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토히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토히야는 "수도원 영지"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현재 코소보 서부에 위치한 지역을 가리킨다. 알바니아어로는 "두카지니의 고원"으로 불리며, 역사적으로 세르비아 정교회의 중요한 영적 중심지였다. 메토히야는 지리적으로 비옥한 토지와 지중해성 기후를 특징으로 하며, 주요 도시로는 페야, 자코바, 프리즈렌 등이 있다. 이 지역은 코소보 내 3개의 구를 포함하며, 세르비아는 코소보의 독립 선언 이후에도 메토히야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평야 - 판노니아 평원
    판노니아 평원은 카르파티아 산맥 등으로 둘러싸인 유럽 중부의 분지로, 헝가리 등 여러 국가에 걸쳐 있으며, 도나우강과 티서강이 관통하고 비옥한 토양으로 농업에 중요한 지역이다.
  • 세르비아의 평야 - 헝가리 대평원
    헝가리 대평원은 카르파티아 산맥 등을 경계로 헝가리, 세르비아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걸쳐있는 평원으로, 헝가리 국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유목 민족의 이동과 다양한 문화 축제의 장이 되어 왔다.
메토히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지도
관할 구역자코바 지구, 페야 지구, 프리렌 지구
면적3,891 km²
인구 (2024년)570,147명
명칭
한국어메토히야
세르비아어Метохија (Metohija)
알바니아어Rrafshi i Dukagjinit
그리스어μετόχια
추가 정보
다른 이름Метохија
Dukagjin
언어세르비아어
알바니아어

2. 명칭

'''메토히야'''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단어 μετόχια|메토히아grc (단수 μετόχιον|메토키온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수도원 영지"를 의미한다. 이는 세르비아 정교회와 아토스 산이 중세 시대에 소유했던 이 지역의 많은 마을과 영지를 지칭한다.[2]

페치 총대주교 수도원, 14세기부터 세르비아 정교회의 자리. 이름 ''메토히야''는 "수도원 영지"를 의미한다.


알바니아어에서는 이 지역을 ''Rrafshi i Dukagjinit''[3]라고 부르며, "두카지니의 고원"을 의미한다. 이는 14~15세기 동안 두카지니의 상당 부분을 통치했던 두카지니 가문의 이름을 딴 지명이다.[4][5] 프리슈티나 대학교 교수인 야야 드란촐리에 따르면, 이 지역의 가장 오래된 이름은 '''''두카지니 평원''''' 또는 간단히 두카지니이며, 이 지역은 15~16세기 두카지니 산자크의 통치를 받았으며 수도는 페야에 있었다. 드란촐리는 또한 '메토히야'라는 이름이 페야, 자코바, 프리즈렌 영토의 의미를 가진 지리적 개념으로 중세 및 오스만 시대에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메토히야라는 명칭은 단지 교회 재산으로만 나타난다.[6] 메토히야라는 이름은 19~20세기 세르비아 학자들에 의해 처음 지리적 개념으로 사용되었다.[7] 북부 알바니아에도 유사한 이름인 두카지니 고원이 있다.

"코소보와 메토히야"()라는 용어는 코소보와 메토히야 자치주 (1945–1963)와 코소보와 메토히야 자치주 (1963–1968)에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1968년, "메토히야"라는 용어는 주의 공식 명칭에서 삭제되었으며, 따라서 "코소보"라는 용어가 전체의 주 공식 명칭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세르비아인들에게 환영받지 못했고, 그들은 이전 명칭을 계속 사용했다 (예: 1986년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초안 메모랜덤). 1990년 9월, 새로운 세르비아 공화국 헌법이 채택되어 주의 공식 명칭이 다시 코소보와 메토히야 자치주로 변경되었다. 이번에는 이 변화가 "메토히야"라는 용어의 공식 사용에 반대하는 알바니아계 민족에 의해 환영받지 못했다. 2008년 코소보 독립 선언 이후, 세르비아는 새로 설립된 코소보와 메토히야 부의 공식 명칭에 "메토히야"라는 용어를 포함시켰으며, 이는 2012년에 코소보와 메토히야 사무소로 변경되었다.

