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는 아제르바이잔의 정치인, 언론인, 작가로,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84년 바쿠 인근에서 태어나 바쿠 공과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04년 최초의 무슬림 사회민주주의 조직인 힘메트를 창설하고, 다양한 반군주제 성향의 기사를 기고했다. 1918년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이 독립을 선포되자, 국민 협의회 의장으로서 독립을 주도했다. 소비에트 정권 수립 이후 망명 생활을 하며 범투르크주의 운동에 참여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과 접촉하기도 했다. 1955년 앙카라에서 사망했으며, 아제르바이잔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물과 지폐가 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원어 이름 | 아제르바이잔어 (아랍 문자): محممد امین آخوند حاجی ملا علی اکبر اوغلی رسولزاده 아제르바이잔어 (라틴 문자): Məhəmməd Əmin Axund Hacı Molla Ələkbər oğlu Rəsulzadə 아제르바이잔어 (IPA): mæhæmˈmæd æˈmin ɾæsulzɑːˈdæ 터키어: Mehmet Emin Ahund Hacı Molla Alekber oğlu Resulzâde 러시아어: Мамед Эмин Ахунд Гаджи Молла Алекбер оглы Расулзаде (Mamed Emin Akhund Gadzhi Molla Alekber ogly Rasulzade) |
| 국적 | 아제르바이잔 |
| 출생일 | 1884년 1월 31일 |
| 출생지 | 노브하느, 바쿠 현, 러시아 제국 (현재 아제르바이잔) |
| 사망일 | 1955년 3월 6일 |
| 사망지 | 앙카라, 튀르키예 |
| 안장지 | 제베지 아스리 묘지 |
![]() | |
| 슬로건 (번역) | 한번 깃발이 올라가면 다시는 내려오지 않는다! |
| 직책 | |
| 아제르바이잔 국민 의회 의장 | 임기 시작: 1918년 5월 27일 임기 종료: 1918년 12월 7일 |
| 정당 | 뮈사바트 당, 데모크라트 당 (페르시아) |
| 배우자 | 움불바누 라술자데 |
| 직업 | 아제르바이잔의 지도자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는 1884년 1월 31일 러시아 제국 바쿠 현 노브하니에서 태어났다.[2][34] 아버지는 중류 울라마(이슬람 성직자)인 아훈드 하지 물라 알라크바르 래술자대(하지 몰라 알리 에크벨)였고, 어머니는 자르쿠즈 지이네트였다.[34] 그는 아버지의 마드라사에서 페르시아어와 아랍어를 배웠으며,[34] 이후 러시아-무슬림 중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2] 바쿠 공과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는 기록도 있으나,[2] 고등 교육을 받지 않고 바쿠의 '카스피' 인쇄소에서 식자공으로 일했다는 주장도 있다. 이 시기 식자공으로서 다양한 문헌을 접한 경험은 그가 저널리스트를 지망하는 계기가 되었다.[34]
학창 시절, 래술자대는 아제르바이잔 현대사 최초의 비밀 조직으로 알려진 ''"무슬림 청년 조직 무사바트"''를 창설했다.[3] 1903년에는 트빌리시에서 발행되던 『샤르기루스』(Восточный рассветru) 지에 평론을 기고하며 논단에 데뷔했다.[34] 같은 해부터 그는 반군주제적 입장에서 아제르바이잔의 민족 자치를 요구하는 글을 다양한 신문과 잡지에 기고하기 시작했다.[2][3] 당시 그의 주장은 사회민주주의자 및 미래의 공산주의자들과 일부 뜻을 같이하는 면이 있었다.[2]
1904년에는 청년 아제르바이잔인 혁명가 위원회를 창설했으며,[34] 같은 해 가을에는 바쿠에서 최초의 무슬림 사회민주주의 조직인 "힘메트"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 되었다.[2][34] 그는 ''타카물''(1906-1907)과 ''욜다쉬''(1907) 등 힘메트 관련 신문의 편집장을 맡기도 했으며,[2] ''하야트'', ''이르샤드'', ''푸유자트''와 같은 비당파 신문에도 많은 글을 기고했다.[2] 또한 문학 활동에도 참여하여, 그의 희곡 '어둠 속의 빛'이 1908년 바쿠에서 상연되었다.[2]
