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소르 오벨리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소르 오벨리스크는 이집트 룩소르 신전에 기원전 13세기 람세스 2세 시대에 세워진 두 개의 오벨리스크 중 하나이다. 높이 23m, 무게 222톤의 붉은 화강암으로 제작되었으며, 상형 문자가 새겨져 있다. 이 중 하나가 1830년 프랑스로 기증되어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 설치되었으며, 프랑스는 이에 대한 답례로 시계를 이집트에 선물했다. 파리에 있는 오벨리스크는 현재 금박을 입힌 피라미디온이 꼭대기에 있으며, 받침대에는 운송 과정과 관련된 그림과 비문이 새겨져 있다. 1999년에는 오벨리스크를 활용한 해시계가 조성되었고, 2024년 파리 하계 패럴림픽 개막식의 중심 무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프랑스 관계 - 덴데라 황도대
덴데라 황도대는 이집트 덴데라의 하토르 신전 천장에 새겨진 원반 형태 조각으로, 그리스-로마 및 이집트 양식의 황도대 별자리가 묘사되어 있으며, 제작 시기를 두고 논쟁이 있었으나 최근 기원전 50년경으로 추정되고 로제타석과 함께 이집트 반환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아프리카 프로젝트 문서 - KV14
KV14는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위치한 무덤으로, 세티 2세와 토스레트, 세트나크트가 사용하려 했으나 미완성으로 남겨졌다. - 기원전 13세기 - 카데시 전투
카데시 전투는 기원전 1274년 이집트의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의 무와탈리 2세 간에 벌어진 전투로, 전략적으로는 무승부로 끝났으며, 이후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으로 분쟁이 종식되었다.
룩소르 오벨리스크 | |
---|---|
일반 정보 | |
![]() | |
원어명 (프랑스어) | Obélisques de Louxor |
다른 이름 (프랑스어) | Obélisque de la place de la Concorde |
유형 | 오벨리스크 |
추정 시기 | 기원전 1250년경 |
위치 | 프랑스 파리 콩코르드 광장 원래 위치: 룩소르 신전 |
물리적 속성 | |
높이 | 23m |
무게 | 222톤 |
역사 | |
제작 시기 | 이집트 제19왕조 |
파리 설치 | 1836년 10월 25일 |
설명 | 한 쌍의 이집트 오벨리스크 중 하나이며, 현재 하나는 파리에 있다. |
기타 정보 | |
프랑스 문화재 등록번호 | Base POP Mérimée PA00088875 |
2. 이집트에서의 역사
룩소르 오벨리스크는 이집트 룩소르의 아문 신전 입구에 서 있던 두 개의 오벨리스크 중 하나로, 이집트 제14왕조 람세스 2세 재위기에 제작되었다.[33][34]
오벨리스크는 룩소르 남쪽 약 약 160.93km 떨어진 아스완에서 채석된 붉은 화강암 한 덩어리로 조각되었으며, 특별히 설계된 바지선으로 운반되었다.[1] 4면에는 이집트 상형문자가 새겨져 있고 람세스 2세의 카르투슈도 새겨져 있다. 비문은 파라오가 아몬라 신에게 제물을 바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며, 1868년 이집트학자 프랑수아 샤바스가 처음으로 해독하였다.
두 오벨리스크는 높이가 약간 달랐는데, 룩소르에 남아있는 오벨리스크가 더 높다. 더 짧은 오벨리스크(파리로 옮겨진 오벨리스크)는 더 높은 받침대에 설치되었고, 다른 오벨리스크보다 탑문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다. 이는 오벨리스크의 높이가 같아 보이도록 하기 위한 의도적인 선택이었을 수 있다.[2][3] 룩소르에 남아있는 오벨리스크는 기울어져 있으며,[4] 파리 오벨리스크에는 고대 시대에 보수된 균열이 있다.[5] 각 오벨리스크의 동쪽과 서쪽 면은 약간 볼록한 형태인데, 이러한 특징을 가진 고대 오벨리스크는 이 두 개뿐이며, 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2]
2. 1. 건립
룩소르 오벨리스크는 원래 이집트 룩소르 아문 신전 입구에 서 있던 두 개의 오벨리스크 중 하나로, 이집트 제14왕조 파라오 람세스 2세 재위기에 제작되었다.[33][34]
룩소르 신전은 람세스 2세보다 약 150년 전에 지어졌다. 람세스 2세는 통치 기간 동안 두 개의 오벨리스크를 추가하는 등 신전을 개조했다.
