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시어는 프랑스어 'luth'(류트)에서 유래된 단어로, 류트 제작자를 의미했으나, 현재는 류트, 기타, 바이올린족 등 다양한 현악기 제작자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루시어는 발현악기(류트, 기타 등)와 찰현악기(바이올린족)를 제작하며, 역사적으로 류트, 기타, 바이올린 제작의 발전에 기여한 다양한 루시어들이 존재한다. 현대에도 루시어는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 기술을 결합하여 악기를 제작하며, 도제 제도나 교육 과정을 통해 기술을 전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올린 - 전기 바이올린
    전기 바이올린은 공명통 없이 픽업으로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로, 재즈, 블루스에서 시작해 록, 팝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음악 연주에도 사용된다.
  • 바이올린 - 과르네리
    과르네리 가문은 17세기부터 18세기 이탈리아 크레모나에서 현악기 제작으로 유명했으며, 안드레아 과르네리를 시작으로 그의 후손들이 뛰어난 악기들을 제작하여 특히 "델 제수"라는 별명의 바르톨로메오 주세페 과르네리는 스트라디바리와 비견되는 명장으로, 과르네리 가문의 바이올린은 뛰어난 음색과 예술성으로 명성이 높다.
  • 목공 - 천공
    천공은 드릴 비트를 회전시켜 재료에 원형 구멍을 뚫는 가공 공정으로, 잔류 응력 및 균열 발생 방지를 위한 마무리 작업이 필요하며, 다양한 드릴 비트와 특수 목적의 드릴링 공법, 그리고 관련 공정들이 존재한다.
  • 목공 - 마키에
    마키에는 금속 가루를 옻칠로 표면에 입혀 장식하는 일본 전통 칠기 기법이며, 히라마키에, 도기다시마키에, 다카마키에 등의 기법으로 나뉘고, 헤이안 시대에 발전하여 일본 칠기 공예의 독창성을 보여준다.
  • 현악기 - 콘트라베이스
    콘트라베이스는 첼로보다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을 가진 15세기 유럽 비올로네의 현대적 현악기로, 더블베이스나 업라이트 베이스 등으로도 불리며 클래식, 재즈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고 풍부한 음색과 연주 기법을 제공한다.
  • 현악기 - 하프
    하프는 기원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세계 각지에서 발전해 온 현악기로,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18세기 페달 하프 발명 후 오케스트라와 실내악에서 널리 쓰이고 아일랜드 등 여러 문화권에서 상징으로 여겨진다.
루시어
직업 개요
직업 종류악기 제작자, 악기 수리공
활동 분야문예 영역
필요 역량악기 제작 및 수리 기술
관련 직업바이올린 제작가(영어: violin maker, 이탈리아어: liutaio)
어원 및 명칭
정의현악기 제작 및 수리 전문가
영어 명칭Luthier ˈ, USalso
프랑스어 명칭Luthier
이탈리아어 명칭Liutaio
일본어 명칭바이올린 제작가
상세 정보
설명루티어는 주로 현악기를 제작하고 수리하는 사람을 지칭함.
특히 바이올린, 기타, 첼로, 류트 등을 전문적으로 다룸.
활동 영역악기 제작
악기 수리
악기 복원
참고 사항콘트라베이스 제작자는 바이올린 제작도 겸하는 경우가 많음.

2. 어원

luthier프랑스어라는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류트"를 뜻하는 프랑스어 단어 'luth'에서 파생되었다. 이 용어는 원래 류트 제작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프랑스어에서는 활로 켜는 현악기 및 뜯는 현악기 제작자, 예를 들어 바이올린족(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포함)과 기타 제작자를 모두 아우르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제작 방식과 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루시어는 하프피아노를 제작하지 않는다.

3. 악기 종류

루시어가 제작하는 악기는 크게 발현악기와 찰현악기로 나눌 수 있다.

악기를 점검하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의 판화식 인물화


바이올린에 칠을 올리는 현대의 루시어

3. 1. 발현악기

발현악기는 손가락이나 피크 등으로 줄을 튕겨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대표적인 발현악기로는 류트, 기타, 우드, 비우엘라 등이 있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클래식 기타를 제작 중인 루시어


미국의 기타 루시어 로버트 베네데토가 1976년에 본인의 작업실에서 촬영한 사진

3. 1. 1. 류트

우드 루시어


류트, 테오르보(:en:theorbo), 비우엘라(:en:Vihuela)의 주요 제작자는 다음과 같다.