2. 1. 초기 정치 활동 (1905-1911)
래술자데는 초기부터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04년 가을, 그는 바쿠에서 사회민주주의 조직인 '힘메트'의 창립 멤버가 되었으며, 이 시기 바쿠의 볼셰비키 지도자였던 요시프 스탈린과 교류를 시작했다.[34] 1905년에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의 바쿠 조직에 가입했다.[4] 그는 제1차 러시아 혁명 (1905-1907) 동안 혁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한 일화에 따르면, 1905년 바쿠에서 경찰이 폭동 선동 혐의로 이오시프 스탈린을 찾고 있을 때, 래술자데가 그를 숨겨주었다고 전해진다.[6]그러나 표트르 스톨리핀 시대의 정치적 탄압이 심해지면서 힘메트는 사실상 와해되었고,[35] 래술자데는 1909년 차르 당국의 박해를 피해 바쿠를 떠나 이란으로 망명했다.[6][35] 당시 진행 중이던 이란 입헌 혁명 (1905-1911)에 참여하며[6] 혁명 상황을 취재했다.[35]
이란 체류 기간 동안 그는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이란-에 아자드'' 신문을 편집했으며,[7] 페르시아 민주당 창립에 기여하고 당 중앙위원이 되었다.[8][9][36] 또한 당 기관지인 ''이란-에 노우''의 주필 겸 편집장을 맡아[36] 보수파 에테다리윤당을 비판했다.[35] 이 신문은 "새 이란"을 의미하며, 당시 페르시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신문이자 유럽식 대형 판형으로 발행된 최초의 신문으로 평가받았다.[8][9] 1911년에는 혁명을 지지하는 내용의 저서 "''사아데트-에 바샤르''" (인류의 행복)를 출판했다. 래술자데는 페르시아어에도 능통했다.[10]
하지만 1911년 초, 러시아 제국 군대가 이란에 진입하여 대영 제국과 협력해 카자르 왕조가 입헌 혁명을 종식시키는 것을 도왔고, 친영파 나세롤 몰크가 섭정이 되면서 (혹은 러시아 공사관의 압력으로[37]) 래술자데는 이란에서 추방되었다.[35] 그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였던 이스탄불로 피신했다.
3. 터키 망명과 무사바트당
표트르 스톨리핀 시대의 탄압으로 힘메트가 궤멸되자, 래술자대는 1908년부터 1910년까지 이란으로 건너가 당시 진행 중이던 이란 입헌 혁명 상황을 취재했다.[35] 제2 입헌제가 시작되자 이란 의회 데모크라트당 중앙 위원 및 기관지 『이레네 노우』(az)의 주필 겸 편집장을 맡아 보수파 에테다리윤당(en)을 비판했다.[35][36] 그러나 1911년 초, 친영파 나세롤 몰크가 섭정이 되면서(혹은 러시아 공사관의 압력으로[37]) 래술자대는 이란에서 추방되었다.[35]
추방 후 래술자대는 오스만 제국의 이스탄불로 망명하여 범튀르크주의 성향의 잡지 『튀르크 유르두』(tr)와 『세빌레셰르드』 등에 글을 기고했다.[35] 이 시기 그는 자말 웃 딘 알 아프가니의 『동일성 철학』을 터키어로 번역했으며, 막심 고리키와 레프 톨스토이의 작품을 모은 번역집 『러시아 문학 작품 초록』을 출판하기도 했다.[38]
1913년, 로마노프 왕조 30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된 1913년 사면령으로 래술자대는 바쿠로 돌아올 수 있었다.[38]
3. 1. 무사바트당 활동과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1913-1920)


로마노프 왕조 30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된 1913년 사면령 이후 래술자대는 바쿠로 돌아왔다. 그는 이전에 소속되었던 훔메트 당을 탈퇴하고, 1911년에 설립된 비밀 조직 무사바트(평등) 당에 1913년에 합류했다.[12][13][14][15][16] 무사바트당은 처음에는 범이슬람주의, 범튀르크주의 및 사회주의 사상을 옹호했으며, 튀르크 세계와의 더 큰 문화적 유대감을 강조했다.[17] 시간이 지나면서 당은 아제르바이잔 민족주의 정당으로 발전했고, 래술자대는 곧바로 당의 지도자가 되었다. 1915년부터 그는 당의 신문인 "아치크 쇠즈"(열린 단어)를 발행하기 시작하여 1918년까지 이어갔다.