오벨리스크는 각각 룩소르 남쪽 약 약 160.93km 떨어진 아스완에서 채석된 붉은 화강암 한 덩어리로 조각되었으며, 특별히 설계된 바지선으로 운반되어 밧줄과 모래를 사용하여 제자리에 내려졌다.[1]
2. 2. 구조적 특징
룩소르 오벨리스크는 높이 23m, 무게 222톤에 달하며, 받침대까지 합한 높이는 33.37m, 무게는 240톤이다.[47] 오벨리스크 자체는 수에네 (지금의 아스완)에서 나오는 섬장암으로 제작되었다.[49] 룩소르 오벨리스크의 석재가 채굴된 채석장에서 미완성 오벨리스크가 발견되기도 했다.[49][50]오벨리스크는 각각 룩소르 남쪽 약 약 160.93km 떨어진 아스완에서 채석된 붉은 화강암 한 덩어리로 조각되었으며, 특별히 설계된 바지선으로 운반되었다.[1] 오벨리스크의 4면에는 이집트 상형문자가 새겨져 있으며 람세스 2세의 카르투슈도 새겨져 있다. 비문의 내용은 파라오가 아몬라 신에게 제물을 바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1868년 이집트학자 프랑수아 샤바스가 처음으로 해독하였다.
두 개의 오벨리스크는 높이가 약간 달랐으며, 룩소르에 남아있는 오벨리스크가 더 높다. 더 짧은 오벨리스크(파리로 옮겨진 오벨리스크)는 더 높은 받침대에 설치되었고, 다른 오벨리스크보다 탑문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다. 이러한 설계는 오벨리스크의 높이가 같아 보이도록 하기 위한 의도적인 선택이었을 수 있다.[2][3]
룩소르에 남아있는 오벨리스크는 기울어져 있다.[4] 파리 오벨리스크에는 고대 시대에 보수된 균열이 있다.[5] 각 오벨리스크의 동쪽과 서쪽 면은 약간 볼록한 형태를 띠고 있는데, 이러한 특징을 가진 고대 오벨리스크는 이 두 개뿐이며, 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2]
2. 3. 상형문자
두 오벨리스크에는 모두 네 면에 상형문자가 새겨져 있다. 19세기에 프랑수아 샤바는 파리 오벨리스크의 상형문자를 해독했는데, 람세스 2세, 아문-라, 호루스에 관한 내용이다. 비문의 내용은 파라오가 아몬라 신에게 제물을 바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47]3. 파리 콩코르드 광장의 룩소르 오벨리스크
프랑스는 오벨리스크를 선물받은 것에 대한 답례로 1840년대에 구리로 만든 기계식 시계를 이집트에 선물했다.[35] 이 시계는 카이로 성채의 시계탑에 설치되었으나, 카이로로 운반되던 도중 손상되어 작동하지 않았다. 2021년에 이 시계탑은 수리되어 다시 작동하기 시작했다.[35]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 외부에 있는 살라딘의 시타델 시계가 바로 그것이다.
룩소르 오벨리스크를 파리로 운반하는 것은 큰 도전이었으며, 프랑스 해군 기술자 아르망 플로리몽 미메렐이 전체 계획을 맡았다. 1830년 7월 혁명으로 계획이 무산될 뻔했으나, 그해 11월 무함마드 알리가 프랑스에 오벨리스크를 선물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하면서 다시 추진되었다.[36]
오벨리스크의 해상 운반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바지선인 룩소르 호가 건조되었다.[37] 1831년 4월, 레이몽 드 베르니나크 생모르 함장의 지휘 아래 프랑스 남부 툴롱을 출발하여 1831년 8월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갔다. 룩소르 호는 바닥이 평평하고 용골 5개에 탈착식 선수를 가진 특이한 구조로, 센강의 다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일회용 바지선이었다. 룩소르 근처에 도착한 후에는 300명의 인력을 동원하여 유적까지 운하를 파서 최대한 접근했으며, 12월 19일에 오벨리스크를 룩소르 호에 싣는 데 성공했다. 이후 8개월 동안 나일강이 범람하는 시기를 기다린 끝에 1832년 8월 18일 룩소르 호를 물 위에 띄우는 데 성공했다.
