연대기에는 주요 롤라드 기사단으로 토마스 레이티머(Thomas Latimer), 존 트러셀(John Trussell), 루이스 클리포드(Lewis Clifford), 존 페체 경(Sir John Peche, 웜리턴(Wormleighton)의 존 페체(John Peche)의 아들), 리처드 스토리(Richard Storey), 레지널드 힐턴(Reginald Hilton)을 지목하고 있다. 토마스 월싱엄(Thomas Walsingham)의 연대기에는 윌리엄 네빌(William Nevil)과 존 클랜보(John Clanvowe)를 추가하고 있으며, 유언장에 롤라드 사상에서 영감을 받은 내용(자신의 시신을 검소하게 매장하고 흙으로 돌아가도록 허락한다는 내용)이 담긴 다른 잠재적 구성원들도 확인되었다.
종교 및 세속 당국은 롤라드파에 강력히 반대했다. 롤라드파의 반란에 대한 궁극적인 대응으로, 잉글랜드의 헨리 4세(Henry IV of England) 재위 시절인 1401년에 ''화형에 처하는 것에 관한 법령''이 제정되었다. 전통적으로 이단은 신학적 신념의 오류로 정의되었지만, 이 법령은 신학적 이단을 정치 지배자에 대한 반란과 동일시했다.[26]
15세기 초, 교회와 국가는 엄격한 조치를 취하여 롤라드파를 지하로 몰아넣었다. 그러한 조치 중 하나는 1410년 평신도이자 장인이었던 존 배드비(John Badby)를 화형에 처한 것이었다. 그는 롤라드파 신앙을 버리기를 거부했고, 영국에서 이단죄로 사형을 당한 최초의 평신도였다.
헨리 5세의 측근이자 헨리 4세 1부의 셰익스피어 역사극에서 폴스타프의 모델이 된 존 올드캐슬(John Oldcastle)은 1413년 그의 롤라드 신앙의 증거가 발견된 후 재판에 회부되었다. 올드캐슬은 런던탑에서 탈출하여 왕 납치를 시도하는 등 반란을 조직했다. 반란은 실패했고 올드캐슬은 처형되었다. 올드캐슬의 반란은 롤라드파를 국가에 더욱 위협적인 존재로 만들었고, 롤라드파에 대한 박해는 더욱 심해졌다.
1428년에는 수천 명의 롤라드파가 "잉글랜드 교회를 파괴할" 의도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는 반란이 미수에 그쳤다.[27] 이는 롤라드파 선교사 윌리엄 화이트(William White)와 관련이 있었다.
4. 3. 15세기 이후의 롤라드파
15세기 이후 롤라드파는 지하로 숨어들어 비밀리에 활동을 이어갔다. 이들은 함께 모여 영어 성경을 읽고 가르치며 자신들의 신념을 지켰다.[28][29][30] 1395년에는 롤라드파의 기본적인 사상을 담은 롤라드파의 12개 결론을 발표하기도 했다.16세기 종교 개혁 시기에 롤라드파는 프로테스탄티즘 운동에 흡수되거나 영향을 주었다.[28][29][30] 토마스 모어와 같은 종교 개혁 비판자들은 프로테스탄트를 롤라드파와 동일시하기도 했다.[32] 토마스 크랜머 대주교를 비롯한 영국 종교 개혁 지도자들도 롤라드파를 언급했으며, 런던 주교였던 컷버트 턴스톨은 루터교를 위클리프파 이단의 "양자"라고 불렀다.[32]
16세기 초, 암어샴 순교자들과 1532년 마지막 롤라드파 박해 대상자 중 한 명인 토마스 하딩을 포함하여 롤라드파 운동을 위해 순교한 사람들이 있었다.[33] 노퍽주 노리치의 '롤라드파의 구덩이'는 롤라드파가 화형당하던 장소였다.[33] 토마스 빌니도 이곳에서 화형당했다.
1510년부터 1532년까지 런던 교구에서 약 310명의 롤라드파가 기소되거나 배교를 강요당했고, 링컨 교구에서는 1506년에서 1507년 사이에 45건의 롤라드파 사건이 심리되었다.[34] 1521년에는 50명이 배교하고 5명이 화형당했으며, 1511년에는 켄트 출신 롤라드파 41명이 배교하고 5명이 화형당했다.[34]
1529년, 사이먼 피시는 연옥 부정과 사제 독신이 적그리스도의 발명품이라는 롤라드파의 가르침을 담은 "거지들을 위한 탄원서"라는 팸플릿을 썼다.[35][36] 가톨릭 메리 1세 통치 기간인 1554년부터 1559년 사이에는 이단 법률 부활로 인해 롤라드파가 다시 박해를 받았다.