1917년 2월 혁명이 일어나자 무사바트당은 러시아 제국의 다른 비밀 정당들처럼 빠르게 합법화되었다. 이후 나시브 유시프베일리가 이끄는 튀르크 연방주의자당과 합병하여 코카서스 무슬림의 주요 정당으로 부상했다. 같은 해 10월 혁명은 트란스 코카서스가 러시아로부터 분리되는 결과를 낳았고, 래술자대는 트란스 코카서스 연방 의회인 세임(Seim)에서 무슬림 파벌의 수장을 맡았다. 트란스 코카서스 연방이 해체된 후, 무슬림 파벌은 아제르바이잔 국민 협의회로 재편되었고, 래술자대는 1918년 5월 만장일치로 협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18년 5월 28일, 래술자대가 이끄는 아제르바이잔 국민 협의회는 독립적인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을 선포했다. 이 선언의 주체였던 국민 의회 의장으로서 래술자대는 오스만 제국과의 교섭을 통해 군사 지원을 확보했고, 1918년 9월에는 적군 점령 하에 있던 바쿠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39] 그는 또한 1919년 석유 재벌 하지 제이날라빈 타기에프의 자금 지원과 교육부 장관 라시드 칸 가플라노프의 협력을 받아 바쿠 국립 대학교 설립을 추진했다. 래술자대는 이 대학에서 오스만 문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그의 유명한 말인 "Bir kərə yüksələn bayraq, bir daha enməz! (한 번 게양된 깃발은 결코 내려오지 않을 것이다!)"는 아제르바이잔 민족주의의 상징적인 구호가 되었다.
그러나 1920년 4월 27일, 적군의 아제르바이잔 침공으로 민주 공화국은 무너졌다.[39] 래술자대는 바쿠를 떠나 라기치의 산간 마을로 숨어 들어가 소련화에 대한 저항을 지휘했다. 하지만 1920년 8월, 간자, 카라바흐, 자카탈라, 란카란 등지에서 일어난 반란이 소련 러시아군에 의해 진압된 후, 래술자대는 체포되어 바쿠로 이송되었다. 과거 스탈린을 경찰로부터 숨겨주었던 인연 덕분에 그는 석방되어 아제르바이잔에서 러시아로 이송될 수 있었다.[18][39]
4. 소련 점령과 망명 생활 (1920-1955)
1920년 4월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이 볼셰비키의 침공으로 붕괴된 후, 래술자대는 소련 당국의 추적을 피해 잠적했으나 곧 체포되었다.[39] 과거 스탈린과의 인연으로 석방되어 모스크바로 이송되었고, 잠시 연금 상태로 지내다 1922년 핀란드로 탈출하여 긴 망명 생활을 시작했다.[39] 이후 터키, 폴란드, 루마니아 등 유럽 각지를 전전하며 아제르바이잔의 독립을 위한 활동을 지속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1947년 터키 앙카라에 정착했다.[19][20][21][40][27] 래술자대는 1955년 앙카라에서 사망할 때까지 망명지에서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며 활동을 이어갔다.[41][40]
4. 1. 망명 중 활동
1920년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이 볼셰비키에 의해 무너진 후, 래술자대는 잠복 생활을 하다 체포되었으나, 과거 인연이 있던 스탈린의 도움으로 석방되어 모스크바로 보내졌다.[39] 모스크바에서 연금 상태로 모스크바 동양 학원에서 터키어와 페르시아어를 가르치다가, 연구 조사를 핑계로 레닌그라드로 이동하여 배를 타고 핀란드로 탈출했다.[39] 이후 베를린, 파리를 거쳐 1922년 이스탄불에 도착하며 본격적인 망명 생활을 시작했다.[39]이스탄불에서 래술자대는 아제르바이잔 민족주의를 고취하고 반소련 선전 활동에 힘썼다.[39] 1923년부터 1927년까지 잡지 예니 카프카샤(터키어: ''Yeni Kafkasya'', 새 카프카스)의 편집장을 맡았으나, 이 잡지는 소련의 요청에 의해 케말주의 정부에 의해 폐간되었다.[19][39] 그는 1928년부터 1931년까지 터키에서 다양한 기사, 신문, 잡지(예: 『아제리 튀르크』)를 계속 출판하며 활동을 이어갔다.[20][39] 또한, 망명 중 ''O Pantiurkizme v sviazi s kavkazskoi problemoi'' (카프카스 문제와 관련한 범투르크주의)라는 팸플릿을 출판하여, 범투르크주의가 정치적 프로그램이 아닌 문화 운동이라는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했다.[21] 유수프 아크추라나 제키 밸리디 도간과 같은 다른 망명자들과도 교류했다.[39] 그러나 1931년(일부 자료에서는 1929년경[39]) 망명 출판물에 대한 탄압과 소련 정부의 계속된 압력으로 인해 터키에서 추방되었다.[20]
