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치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치좌는 일제강점기인 1936년 명동에 개관한 극장으로, 1973년 폐쇄 이후 금융기관 건물로 사용되다 복원 과정을 거쳐 2009년 명동예술극장으로 재개관했다. 일본인 이시바시 료스케가 건축주, 다마타 기치지가 설계를 맡았으며,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붉은 벽돌로 마감되었다. 주로 일본 영화를 상영했으나, 한국 영화도 상영되었으며, 광복 이후 국제극장, 시공관, 명동예술회관, 명동국립극장을 거쳐 명동예술극장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영화 - 조선극장
조선극장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 개관하여 연극, 영화 상영 등 조선인들의 문화 향유 및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폐관되었다. - 없어진 극장 - 부민관
부민관은 1935년에 완공되어 다목적 강당으로 사용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행위의 장소로 이용되고 해방 후에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다가 2002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없어진 극장 - 낭화관
낭화관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 존재했던 연예장이자 영화관으로, 낭화좌로 개관하여 연극 등을 상영하다가 영화관으로 변경되어 외화를 상영했으며, 이후 명동극장을 거쳐 1974년 폐관되었다. - 1936년 완공된 건축물 - 국회의사당 (일본)
일본 국회의사당은 중의원과 참의원의 회의가 열리는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로, 메이지 시대부터 건립이 추진되어 1936년 완공되었으며 일본 정치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 1936년 완공된 건축물 - 밀양 오연정
밀양 오연정은 손영제가 건립하여 그의 호를 따 이름 붙여진 정자로, 학문과 수양을 쌓고 백성과 소통하려 했던 공간이자 일제강점기 민족 말살 정책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는 문화유산으로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명치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메이지자 |
원어 이름 | 明治座 |
로마자 표기 | Meijiza |
한국어 표기 | 명치좌 |
다른 이름 | 명동극장 (후신) |
위치 | 일본 조선 경성부 |
위치 (현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1가 54번지 |
개관일 | 1936년 10월 7일 |
층수 | 4층 |
좌석 수 | 1,100석 |
폐관일 | 1945년 |
명칭 유래 | 메이지 천황 |
상세 정보 | |
![]() | |
종류 | 사업장 |
업종 | 서비스업 |
사업 내용 | 영화, 연극 등 흥행 |
소유주 | 석교 양스케 |
건축가 | 다마타 귤치 |
1946년 1월 | 국제극장으로 개칭 |
1947년 12월 | 시공관으로 개칭 |
1957년 6월 1일 | 대한민국에서 인수 |
1973년 | 폐쇄 |
2009년 6월 5일 | 명동예술극장으로 재개관 |
![]() | |
관련 인물 | 옥전귤치 |
2. 역사
1936년 일제강점기에 '''명치좌'''(明治座)라는 이름으로 개관한 이 극장은, 명동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일본인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총 1,100석을 갖추고 있었으며, 주로 일본어 공연을 상영하였다.[2] 건물 디자인은 일본의 유명 극장인 타이쇼칸(大勝館)에서 영감을 받았다.[2]
1945년 광복 이후, 극장 이름은 여러 번 바뀌었다. 1946년 1월에는 '''국제극장'''으로,[1] 1947년 12월에는 서울시가 인수하여 '''시공관'''으로 변경되어 영화 상영을 시작했다.[1] 6.25 전쟁으로 건물이 파손되기도 하였으나, 곧 보수되었다.
