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국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비아 국민군은 2014년 리비아 내전 당시 칼리파 하프타르가 창설한 군사 조직으로, 리비아 동부를 거점으로 활동하며 국민합의정부(GNA) 및 이슬람 원리주의 민병대와 대립했다.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러시아, 프랑스 등의 지원을 받았으며, 2019년 트리폴리 공격을 감행하기도 했다.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 붕괴 이후 국가과도위원회가 창설한 리비아 군대를 모태로 하며,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군대 재건 및 훈련을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리비아 내전 - 93여단
93여단은 106mm 대전차포를 포함한 중화기를 보유했으며, 2023년 5월 28일 기지 점령 당시 탱크와 BM-21 그라드 로켓 발사기 등 중장비를 획득했다. - 제2차 리비아 내전 - 서부 리비아 전역
서부 리비아 전역은 2011년 카다피 정권 붕괴 후 심화된 리비아 내전과 관련된 사건들을 포괄하며, 2014년 내전 발발 이후 LNA와 GNA를 중심으로 국제 사회의 개입, 트리폴리 공세, 전쟁 범죄 혐의, 지방 선거 등 다양한 사건과 인명 피해 및 인권 침해를 야기하며 정치적, 군사적, 인도적 위기를 지속하고 있다. - 리비아의 군사 - 리비아군
리비아군은 카다피의 쿠데타 이후 리비아 아랍 공화국 군대로 재편되었으나, 2011년 내전으로 해체 후 재건, 2014년 내전으로 GNA와 LNA로 분열되어 불안정한 상태이다. - 리비아의 군사 - 리비아 해군
리비아 해군은 1966년 창설되어 카다피 집권기에 전력을 강화했으나, 2011년 내전으로 타격을 입은 후 재건되어 현재 국민 통합 정부의 지휘 아래 해안 경비 및 해상 감시 임무를 수행하는 리비아의 해상 방어 군사 조직이다. - 아랍의 봄 - 게지 공원 시위
게지 공원 시위는 2013년 이스탄불의 게지 공원 재개발 계획에 반대하며 시작되어 에르도안 정부의 권위주의적 행보에 대한 반발로 확산되었고, 터키 사회의 광범위한 불만을 표출하며 터키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킨 대규모 시위이다. - 아랍의 봄 - 제1차 리비아 내전
제1차 리비아 내전은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붕괴를 초래한 내전으로, 카다피의 장기 집권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벵가지 시위로 시작되었으며, 국제 연합의 개입과 카다피 사망으로 종식되었다.
리비아 국민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리비아 국민군 |
로마자 표기 | Al-Jaish Al-Watani Al-Libi (알-자이슈 알-와타니 알-리비) |
다른 명칭 | 리비아 국민군 리비아 아랍군 하프타르 군 |
지휘 및 통제 | |
최고 사령관 | 칼리파 하프타르 |
총사령관 | 무함마드 알-멘피 |
총참모장 | 압둘라제크 알-나두리 |
본부 | 토브루크, 리비아 |
관할 지역 | 리비아 동부 및 중부 |
조직 및 규모 | |
활동 기간 | 2011년-현재 |
병력 규모 | 25,000명-85,000명 이상 |
이념 | 아랍 민족주의 세속주의 나세르주의 군국주의 반제국주의 마드칼리즘 (일부) 카다피즘 (일부) |
지지 및 적대 세력 | |
지지 세력 (국가) | 국가안정정부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시리아 (2024년까지) 사우디 아라비아 러시아 미국 영국 모로코 |
지지 세력 (비국가) | 신속지원군 [[File:PMC Wagner Center logo.png|20px]] 바그너 그룹 헤즈볼라 (주장, LNA 부인) |
적대 세력 (국가) | 국민합의정부 국민통합정부 (2022년부터) 튀르키예 카타르 알제리 |
적대 세력 (비국가) | 시리아 국민군 벵가지 혁명 슈라 위원회 이슬람 국가 무슬림 형제단 하마스 |
활동 | |
주요 전투 | {{Collapsible list|bullets=on |
상징 | |
![]() | |
기타 | |
관련 정보 | 리비아군 (1951년~2011년) 리비아군 |
2. 명칭
2019년 11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973호에 따라 설립된 유엔 리비아 전문가 패널은 하프타르와 연계된 모든 무장 집단을 지칭하기 위해 "리비아 국민군(Libyan National Army)"이라는 명칭 대신 "하프타르 무장 세력(Haftar Armed Forces, HAF)"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여단"이나 "대대"와 같은 용어를 소문자로 표기하여 정부의 정식 군 부대라는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을 피했다.
