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부마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부마주는 탄자니아 남부 고원 지대에 위치한 주로, 말라위호(니아사 호수)와 마텐고 산맥, 루쿰부루 산맥 등 다양한 지형을 포함한다. 기후는 고도에 따라 다르며, 우기와 건기가 존재한다. 주민으로는 와마텐고족이 가장 많으며, 응고니족, 야오족 등 여러 부족이 거주한다. 16세기부터 아랍 상인, 포르투갈, 독일의 식민 지배를 거쳤으며, 현재는 5개의 구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다. 경제는 농업이 주를 이루며, 커피, 옥수수, 콩 등을 재배한다. 광물 자원으로는 보석, 석탄, 우라늄 등이 매장되어 있으며, 관광 자원으로는 국립공원, 수렵 관리 구역, 역사 유적 등이 있다. 주요 도시로는 주도인 손게아가 있으며,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자니아의 주 - 므트와라주
    므트와라주는 탄자니아 최남동부에 위치하며, 과거 린디 주의 일부였고, 마콘데 고원과 루부마 강을 포함하는 16,710km²의 면적을 가지며, 캐슈넛 생산이 중요한 농업 중심지이다.
  • 탄자니아의 주 - 키고마주
    탄자니아 북서부에 위치한 키고마주는 탕가니카 호수 동쪽에 접해 있으며, 과거 상아와 노예 무역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커피 생산, 다가 어획, 암염 생산이 활발하고 국립공원을 통해 관광 산업도 발전하고 있는 주이다.
루부마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루부마 주
현지 이름스와힐리어: Mkoa wa Ruvuma
별칭니아사 호수의 진주
탄자니아 내 루부마 주 위치
탄자니아 내 위치
국가탄자니아
존(Zone)남부 고지대
설정
수도손게아
지역음빙가 구
남툼보 구
손게아 도시 구
손게아 농촌 구
툰두루 구
니아사 구
리더 정당CCM
리더 직함지역 커미셔너
리더 이름라반 엘리아스 토마스
면적63,669 km2
육지 면적33,825 km2
물 면적29,844 km2
물 면적 비율46.8%
면적 순위31개 중 4위
최대 고도1,769 m
최대 고도 지점루쿠쿠라
인구 (2022년)1,848,79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순위31개 중 19위
민족 구성정착민: 스와힐리족
원주민: 마콘데족
인구 통계루부마인
시간대EAT
UTC 오프셋+3
우편 번호57xxx
지역 코드025
ISO 코드TZ-21
HDI (2021년)0.555
HDI 순위25개 중 11위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음밤바 베이 해변
음밤바 베이 해변 (니아사호)
손게아 페라미호 병원
손게아 페라미호 병원
리울리 항구의 MV 이링가
리울리 항구의 MV 이링가
상징
아프리카 코끼리
아프리카 코끼리
니아사 앵무
니아사 앵무
아울로노카라 니아사에
아울로노카라 니아사에
잠베지 파라다이스 스키퍼
잠베지 파라다이스 스키퍼
신성한 마늘 배
신성한 마늘 배
알렉산드라이트
알렉산드라이트

2. 지리

루부마 주는 탄자니아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인 루부마 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 강은 모잠비크의 니아사 주와의 남쪽 국경 대부분을 형성하며, 모잠비크에서는 "로부마 강"으로 불린다.[6]

이 주는 탄자니아 남부 고원 지대에 위치하며, 해발 고도는 300m에서 2000m 사이에 걸쳐 있다. 서쪽으로는 동아프리카 지구대의 서부 지대에 있는 니아사 호수가 넓게 자리 잡고 있다. 지구대 동쪽에는 최고 2000m에 달하는 마텐고 산맥이 있으며, 북쪽에도 비슷한 높이의 루쿰부루 산맥이 솟아 있다. 남쪽 저지대는 루부마 강이 가로지른다. 이처럼 루부마 주는 북쪽과 서쪽의 높은 산맥 지대(최고 2000m)부터 동쪽의 낮은 저지대(해발 300m)까지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7] 주도는 송게아이다.