1832년 8월 25일 테베를 떠난 룩소르 호는 10월 2일 나일강 하구 로제타의 사주에 도착했다. 겨울철 악천후가 끝날 때까지 대기한 후, 1833년 1월 1일 로제타를 떠났다. 알렉산드리아에서 루앙으로 항해하던 룩소르 호는 1833년 4월 1일 증기기관과 돛을 갖춘 코르벳선 '스핑크스 호'의 견인을 받았다. 1833년 5월 11일 툴롱에 도착한 뒤 스페인을 돌아 대서양으로 나온 룩소르 호는 셰르부르를 거쳐 루앙에 도착했고, 센강을 거슬러 올라가 1833년 12월 23일 파리에 도착했다.[38][39]
루이필리프 1세는 프랑스 혁명 당시 루이 16세가 참수된 콩코르드 광장에 오벨리스크를 세우기로 결정했다. 이는 프랑스 혁명의 상징적인 장소가 특정 파벌의 기념 공간 싸움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선택이었다.
1836년 10월 25일, 프랑스 공학자 앙폴리네르 르바스가 제작한 직립 기계와 거대 캡스턴을 이용해 오벨리스크를 세우는 행사가 열렸다.[43] 다만 원래 신전에서의 방향과는 달리 파리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약 90° 회전된 상태로 세워졌으며,[44] 원래 동쪽 면이었던 것이 북쪽을 향하게 되었다.[45] 준공식 당시 루이필리프 1세는 암살 시도로 대중의 시선에서 멀어져 있었고, 공사 실패 시 비난받을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아 해군성 본부 관저에 조용히 머물렀다. 오벨리스크가 직립되자 루이필리프 1세와 왕가 일원은 발코니에 나타나 시민들의 박수를 받았다.
현재 오벨리스크의 상부 받침대에는 오벨리스크의 운반과 건립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과 설명이 새겨져 있다.[46]
오벨리스크 이전에는 총 250만 프랑(2020년 기준 약 1600만유로 또는 1900만달러)이 소요된 것으로 추정된다.[16][17]
3. 1. 기증 배경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때 룩소르 오벨리스크를 파리로 옮기는 아이디어가 처음 제기되었다. 1799년 3월 21일, 루이 데세 장군은 나폴레옹에게 테베에 두 개의 오벨리스크가 있으며, 파리로 가져오면 매우 특별한 볼거리가 될 것이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6] 1800년 10월 8일, 장-마리-조제프 쿠텔은 카이로의 이집트 학회 앞에서 콩코르드 광장에 오벨리스크 중 하나를 운송하고 설치하는 것에 대한 기술적 고려 사항을 발표했지만, 이집트에서 프랑스 원정이 끝나면서 실현되지 못했다.[8]루이 18세 치하에서 프랑스는 알렉산드리아에서 클레오파트라의 바늘에 대한 권리를 얻었지만, 이 오벨리스크는 프랑스로 옮겨지지 않고 1881년 뉴욕으로 가게 되었다.