칼리파 하프타르와 리비아 국민군(LNA)은 이집트, 러시아, 아랍에미리트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29][30][31][32][33] 프랑스 또한 하프타르 군대에 암묵적인 지원을 제공했는데, 프랑스 공군이 차드 북부 반군(Insurgency in Northern Chad)에 대해 공습을 감행하기도 했다.[10] 이는 트리폴리의 국가 협약 정부(GNA)를 지원하는 이탈리아와 갈등을 빚는 원인이 되었다.[10]
리비아 국민군(LNA)은 지상군, 공군, 해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동맹
러시아는 하프타르의 가장 헌신적인 동맹국 중 하나이다. 2020년 5월 미 아프리카 사령부(AFRICOM)는 러시아가 최소 14대의 MiG 전투기를 리비아에 배치했다고 밝혔으며, 이 전투기들은 와그너 그룹의 지원을 받아 LNA를 지원했다.[34][35][36]
4. 구조
지상군은 정규군, 특수부대(알사이카), 군사정보부대, 민병대, 외국 용병부대로 구성된다.
정규군은 2019년 5월 기준 약 7,000명 규모로, 제106여단, 제73여단, 타레크 벤 지야드 여단, 제9여단 등 다수의 여단 및 대대로 구성된다. 제106여단은 칼리파 하프타르의 아들 칼레드가 이끌었으며, 2019년 6월 기준 여단장은 살렘 라힐이었다. 이 여단은 2019년 7월 벵가지에서 리비아 대표원회 의원 세함 세르기와를 납치한 혐의를 받고 있다.
사이카는 낙하산 부대와 특수부대원으로 구성된 정예 부대로, 벵가지에서 안사르 알샤리아에 대한 저항과 리비아군의 상징으로 여겨져 인기가 높다.[38]
민병대는 마드칼리 계열 민병대가 주축을 이루며, 타우히드 대대, 타리크 이븐 지야드 여단, 수불 알살람 그룹 등이 포함된다. 2019~2020년 서부 리비아 공세 기간 동안 LNA는 타르후나(Tarhuna)의 알카니야트(al-Kaniyat) 민병대와 동맹을 맺었다.[42][41][40][39][43]
2019년 5월 기준으로 LNA의 보조군(민병대와 용병) 수는 약 18,000명으로 추산되었다. LNA를 위해 활동한 외국 용병에는 수단 해방 운동/군대(민나위)와 수단 해방 운동/군대(알누르) 출신 수단 용병, 민주 세력 집결 출신 차드 용병, 그리고 러시아 바그너 그룹 용병이 포함된다.[39][40][41][42][43] 2019년 7월에는 카르툼 학살의 주도 세력으로 알려진 수단 신속 지원군 1,000명이 리비아에 도착했다. 2022년 1월, '5+5 리비아 합동군사위원회'는 LNA와 연계된 수단 용병 300명의 추방을 발표했다.[44]
4. 1. 지상군
리비아 국민군(LNA)의 지상군은 정규군, 특수부대, 민병대, 그리고 외국 용병으로 구성된다.
정규군은 2019년 5월 기준 약 7,000명 규모로, 제106여단, 제73여단, 타레크 벤 지야드 여단, 제9여단 등 다수의 여단 및 대대로 구성된다. 제106여단은 칼리파 하프타르의 아들 칼레드가 이끌었으며, 2019년 6월 기준 여단장은 살렘 라힐이었다. 이 여단은 2019년 7월 벵가지에서 리비아 대표원회 의원 세함 세르기와를 납치한 혐의를 받고 있다.