제작자
Tieffenbrucker|티펜브루커영어 가문
마틴 호프만
마테오 셀라스(:en:Matteo Sellas)



3. 1. 2. 기타

기타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현대 대중음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악기 중 하나이다. 19세기 초 루이스 파노르모(:en:Louis Panormo)와 게오르그 스타우퍼(:en:Georg Staufer)는 현대 클래식 기타의 발전에 기여했다.[14] 안토니오 토레스 후라도(:en:Antonio Torres Jurado)는 현재 사용되는 클래식 기타의 형태를 개발했다.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마르틴(:en:Christian Frederick Martin)은 초기 형태의 통기타를 개발했다.

오빌 깁슨(:en:Orville Gibson)은 아치탑 기타(:en:archtop guitar)를 발명했으며, 존 단젤리코(:en:John D'Angelico)와 지미 다퀴스토(:en:Jimmy D'Aquisto) 등도 아치탑 기타 제작에 기여했다. 로이드 로어(:en:Lloyd Loar)는 깁슨 기타 코퍼레이션에서 만돌린, 기타를 만들었으며, 그의 아치탑 악기 설계는 오늘날에도 높이 평가받는다. 폴 빅스비(:en:Paul Bigsby)는 트레몰로 암(:en:Vibrato systems for guitar)을 발명하여 일렉트릭 기타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레오 펜더(:en:Clarence Leonidas Fender)는 스트라토캐스터, 재규어, 재즈마스터(:en:Fender Jazzmaster) 등 혁신적인 일렉트릭 기타를 설계했다. 기타리스트 레스폴은 펜더와 비슷한 시기에 독자적으로 솔리드 바디 일렉트릭 기타를 개발했다. 조지 뷰챔프(:en:George Beauchamp)와 아돌프 리켄배커(:en:Adolph Rickenbacker)는 초기 일렉트릭 기타인 프라잉 팬(:en:Frying pan (guitar))을 개발했다.[15] 그레치밴조 제작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일렉트릭 기타 제작으로 유명하다.

3. 2. 찰현악기

찰현악기는 활로 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대표적인 찰현악기로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비올(비올라 다 감바), 비올라 다모레, 비올라 다브라치오(:en:viola da braccio (instrument)), 허디거디, 피들, 이호, 크루스(:en:Crwth), 구도크(:en:Gudok), 마두금, 니켈하르파, 라바브, 레벡(:en:rebec), 사랑기 등이 찰현악기에 속한다.[16]

17세기 중반에는 밀란의 지오반니 그란치노(:en:Giovanni Grancino), 빈첸초 루게리(:en:Vincenzo Rugeri), 카를로 주세페 테스토레(:en:Carlo Giuseppe Testore)와 그의 아들들인 카를로 안토니오 테스토레(:en:Carlo Antonio Testore), 파올로 안토니오 테스토레(:en:Paolo Antonio Testore) 등이 활동했다. 베니스[18]에서는 마테오 고프릴러(:en:Matteo Goffriller), 도메니코 몬타냐나(:en:Domenico Montagnana), 산투스 세라핀(:en:Sanctus Seraphin), 카를로 안니발 토노니(:en:Carlo Annibale Tononi) 등이 베니스 바이올린 제작 학교의 교장으로 활동했다(단, 카를로 안니발 토노니는 볼로냐에서 경력을 시작했다).[19] 카를로 베르곤치(:en:Carlo Bergonzi (luthier))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 사후 그의 공방을 인수했으며, 오스트리아 출신의 다비드 테클러(:en:David Tecchler)는 베니스와 로마에서 악기를 제작했다.

18세기 초에는 이탈리아 나폴리의 니콜로 갈리아노(:en:Nicolò Gagliano), 밀라노의 카를로 페르디난도 란돌피(:en:Carlo Ferdinando Landolfi), 이탈리아 전역을 여행한 지오반니 바티스타 과다니니(:en:Giovanni Battista Guadagnini) 등이 주요 루시어였다. 독일 뉘른베르크에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레오폴드 위드할름(:en:Leopold Widhalm)이 정착했다.

19세기 초 프랑스 미르쿠르(:en:mirecourt) 바이올린 제작 학교 출신으로는 비욤(:en:Vuillaume) 가문, 샤를 장 바티스트 콜랑-메장(:en:Charles Jean Baptiste Collin-Mezin)과 그의 아들 샤를 콜랑-메장 주니어(:en:Charles Collin-Mezin, Jr.), 오노레 데라지, 니콜라스 루포(:en:Nicolas Lupot), 샤를 마쿠텔, 샤를 메네간(:en:Charles Mennégand), 피에르 실베스트르 등이 있다. 이탈리아 라벤나 출신의 니콜라 우틸리(Nicola Utili, 1888년 3월 - 1962년 5월)는 니콜라 다 카스텔 볼로네즈로도 알려져 있으며, 전통적인 류트 외에 "배 모양" 바이올린을 실험적으로 제작하기도 했다.