터키에서 추방된 후, 래술자대는 유럽 각지를 떠돌며 활동을 지속했다. 1934년부터 바르샤바를 거점으로 폴란드 정부의 고문으로 활동하기도 했고,[40] 1938년에는 제2 폴란드 공화국으로 가서 아내 완다(유제프 피우수트스키의 조카)를 만났다.[21] 1940년에는 루마니아로 이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래술자대는 나치 독일 지도부와 접촉했다. 당시 독일은 소련 내 소수 민족들로 구성된 군단을 창설하려 했고, 래술자대와 같은 구 카프카스 공화국 지도자들의 명망에 의존하려 했다.[22] 히틀러는 독일이 점령할 카프카스 지역의 지도자로 래술자대를 영입하고자 했다.[23] 래술자대는 무사바트당의 사회 프로그램이 국가 사회주의적 성격을 띤다고 언급하며, 무사바트주의와 나치즘 사이의 연관성을 보기도 했다.[24] 그는 1942년 5월, 독일 외교관 슐렌부르크와의 베를린 회담에서 아제르바이잔의 독립 회복을 위해 나치 독일과의 전략적 동맹을 모색했다.[25][40] 그러나 래술자대는 독일 측에 트란스카프카스 국가들의 독립 회복에 대한 명확한 약속을 요구했지만, 독일 제국의 모호한 태도로 인해 협상은 결렬되었고 그는 베를린을 떠났다.[26][40]
1943년 바르샤바가 적군에게 점령되자, 래술자대는 이를 피해 부쿠레슈티, 프라이부르크 등 유럽 각지를 전전했다.[40]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47년 9월 래술자대는 터키 앙카라로 돌아와 정착했다.[27][40] 그는 터키 국민 교육부 출판국과 국립 도서관 등에서 근무하며 생계를 유지하는 한편, 주변적인 범투르크주의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27][40] 오랜 망명 생활과 터키 및 이란에서의 경험 때문에 이들 국가에 대해 좋지 않은 기억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28] 1953년에는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방송을 통해 아제르바이잔 국민들에게 연설하며, 언젠가 조국이 다시 독립될 것이라는 희망을 피력했다.[29]
만년까지 아제르바이잔 민족주의에 대한 집필 활동을 정력적으로 이어갔으나,[40] 1955년 3월 6일 당뇨병 합병증으로 앙카라에서 사망했다.[41][40] 임종 시 그의 마지막 말은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이었다고 한다.[41] 그의 유해는 앙카라의 제베지 아스리 묘지에 안장되었다.[18][42]

4. 2.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1942년 망명 기간 동안 라술자데는 나치 독일 지도부와 접촉했다.[22] 당시 독일은 소련 내 소수 민족 대표들로 구성된 군단을 만들려 했고, 라술자데와 같은 인물의 협조를 원했다.[22] 히틀러는 독일이 점령할 카프카스 지역의 지도자로 라술자데를 영입하고자 했다.[23] 라술자데는 무사바트주의와 나치즘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고 보았으며, 특히 무사바트당의 사회 프로그램이 국가 사회주의적 성격을 띤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4]1942년 5월, 라술자데는 독일 외교관 프리드리히 베르너 폰 데어 슐렌부르크의 초청으로 베를린에서 독일 지도부와 회담을 가졌다.[40][25] 이 자리에서 그는 아제르바이잔의 독립을 회복하기 위해 나치 독일과의 전략적 동맹을 제안했다.[25] 라술자데는 독일 측에 트란스카프카스 국가들의 독립 회복에 대한 명확한 약속을 요구했지만,[26] 독일 제국이 모호한 태도를 보이자 협상은 결렬되었고 라술자데는 베를린을 떠났다.[26][40]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라술자데는 1947년 터키의 앙카라로 돌아와 정착했다.[27][40] 그는 터키 국민 교육부 출판국과 국립 도서관 등에서 일하는 한편,[40] 주변적인 범투르크 운동에 참여하며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27] 1953년에는 미국의 소리 방송을 통해 아제르바이잔 국민들에게 연설하며, 언젠가 조국이 다시 독립될 것이라는 희망을 강조했다.[29]
라술자데는 만년까지 아제르바이잔 민족주의에 대한 글쓰기를 계속했으나,[40] 1955년 3월 6일[41] 앙카라에서 당뇨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40] 토마스 골츠에 따르면 그는 실의에 빠진 채 사망했다고 전해진다.[27] 임종 직전 그는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이라고 외쳤다고 한다.[41] 그의 유해는 앙카라의 제베지 아스리 묘지에 안장되었다.[18][42]
5. 사망과 유산
1947년 9월 터키로 돌아와 앙카라에 정착한 래술자대는[40] 국민 교육부 출판국과 국립 도서관에서 일하며 만년까지 아제르바이잔 민족주의에 관한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다. 그러나 1955년 3월 6일[41] 당뇨병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났다[40]. 그가 남긴 마지막 말은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이었다고 전해진다[41]. 그의 시신은 앙카라의 제베지 아스리 묘지에 안장되었다[42].