사이카는 낙하산 부대와 특수부대원으로 구성된 정예 부대로, 벵가지에서 안사르 알샤리아에 대한 저항과 리비아군의 상징으로 여겨져 인기가 높다.[38]
민병대는 마드칼리 계열 민병대가 주축을 이루며, 타우히드 대대, 타리크 이븐 지야드 여단, 수불 알살람 그룹 등이 포함된다. 2019~2020년 서부 리비아 공세 기간 동안 LNA는 타르후나(Tarhuna)의 알카니야트(al-Kaniyat) 민병대와 동맹을 맺었다.[42][41][40][39][43]
2019년 5월 기준으로 LNA의 보조군(민병대와 용병) 수는 약 18,000명으로 추산되었다. LNA를 위해 활동한 외국 용병에는 수단 해방 운동/군대(민나위)와 수단 해방 운동/군대(알누르) 출신 수단 용병, 민주 세력 집결 출신 차드 용병, 그리고 러시아 바그너 그룹 용병이 포함된다.[39][40][41][42][43] 2019년 7월에는 카르툼 학살의 주도 세력으로 알려진 수단 신속 지원군 1,000명이 리비아에 도착했다. 2022년 1월, '5+5 리비아 합동군사위원회'는 LNA와 연계된 수단 용병 300명의 추방을 발표했다.[44]
4. 2. 공군
4. 3. 해군
5. 계급
리비아의 계급 체계를 따른다.
6. 지휘부
할리파 하프타르는 2015년 3월 2일에 리비아군 총사령관이 되었으며,[26] 통합정부협의회(GNA)와 리비아 국민군(LNA)이 분열된 후에도 리비아 국민군의 지도자로 남았다. 2017년 12월 기준으로, 아브드라젝 알-나두리(Abdulrazek al-Nadoori) 소장이 LNA의 참모총장이었다.[37] 마흐무드 알-웨르팔리는 국제형사재판소(ICC) 체포 영장이 발부된 인물로, 2017년 8월 기준으로 LNA 알-사이카 부대의 사령관이었다.
다른 고위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 총사령관 아길라 살레 이사
- 최고 사령관 할리파 하프타르
- 리비아 공군 참모총장 사크르 제루시(Saqr Geroushi) 소장
- 군 정보국장 라마단 아티아트 알라(Ramadan Atiat-Allah) 소장
- 리비아 특수부대 사령관 와니스 부카마다(Wanis Bukhamada) 소장
- 작전국장 압둘살람 알-하시(Abdulsalam al-Hasy) 소장
- LNA 공식 대변인 아흐메드 알-메스마리(Ahmed al-Mesmary) 소장
- 다르나 작전실장 살림 알-리파디 알-오바이디(Salim al-Rifady al-Obaidy) 소장
7. 장비
리비아 국민군(LNA)은 다양한 종류의 장비를 사용하고 있으며, 정확한 수량은 알려져 있지 않다. 상당량의 장비는 리비아 육군의 비축 물자와 탈영병으로부터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LNA가 보유한 상당량의 무기와 장비는 아랍에미리트(UAE)와 러시아에서 공급되었다.[59] 특히, 아랍에미리트는 UN 무기 금수 조치를 위반하면서 하프타르 세력에 무기를 이전했다.[60]
다양한 경트럭 및 유틸리티 차량(일명 테크니컬(technical) 및 건 트럭(gun trucks))은 토요타 등 여러 제조사의 차량을 개조하여 중기관총, 경다연장로켓포, 대공포 등 다양한 무기를 장착한 차량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기는 ZU-23-2와 ZPU이다.[61][62]
차량 명칭 | 이미지 | 원산국 | 차량 종류 | 모델명 | 세부 정보 |
---|---|---|---|---|---|
토요타 랜드크루저 | ![]() | #REDIRECT | 다목적 차량 | HZJ-79 | 기술 차량으로 사용됨.[75] |
지프 J8 | ![]() | #REDIRECT | 군용 경량 다목적 차량 | 이집트에서 공급.[65] | |
파스 사피르 | ![]() | 이란fa | 군용 경량 다목적 차량 | 수단에서 공급.[65] | |
카마스 | ![]() | 러시아ru | 중형 트럭 | 6x6 | [70] |
이베코 트래커 | ![]() | 이탈리아it | 대형 트럭 (10톤) | Trakker 380 | [72] |
=== 소화기 ===
이름 | 그림 | 원산국 | 종류 | 구경 | 세부 정보 |
---|---|---|---|---|---|
AK-47 | #REDIRECT | 돌격소총 | 7.62×39mm | [63] | |
AKM | ![]() | #REDIRECT | 돌격소총 | 7.62×39mm | [63] |
AK-103 | ![]() | 러시아ru | 돌격소총 | 7.62×39mm | [65] |
