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 카트리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롬 카트리지는 초기 홈 컴퓨터와 비디오 게임 콘솔에서 사용된 저장 매체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TI-59 계산기, 마그나복스 오디세이, 페어차일드 채널 F, 아타리 2600 등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었으며, 닌텐도 64까지 게임 소프트웨어 저장에 사용되었다. 롬 카트리지는 빠른 로딩 속도와 견고함이 장점이었으나, 용량의 한계와 제조 비용 문제로 인해 CD-ROM과 같은 광학 매체에 밀려 점차 쇠퇴했다. 닌텐도는 닌텐도 스위치에서 소형 카트리지 기반 매체로 복귀했다. 롬 카트리지는 게임뿐만 아니라 전자 키보드와 같은 다른 전자 기기에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단자 - 직렬 포트
직렬 포트는 컴퓨터와 주변 기기가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RS-232 표준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USB에 밀려 사용이 줄었지만 특정 분야에서 여전히 활용된다. - 컴퓨터 단자 - 병렬 포트
병렬 포트는 여러 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과거에는 프린터, 스캐너 등 다양한 주변 기기 연결에 사용되었으나 USB 등장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일부 산업 장비나 특정 용도, 간단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 컴퓨터 저장 매체 - RAID
RAID는 여러 디스크를 묶어 용량 증대, 성능 향상, 데이터 중복을 통한 손실 방지 기술이며, 다양한 레벨로 구분되고 하드/소프트웨어로 구현되지만, 데이터 안정성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백업이 권장된다. - 컴퓨터 저장 매체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는 자기 기록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로, 꾸준히 발전하여 대용량 저장이 가능하지만 SSD의 등장으로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웨스턴디지털, 씨게이트, 도시바가 주요 제조업체이다.
롬 카트리지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ROM 카트리지 |
사용 분야 | 비디오 게임 |
개발 | 1970년대 ~ 현재 |
이전 기술 | ROM |
후속 기술 | 광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
역사 | |
최초 사용 | 1970년대 초 |
주요 사용 시기 | 1970년대 ~ 1990년대 |
기술적 세부 사항 | |
저장 매체 |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
용량 | 수 KB ~ 수 MB (기술 발전에 따라 증가) |
인터페이스 | 에지 커넥터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빠른 로딩 속도 복잡한 데이터 접근에 용이 내구성 |
단점 | 광 디스크에 비해 높은 생산 비용 광 디스크에 비해 적은 저장 용량 불법 복제 가능성 |
기타 정보 | |
관련 용어 | 게임 팩 소프트웨어 카트리지 |
2. 역사
롬 카트리지는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한 특수 버스 포트를 갖춘 초기 홈 컴퓨터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디자인은 매우 조잡했으며, 전체 주소 버스와 데이터 버스가 포트를 통해 노출되고 엣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었다. 카트리지는 시스템의 주소 공간에 직접 메모리 맵되어서 CPU가 고가의 RAM에 먼저 복사할 필요 없이 프로그램을 제자리에서 실행할 수 있었다.[4]
자기 매체 외에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컴퓨터로는 VIC-20, 코모도어 64, MSX, 아타리 8비트 컴퓨터, TI-99/4A (여기서는 ''솔리드 스테이트 명령 모듈''이라고 불렸으며 시스템 버스에 직접 매핑되지 않았습니다) 및 IBM PCjr (여기서 카트리지는 BIOS 공간에 매핑되었습니다) 등이 있다. 캡콤의 CP System 및 SNK의 네오 지오와 같은 일부 아케이드 시스템 보드도 ROM 카트리지를 사용했다. 카세트 테이프와 플로피 디스크는 ROM 카트리지보다 저렴했고, 일부 메모리 카드는 ROM 카트리지의 저렴한 대안으로 판매되었다.[5]
"롬 카트리지"는 일본식 영어로, 일본 국내에서는 패밀리 컴퓨터를 시작으로 하는 게임기 제조사들이 이 호칭을 채택하면서 널리 퍼졌다. 영어로는 "ROM cartridge(롬 카트리지)"라고 부르며, 단순히 "cartridge(카트리지)" 또는 "cart(카트)"로 줄여서 부르는 경우도 있다. 패키지가 소형화, 박형화되어 카드 형태의 미디어가 된 것은 "롬 카트리지"라고 불리지 않으며, 제조사에 따라 "게임 카드" 등으로 호칭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들도 구조상, 분류상 카트리지 방식임에는 변함이 없다.