1820년대에 샤를 10세는 이집트 박물관을 개관하고 이집트 예술품으로 오벨리스크를 찾았다. 이 무렵,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은 로제타 상형 문자 해독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처음으로 룩소르 오벨리스크를 보고 프랑스 정부에 다른 오벨리스크보다 룩소르 오벨리스크를 획득하도록 촉구했다.[9]
1830년, 이집트 케디브국의 부왕 무함마드 알리는 프랑스와의 우호증진을 위하여, 이지도어 테일러 남작과 학자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의 동의로 프랑스의 샤를 10세에게 룩소르 오벨리스크를 공식적으로 선물하였다.[10][11]
3. 2. 프랑스의 답례
프랑스는 오벨리스크를 선물받은 것에 대한 답례로 1840년대에 구리로 만든 기계식 시계를 이집트에 선물하였다.[35] 이 시계는 카이로 성채의 시계탑에 설치되었으나, 카이로로 운반되던 도중 손상되어 작동하지 않았다.[35] 2021년에 이 시계탑은 수리되어 다시 작동하기 시작했다.[35]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 외부에 있는 살라딘의 시타델 시계가 바로 그것이다.3. 3. 운송 및 설치
룩소르 오벨리스크를 파리로 운반하는 것은 큰 도전이었으며, 프랑스 해군 기술자 아르망 플로리몽 미메렐이 전체 계획을 맡았다. 1830년 7월 혁명으로 계획이 무산될 뻔했으나, 그해 11월 무함마드 알리가 프랑스에 오벨리스크를 선물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하면서 다시 추진되었다.[36]오벨리스크의 해상 운반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바지선인 룩소르 호가 건조되었다.[37] 1831년 4월, 레이몽 드 베르니나크 생모르 함장의 지휘 아래 프랑스 남부 툴롱을 출발하여 1831년 8월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갔다. 룩소르 호는 바닥이 평평하고 용골 5개에 탈착식 선수를 가진 특이한 구조로, 센강의 다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일회용 바지선이었다. 룩소르 근처에 도착한 후에는 300명의 인력을 동원하여 유적까지 운하를 파서 최대한 접근했으며, 12월 19일에 오벨리스크를 룩소르 호에 싣는 데 성공했다. 이후 8개월 동안 나일강이 범람하는 시기를 기다린 끝에 1832년 8월 18일 룩소르 호를 물 위에 띄우는 데 성공했다.
1832년 8월 25일 테베를 떠난 룩소르 호는 10월 2일 나일강 하구 로제타의 사주에 도착했다. 겨울철 악천후가 끝날 때까지 대기한 후, 1833년 1월 1일 로제타를 떠났다. 알렉산드리아에서 루앙으로 항해하던 룩소르 호는 1833년 4월 1일 증기기관과 돛을 갖춘 코르벳선 '스핑크스 호'의 견인을 받았다. 1833년 5월 11일 툴롱에 도착한 뒤 스페인을 돌아 대서양으로 나온 룩소르 호는 셰르부르를 거쳐 루앙에 도착했고, 센강을 거슬러 올라가 1833년 12월 23일 파리에 도착했다.[38][39]
루이필리프 1세는 프랑스 혁명 당시 루이 16세가 참수된 콩코르드 광장에 오벨리스크를 세우기로 결정했다. 이는 프랑스 혁명의 상징적인 장소가 특정 파벌의 기념 공간 싸움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한 선택이었다.
1836년 10월 25일, 프랑스 공학자 앙폴리네르 르바스가 제작한 직립 기계와 거대 캡스턴을 이용해 오벨리스크를 세우는 행사가 열렸다.[43] 다만 원래 신전에서의 방향과는 달리 파리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약 90° 회전된 상태로 세워졌으며,[44] 원래 동쪽 면이었던 것이 북쪽을 향하게 되었다.[45]
준공식 당시 루이필리프 1세는 암살 시도로 대중의 시선에서 멀어져 있었고, 공사 실패 시 비난받을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아 해군성 본부 관저에 조용히 머물렀다. 오벨리스크가 직립되자 루이필리프 1세와 왕가 일원은 발코니에 나타나 시민들의 박수를 받았다.