AR-M1 | ![]() | #REDIRECT | 돌격소총 | 5.56×45mm NATO 7.62×39mm | UAE에서 공급.[64] |
Type 56 | ![]() | 중국중국어 | 돌격소총 | 7.62×39mm | UAE에서 공급된 Type 56-1 소총.[65] |
HK G36 | ![]() | #REDIRECT | 돌격소총 | 5.56×45mm NATO | [63] |
MAT-49 | ![]() | 프랑스프랑스어 | 기관단총 | 9×19mm 파라벨룸 | [63] |
FN P90 | ![]() | 벨기에nl | 기관단총 | FN 5.7×28mm | [63] |
SVD | ![]() | #REDIRECT | 지정사수소총 | 7.62×54mmR | [66] |
RPD 기관총 | ![]() | #REDIRECT | 경기관총 | 7.62×39mm | [66] |
RPK 기관총 | #REDIRECT | 경기관총 | 7.62×39mm | [66] | |
PKM | ![]() | #REDIRECT | 기관총 | 7.62×54mmR | [65] |
Type 80 | ![]() | 중국중국어 | 기관총 | 7.62×54mmR | UAE에서 공급.[65] |
DShK | ![]() | #REDIRECT | 중기관총 | 12.7×108mm | [66] |
W85 | ![]() | 중국중국어 | 중기관총 | 12.7×108mm | UAE에서 공급.[65] |
SPG-9 | ![]() | #REDIRECT | 무반동총 | 73mm | 요르단에서 공급.[65] |
칼 구스타프 | ![]() | 스웨덴sv | 무반동총 | 84mm | [67] |
M40A1 | ![]() | #REDIRECT | 무반동총 | 105mm | [67] |
RPG-7 | ![]() | #REDIRECT | 로켓추진수류탄 | 40mm | [63] |
Type 69 RPG | ![]() | 중국중국어 | 로켓추진수류탄 | 40mm | UAE에서 공급.[65] |
RPG-32 | 러시아ru 요르단ar | 로켓추진수류탄 | 105mm | 요르단에서 공급된 RPG-32 나시샤브.[65] | |
9M14 말류트카 |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25mm | [67] | |
9K111 파고트 | ![]() |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20mm | [67] |
9M113 콘쿠르스 |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35mm | [67] | |
9M133 코르넷 | ![]() | 러시아ru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52mm | UAE에서 공급.[65] 일부 이란제 복제품도 사용됨.[68] |
MILAN | ![]() | 프랑스프랑스어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15mm | [67] |
FGM-148 재블린 | ![]() |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27mm | 프랑스로부터 이전.[69] |
=== 전차 ===
모델 | 사진 | 원산국 | 변형 | 상세 |
---|---|---|---|---|
T-54/T-55[67] | ![]() | #REDIRECT | T-55A T-55E | 이집트에서 공급받았다.[70] |
T-62[67] | ![]() | #REDIRECT | T-62M T-62MV | 러시아에서 공급받은 T-62M과 T-62MV.[65] |
T-72[67] | ![]() | 소베츠키 소유스ru | T-72 T-72M1 | 일부는 2011년 리비아 혁명 이전에 제너럴 다이내믹스 영국에서 업그레이드되었다.[70] |
=== 장갑차 ===
리비아 국민군은 BMP-1[67], BMP-3와 같은 보병전투차를 비롯하여, BRDM-2, EE-9 카스카벨 등의 장갑차를 운용한다.[67] M113 장갑차와 같은 궤도식 장갑병원정차와 MT-LB같은 지휘차량도 보유하고 있다.[67] [70] BTR-60같은 바퀴식 장갑병원정차도 운용한다.[67]
KADDB 알 마레드,[67] Mbombe 6[67], 님르[67], 푸마[67] 등 다양한 바퀴식 장갑차도 보유하고 있다. 또한, BAE 카이만,[67] INKAS 타이탄,[67] 슈트라이트 그룹 타이푼[67]과 같은 MRAP도 운용한다. BMC 부란은 GNA군으로부터 노획한 것이다.