대표적인 용도로는 게임기용 소프트웨어 (게임 소프트)가 있지만, 기타 전자 기기의 기능을 확장하는 용도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제1세대 게임기는 본체에 미리 수록(내장)된 게임만 즐길 수 있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제2세대 게임기의 대부분은 롬 카트리지를 채용하여 게임 프로그램(이것을 실현하는 물리적인 전자 회로)을 외부에서 입력받고, 교체함으로써 1대의 게임기로도 여러 게임 소프트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19]
199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5세대 게임기부터는 게임 소프트의 저장 매체로서 CD-ROM을 시작으로 하는 디스크 매체가 주류가 되었고, 특히 거치형(가정용) 게임기에서는 롬 카트리지를 채용한 것은 거의 없어졌다. 한편, 휴대용 게임기에서는 여러 요인에 의해 현재도 롬 카트리지가 주류이며, 디스크 매체를 채용한 게임기는 보급되지 않았다.
닌텐도는 닌텐도 64에 카트리지를 사용하며 한동안 카트리지 방식을 유지하였고, 2001년 게임큐브 출시와 함께 광학 매체로 전환하였다.[7]
2. 1. 초기 롬 카트리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TI-59/TI-58 계열 프로그래밍 가능 과학 계산기는 교체 가능한 롬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했다.[3] 계산기에는 동시 방정식 해를 포함한 여러 표준 수학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이 함께 제공되었으며, 금융 계산, 기타 주제 영역, "게임" 모듈도 있었다. 이 모듈은 사용자 프로그래밍이 불가능했다.
1972년 마그나복스 오디세이는 점퍼 카드를 사용하여 콘솔 내부의 특정 전자 장치를 켜고 끄는 방식으로 롬 카트리지의 전신을 도입했다.[6]

2. 2. 현대 롬 카트리지
1976년 페어차일드 채널 F는 교체 가능한 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최초의 비디오 게임 콘솔로 출시되었다.[6] 개발자 중 한 명인 제리 로슨은 이후 '비디오 게임 카트리지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국제 게임 개발자 협회로부터 2011년에 표창을 받았다.[20] 카트리지 방식은 다음 해에 출시된 아타리 2600으로 더욱 인기를 얻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가정용 비디오 게임 콘솔은 카트리지 기반이었다.
콤팩트 디스크 기술이 데이터 저장에 널리 사용되면서 대부분의 하드웨어 회사는 카트리지에서 CD 기반 게임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닌텐도는 닌텐도 64 시스템에 카트리지를 사용하면서 유일하게 남아 있었으며, 2001년 게임큐브 출시까지 광학 매체로 전환하지 않았다.[7] 카트리지는 또한 게임 카드라고 알려진 DS/3DS 계열의 휴대용 콘솔에도 사용되었다. 이 카트리지는 이전 카트리지보다 훨씬 작고 얇으며, 동일한 목적으로 PCB의 내장 ROM 칩 대신 최신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게임 데이터를 저장한다.
2017년 닌텐도 스위치의 출시로 회사는 자체 광학 디스크 기반 매체를 Wii U에서 마지막으로 사용한 후 소형 카트리지 기반 매체로 전환했다. 이 카트리지는 이전 닌텐도 휴대용 게임기와 DS/3DS 휴대용 게임기에 사용된 닌텐도 자체 게임 카드와 마찬가지로 게임 카드라고 불리며, 이전 콘솔 카트리지 및 닌텐도 자체 DS/3DS 휴대용 게임 카드보다 훨씬 작고 얇다. 이는 SD 카드와 유사한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 기술을 사용하여 더 큰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닌텐도는 소니 및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다른 회사들이 콘솔에 광학 디스크 기반 매체를 계속 사용하는 반면, 콘솔과 휴대용 기기에 카트리지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유일한 주요 회사이다.
1976년에는 미국에서 310,000개의 가정용 비디오 게임 카트리지가 판매되었다.[8] 1983년에서 2013년 사이에 총 29억 1,072만 개의 소프트웨어 카트리지가 닌텐도 콘솔용으로 판매되었다.[9]
3. 특징
롬 카트리지는 일본식 영어 표현이다. 일본에서는 패밀리 컴퓨터를 비롯한 여러 게임기 제조사들이 이 명칭을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영어로는 "ROM cartridge(롬 카트리지)"라고 하며, 간단히 "cartridge(카트리지)" 또는 "cart(카트)"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카드 형태의 소형화, 박형화된 패키지는 "롬 카트리지"라고 불리지 않고, 제조사에 따라 "게임 카드" 등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들 역시 구조 및 분류상으로는 카트리지 방식이다.