1957년 6월 1일에는 '''명동예술회관'''으로, 1962년에는 '''명동국립극장'''으로 다시 이름이 변경되었다.[1] 1973년 남산에 새로운 국립극장이 개장하면서 명동국립극장은 문을 닫고 금융 회사에 매각되어 사무실로 사용되었다.[2]
이후 오랫동안 철거 위기에 놓였으나, 공연예술계의 보존 운동 덕분에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가 건물을 매입하여[2] 2009년 6월 5일 '''명동예술극장'''으로 재개장하였다.[1][3]
극장 명칭 변경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시기 | 명칭 | 비고 |
---|---|---|
1936년 10월 7일 | 명치좌 (明治座) | 준공 및 개관[5][6][8][9][10][11] |
1946년 1월 | 국제극장 | 개칭[8][11] |
1947년 12월 | 시공관 | 서울시가 매입하여 개칭[8][11] |
1957년 6월 1일 | 명동예술회관 | 대한민국이 매입하여 개칭[8][11] |
1962년 3월 21일 | 명동국립극장 | 개칭[8][9] |
1973년 10월 | (폐쇄) | [8] |
1975년 | (금융기관에 매각) | [8] |
2003년 12월 | (문화관광부가 매입) | [8] |
2009년 6월 5일 | 명동예술극장 | 재개관[8][9] |
2. 1. 일제강점기 명치좌 (1936-1945)
1935년 11월 9일 착공하여 1936년 10월 7일 명치좌(明治座)라는 이름으로 준공 및 개관하였다.[5][6][8][9][11] 건축주는 일본인 이시바시 료스케(石橋良介)였고,[5][6][11] 설계는 다마타 기치지(玉田橘治)가 맡았다.[8][9][10]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붉은 벽돌로 마감하였고, 화강석 타일과 인조석을 부분 시공하였다.[10]
객석 규모는 1,178석 (1층 664석, 2층 354석, 3층 160석)이었다. 명치좌는 명동의 한복판에 위치하여 미도파백화점으로부터 명동성당까지를 한 축으로 이루고 있었다. 주로 일본 영화를 상영하였으나, 조선 영화사의 영화도 개봉하였다. 1937년 4월 24일에는 최초의 조선어 토키(유성영화) 영화 나그네일본어가 상영되었는데,[13] 일본어 더빙판으로 상영되었다.

1940년대에는 쇼치쿠(松竹) 영화 및 미국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영화를 상영하였다.[7] 1940년 8월 6일에는 고려영화협회가 제작한 영화 수업료한국어가,[22] 1941년 2월 19일에는 동아영화사가 제작한 영화 '지원병'이 명치좌에서 개봉되었다.[24] 1943년 4월 5일에는 조선영화제작이 제작한 조선 최초의 항공 영화 우러러라 창공한국어이 명치좌에서 개봉되었다.[29][30]
항목 | 내용 |
---|---|
소재지 | 조선 경성부 명치정 1정목 54번지[5][6] (현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1가 54번지) |
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지하 1층·지상 4층 건물, 탑옥 갖춘 평지붕[10] |
관객 정원 수 | 1,165명 (1942년[5]) ⇒ 1,120명 (1943년[6]) |
2. 2. 해방 이후 (1945-1973)
1945년 광복 이후, 미 군정청 시대에 명치좌는 국제극장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명동 1-65번지에 또 다른 명동극장이 있었기 때문이다. 1946년 1월 국제극장으로 이름을 바꾸고,[8][11] 같은 해 10월 21일에는 최인규 감독의 영화 《자유만세》를 개봉하여 15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31]
1947년 12월 서울시에서 인수하여 시공관(市公館)으로 이름을 바꾸고,[8][11] 집회 시설이나 연극 등의 공연장으로 활용하였다. 6.25 전쟁으로 황폐해졌으나 1952년에 보수되었다.
1957년 6월 1일, 시공관은 명동예술회관으로 다시 이름을 바꾸면서 국립극장이 되었다.[8][11] 국영화된 후에도 한동안 "시공관"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34] 같은 해 8월 8일에 이 극장에서 열린 가수 고복수 은퇴 공연 광고에도 "시공관"이라고 크게 쓰여 있었다.[35] 1961년 건물 개보수를 하면서 옥상 일부분을 증축하여 지붕 처마선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1962년 3월 21일 명동예술회관은 명동 국립극장으로 이름을 다시 바꾸었고,[8][9] 1973년 9월까지 연극, 오페라, 무용 등 다양한 공연이 열렸다. 1973년 10월 17일 남산에 국립극장이 새로 개관하면서 명동 국립극장은 문을 닫았다.[8]
이후 명동 국립극장은 1975년에 금융기관에 매각되었고,[8] 한동안 사무실로 사용되었다.