루부마 주의 인접 지역
방향접경 지역
북쪽모로고로 주
북동쪽린디 주
동쪽무트와라 주
북서쪽이링가 주
서쪽니아사 호수
남쪽모잠비크 니아사 주


2. 1. 기후

루부마 지역의 평균 기온은 우기 또는 건기와 고도에 따라 23°C이다. 6월, 7월, 8월은 최저 기온이 13°C로, 빙가구의 마텡고 고원 인근 지역에서는 특히 추운 달이다. 가장 더운 달은 10월과 11월로 평균 기온이 30°C이다.

이 지역은 어려운 해를 제외하고 매년 충분한 강수량을 보인다. 연간 강수량은 11월부터 5월까지 이어지는 단일의 긴 우기를 나타낸다. 연간 강수량은 800mm에서 1800mm 사이이다. 강수량은 지역마다 다르며, 툰두루구는 연간 강수량이 900mm 미만인 반면, 빙가구는 연간 평균 강수량이 1225mm로 가장 높다.[7]

루부마 지역은 특히 이른 시간에 평균 습도가 비교적 높다. 3월에는 낮 동안 습도가 약 88%인 반면, 10월에는 밤에 37%에 불과할 수 있다.

2. 2. 동식물

루부마 지역의 동물상은 삼림, 관목 덤불, 초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작지의 전형적인 식생은 심어진 나무, 대나무와 관목으로 이루어진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미옴보 숲으로 덮여 있으며, 이는 툰두루, 밍가, 촌게아 지역의 일부까지 뻗어 있다. 마토고로 산 주변에는 유칼립투스소나무 농장이 조성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브랜치스테기아(Brachystegia), 줄베르나르디아(Julbernardia), 이소베를리니아(Isoberlinia)의 세 가지 흔한 나무 종이 있다. 과거 루부마 지역의 상당 부분은 숲(미옴보)으로 덮여 있었다.[7]

낮은 경사면에는 관목지가 나타난다. 관목의 성장은 나무를 베고, 이동 경작을 하고, 담배를 건조하고, 숲을 개간하는 인간 활동의 결과이다. 이러한 인간의 활동과 배수 및 강수량의 영향으로 인해 초원은 일반적으로 저지대와 고원 지대에 널리 퍼져 있다. 루부마 강, 냐가, 응엠밤빌리, 루키마, 루에구, 루후지, 음바랑구, 루투키라, 루후후는 이 지역의 주요 강이다.

3. 역사

16세기, 해안 지역의 스와힐리 도시 국가들이 포르투갈의 공격으로 쇠퇴하면서 포르투갈 세력은 루부마강 상류 유역까지 들어왔다. 17세기 중반에는 포르투갈을 대신하여 아랍인들이 동아프리카 해안의 제해권을 장악했고, 잔지바르가 번성하기 시작했다.

루부마 유역에서 말라위에 이르는 지역은 내륙과 해안을 잇는 중요한 교역로였으며, 이 지역을 지배하던 야오족아랍 상인과의 교역을 통해 힘을 키웠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남아프리카에서 강력한 군사 조직을 갖춘 응고니족이 북상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현재의 말라위와 루부마주 지역 모두에서 야오족의 이권은 응고니족에게 침해당했고, 두 부족 간의 충돌이 반복되었다.

루부마주 동부에 거주하던 마텐고족은 응고니족의 압박으로 산간 지역으로 밀려나게 되었으며, 일부는 말라위의 응고니족 침공으로 말라위까지 끌려가기도 했다.

1885년 독일령 동아프리카 회사에 의한 식민 지배가 시작되면서 독일인들의 통치가 이루어졌다. 야오족은 이에 반발했으나 독일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족장은 모잠비크로 피신하면서 야오족은 부족 국가로서의 형태를 상실했다. 1891년에는 루부마주 북쪽에 인접한 린가주를 근거지로 둔 무쿠와와가 이끄는 Hehe people|헤헤족영어이 독일령 동아프리카 정부와 전쟁을 벌였다. 응고니족은 오랫동안 헤헤족과 적대 관계였기 때문에, 헤헤족의 공동 투쟁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1905년, 남동부에서 시작된 마지마지 반란은 남서부 지역으로까지 확산되었다. 쏭게아 서쪽 인근 마을인 페라미호에 있던 베네딕토회 교회(현재까지 이어짐)가 반란군의 습격을 받아 신부가 살해되는 사건도 발생했다. 응고니족은 쏭게아 루아후 음바노를 중심으로 반란에 참여했으나 결국 패배했고, 지도자 쏭게아는 독일군에 의해 처형되었다.