롬 카트리지는 주로 게임기용 소프트웨어를 담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다른 전자 기기의 기능을 확장하는 데에도 널리 쓰인다.
3. 1. 장점
ROM 카트리지에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것은 플로피 디스크나 광학 매체와 같은 다른 저장 방식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ROM 카트리지는 시스템의 일반적인 주소 공간에 메모리 맵핑되기 때문에 ROM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는 일반 메모리처럼 읽을 수 있으며, 시스템이 느린 매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거의 즉각적인 로딩 시간과 코드 실행이 가능하다.[4] ROM에서 직접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더 적은 RAM을 사용하므로 다른 프로세스를 위해 메모리를 확보한다. 광학 매체의 표준 크기는 디스크를 읽을 수 있는 장치의 최소 크기를 결정하는 반면, ROM 카트리지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어 휴대용 게임 콘솔과 같은 더 작은 장치를 만들 수 있다. ROM 카트리지는 손상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광학 매체보다 더 견고하고 손상에 강하다. 카트리지 접점에 먼지와 이물질이 쌓이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용액으로 접점을 청소하면 부식의 위험 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3. 2. 단점
ROM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다른 매체보다 용량이 적다.[13] Lotus 1-2-3의 PCjr 호환 버전은 두 개의 카트리지와 플로피 디스크로 제공되었다.[14] ROM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디스크보다 제조 비용이 더 많이 들며, 카트리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은 DVD-ROM 또는 CD-ROM과 같은 광학 디스크보다 적다. 뱅크 스위칭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프로세서가 직접 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 메모리 양보다 용량이 큰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었다. 비디오 게임이 더 복잡해지고 (그리고 코드 크기가 커짐에 따라), 소프트웨어 제조업체는 더 큰 저장 용량과 광학 매체의 저렴한 가격을 위해 ROM 카트리지의 빠른 로딩 시간을 희생하기 시작했다. 이 방향으로의 또 다른 압력의 원천은 광학 매체가 카트리지보다 훨씬 작은 배치로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에 카트리지 비디오 게임을 출시하는 것은 수천 개의 판매되지 않은 카트리지를 생산해야 하는 위험을 수반한다.[15]4. 하드웨어 확장
롬 카트리지는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하드웨어 확장 기능도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퍼 패미컴의 카트리지 기반 칩, 버추어 레이싱의 세가 제네시스 버전 SVP 칩[10], 마그나복스 오디세이²의 체스 모듈 등이 있다.[11]
제네시스/메가 드라이브의 ''마이크로 머신 2''는 코드마스터스가 설계한 사용자 지정 "J-Cart" 카트리지 디자인을 사용하여 두 개의 추가 게임패드 포트를 통합했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멀티 컨트롤러 어댑터 없이 최대 4개의 게임패드를 콘솔에 연결할 수 있었다.[12]
5. 카트리지 기반 비디오 게임 콘솔 및 컴퓨터
롬 카트리지는 초기 홈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를 삽입하기 위한 특수 버스 포트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디자인은 매우 조잡했으며, 전체 주소 버스와 데이터 버스가 포트를 통해 노출되고 엣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었다. 카트리지는 시스템의 주소 공간에 직접 메모리 맵되어서 CPU가 고가의 RAM에 먼저 복사할 필요 없이 프로그램을 제자리에서 실행할 수 있었다.[4]
TI-59 계열의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프로그래밍 가능 과학 계산기는 계산기 뒤쪽의 슬롯에 설치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롬 카트리지를 사용했다. 계산기에는 동시 방정식 해를 포함한 여러 표준 수학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이 함께 제공되었다. 다른 모듈은 금융 계산 또는 기타 주제 영역에 특화되었으며 "게임" 모듈도 있었다. 모듈은 사용자 프로그래밍이 불가능했다. HP-41C에는 롬 메모리와 I/O 확장 포트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확장 슬롯이 있었다.