아제르바이잔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바쿠 국립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곳에 그의 이름을 딴 기념물이 세워졌다. 또한 1993년부터 2006년까지 발행된 1000 마나트 지폐 앞면에 그의 초상화가 사용되었다.[30]
터키 앙카라에는 그의 이름을 딴 메흐메트 에민 레술자데 아나톨리아 공립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31]
6. 주요 저서
| 저서명 | 출판 연도 | 언어 | 출판 장소 | 비고 |
|---|---|---|---|---|
| 에테달리윤 당 비평 | 1910 | 페르시아어 | 테헤란 | |
| 인류의 행복 | 1911 | 페르시아어 | 아르다빌 | |
| 두 가지 정부 형태에 대한 견해 | 1917 | 아제르바이잔어 | 바쿠 | 아흐메트 살리코프와 공동 저술 |
| 민주주의 | 1917 | 아제르바이잔어 | 바쿠 | |
| 우리에게 좋은 정부는 무엇인가? | 1917 | 아제르바이잔어 | 바쿠 | |
| 아제르바이잔 형성에서 무사바트의 역할 | 1920 | 아제르바이잔어 | 바쿠 | |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특징, 형성 및 현대 상태 | 1923 | 오스만 튀르크어 | 이스탄불 | |
| 우리 시대의 시야부쉬 | 1923 | 오스만 튀르크어 | 이스탄불 | 1925년 제2판 발행 |
| 자유와 청년의 이상 | 1925 | 오스만 튀르크어 | 이스탄불 | |
| 러시아의 정치 상황 | 1925 | 오스만 튀르크어 | 이스탄불 | |
| 혁명적 사회주의의 붕괴와 민주주의의 미래 | 1928 | 오스만 튀르크어 | 이스탄불 | |
| 민족성과 볼셰비즘 | 1928 | 오스만 튀르크어 | 이스탄불 | |
| 범튀르크주의와 코카서스 문제 | 1930 | 러시아어 | 파리 | 1985년 옥스퍼드에서 영어 서문과 함께 재출판 |
| 아제르바이잔의 독립 투쟁 | 1930 | 프랑스어 | 파리 | |
| 셰피베이칠리크 | 1934 | 튀르키예어 | 이스탄불 | |
| 현대 아제르바이잔 문학 | 1936 | 튀르키예어 | 베를린 | |
| 현대 아제르바이잔 문학 | 1936 | 러시아어 | 베를린 | |
| 아제르바이잔 문제 | 1938 | 독일어 | 베를린 | |
| 아제르바이잔의 독립 투쟁 | 1938 | 폴란드어 | 바르샤바 | |
| 아제르바이잔의 문화 전통 | 1949 | 튀르키예어 | 앙카라 | |
| 현대 아제르바이잔 문학 | 1950 | 튀르키예어 | 앙카라 | |
| 현대 아제르바이잔 역사 | 1951 | 튀르키예어 | 앙카라 | |
| 위대한 아제르바이잔 시인 니자미 | 1951 | 튀르키예어 | 앙카라 | |
| 민족 의식 | 1978 | 튀르키예어 | 앙카라 | |
| 우리 시대의 시야부쉬 | 1989 | 튀르키예어 | 앙카라 | |
| 이란 튀르크인 | 1993 | 튀르키예어 | 이스탄불 | |
| 코카서스 튀르크인 | 1993 | 튀르키예어 | 이스탄불 |
참조
[1]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Mehmed Emin Resulzâde and a Nationalist Journal: Azeri Turk
https://dergipark.or[...]