3. 1. 마지마지 반란과 한국의 독립운동 비교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마지마지 반란과 한국의 독립운동 비교'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채울 수 없습니다.

4. 주민

2018년 기준 루부마 지역에는 156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으며, 그 중 74.5%는 농촌 지역에, 25.5%는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6] 지역 내에는 다수의 부족이 공존한다.

루부마 지역의 토착 민족으로는 마텐고족, 응고니족, 야오족, 니아사족, 은덴데울레족, 와포토, 만다족, 와닌디, 와마탐브웨 등이 있다. 이 중 마텐고족은 지역 인구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특히 밍가구에서 지배적인 집단이다. 응고니족과 더불어 니아사족, 만다족, 와포토족은 니아사호 (말라위호) 해안을 따라 주로 거주한다.[7]

손게아 도시에서는 응고니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그 뒤를 은덴데울레족, 만다족, 야오족, 마텐고족, 니아사족 등이 잇는다. 툰둘루 구에서는 야오족이 다수이며, 와마쿠아족, 은덴데울레족, 와마탐브웨족도 함께 거주한다. 손게아의 농촌 지역에서는 응고니족과 은덴데울레족이 가장 흔하며, 각각 루부마와 은덴데울레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무후쿠루, 사사왈라, 마다바 지역에는 야오족, 와베나족, 와닌디족과 같은 소수 민족이 거주한다.[7]

주요 현별 구성 부족을 살펴보면, 음빙가 현은 마텐고족, 손게아 현은 응고니족, 남툰부 현은 은덴데울레족, 툰둘루 현은 야오족이 중심을 이룬다. 니아사호 (말라위호) 주변에는 통나무배를 다루는 니아사족이 많이 살고 있다. 각 부족은 고유한 문화와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부족어가 현재에도 사용되지만, 도시 거주자들은 일상적으로 스와힐리어를 사용한다. 야오족은 대부분 무슬림이다.[7]

5. 행정 구역

루부마 주의 위치


루부마 주는 각각 의회에서 관리하는 5개의 구로 나뉜다.

루부마 주의 구
인구
(2012년 인구 조사)
빙가 구353,683
남툼보 구201,639
니아사 구146,160
손게아 구173,821
손게아 시203,309
툰두루 구298,279
총계1,376,891



탄자니아는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선거구로 나뉜다. 2010년 선거 기준으로 루부마 지역에는 다음과 같은 선거구가 있었다:[8]

# 냐사 선거구

# 밍가 므지니 선거구

# 밍가 비지지니 선거구

# 남툼보 선거구

# 페라미호 선거구

# 손게아 므지니 선거구

# 툰두루 선거구

# 마다바 선거구

루부마주는 국경에 접한 주이기 때문에 송게아, 므빙가, 므밤바 베이 세 곳에 이민국 창구가 있다.

6. 경제

루부마주의 경제는 농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2012년 인구 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10세 이상 인구의 약 75.8%가 농업에 종사하며, 이는 지역 현금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주요 생산물로는 커피, 콩, 옥수수, 땅콩, 벼, 감자, 담배, 카사바, 참깨, 기장, 코코넛, 캐슈넛, 수수, 과일, 해바라기 등이 있다. 농업 다음으로는 무역 및 상업(7.5%)이 중요한 산업이며, 가사 서비스(2.2%), 제조업(1.7%), 생식품 판매(1.5%), 어업, 사냥 및 축산업(1.4%), 통신 및 운송(2.9%) 등이 뒤를 잇는다.[6]