현재 오벨리스크의 상부 받침대에는 오벨리스크의 운반과 건립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과 설명이 새겨져 있다.[46]
오벨리스크 이전에는 총 250만 프랑(2020년 기준 약 1600만유로 또는 1900만달러)이 소요된 것으로 추정된다.[16][17]
3. 4. 콩코르드 광장 선택의 의미
루이필리프 1세는 프랑스 혁명 당시 단두대가 설치되었던 콩코르드 광장에 오벨리스크를 세우기로 결정하였다. 이는 프랑스 혁명으로 참수된 루이 16세를 기리는 기념비를 대신하는 것이었다. 1830년 혁명으로 이전에 세워졌던 기마상이 파괴되기도 하였다.[42] 이처럼 프랑스의 지난 역사와 전혀 다른 성격의 기념비를 세운 것은, 프랑스 혁명의 상징적인 장소가 특정 파벌의 기념 공간 싸움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오벨리스크는 고대 유물이며 프랑스 역사와 관련이 없다는 점에서 정치적 논란을 피할 수 있었다. 이는 정치적 열정을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상징적인 공간을 채울 수 있는 적절한 선택이었다.
3. 5. 받침대
파리 콩코르드 광장의 오벨리스크는 원래 룩소르 신전의 정사각형 받침대 위에 있었고, 오벨리스크와 함께 프랑스로 가져왔다. 이 받침대는 뒷다리로 서서 생식기를 드러낸 16마리의 개코원숭이로 장식되었으나,[51] 19세기 프랑스 사회의 보수적 통념상 부적절하다고 평가되어 콩코르드 광장에 설치되지 않았다. 현재 이 받침대는 루브르 박물관 이집트 유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루브르랑스 박물관의 갈레리 뒤 탕 (Galerie du temps)에 전시 중이다.[52][53]브르타뉴의 알베르일뒤 채석장에서 가져온 분홍색 화강암 블록 5개로 새로운 받침대를 제작했다.[54] 이 받침대는 자크 이토르프가 콩코르드 광장 재개발을 하며 설계했으며, 두 면에는 오벨리스크를 끌어내려 배로 운송하는 과정을 그림과 비문으로 새겼다. 나머지 두 면에는 루이필리프 1세가 건설 계획을 돌아보고 프랑스가 이집트에 헌신해 왔음을 강조하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55] 받침대 주변에는 금창살 323개로 이루어진 철책이 둘러져 있다. 1839년에는 운송에 사용된 복잡한 기계를 설명하는 도면이 받침대에 추가되었다.[18]
원래 이집트식 받침대는 손을 태양으로 뻗은 남성 생식기를 가진 개코원숭이 조각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받침대 조각은 오벨리스크와 함께 파리로 가져왔으나, 대중에게 전시하기에는 너무 외설적이라고 판단되어 루브르 박물관 이집트관으로 보내졌다.[19]
3. 6. 피라미디온
1998년 5월, 프랑스는 오벨리스크 꼭대기에 금박을 입힌 피라미디온을 추가했다. 이는 프랑스-이집트의 해를 기념하고 이브 생 로랑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10][20][56]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호박금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금박 세공작업을 거쳤다고 전해진다.[57]원래 오벨리스크에 있던 피라미디온은 6세기 이슬람의 이집트 침공으로 손상된 것으로 추정된다.[58] 기원전 500년대에 도난당했을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
1998년에 설치된 피라미디온은 새들로 인해 훼손되어 2022년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다. 2023년 6월 20일, 금박으로 덮인 강철 피라미디온이 새로 설치되었다.[59]
4. 현대의 사건 및 활용
1913년, 프랑스 천문학자 카미유 플라마리옹은 오벨리스크를 해시계의 일종인 규표로 사용하자는 제안을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1999년, 프랑스 천문학회의 주도로 콩코르드 광장에 수평 해시계가 조성되었다. 이 해시계는 오벨리스크의 그림자가 콩코르드 광장 북쪽의 로마 숫자에 닿으면 시각을 알 수 있게 한 것이다.[60][61]
1993년 12월 1일, 에이즈 퇴치 단체인 Act Up Paris|액트 업 파리프랑스어는 세계 에이즈의 날을 기념하여 오벨리스크에 거대한 분홍색 콘돔을 씌우는 시위를 벌였다.[23][24] 1998년에는 프랑스의 도시 등반가 알랭 로베르가 오벨리스크를 등반했다.[25]
2015년, 밀렌 구에르몽의 인터랙티브 조각 PHARES[28]가 오벨리스크 옆에 전시되었다. 2024년 8월 28일, 파리 하계 패럴림픽 개막식이 콩코르드 광장에서 개최되어 룩소르 오벨리스크가 중심 무대가 되었다.