제롬-티부빌-라미 사(The Jérôme-Thibouville-Lamy firm)는 1730년경 라 쿠튜어-부세(:en:La Couture-Boussey)에서 관악기 제작을 시작하여 1760년경 미르쿠르로 이전, 바이올린, 기타, 만돌린 및 악기 액세서리를 제작했다.

1780년 전후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모던 사양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졌고, 프랑스 시민 혁명 이후 파리에서 현재의 모던 사양 악기(파리지앵 사양) 보급이 진행되었다.

3. 2. 1. 바이올린족 악기

안드레아 아마티는 바이올린의 초기 형태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세기 중반, 아마티는 류트 제작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악기인 바이올린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는 이탈리아 크레모나에서 18세기까지 활동한 아마티 가문의 시조였다.

아마티 가문은 크레모나에서 활동한 유명한 제작 가문이었다. 안드레아 아마티의 두 아들, 안토니오 아마티와 지롤라모 아마티는 형제로서 "A&H"라는 라벨이 붙은 바이올린을 함께 제작했다. 안토니오는 자식이 없었지만, 지롤라모의 아들 니콜로 아마티는 뛰어난 악기 제작자이자 스승이었다. 그의 제자 중에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16], 안드레아 과르네리 등이 있었다.

가스파로 다 살로는 이탈리아 브레시아 출신으로, 바이올린족 악기의 초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많은 악기를 제작하여 수출했으며, 지오반니 파올로 마지니를 포함한 여러 제자를 두었다. 마지니는 다 살로의 사업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과르네리 가문과 스트라디바리 가문은 아마티 가문과 함께 크레모나의 3대 바이올린 제작 가문으로 꼽힌다.

4. 현대의 루시어

현대에도 많은 루시어들이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적인 기술을 결합하여 악기를 제작하고 있다. 이들은 개인 공방을 운영하거나 악기 제조 회사에 소속되어 활동한다.

현대의 루시어
이름출생-사망
잔카를로 구차르디1940-
마리오 가다1931-2008
레나토 스크롤라베차1927-2019
루카 프리몬1952-2017
프란체스코 비소로티1929-2019
조 바타 모라시1934-2018
스테파노 코냐1946-
조르조 체1948-2017
조르조 스콜라리1952-
브루스 칼슨1974-
프리모 피스토니1957-
알레산드로 볼티니1957-
마시모 네그로니1959-
니콜라 라차리1961-
마르첼로 이베1962-
마르코 이멜 피치노티1962-
산드로 아지나리1969-
무량탑장육1927-2020
이즈츠 신이치1936-


5. 교육

프랑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국가 자격증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1]


  • 자격 레벨 III - DMA 루티에[1]
  • 자격 레벨 V - CAP 루티에[1]

6. 참고 문서


  • 루시어 목록
  • 루시어 참고 서적 분류
  • 파라초 데 베르두스코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oxforddic[...] 2010-11-24
[2] Wiktionary luthier 2022-07-02
[3] 서적 Mottola's Cyclopedic Dictionary of Lutherie Terms LiutaioMottola.com 2020-01
[4] 웹사이트 Arts, Music, Instruments, Stringed http://www.dmoz.org/[...] DMOZ 2006-11-03
[5] 서적 The Guitar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Day) Batsford 1978
[6] 서적 Gruhn's Guide to Vintage Guitars GPI Books 1991
[7] 웹사이트 Rickenbacker Electro Spanish Guitar http://www.gruhn.com[...] 2006-11-04
[8] 서적 Antonio Stradivari: His Life and Work, 1664–1737 https://archive.org/[...] Dover
[9] 서적 The Early Pianofor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0] 서적 Violin and Lute Makers of Venice 1640–1760 http://www.veniceres[...] Venice research 2020-03-20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Violin http://www.bartruff.[...] 2006-11-03
[12] 웹인용 Oxford Dictionaries http://www.oxforddic[...] 2021-01-28
[13] 웹인용 Arts, Music, Instruments, Stringed http://www.dmoz.org/[...] DMOZ 2006-11-03
[14] 서적 The Guitar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Day) Batsford 1978
[15] 웹인용 Rickenbacker Electro Spanish Guitar http://www.gruhn.com[...] 2006-11-04
[16] 서적 Antonio Stradivari: His Life and Work, 1664–1737 https://archive.org/[...] Dover
[17] 서적 The Early Pianofor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8] 서적 Violin and Lute Makers of Venice 1640–1760 http://www.veniceres[...] Venice research 2020-03-20
[19] 웹인용 The History of the Violin http://www.bartruff.[...] 2006-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