이 지역 농업의 특징은 소규모 자작농의 생계형 농업이다. 이들은 다른 지역 농민들보다 개선된 종자와 비료를 비교적 높은 비율로 사용하며, 이는 커피(주로 밍가 구), 캐슈넛, 그리고 대량 판매되는 옥수수, 해바라기, 콩(주로 툰두루와 남툼보) 등의 풍부한 생산으로 이어진다. 경작지의 61%를 차지하는 옥수수가 가장 흔한 작물이며, 카사바(19%), 벼(15%), 콩(5%) 순이다.[6]

구별 작물 생산 적합성은 다양하다. 손게아 구는 옥수수 경작지 비율(28.9%)과 생산량(28.7%, 연평균 119,640 미터톤) 모두 가장 높다. 툰두루 구는 경작 면적은 4.3%에 불과하지만 생산량의 13.5%를 기여하며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반면 남툼보 구는 경작 면적의 12.6%를 차지하지만 생산량은 8.4%에 그쳐 생산성이 가장 낮다. 카사바는 남툼보 구(40%), 니아사 구(24.8%), 툰두루 구(18.3%), 손게아 구(12.6%)에서 주로 재배되며, 벼는 남툼보 구(53%), 툰두루 구(24.9%), 니아사 구(11.2%) 등에서 경작된다. 콩은 주로 마다바 구(63.9%)와 손게아 구(24.2%)에서 생산된다.[6]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70806ha(지역 전체 토지의 22.7%)가 현금 작물 재배에 할당되었다. 면적 기준으로는 참깨(16072ha, 22.7%), 비둘기콩(13432ha, 19.0%), 커피(10037ha, 14.2%), 콩(9904ha, 14.0%), 담배(7045ha, 9.9%), 해바라기(6765ha, 9.6%), 캐슈넛(5643ha, 8.0%), 땅콩(1908ha, 2.7%) 순이다. 그러나 생산량 기준으로는 담배(37.9%)가 가장 많고, 비둘기콩(16.6%), 참깨(14.1%), 캐슈넛(13%), 땅콩(13%), 커피(8.8%), 콩(4.4%), 해바라기(2.9%) 순이다.[6]

생강 생산과 소규모 가공이 최근 인기를 얻고 있으며, 강 유역을 따라 토마토와 기타 채소도 재배된다. 관개 농업에 적합한 토지는 약 197108.2ha로 추정되지만, 2015년 기준 실제 사용 면적은 7385.3ha(3.7%)에 불과했다. 손게아 구(34.3%), 니아사 구(25.4%), 툰두루 구(17.3%) 순으로 관개 면적이 넓으며, 주요 관개 작물은 벼, 원예 작물, 옥수수, 고구마이다.[6]

축산업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의 수는 2008년과 2012년 사이에 517.1% 증가했고, 의 수는 25.7% 증가했다. 가축 종류별로는 염소(272,147마리)가 가장 많고, 돼지(222,420마리), 소(177,041마리), 양(30,625마리), 당나귀(997마리) 순이다. 툰두루 구가 소 개체수의 33.3%를 차지하며 가장 많다. 가축 방목에 적합한 토지 181700ha 중 약 44.4%인 80600ha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가축 판매액은 2013년 약 15억탄자니아 실링에서 2015년 78억탄자니아 실링로 크게 증가했으며, 제부(토종 소)와 염소 판매가 증가분의 85%를 차지했다. 가죽 및 모피 판매량도 증가 추세이다. 우유 생산량은 2014년 40891L에서 2015년 37738L로 감소했지만, 가격 상승(리터당 1000 TZS에서 1300 TZS)으로 수입은 증가했다.[6]

루부마주의 GDP는 2010년 160만탄자니아 실링에서 2015년 350만탄자니아 실링로 꾸준히 증가하여, 5년간 119%(연평균 23.8%) 성장했다. 이는 탄자니아 전체 평균보다 훨씬 빠른 속도이다. 2010년과 2015년 모두 루부마주의 명목 GDP는 탄자니아 본토에서 4위를 기록했다. 1인당 GDP는 2012년 170만탄자니아 실링에서 2015년 240만탄자니아 실링로 증가했으며, 이는 다르에스살람, 이링가, 아루샤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6]