메토히야라는 지역명은 그리스어수도사의 토지를 의미하는 μετόχια|메토히아el에서 유래되었으며, 중세에 이 지역에서 많은 마을과 토지를 소유했던 세르비아 정교회의 수도원과 아토스에서 유래되었다.[17] 알바니아인들은 이 지역을 중세의 유력한 알바니아 귀족이었던 레크 두카지니의 이름을 따서 "레크 두카지니의 고원"을 의미하는 Rrafshi i Dukagjinit|라프시 두가지니트sq라고 부르고 있다.[18][19]

세르비아어 명칭인 코소보-메토히야는 공식적으로는 1974년까지 사용되었지만, 이 해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헌법 개정으로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가 되어 강력한 자치권이 인정되면서 크게 바뀌었다. 1974년 헌법 개정으로 코소보-메토히야는 공식적으로 주명에서 제외되었지만, 이러한 변화를 세르비아인들은 받아들이지 않고(1986년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선언) 옛 명칭을 계속 사용했다. 1989년 당시 세르비아 대통령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코소보의 자치권을 약화시킨 헌법을 공포하고 명칭도 옛 명칭으로 되돌렸는데, 이 사건은 밀로셰비치가 행한 일 중에서도 상징적인 사건이었다.[19]

3. 지리



메토히야는 가장 넓은 곳의 너비가 23km이고, 길이는 약 60km이며, 평균 고도는 해발 450m이다.[8] 백 드린 강이 이 지역의 주요 강이다. 메토히야는 북쪽과 북서쪽으로는 모크라 고라 산맥, 서쪽으로는 알바니아 알프스 산맥, 남서쪽으로는 파슈트리크 산맥, 남쪽과 동남쪽으로는 샤르 산맥(Malet e Sharritsq), 동쪽과 북동쪽으로는 드레니차 강에 접해 있어 코소보의 나머지 지역과 구별된다.[9]

메토히야와 코소보의 나머지 지역 간의 지리적 구분은 두 지역의 식물상동물상의 차이를 야기한다. 메토히야는 지중해의 특징적인 영향을 받는다. 메토히야는 관개용수를 제공하는 많은 작은 강과 비옥한 경작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중해성 기후와 결합하여 곡물을 제외한 훌륭한 밭을 제공한다. 이 지역은 고품질 포도원, 과수원, 밤나무아몬드 나무 재배로 유명하다.

메토히야의 지리적 지역은 프리즈렌스키 포드고르, 라푸샤, 레카, 루고바의 네 부분으로 더 나뉜다.[10]

3. 1. 행정 구역

인구 (2024)면적 (km2)인구 밀도 (km2당)
자코바152,3111129km2134.9
페야146,3011365km2107.2
프리즈렌271,5351397km2194.4
메토히야570,1473891km2146.5


  • 페치 구 (Rajoni i Pejëssq, Пећки округ / Pećki okrugsr)
  • 자코비차 구 (Rajoni i Gjakovëssq, Ђаковички округ / Đakovički okrugsr)
  • 프리즈렌 구 (Rajoni i Prizrenitsq, Призренски округ / Prizrenski okrugsr)

3. 2. 주요 도시


  • 페야 (Peja / Pejë|페야 / 페예sq), 페치 (Пећ / Peć|페치 / 페치sr)
  • 이스토그 (Istog / Burimi|이스토그 / 부리미sq), 이스토크 (Исток / Istok|이스토크 / 이스토크sr)
  • 클리나 (Klina / Klinë|클리나 / 클리너sq)(Клина / Klina|클리나 / 클리나sr)
  • 자코바 (Gjakova / Gjakovë|자코바 / 자코버sq), 자코비차 (Ђаковица / Đakovica|자코비차 / 자코비차sr)
  • 데차니 (Deçan/Deçani|데찬/데차니sq)(Дечани / Dečani|데차니 / 데차니sr)
  • 라호베츠 (Arraveci/Rahoveci|아라베치/라호베치sq), 오라호바츠 (Ораховац / Orahovac|오라호바츠 / 오라호바츠sr)
  • 프리즈렌 (Prizren / Prizreni;|프리즈렌 / 프리즈레니;sq)(Призрен / Prizren|프리즈렌 / 프리즈렌sr)
  • 수하레카 (테란다) (Suhareka/Theranda|수하레카/테란다sq), 수바 레카 ( Сува Река / Suva Reka|수바 레카 / 수바 레카sr)
  • 말리셰바 (Malishevë/Malisheva|말리셰버/말리셰바sq), 말리셰보 (Малишево/Mališevo|말리셰보/말리셰보sr)

4. 역사

"메토히야"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μετόχια|메토키아grc (단수 μετόχιον|메토키온grc, 메토키온)에서 유래되었으며, "수도원 영지"를 의미한다. 이는 중세 시대에 세르비아 정교회와 아토스 산이 이 지역에 소유했던 많은 마을과 영지를 가리킨다.[2]

알바니아어로는 이 지역을 ''Rrafshi i Dukagjinit''[3] ("두카지니의 고원")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14~15세기 동안 두카지니의 상당 부분을 통치했던 두카지니 가문의 이름을 딴 것이다.[4][5]

"코소보와 메토히야"()라는 용어는 1945년부터 1968년까지 코소보와 메토히야 자치주의 공식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1968년, "메토히야"는 공식 명칭에서 삭제되었고, "코소보"가 전체 지역의 공식 명칭이 되었다. 그러나 세르비아인들은 이전 명칭을 계속 사용했다. 1990년, 새로운 세르비아 공화국 헌법이 채택되어 공식 명칭이 다시 코소보와 메토히야 자치주로 변경되었다. 2008년 코소보 독립 선언 이후, 세르비아는 코소보와 메토히야 사무소의 공식 명칭에 "메토히야"를 포함시켰다.