자기 매체 외에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컴퓨터로는 VIC-20, 코모도어 64, MSX, 아타리 8비트 컴퓨터, TI-99/4A (여기서는 ''솔리드 스테이트 명령 모듈''이라고 불렸으며 시스템 버스에 직접 매핑되지 않았습니다) 및 IBM PCjr (여기서 카트리지는 BIOS 공간에 매핑되었습니다)가 있다. 캡콤의 CP System 및 SNK의 네오 지오와 같은 일부 아케이드 시스템 보드도 롬 카트리지를 사용했다. 카세트 테이프와 플로피 디스크는 롬 카트리지보다 저렴했고 일부 메모리 카드는 롬 카트리지의 저렴한 대안으로 판매되었다.[5]
2세대 비디오 게임 콘솔의 현대 게임 카트리지의 전신은 1972년 1세대 비디오 게임 콘솔 마그나복스 오디세이에서 도입되었으며, 콘솔 내부의 특정 전자 장치를 켜고 끄기 위해 점퍼 카드를 사용했다.
게임 카트리지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 방식은 Alpex Computer Corporation의 월리스 키르슈너, 로렌스 하스켈, 제리 로손이 발명했으며, 1976년 페어차일드 채널 F 홈 콘솔의 일부로 처음 공개되었다.[6]
카트리지 방식은 다음 해에 출시된 아타리 2600으로 더욱 인기를 얻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가정용 비디오 게임 콘솔은 카트리지 기반이었다.
콤팩트 디스크 기술이 데이터 저장에 널리 사용되면서 대부분의 하드웨어 회사는 카트리지에서 CD 기반 게임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닌텐도는 닌텐도 64 시스템에 카트리지를 사용하면서 유일하게 남아 있었으며, 2001년 게임큐브 출시까지 광학 매체로 전환하지 않았다.[7] 카트리지는 또한 게임 카드라고 알려진 DS/3DS 계열의 휴대용 콘솔에도 사용되었다. 이 카트리지는 이전 카트리지보다 훨씬 작고 얇으며, 동일한 목적으로 PCB의 내장 ROM 칩 대신 최신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게임 데이터를 저장한다.
2017년 닌텐도 스위치의 출시로 회사는 자체 광학 디스크 기반 매체를 Wii U에서 마지막으로 사용한 후 소형 카트리지 기반 매체로 전환했다. 이 카트리지는 이전 닌텐도 휴대용 게임기와 DS/3DS 휴대용 게임기에 사용된 닌텐도 자체 게임 카드와 마찬가지로 게임 카드라고 불리며, 이전 콘솔 카트리지 및 닌텐도 자체 DS/3DS 휴대용 게임 카드보다 훨씬 작고 얇다. 이는 SD 카드와 유사한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 기술을 사용하여 더 큰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닌텐도는 소니 및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다른 회사들이 콘솔에 광학 디스크 기반 매체를 계속 사용하는 반면, 콘솔과 휴대용 기기에 카트리지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유일한 주요 회사이다.
1976년에는 미국에서 310,000개의 가정용 비디오 게임 카트리지가 판매되었다.[8] 1983년에서 2013년 사이에는 29억 개 이상의 소프트웨어 카트리지가 닌텐도 콘솔용으로 판매되었다.[9]
여러 회사에서 롬 카트리지를 기반으로 비디오 게임 콘솔과 컴퓨터를 출시했다.
5. 1. 주요 콘솔 및 컴퓨터 목록
제조사 | 콘솔 및 컴퓨터 |
---|---|
암스트래드 | 암스트래드 GX4000 |
아타리 | 아타리 2600, 아타리 5200, 아타리 7800, 아타리 XEGS, 아타리 링크스, 아타리 재규어 |
반다이 | 원더스완, 원더스완 컬러, 스완크리스탈 |
콜레코 | 콜레코비전 |
페어차일드 반도체 | 페어차일드 채널 F |
마그나복스/필립스 | 마그나복스 오디세이²/필립스 비디오팩 G7000 |
마텔 | 인텔리비전 |
밀튼 브래들리 | 벡트렉스 |
NEC | TurboGrafx-16/PC 엔진, PC 엔진 GT |
닌텐도 | NES/패미컴 (터미네이터와 같은 클론 포함), SNES/슈퍼 패미컴, 닌텐도 64, 게임보이, 게임보이 컬러, 게임보이 어드밴스, 버추얼 보이, 포켓몬 미니, 닌텐도 DS, 닌텐도 3DS, 닌텐도 스위치 |
세가 게임스 | SG-1000 마크 I/SG-1000 마크 II, 세가 마스터 시스템/세가 마크 III, 세가 제네시스/메가 드라이브, 게임 기어, 슈퍼 32X |
SNK | 네오지오, 네오지오 포켓, 네오지오 포켓 컬러, 네오지오 X |
소니 | PS 비타/플레이스테이션 TV |
닛코 유럽 | digiBLAST |
노키아 | N-게이지 |
LeapFrog | Leapster, LeapPad, LeapTV |
피셔 프라이스 | Pixter, 스마트 사이클 |
6. 전자 악기에서의 사용
롬 카트리지는 비디오 게임 콘솔 외에도 소수의 전자 악기, 특히 전자 키보드에서 사용되었다.