6. 1. 산업

탄자니아 국가 통계청(NBS)은 자본 지출과 직원 수를 기준으로 기업을 소규모, 중소규모(MSME), 대기업으로 분류한다. 루부마주에서 소규모 산업은 직원 5명 미만, 자본 500만탄자니아 실링 미만인 경우로 정의된다. 중소규모 산업은 자본 500만탄자니아 실링 이상 2억탄자니아 실링 미만, 직원 50명 미만인 경우이다. 2015년 기준으로 루부마주에는 5,263개의 소규모 사업체가 있었으며, 이 중 49.9%는 주로 옥수수를 가공하는 제분업에 종사했다. 그 외에는 목공(28.8%), 용접(7.6%), 재봉(7.6%) 순이었으며, 해바라기유 가공 산업은 8개(0.2%)에 불과했다.[6]

지역별로는 밍가 구(Mbinga DC)가 1,248개(23.7%)로 소규모 산업체가 가장 많았고, 니아사 구(Nyasa DC)가 22.2%, 툰두루 구(Tunduru DC)가 20.4%로 뒤를 이었다. 마다바 구(Madaba DC)는 소규모 산업체가 가장 적었다. 산업 종류별 분포를 보면, 밍가 구에는 식품 가공업(25개), 용접(283개), 제분 장비(858개)가 집중되어 있었다. 툰두루 구에는 차고(80개)와 목공 산업(582개)이 가장 많았고, 니아사 구에는 재봉 사업(279개)이 가장 많았다.[6]

주요 산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광업: 루부마주 각지에서 사파이어를 비롯한 다양한 보석류가 산출되며, 특히 툰두루에 보석상이 모여 있다. 주내 몇몇 곳에서는 금이 산출되며, 최근에는 우라늄 광맥도 발견되었다.

  • 식량 생산: 탄자니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옥수수, 카사바, 감자, 콩, 사탕수수, 바나나 등 소규모 식량 생산이 중심이며, 과수 재배도 활발하다. 뭄빙가 현 주변에서는 커피(아라비카) 재배가 이루어지며, 마을에는 커피 원두 가공 공장이 있다. 냐사호(말라위 호) 주변에서는 어업이 활발하여, 대형 메기시클리드를 어획해 주로 인근 지역에서 소비한다. 작은 물고기와 다거(dagaa, 잔멸치류)는 건어물로 만들어 비교적 먼 지역까지 출하하는데, 냐사 호산 다거는 탕가니카 호산 다거보다 크기가 크다. 루부마주 동부에서는 인접한 무트와라주와 마찬가지로 캐슈 재배가 활발하다.

  • 관광: 뭄빙가 현에는 루부마주 유일의 사냥 보호 구역이 있다. 또한, 송게아를 거점으로 남서쪽에서 셀루스 사냥 보호 구역으로 들어가는 경로도 이용된다.

6. 2. 광업

루부마주는 특히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매장 광물로는 보석, 석탄, 우라늄, , 다이아몬드 등이 있다.[6]

주 전역에서 사파이어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보석이 산출되며, 특히 툰두루 지역에는 보석상이 많이 모여 있다. 은 주내 여러 곳에서 산출되는데, 주로 툰두루 DC의 무후웨시 강 유역을 따라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우라늄 광맥도 발견되었으며, 특히 남툼보 DC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6]

석탄은 응가카, 무후쿠루, 므밤바-베이, 니우가, 루메차 등 5개 분지에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6]

6. 3. 관광

뭄빙가 현에는 루부마주 유일의 사냥 보호 구역이 있다. 또한, 송게아를 거점으로 남서쪽에서 셀루스 사냥 보호 구역으로 들어가는 경로도 존재한다.

7. 교통

주도 송게아는 루부마주의 교통 요충지이다. 북쪽으로는 탄자니아의 중심 지역, 남쪽으로는 모잠비크, 서쪽으로는 말라위, 동쪽으로는 연안부로 이어지는 길이 연결된다.

다르에스살람에서 주도 송게아까지는 대형 버스를 이용하면 약 12시간에서 14시간이 걸린다. 송게아에는 공항이 있으며, 부정기 항공편이 운행되고 있다.