2. 3. 금융기관 입주와 복원 (1975-2009)
명동예술회관은 1975년 대한투자금융에 매각되어 금융업체 건물로 사용되었다.[37][38][39][40][41] 1985년 12월에는 내부를 전면 개수하여 대한종합금융에서 사용하였다.1994년 명동 상가번영회가 시민 서명운동을 벌이며 복원운동을 시작했고, 1999년 대한투자금융이 영업인가 취소로 법원경매에 부쳐지자, 문화관광부가 2002년 8월 23일 명동 국립극장으로 개수하기로 결정했다.
2003년 12월, 문화관광부는 건물과 땅을 4000억원에 매입했고, 2009년 6월 5일 명동예술극장으로 재개관했다.[8] 현재 명동예술극장은 연극 전문 공연장으로 운영되고 있다.[37][38][39][40][41]
3. 건축
明治座일본어의 최초 설계는 일본의 건축가 다마타 기치지(玉田橘治)가 담당했으며, 도쿄 아사쿠사의 대승관(大勝館)과 매우 유사한 바로크 양식으로 설계되었다.[9][10]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4층, 옥탑 구조로 되어 있으며, 평지붕 형태였다.[10]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에 붉은 벽돌로 벽체를 마감하고, 화강석 타일과 인조석을 부분적으로 시공했다.
1936년 완공 당시 명치좌는 명동의 땅 1669.43m2에 건평 1048.26m2, 연건평 2457.57m2 규모로 지어졌다. 1층은 664명, 2층은 354명, 3층은 160명으로 총 1,178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건물 디자인은 모서리 부분을 정면으로 하고 양측 면은 동일한 이미지로 디자인되었으며, 5층처럼 보이도록 옥탑부까지 부벽(扶壁)을 세웠다. 옥탑 상부는 원형판을 올려놓은 듯하여 전반적으로 곡선이 강조된 여성적인 느낌을 주었다.[2]
1961년 건물 개보수 공사 때 옥상 일부가 증축되었다.[1] 2009년 재개관 시에는 외관은 최대한 보존하고 내부는 현대적인 공연장으로 리모델링되었다.[2][3]
4. 명칭 변경
1936년 10월 7일 '''명치좌'''(明治座)로 준공 및 개관하였다.[5][6][8][9][10][11]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미군정 시대가 되면서 1946년 1월 '''국제극장'''(國際劇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8][11] 이 명칭은 2년도 채 되지 않았으며, 세종대로 149번지에 나중에 세워진 국제극장과는 다르다. 같은 해 10월 21일에는 고려영화협회가 제작한 영화 《자유만세》(감독 최인규)가 이 극장을 개봉관으로 개봉하여 15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31]
1947년 12월 서울시가 매입하여 '''시공관'''(市公館)으로 이름을 바꾸었다.[8][11] 한국 전쟁을 거쳐 1954년 4월 6일에는 《탁류》(감독 이만흥), 같은 해 5월 1일에는 《코리아》(감독 김성민 (1915년))가 이 극장을 개봉관으로 개봉했다.[32][33]
그 후 국가가 매입하여 1957년 6월 1일 '''명동예술회관'''으로 개칭하고 국영극장이 되었다.[8][11] 국영화된 후에도 한동안 "시공관"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극장 정면 입구에는 오른쪽에 "중앙국립극장", 왼쪽에 "시공관"이라고 쓰여 있었다.[34] 같은 해 8월 8일 이 극장에서 열린 가수 고복수 은퇴 공연 광고에는 "시공관"이라고 크게 쓰여 있었다.[35] 영화 상영도 "시공관"이라는 명칭으로 계속되었으며, 1958년 4월 20일에는 《지옥화》(감독 신상옥)가 이 극장을 개봉관으로 개봉했다.[36] 이 작품에 주연한 최은희는 같은 해 제2회 부일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62년 3월 21일 '''명동국립극장'''으로 이름을 바꾸었지만,[8][9] 1973년 10월 국립극장의 남산 이전에 따라 폐쇄되었고, 1975년 금융기관에 매각되어 사무실로 사용되었다.[8][9] 1990년대 들어 지역 사회와 건축계를 중심으로 이 건물의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노후화, 철거 위기에 처한 극장의 수리·복원을 위한 운동이 일어났고, 이를 배경으로 2003년 12월 대한민국 문화관광부가 매입하여 외관을 남긴 형태로 복원 작업을 거쳐 2009년 6월 5일 '''명동예술극장'''으로 재개관하여 오늘에 이른다.[8][9]
참조
[1]
웹사이트
명동예술극장
https://www.kmdb.or.[...]