메토히야는 1455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어 프리즈렌 산자크 (메토히야 남부)와 페치 산자크 (메토히야 북부)에 편입되었다. 1878년, 이 지역은 코소보 빌라예트에 포함되었다.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에서 메토히야는 몬테네그로 왕국에 점령되었고, 프리젠 지역은 세르비아 왕국에 정복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몬테네그로는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에 정복되었다. 중앙 강국은 1918년 세르비아군에 의해 축출되었다. 몬테네그로는 이후 세르비아 왕국에 합병되었고, 이어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결성되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추축국의 침략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붕괴되자, 메토히야는 이탈리아령 알바니아에 편입되었다. 이탈리아는 알바니아 자원 봉사 민병대인 "불네타리"를 고용하여 마을을 통제했다. 1943년 연합군과의 이탈리아 조약 이후, 나치 독일은 현지 알바니아 협력자 (발리 콤베타르)의 지원을 받아 이 지역을 직접 통제했다. 세르비아인 체트니크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반란 이후, 메토히야는 1944년 세르비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6년에는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의 과도기적 기간 동안 세르비아의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주의 일부가 되었다.[15]

2008년 2월 17일, 코소보 코소보 알바니아인 대표들은[16] 코소보의 독립을 선언하고, 2008년 6월 15일에 발효된 코소보 공화국 헌법을 채택했다. 세르비아는 여전히 메토히야를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4. 1. 고대

고고학에 따르면, 코소보와 메토히야 지역, 모라바 계곡은 신석기 시대 (스타르체보와 빈차) 및 금석 병용기에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11] 모라바의 트리발리족은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 두 차례 코소보에 진입했고, 이는 다르다니족의 기원에 영향을 주었다.[11] 주르 인근 묘지들은 기원전 6세기 말 메토히야 최남서부가 일리리아인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11] 로마 정복 이후, 메토히야 지역은 다르다니아와 프레발리타나로 나뉘었다.

4. 2. 중세



프리즈렌에 있는 우리 숙녀 성당 (Our Lady of Ljeviš), 세르비아 왕 스테판 밀루틴 (1282–1321)이 건립


14세기 말 두카지니의 영토


14세기 중앙 발칸 반도의 영토 (1373-1395)


로마 제국이 쇠퇴하면서, 많은 "야만족" 부족들이 발칸 반도를 통과했지만, 대부분은 지속적인 국가를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슬라브족은 6세기와 7세기에 발칸 반도를 압도했다. 이 지역은 10세기 초 불가리아에 정복되었고, 그 후 비잔틴 제국의 지배가 잠시 회복되었다가(약 970–975년), 1018년 이후 다시 회복되었다. 교회 행정 측면에서 메토히야 지역은 1019년에 설립된 프리즈렌 교구에 속했다.[2] 11세기와 12세기 동안 이 지역은 세르비아 대공국과 비잔틴 제국 사이에서 분쟁이 벌어졌다. 세르비아 대공 스테판 네마냐는 1190년에 독립을 인정받아 메토히야의 북부 지역(흐보스노 지역)을 유지했으며, 남부 지역은 13세기 초에 세르비아 왕국에 통합되었다. 1371년 세르비아 제국 멸망 이후 메토히야 지역은 제타의 발시치 가문의 지배를 받았고, 1378년부터는 브란코비치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이 지역은 또한 두카지니 공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이 지역은 1455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세르비아 전제공국의 일부였다.

오스만 제국의 토지 대장 기록, 특히 15-16세기의 오스만 데프터는 이 시기에 두카진 평원에 다수의 알바니아인 기독교인이 거주했음을 나타낸다. 이 지역의 알바니아인 기독교인 다수는 주로 농업에 종사했으며, 가톨릭과 정교회 알바니아인으로 구성되었다. 알바니아 인류명사학과 지명학은 슬라브족의 것을 압도했으며, 슬라브-알바니아 혼합 인류명사학의 많은 사례가 있었다. 즉, 정교회로 개종한 결과 슬라브 인류명사학의 요소를 가진 알바니아인이었다. 이 시대 이 지역의 슬라브족 인구는 소수였으며, 주로 페야 나히야에 위치해 있었고, 프리즈렌 나히야에는 매우 작은 거주지가 있었다.