도로망은 구간에 따라 상태가 다르다. 다르에스살람에서 송게아를 거쳐 서쪽의 페라미호까지 이어지는 도로는 전 구간이 포장되어 있어, 우기에도 교통에 큰 지장이 없다. 페라미호에서 더 서쪽의 무빙가까지는 비포장 도로이지만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어 우기에도 통행에 큰 어려움은 없는 편이다. 그러나 무빙가에서 말라위로 가는 국제 항구가 있는 무밤바 베이로 향하는 길은 비포장 산길이 많아, 우기에는 사륜구동차로도 이동하기 어려울 수 있다.

무밤바 베이에서는 말라위로 가는 정기선이 운항된다.

8. 교육

초등 교육에서 중등 교육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성적이 향상되는 경향(남툼보 구역 60.4% 합격, 밍가 구역 71.5% 합격)을 보였지만, 4학년 시험 결과는 초등 또는 중등 교육 과정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4학년 시험 응시자 중 1, 2, 3등급을 받은 학생은 15% 미만이었고, 나머지 학생 중 절반 이상(50% 초과)은 0등급, 약 34%는 4등급(낙제)을 받았다.[6]

2015년까지 이 지역에는 9개의 직업 훈련 시설만 있었으며, 이는 밍가 타운 협의회(Mbinga TC), 남툼보 구역(Namtumbo DC), 손게아 구역(Songea DC), 툰두루 구역(Tunduru DC)에 위치했다. 같은 해 총 476명의 직업 기술 훈련(VST) 학생이 졸업했으며, 제공된 교육 과정에는 운전, 전기 설치 및 배관, 석조공사 및 목공, 목공, 재봉 등이 포함되었다. 2019년 현재 소코인 농업 대학교(SUA)는 니아사 구역(Nyasa DC), 툰두루 구역(Tunduru DC), 마다바 구역(Madaba DC)에 분교를 개설하여 관광, 야생동물 관리, 양봉 관련 프로그램을 교육하고 있다.[6]

9. 보건

2015년 기준으로 루부마주에는 16개 구역을 담당하는 지역 보건소가 1개소 있다. 보건소 및 진료소 부족 현상이 가장 심각한 곳은 손게아 DC(보건소당 16개 구역)와 룸부마 DC(보건소당 평균 15개 구역)이다. 반면, 냐사 구역 5는 의료 시설당 5개 구역, 남툼보 DC는 의료 시설당 4개 구역으로 상대적으로 나은 상황을 보였다. 각 진료소는 일반적으로 약 4개의 미타아(마을)를 지원한다. 진료소당 담당 마을 수가 가장 적은 곳은 마다바 DC로, 진료소당 2개 마을을 담당한다. 그 뒤를 이어 룸부마 DC, 룸부마 TC, 손게아 DC, 툰두루 DC는 각각 진료소당 3개 마을을 담당하고 있다.[6]

10. উল্লেখযোগ্য出身者


  • 시디 무바라크 봄베이, 탄자니아 탐험가
  • 라시드 카와와, 탄자니아의 제2대 총리
  • 고프리 므와키카길레, 탄자니아 작가 겸 학자
  • 오스카 캄보나, 탄자니아 초대 국방 및 외무부 장관
  • 에드워드 사이드 팅가팅가, 탄자니아 화가

참조

[1] 웹사이트 IS0 3166 https://www.iso.org/[...] ISO 2022-10-09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0-02-26
[3] 웹사이트 History | Ruvuma Region https://ruvuma.go.tz[...]
[4] 웹사이트 Area size comparison https://www.nationso[...] Nations Online 2023-01-12
[5] 웹사이트 Population Distribution by Administrative Units, United Republic of Tanzania, 2013 http://www.nbs.go.tz[...]
[6] 웹사이트 Rukwa Investment Guide https://ruvuma.go.tz[...] The Regional Commissioner's Office, Songea, Ruvuma 2023-01-13
[7] 웹사이트 Rukwa Regional Profile http://www.tzonline.[...] The Planning Commission, Dar es Salaam and The Regional Commissioner's Office, Ruvuma 2023-01-13
[8] 웹사이트 Organisations located in Ruvuma Region - Tanzania http://www.afdevinfo[...] African Development Information 2012-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