참조
[1]
간행물
Building the Great Obelisks at Luxor
https://www.history.[...]
2021-10-08
[2]
서적
Egyptian Obelisks
https://books.google[...]
author
[3]
서적
Illusionism in Egyptian Architecture
https://oi.uchicago.[...]
[4]
뉴스
Egypt's Obelisks Are No Longer Standing Tall
https://www.latimes.[...]
1990-07-22
[5]
서적
Egyptian Obelisks
https://books.google[...]
Author
[6]
서적
Desaix, le sultan juste
[7]
서적
Voyage dans la basse et la haute Égypte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1989
[8]
학술지
Le Guerrier Philosophie Desaix, L'institut d'Égypte et la commission des sciences et arts
2001
[9]
서적
Egyptian Obelisks
https://books.google[...]
Author
[10]
학술지
L'Obélisque de la Concorde et Champollion
2022-09-01
[11]
서적
Egyptian Obelisks
https://books.google[...]
Author
[12]
뉴스
175-year-old Cairo Citadel clock to be repaired
https://english.ahra[...]
ahramonline
2021-05-06
[13]
웹사이트
Egypt's first ticking clock ticks again - Al-Monitor: The Pulse of the Middle East
https://www.al-monit[...]
2021-10-06
[14]
웹사이트
L'Obélisque de Louxor fait peau neuve
https://www.culture.[...]
2021-12-10
[15]
웹사이트
De Louxor à la Concorde, la fabuleuse odyssée de l'Obélisque
https://www.francetv[...]
franceinfo France Télévisions
2014-02-11
[16]
서적
L'Abeille
https://books.google[...]
Petit Séminaire de Québec
1848
[17]
웹사이트
Historical Currency Converter
https://www.historic[...]
[18]
서적
Le Grand Voyage de l'Obélisque
Seuil
[19]
웹사이트
Four baboons adoring the rising sun {{!}} Louvre Museum {{!}} Paris
http://www.louvre.fr[...]
2015-07-08
[20]
뉴스
Paris obelisk finally gets its gold cap
https://www.independ[...]
2011-10-23
[21]
서적
Egyptian Obelisks
https://books.google[...]
Henry Gorringe
[22]
서적
Pleasant Memories of Pleasant Lands
https://play.google.[...]
James Munroe & Company
[23]
웹사이트
Civismemoria.fr - Interviews en tout genre !
http://www.civismemo[...]
[24]
웹사이트
http://www.qrd.org/q[...]
2022-03-01
[25]
웹사이트
FRANCE: PARIS: 'SPIDERMAN' ALAIN ROBERT STRIKES AGAIN {{!}} AP Archive
http://www.aparchive[...]
[26]
웹사이트
Dressing up the Obelisk for the opening of the Football World Cup in 1998, Paris – C&E Construction et Environnement
http://www.ceingenie[...]
2023-12-13
[27]
뉴스
Millennial Countdown Is Aided by a Sundial
https://www.wsj.com/[...]
1999-09-10
[28]
웹사이트
PHARES (2015)
https://www.milenegu[...]
[29]
데이터베이스
[30]
웹인용
Quels sont les plus vieux monuments de Paris ?
https://vivreparis.f[...]
2023-11-28
[31]
웹인용
Obélisque de la Concorde : retour sur l'histoire du plus vieux monument de Paris
https://www.geo.fr/h[...]
2023-12-19
[32]
웹인용
À Paris, la spectaculaire restauration de l’obélisque de la Concorde
https://www.lefigaro[...]
2022-01-11
[33]
웹인용
L'Obélisque de Louxor fait peau neuve
https://www.culture.[...]
2023-12-19
[34]
웹인용
De Louxor à la Concorde, la fabuleuse odyssée de l'Obélisque
https://www.francetv[...]
2023-12-19
[35]
웹인용
Egypt’s first ticking clock ticks again
https://www.al-monit[...]
2022-03-08
[36]
서적
Obélisques égyptiens à transporter à Paris and Le grand voyage de l'obélisque
[37]
서적
L'Obélisque de Louqsor, transporté à Paris : notice historique, descriptive et archaéologique sur le monument
https://gallica.bnf.[...]