험비와 같은 보병 기동차량을 비롯하여, KADDB 알 와시,[67] 슈트라이트 그룹 쿠거, 크라즈 코브라, 슈트라이트 그룹 스파르탄,[67] 판테라 T6,[67] 판테라 F9,[67] 이기리기 장갑차, TAG 테리어 LT-79,[67] TAG BATT AP, 가즈 티그르 등 다양한 종류의 보병 기동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장갑차들은 주로 소련, 러시아, 우크라이나,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르단, 이탈리아, 미국, UAE, 터키 등 다양한 국가로부터 획득한 것이다. 특히, UAE는 리비아 국민군에 상당수의 장갑차를 공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5]
모델 | 사진 | 원산국 | 유형 | 비고 |
---|---|---|---|---|
BMP-1 | ![]() | #REDIRECT | 보병전투차 | [67] |
BMP-3 | ![]() | 러시아ru | 보병전투차 | 2013년에 10대가 인도됨.[71] |
라텔 보병전투차 | ![]() | #redirect | 보병전투차 | 라텔 20 라텔 60, 1대의 라텔 60이 타르후나에서 GNA에 의해 노획됨.[72] |
BRDM-2 | #REDIRECT 우크라이나uk | 장갑차 | 일부는 UAE에 의해 공급됨.[65] | |
EE-9 카스카벨 | ![]() | 브라질pt | 장갑차 | [67] |
M113 장갑차 | ![]() | #REDIRECT | 궤도식 장갑병원정차 | [67] |
MT-LB | ![]() | #REDIRECT | 지휘차량 | MT-LBu[70] |
BTR-60 | ![]() | #REDIRECT | 바퀴식 장갑병원정차 | BTR-60PB[67] |
KADDB 알 마레드 | 요르단ar | 바퀴식 장갑병원정차 | 요르단이 공급.[65] | |
Mbombe 6 | ![]() | #redirect | 바퀴식 장갑병원정차 | 요르단이 공급.[65] |
님르 | ![]() | #REDIRECT | 바퀴식 장갑병원정차 | 자이스 N35 4x4 님르 II, 요르단이 49대 기증.[73] |
푸마 | ![]() | 이탈리아it | 바퀴식 장갑병원정차 | 6x6, 이탈리아가 20대 기증.[73] |
BAE 카이만 | ![]() | #REDIRECT | MRAP | UAE가 공급.[65] |
INKAS 타이탄 | #REDIRECT | MRAP | 타이탄-S 4x4 타이탄-S 6x6 타이탄-DS, UAE가 공급.[65] | |
슈트라이트 그룹 타이푼 | ![]() | #REDIRECT | MRAP | UAE가 50대 기증.[73] |
BMC 부란 | ![]() | 터키tr | MRAP | GNA군으로부터 노획. |
험비 | #REDIRECT | 보병 기동차량 | 2012년 미국이 200대 기증.[72] | |
KADDB 알 와시 | ![]() | 요르단ar | 보병 기동차량 | 요르단이 공급.[65] |
슈트라이트 그룹 쿠거 | ![]() | #REDIRECT | 보병 기동차량 | UAE가 공급.[65] |
크라즈 코브라 | ![]() | #REDIRECT | 보병 기동차량 | UAE가 공급.[65] |
슈트라이트 그룹 스파르탄 | ![]() | #REDIRECT | 보병 기동차량 | UAE가 750대 기증.[73] |
판테라 T6 | ![]() | #REDIRECT | 보병 기동차량 | UAE가 공급.[65] |
판테라 F9 | ![]() | #REDIRECT | 보병 기동차량 | UAE가 공급.[65] |
이기리기 장갑차 | #redirect | 보병 기동차량 | Mk II, UAE가 공급.[65] | |
TAG 테리어 LT-79 | #REDIRECT | 보병 기동차량 | UAE가 공급.[65] | |
TAG BATT AP | #REDIRECT | 보병 기동차량 | UAE가 공급.[65] | |
가즈 티그르 | ![]() | 러시아ru | 보병 기동차량 | 티그르-M, 4대가 와그너 그룹에서 LNA로 이전됨.[70] |
=== 포병 ===
=== 대공 무기 ===
{| class="wikitable sortable"
|-
! 명칭
! 이미지
! 원산국
! 유형
! 구경
! 상세 정보
|-
| S-125 네바 (S-125)
|
| 벨라루스
|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
| 아랍에미리트에서 공급.[65]
|-
| 스트렐라-1 (9K31 Strela-1)
|
|
|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
| [70]
|-
| 쿠브 (2K12 Kub)
|
|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 [67]
|-
| 판치르-S1 (Pantsir-S1)
|
| 러시아
|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및 자주식 대공포
| 30mm
| 아랍에미리트에서 공급.[65]
|-
| 이글라-S (9K338 Igla-S)
|
| 러시아
|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 72mm
| [67]
|-
| ZPU-2
|
|
| 대공포
| 14.5×114mm
| 차량에 장착.[67]
|-
| ZU-23-2
|
| 폴란드
| 대공포
| 23x152mmB
| 차량에 장착.