야마하는 1980년대 DX1, DX5 및 DX7과 같은 DX 신디사이저, 1990년대 중반 PSR 키보드 라인업인 ''PSR-320, PSR-420, PSR-520, PSR-620, PSR-330, PSR-530'' 및 ''PSR-6000''과 같은 기능을 갖춘 여러 모델을 제작했다. 이 키보드는 MIDI 시퀀스 또는 곡 데이터로 키보드에서 연주할 MIDI 데이터를 단순히 포함하는 ROM 카트리지인 ''음악 카트리지''라고 하는 특수 카드를 사용한다.[16][17]
카시오 또한 야마하의 ''음악 카트리지''가 도입되기 전인 1980년대에 ''ROM 팩''이라고 하는 유사한 카트리지를 사용했다. 이러한 카트리지를 사용한 모델은 휴대용 전자 키보드의 카시오톤 라인에 속했다.[18]
7. 크기
롬 카트리지의 부피 (크기)는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닌텐도의 게임기의 경우, 닌텐도 64용 롬 카트리지는 슈퍼 패미컴용 롬 카트리지보다 부피가 한 단계 작다. 또한, 휴대용 게임기에서도 게임보이→게임보이 어드밴스로 하드웨어가 교체됨에 따라 부피가 점점 작아지고 있으며, 닌텐도 DS에서는 CF 카드와 비슷한 부피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ARTRIDGE |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Dictionary.cambridge.org
2022-05-31
[2]
간행물
Plug in a Program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Data Group
2022-06-22
[3]
웹사이트
Texas Instruments software catalog for TI-58C/TI-59
https://www.datamath[...]
2022-02-09
[4]
특허
Memory system including RAM and page switchable ROM
1984-11-27
[5]
웹사이트
What MSX? (GB)
http://archive.org/d[...]
1984-02-11
[6]
웹사이트
The Untold Story Of The Invention Of The Game Cartridge
https://www.fastcomp[...]
2021-04-06
[7]
서적
The Ultimate History of Video Games: From Pong to Pokemon--The Story Behind the Craze That Touched Our Lives and Changed the World
Crown
2001-09-06
[8]
간행물
The Replay Years: Enter 1976
https://archive.org/[...]
1985-11
[9]
웹사이트
Consolidated Sales Transition by Region
https://web.archive.[...]
Nintendo
2013-12-20
[10]
웹사이트
Sega's SVP Chip: The Road Not Taken?
https://www.sega-16.[...]
2022-06-22
[11]
아카이브
https://archive.org/[...]
2022-06-22
[12]
간행물
A Small History Of Micro Machines
https://archive.org/[...]
Imagine Publishing
[13]
뉴스
Jr. Sneaks PC into Home
https://books.google[...]
2013-10-24
[14]
뉴스
Lotus 1-2-3 For IBM PCjr
http://www.atarimaga[...]
2015-01-26
[15]
간행물
Who You Pay to Play
Ziff Davis
1996-05
[16]
웹사이트
Yamaha Music Cartridge
https://obsoletemedi[...]
2022-06-22
[17]
웹사이트
Yamaha DX Series
https://www.perfectc[...]
2022-06-22
[18]
웹사이트
Casio ROM Packs
http://www.crumblene[...]
2016-09-12
[19]
문서
コアムックシリーズNO.682『電子ゲーム なつかしブック』p.58
[20]
웹사이트
12月1日のGoogleロゴ、カートリッジ式ゲーム開発者記念でゲームを編集・プレイできる
https://www.itmedia.[...]
2022-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