Firmin Didot frères
2011-12-28
[38]
웹사이트
L'obélisque de Louxor à Cherbourg
http://www.normannia[...]
2024-06-30
[39]
웹사이트
L'obélisque de Louxor à Cherbourg (1833) sur WM
https://www.wikimanc[...]
[40]
웹사이트
L'affaire Louis XVI : le procès du roi des Français
http://users.skynet.[...]
[41]
웹사이트
Charles X, continuation de l'Ancien Régime
http://www.histoire-[...]
[42]
웹사이트
Inauguration du monument à la mémoire de Louis XVI
http://www.museehist[...]
[43]
웹사이트
Champs-Élysées. Une histoire
http://feuilleteur.e[...]
2024-06-30
[44]
문서
룩소르에서는 동쪽면이 남동쪽 (동쪽에서 44°)를 향했으나 파리에서는 북동쪽 (북쪽에서 28°)를 향하게 되었으며 회전각은 106°에 달하게 되었다.
[45]
웹사이트
Changement d’orientation de l’obélisque de la place de la Concorde par rapport à sa position à Louqsor. - ppt télécharger
https://slideplayer.[...]
2021-11-17
[46]
문서
샹젤리제 거리와 마주하고 있으며 파리 경찰청의 교통상황 CCTV가 숨겨진 채로 달려 있다.
[47]
서적
Le grand voyage de l'obélisque
éditions du Seuil
[48]
웹사이트
La place de la Concorde
https://www.sand-rio[...]
2021-11-15
[49]
저널
The building stones of ancient Egypt - a gift of its geology
[50]
서적
Cours pratique de construction, rédigé conformément au paragraphe 5 du programme officiel des connaissances pratiques exigées pour devenir ingénieur…Baudry
https://books.google[...]
[51]
웹사이트
Musée du Louvre : Quatre babouins adorant le soleil levant
http://www.louvre.fr[...]
[52]
서적
Paris en histoires, XIXe-XXe
C. Massin
[53]
웹사이트
L'obélisque de la Concorde
http://www.egyptos.n[...]
[54]
서적
Géologie appliquée, ou, Traité de la recherche et de l'exploitation des minéraux utiles
https://books.google[...]
Langlois et Leclercq
[55]
웹사이트
L'Égypte à Paris : L'Obélisque de la place de la Concorde
http://www.bubastis.[...]
2015-10-18
[56]
웹사이트
Pierre Bergé rejoint Saint Laurent : l'homme d'affaires et mécène engagé est mort
https://www.francetv[...]
2023-06-20
[57]
서적
Paris pour les Nuls
https://archive.org/[...]
First Editions
[58]
웹사이트
De Louxor à Paris - Documentaire sur l'obélisque de la Concorde
https://www.youtube.[...]
2012-06-12
[59]
웹사이트
L'obélisque de la place de la Concorde a retrouvé la pointe de son pyramidion
https://www.lefigaro[...]
2023-07-09
[60]
웹사이트
Le plus grand cadran solaire au monde se trouve à Paris !
https://www.pariszig[...]
2021-11-14
[61]
서적
Cadrans solaires de Paris
CNRS Éditions
[62]
문서
라틴어 원문: LUDOVICUS PHILIPPUS I / FRANCORUM REX / UT HOC ANTIQUISSIMUM ARTIS AEGYPTIACAE OPUS / IDEMQUE / RECENTIS GLORIAE AD NILUM ARMIS PARTAE / INSIGNE MONUMENTUM / FRANCIAE AB IPSA AEGYPTO DONATUM / POSTERITATI PROROGARET / OBELISCUM / DIE XXV AUG. A. M. D. CCC. XXX.II / THEBIS HECATOMPYLIS AVECTUM / NAVIA AD ID CONSTRUCTA / INTRA MENSES XIII IN GALLIAM PERDUCTUM / ERIGENDUM CURAVIT / DIE XXV. OCTOB. A. M. DCCC. XXX. VI / ANNO REGNI SEPTIM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