7. 1. 소화기
이름 | 그림 | 원산국 | 종류 | 구경 | 세부 정보 | ||||||||||
---|---|---|---|---|---|---|---|---|---|---|---|---|---|---|---|
AK-47 | #REDIRECT | 돌격소총 | 7.62×39mm | [63] | |||||||||||
AKM | #REDIRECT | 돌격소총 | 7.62×39mm | [63] | |||||||||||
AK-103 | }} | 돌격소총 | 7.62×39mm | [65] |- | AR-M1 | | #REDIRECT | 돌격소총 | 5.56×45mm NATO 7.62×39mm | UAE에서 공급.[64] |- | Type 56 | | | 돌격소총 | 7.62×39mm | UAE에서 공급된 Type 56-1 소총.[65] |- | HK G36 | | #REDIRECT | 돌격소총 | 5.56×45mm NATO | [63] |- | MAT-49 | | | 기관단총 | 9×19mm 파라벨룸 | [63] |- | FN P90 | | | 기관단총 | FN 5.7×28mm | [63] |- | SVD | | #REDIRECT | 지정사수소총 | 7.62×54mmR | [66] |- | RPD 기관총 | | #REDIRECT | 경기관총 | 7.62×39mm | [66] |- | RPK 기관총 | | #REDIRECT | 경기관총 | 7.62×39mm | [66] |- | PKM | | #REDIRECT | 기관총 | 7.62×54mmR | [65] |- | Type 80 | | | 기관총 | 7.62×54mmR | UAE에서 공급.[65] |- | DShK | | #REDIRECT | 중기관총 | 12.7×108mm | [66] |- | W85 | | | 중기관총 | 12.7×108mm | UAE에서 공급.[65] |- | SPG-9 | | #REDIRECT | 무반동총 | 73mm | 요르단에서 공급.[65] |- | 칼 구스타프 | | | 무반동총 | 84mm | [67] |- | M40A1 | | #REDIRECT | 무반동총 | 105mm | [67] |- | RPG-7 | | #REDIRECT | 로켓추진수류탄 | 40mm | [63] |- | Type 69 RPG | | | 로켓추진수류탄 | 40mm | UAE에서 공급.[65] |- | RPG-32 | | }}} | 로켓추진수류탄 | 105mm | 요르단에서 공급된 RPG-32 나시샤브.[65] |- | 9M14 말류트카 | |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25mm | [67] |- | 9K111 파고트 | |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20mm | [67] |- | 9M113 콘쿠르스 | |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35mm | [67] |- | 9M133 코르넷 | | }}}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52mm | UAE에서 공급.[65] 일부 이란제 복제품도 사용됨.[68] |- | MILAN | |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15mm | [67] |- | FGM-148 재블린 | | #REDIRECT | 대전차 유도 미사일 | 127mm | 프랑스로부터 이전.[69] |} 7. 2. 전차
7. 3. 장갑차리비아 국민군은 다양한 종류의 장갑차를 보유하고 있다. BMP-1[67], BMP-3와 같은 보병전투차를 비롯하여, BRDM-2, EE-9 카스카벨 등의 장갑차를 운용한다.[67] M113 장갑차와 같은 궤도식 장갑병원정차와 MT-LB같은 지휘차량도 보유하고 있다.[67] [70] BTR-60같은 바퀴식 장갑병원정차도 운용한다.[67]KADDB 알 마레드,[67] Mbombe 6[67], 님르[67], 푸마[67] 등 다양한 바퀴식 장갑차도 보유하고 있다. 또한, BAE 카이만,[67] INKAS 타이탄,[67] 슈트라이트 그룹 타이푼[67]과 같은 MRAP도 운용한다. BMC 부란은 GNA군으로부터 노획한 것이다. 험비와 같은 보병 기동차량을 비롯하여, KADDB 알 와시,[67] 슈트라이트 그룹 쿠거, 크라즈 코브라, 슈트라이트 그룹 스파르탄,[67] 판테라 T6,[67] 판테라 F9,[67] 이기리기 장갑차, TAG 테리어 LT-79,[67] TAG BATT AP, 가즈 티그르 등 다양한 종류의 보병 기동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장갑차들은 주로 소련, 러시아, 우크라이나,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르단, 이탈리아, 미국, UAE, 터키 등 다양한 국가로부터 획득한 것이다. 특히, UAE는 리비아 국민군에 상당수의 장갑차를 공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