Kahramanmaraş Sütçüimam University
2007
[3]
웹사이트
Memmed Amin Resûlzâde (Bakû/Novhanı, 31 Ocak 1884 - Ankara, 6 Mart 1955)
http://www.kultur.go[...]
2007-04-02
[4]
서적
The Struggle for Transcaucasia
New York Philosophical Library
[5]
문서
Тюркская Демократическая Партия Федералистов "Мусават" в прошлом и настоящем.
[6]
웹사이트
Mahammad Amin Rasulzade: Founding Father of the First Republic,
http://azer.com/aiwe[...]
1999
[7]
간행물
Le Bolshevisme et l'Islam
[8]
서적
Works, Volume I
[9]
서적
Encyclopæ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2-03-30
[10]
간행물
Observing Iran from Baku: Iranian Studies in Soviet and Post-Soviet Azerbaijan
2022
[11]
문서
Azerbaijan Democratic Republic. Azerbaijan Government 1918-1920.
Youth
[12]
문서
Pan-Turkism: From Irrendentism to Cooperation
[13]
문서
On the Religious Frontier: Tsarist Russia and Islam in the Caucasus
[14]
서적
Ethnic Nationalism and the Fall of Empires
[15]
문서
Disaster and Development: The politics of Humanitarian Aid
[16]
문서
The Armenian-Azerbaijan Conflict: Causes and Implications
[17]
서적
Russian and Azerbaijan: A Borderland in Trans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Civil Wars, 1916-1926
Rowman & Littlefield
2015-11-19
[19]
간행물
Anti-communism Imported? Azeri Emigrant Periodicals in Istanbul and Ankara (1920-1950s)
https://www.acarinde[...]
2012
[20]
서적
Məhəmməd Əmin Rəsulzadə Ensklopediyası
"194"
[21]
서적
Russian and Azerbaijan: A Borderland in Trans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2]
서적
Great Catastrophe: Armenians and Turks in the Shadow of Genocide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Young Stali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4]
간행물
"Враг моего врага": деятельность азербайджанской партии "Мусават" в Германии (1933-1939)
https://www.elibrary[...]
[25]
뉴스
Armenia, Azerbaijan trade Nazi collaboration accusations
https://eurasianet.o[...]
Harriman Institute
2022-10-20
[26]
서적
Russia and Azerbaijan: A Borderland in Trans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7]
서적
Azerbaijan diary : a rogue reporter's adventures in an oil-rich, war-torn, post-Soviet republic
M.E. Sharpe
[28]
문서
Charles van der Leeuw, Azerbaijan: A Quest for Identity, Palgrave Macmillan, 2000,
[29]
웹사이트
http://www.rasulzade[...]
[30]
웹사이트
National Bank of Azerbaijan
http://www.nba.az/de[...]
2009-03-24
[31]
웹사이트
T.C. Millî Eğiim Bakanlığı
http://www.meb.gov.t[...]
2019-12-08
[32]
웹사이트
Məhəmməd Əmin Rəsulzadə (1884 Bakı - 1955 Ankara)
http://rasulzade.org[...]
2007-04-02
[33]
뉴스
Məhəmməd Əmin Rəsulzadənin dəhşətli ailə faciəsi...
http://modern.az/art[...]
Modern.az
2015-01-31
[34]
문서
石原 (2005)
[35]
문서
石原 (2005)
[36]
문서
ラスルザーデ (2010)
[37]
문서
ラスルザーデ (2010)
[38]
문서
石原 (2005)
[39]
문서
石原 (2005)
[40]
문서
石原 (2005)
[41]
뉴스
Məhəmməd Əmin Rəsulzadənin yubileyidir
http://modern.az/art[...]
Modern.az
2014-01-31
[42]
뉴스
Məhəmməd Əmin Rəsulzadə
https://www.meydan.t[...]
Meydan TV
2017-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