롤라드파와 침례파, 청교도, 퀘이커교와 같은 후대 영국 프로테스탄트 그룹 사이의 유사성은 롤라드파의 사상이 종교 개혁을 통해 어느 정도 계승되었음을 보여준다.[37]
5. 한국의 관점
롤라드파의 성경 번역과 평신도 중심의 신앙 운동은 한국 개신교 역사와 비교될 수 있다. 한국 개신교 역시 성경 번역과 보급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평신도 중심의 신앙을 강조했다.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에 저항한 한국 개신교인들의 모습은 롤라드파의 저항 정신과 연결될 수 있다.[23] 다만, 롤라드 운동은 소규모였으며 상류층에는 거의 매력적이지 않았다는 의견도 존재한다.[24]
6. 예술과 문학에서의 묘사
로마 가톨릭교회는 예술을 롤라드파에 대한 무기로 사용했다. 롤라드파는 수도원 의자(misericord)에 수도사나 사제로 변장한 여우가 거위 떼에게 설교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38]
7. 현대적 의의
롤라드파 운동은 종교 개혁 이전 잉글랜드에서 나타난 중요한 종교적, 사회적 운동이었다. 롤라드파는 성경 중심의 신앙과 교회 개혁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역사가들은 존 위클리프를 ‘종교 개혁의 아침 별’이라고 불렀다.[40] 그는 교회의 부패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성경만이 모든 교리와 실천을 위한 궁극적인 권위이며 교황이라도 성경의 가르침과 다른 말을 할 때는 믿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기존 교회와 다른 입장을 보였다.[40]
롤라드파의 저항 정신은 종교적 자유와 신념의 자유를 위한 투쟁의 중요한 역사적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다. 1523년 네덜란드의 신학자 에라스무스는 롤라드 운동을 ‘정복되었으나 소멸되지 않는’ 부흥운동이라고 평가했다.[40]
참조
[1]
서적
Heavy Words Lightly Thrown: The Reason Behind Rhyme
Thorndike Press
[2]
백과사전
Lollards
[3]
백과사전
lallen
http://www.dwds.de/?[...]
2022-11-00
[4]
백과사전
Lollard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Bloody Theater or Martyrs Mirror of the Defenseless Christians
Herald Press
[6]
웹사이트
Who were the post-Wycliffe Lollards, what did they practice and what became of their movement?
https://cameronfreem[...]
[7]
서적
Reading Literature Historically: Drama and Poetry from Chaucer to the Reforma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02-06
[8]
서적
What is a lollard?: dissent and belief in late medieval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9-10
[9]
서적
Signes and Sothe: Language in the Piers Plowman Tradition
Boydell & Brewer
1994-00-00
[10]
서적
The Plowman's Tale: The c. 1532 and 1606 Editions of a Spurious Canterbury Tale
Garland
1997-00-00
[11]
서적
English Medieval Misericords: The Margins of Meaning
https://books.google[...]
The Boydell Press
2011-00-00
[12]
서적
Eternal Values in Mediaeval Life
Saint David's Univ. College
1991-01-01
[13]
학술지
The Letter of Richard Wyche : An Interrogation Narrative
2012-05-00
[14]
서적
A History of the Doctrine of the Holy Eucharist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7-10-01
[15]
서적
An Apology for Lollard Doctrines
https://archive.org/[...]
Printed for the Camden Society, by J. B. Nichols
2018-07-06
[16]
웹사이트
Remonstrance against Romish corruptions in the Church : addressed to the people and parliament of England in 1395, 18 Ric. II., now for the first time published
https://archive.org/[...]
London :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1851-00-00
[17]
웹사이트
Remonstrance against Romish corruptions in the Church : addressed to the people and parliament of England in 1395, 18 Ric. II., now for the first time published
https://archive.org/[...]
London :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1851-00-00
[18]
백과사전
Lollardy - Oxford Reference
1996-00-00
[19]
서적
Early Modern England 1485-1714: A Narrative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9-10-23
[20]
서적
The Culture of Food in England, 1200–15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6-00-00
[21]
학술지
Margery Kempe and Lollardy
https://www.highbeam[...]
1996-01-01
[22]
학술지
Heretical Sects in Pre-Reformation England
https://www.highbeam[...]
1993-05-01
[23]
서적
Historia Anglicana
[24]
학술지
The Lollard Knights
https://www.jstor.or[...]
1913-00-00
[25]
서적
The School of Heretics: Academic Condemnation at the University of Oxford, 1277-1409
2011-09-09
[26]
학술지
The Pre-Reformation Landscape
http://www.oxfordhan[...]
2017-06-29
[27]
학술지
William White's Lollard Followers
https://www.jstor.or[...]
1982-00-00
[28]
학술지
Lollardy and the Reformation: Survival or Revival?
https://onlinelibrar[...]
1964-00-00
[29]
서적
The English Reform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30]
학술지
From Minority to Maturity: The Evolution of Later Lollardy
https://www.shermjou[...]
2021-00-00
[31]
웹사이트
Documents on the changing status of the English Vernacular, 1500–1540
http://www.ric.edu/f[...]
RIC
2008-03-11
[32]
웹사이트
Documents on the changing status of the English Vernacular, 1500–1540
http://www.ric.edu/f[...]
RIC
2008-03-11
[33]
서적
Trees and Woodland in the British Landscape
JM Dent & Sons
[34]
서적
Lollards & Protestants in the Diocese of York, 1509–58
A&C Black
[35]
학술지
Margaret Aston, "William White's Lollard Followers"
1984-06-01
[36]
서적
The Local Origins of Modern Society: Gloucestershire 1500-18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08-11
[37]
서적
The World of Rural Dissenters, 1520–1725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Holy Terrors: Gargoyles on Medieval Buildings
https://archive.org/[...]
Abbeville Press
1997-01
[39]
서적
Heavy Words Lightly Thrown: The Reason Behind Rhyme
Thorndike Press
[40]
웹사이트
종교개혁 이전의 부흥운동 - 1300~1500
http://www.agkdced.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