4. 3. 근현대

"메토히야"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μετόχια|메토키아grc (단수: μετόχιον|메토키온grc, 메토키온)에서 유래되었으며, "수도원 영지"를 의미한다. 이는 중세 시대에 세르비아 정교회와 아토스 산이 이 지역에 소유했던 많은 마을과 영지를 가리킨다.[2]

알바니아어로는 이 지역을 ''Rrafshi i Dukagjinit''[3] ("두카지니의 고원")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14~15세기 동안 두카지니의 상당 부분을 통치했던 두카지니 가문의 이름을 딴 것이다.[4][5]

"코소보와 메토히야"()라는 용어는 코소보와 메토히야 자치주 (1945–1963)와 코소보와 메토히야 자치주 (1963–1968)에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1968년, "메토히야"라는 용어는 주의 공식 명칭에서 삭제되었고, "코소보"가 전체 지역의 공식 명칭이 되었다. 그러나 세르비아인들은 이전 명칭을 계속 사용했다. 1990년, 새로운 세르비아 공화국 헌법이 채택되어 주의 공식 명칭이 다시 코소보와 메토히야 자치주로 변경되었다. 2008년 코소보 독립 선언 이후, 세르비아는 코소보와 메토히야 사무소의 공식 명칭에 "메토히야"를 포함시켰다.

메토히야는 1455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어 프리즈렌 산자크 (메토히야 남부)와 페치 산자크 (메토히야 북부)에 편입되었다. 1878년, 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코소보 빌라예트에 포함되었다.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에서 메토히야 지역은 몬테네그로 왕국에 점령되었고, 프리젠 지역은 세르비아 왕국에 정복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몬테네그로는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에 정복되었다. 중앙 강국은 1918년 세르비아군에 의해 메토히야에서 축출되었다. 몬테네그로는 이후 세르비아 왕국에 합병되었고, 이어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이 결성되었다. 이 왕국은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편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추축국의 침략을 받았고, 메토히야 지역은 이탈리아령 알바니아에 편입되었다. 이탈리아는 알바니아 자원 봉사 민병대인 "불네타리"를 고용하여 마을을 통제했다. 1943년 연합군과의 이탈리아 조약 이후, 나치 독일은 현지 알바니아 협력자 (발리 콤베타르)의 지원을 받아 이 지역을 직접 통제했다. 세르비아인 체트니크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반란 이후, 메토히야는 1944년 세르비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6년에는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의 과도기적 기간 동안 세르비아의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주의 일부가 되었다.[15]

2008년 2월 17일, 코소보 코소보 알바니아인 대표들은[16] 코소보의 독립을 선언하고, 2008년 6월 15일에 발효된 코소보 공화국 헌법을 채택했다. 세르비아는 여전히 메토히야를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KOSOVO https://askapi.rks-g[...] ask 2024-10-15
[2] 서적 The Search for Greater Albania C. Hurst & Co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4] 웹사이트 Prejardhja dhe zhvillimi i toponimit DUKAGJIN https://web.archive.[...] Second Conference of Albanological Studies 1968-01-12
[5] 학술지 Rindërtimi i mbishkrimit të Arbërit dhe mundësitë e reja për leximin e tij / La reconstruction de l'inscription de l'Arbër et les nouvelles possibilités qui s'offrent pour sa lecture http://dx.doi.org/10[...] 1984
[6] 웹사이트 Illyrian-Albanian Continuity the Areal of Kosova https://www.academia[...]
[7] 웹사이트 Illyrian-Albanian Continuity the Areal of Kosova https://www.academia[...]
[8] 서적 Geographical Atlas of Yugoslavia University Press "Liber"
[9] 문서 Pars pro toto
[10] 서적 Spomenica dvadesetpetogodishnjice oslobodjenja Južne Srbije https://books.google[...]
[11] 학술지 Етнокултурни однос Косова и Поморавља у праисторији http://www.rastko.rs[...]
[12] 서적 Vendi që zë Skënderbeu në historinë e Shqipërisë https://books.google[...] Çabej 1996
[13] 서적 Historia e Skënderbeut: Gjerg Kastriotit, Mbretit te Shqiperise, 1412-1468 https://books.google[...] Shtypeshkrinja e "Diellit," 1921
[14] 서적 Popullsia Shqiptare e Kosoves Gjate Shekujve XV XVI https://vdocuments.m[...] 8 Nëntori 1984
[15] 서적 The Balkans in the Cold War: Balkan Federations, Cominform, Yugoslav-Soviet Conflict https://books.google[...] Balkanološki institut SANU 2011
[16] 웹사이트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of the 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Respect of Kosovo https://web.archive.[...] 2012-08-19
[17] 서적 The Search for Greater Albania C. Hurst & Co
[1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 서적 "Kosovar Albanians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in ''Serbia Since 1989: Politics and Society Under Milosevic and Afte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 서적 Geographical Atlas of Yugoslavia University Press "Lib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