2024-03-11
[2]
웹사이트
[반세기, 기록의 기억] (96) 명동예술극장
https://www.khan.co.[...]
2024-03-12
[3]
웹사이트
Myeongdong Theater (명동예술극장)
https://english.visi[...]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24-03-11
[4]
논문
1920年代-1930年代、京城の映画館 : 映画館同士の関係性を中心に
https://ritsumei.rep[...]
立命館大学コリア研究センター
2013
[5]
문서
年鑑[1942], p.10-109.
[6]
문서
年鑑[1943], p.504.
[7]
문서
공・정[2006], p.448.
[8]
웹사이트
명동예술극장
2013-12-11
[9]
뉴스
명동 국립극장은‘짝퉁’… 1936년 건립 당시 日 유명 극장 디자인 그대로 베껴
http://test.m.kukine[...]
국민일보
2009-03-02
[10]
문서
西澤[2008], p.261.
[11]
문서
박・김[2008], p.21.
[12]
웹사이트
旅路
http://www.jmdb.ne.j[...]
2013-12-13
[13]
웹사이트
『ナグネ』広告
https://commons.wiki[...]
1937-04-23
[14]
웹사이트
Winterset
https://www.imdb.com[...]
2013-12-11
[15]
웹사이트
目撃者
https://www.allcinem[...]
2013-12-11
[16]
웹사이트
明治館
https://commons.wiki[...]
2013-12-11
[17]
웹사이트
Honolulu
https://www.imdb.com[...]
2013-12-13
[18]
문서
世界[1997], p.354.
[19]
웹사이트
新しき家族
http://www.jmdb.ne.j[...]
2013-12-13
[20]
웹사이트
虹晴れ街道
http://www.jmdb.ne.j[...]
2013-12-13
[21]
웹사이트
明治座広告
https://commons.wiki[...]
1939-10-02
[22]
웹사이트
수업료
http://www.kmdb.or.k[...]
2013-12-11
[23]
웹사이트
志願兵
http://www.jmdb.ne.j[...]
2013-12-11
[24]
웹사이트
지원병
http://www.kmdb.or.k[...]
2013-12-11
[25]
웹사이트
西住戦車長伝
http://www.jmdb.ne.j[...]
2013-12-13
[26]
웹사이트
みかへりの塔
http://www.jmdb.ne.j[...]
2013-12-13
[27]
웹사이트
戸田家の兄妹
http://www.jmdb.ne.j[...]
2013-12-13
[28]
웹사이트
明治座1941年
https://commons.wiki[...]
2013-12-13
[29]
웹사이트
우르러라 창공
http://www.kmdb.or.k[...]
2013-12-13
[30]
논문
조선총독부의 식민지통치에 있어서의 영화정책
https://waseda.repo.[...]
와세다대학
2024-06-20
[31]
웹사이트
자유만세
http://www.kmdb.or.k[...]
2013-12-11
[32]
웹사이트
탁류
http://www.kmdb.or.k[...]
2013-12-13
[33]
웹사이트
코리아
http://www.kmdb.or.k[...]
2013-12-13
[34]
웹사이트
중앙국립극장 시공관
https://commons.wiki[...]
1957-12-13
[35]
웹사이트
고복수 은퇴공연 광고
https://commons.wiki[...]
1957-08-05
[36]
웹사이트
지옥화
http://www.kmdb.or.k[...]
2013-12-13
[37]
논문
일제강점기 근대 문화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38]
뉴스
국민일보
2009-03-02
[39]
Youtube
tbs TV, 영상기록 서울, 시간을 품다 - 제2회 근대의 엘레지 명치좌(明治座)
https://www.youtube.[...]
tbs
2013-03-25
[40]
웹사이트
근대의 엘레지 ‘명치좌’
http://www.mediafine[...]
2015-01-19
[41]
뉴스
명동예술극장의 숨겨진 비밀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9-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