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쒀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쒀족은 중국 윈난성과 쓰촨성 접경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으로, 모계 사회와 독특한 결혼 방식인 주혼(走婚)으로 유명하다. 역사적으로 봉건제를 띠었으며, 여성은 가문의 수장인 아미(阿米)로서 가정을 지배하고, 주혼을 통해 남녀가 각자의 집에서 생활하며 밤에만 만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모쒀족은 다바교와 티베트 불교를 믿으며,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며 자급자족하는 생활을 해왔다. 최근 관광 산업의 발달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젊은 세대는 도시로 진출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모계 사회 규범이 변화하는 등 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미식별 민족 - 샨족
    샨족은 자신들을 '타이'라 부르는 타이어 사용자 민족으로,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여러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자적인 문화를 가졌으나 미얀마 정부와의 분쟁으로 독립 투쟁 및 망명 생활을 하고 있다.
  • 중국의 미식별 민족 - 알타이인
    알타이인은 러시아 알타이 지역에 거주하며 튀르크계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뉘며 샤머니즘을 기반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겪었다.
모쒀족
개요
전통 의상을 입은 모쒀족 여성
전통 의상을 입은 모쒀족 여성
거주 지역중국(쓰촨성, 윈난성)
인구50,000명
언어나어
종교다바교, 티베트 불교
관련 민족나시족

2. 역사적 배경

모쒀족 사회는 전통적으로 봉건제 사회였다. 소수의 귀족이 다수의 농민을 지배하는 구조였는데,[12] 귀족은 "병렬적 계통"을 통해 지위를 유지했다.[13] 즉, 아버지는 아들에게, 여성은 딸에게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물려주었다. 모쒀족 평민 여성과 남성 농노가 결혼하면 딸은 평민, 아들은 농노 신분이 되었다.[2]

스추안캉은 모계 사회와 "걸어 다니는 결혼"(tisese, 티세세)이 가족, 성, 번식의 주요 제도이며, 결혼은 부차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14] 그의 주장에 따르면, 티세세와 다른 결혼은 제국 건설 과정에서 다른 민족과의 접촉을 통해 모쒀족 사회에 도입되었다.

2. 1. 현대의 변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도로와 교통이 개선되었다. 젊은 모쒀족 남녀는 이러한 수단을 이용하여 마을을 떠나 인근 도시에서 일자리를 찾는다. 텔레비전은 현대 세계의 아이디어와 더 부유한 생활 방식의 이미지를 가져왔다.[10] 남성들은 가구와 독립적인 직업을 갖기 시작하여 스스로 소득을 올리고 있다. 나이든 모쒀족은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재산 분쟁을 두려워한다. 젊은 세대가 마을을 떠나면서 가족에 대한 보살핌 또한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10]

러구호 근처에 사는 모쒀족 여성


러구호 근처에 사는 모쒀족은 미적으로 아름다운 지역에 거주한다. 사진 작가, 텔레비전 제작진, 작가, 예술가들이 그들의 집에 매료된다. 이러한 관심 증가는 또한 관광객을 불러왔다. 관광은 주로 국내 관광이며, "이국적"으로 보이는 문화를 보기 위한 조직적인 관광 그룹의 일환으로 이루어진다. 관광은 친족 관계와 양육 방식에 영향을 미쳐, 관광이 성행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모쒀족은 엄격한 모계 사회 규범을 덜 따르는 경향이 있다.[24]

3. 모계 사회와 주혼

모쒀족은 종종 중국의 "마지막 모계 사회"로 불린다.[4] 모쒀족 자신들도 종종 그들의 문화를 설명할 때 ''모권 사회''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그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여 관광객을 유치한다고 믿기 때문이다.[5] 하지만, "모계"와 "모권"이라는 용어는 그들의 사회 조직의 모든 복잡성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사실, 모쒀족 문화를 전통적인 인류학적 범주 내에서 분류하는 것은 쉽지 않다. 모쒀족은 여성은 종종 집안의 가장이며, 상속은 여성의 혈통을 통해 이루어지고, 여성은 사업 결정을 내리는 등 모권 사회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모권 사회와는 달리, 정치 권력은 남성의 손에 있는 경향이 있다.

모계(중국어: 阿米, 아미, 또는 연장자 여성)는 가문의 수장이다. 아미는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며,[10] 지붕 아래 사는 모든 사람의 운명을 결정한다. 모쒀족의 주혼에서 여성들은 집안의 대부분의 일과 재정적 결정을 담당한다. 모계는 또한 각 가족 구성원의 돈과 직업을 관리한다. 아미가 자신의 임무를 다음 세대에게 넘겨주고 싶을 때는, 이 여성 후계자에게 가구 저장고의 열쇠를 넘겨,[2] 재산권과 책임을 넘겨줌을 의미한다.

모쒀족 사회는 다른 문화와 달리 여성이 가정을 지배한다. 여성은 가사, 농사, 육아를 책임진다. 주혼에서 가계는 아내 측의 혈통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부부의 자녀는 아내의 가족 가구에 거주하고 속하게 된다.[24] 여성이 대부분의 가사일을 담당하기 때문에 주혼에서 더 큰 역할을 하며, 이 사회에서 더 존경받고 중요하게 여겨진다.[17]

주혼에서의 남편은 아내보다 훨씬 덜 관여하는 역할을 한다. 남편은 가족의 모든 종교적, 정치적 결정을 담당하지만,[18] 가족 내 아버지나 남편은 아내만큼 가족에 대한 책임이 거의 없다.

3. 1. 주혼(走婚)

주혼(走婚)은 모쒀족의 독특한 결혼 형태로, 남녀가 각자의 집에서 생활하며 밤에만 만나는 방식이다.[24] 남성은 여성의 집에 방문하여 밤을 보내고 아침에 자신의 집으로 돌아간다.[24] 이들은 기술적으로 같은 가구에서 살지 않지만, 허락을 받으면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다.

주혼 관계에서 태어난 아이는 어머니의 가족, 특히 외삼촌이 양육을 담당한다.[16] 외삼촌은 낮 동안 아버지가 곁에 없기 때문에 아버지의 책임을 맡는다.[16] 어머니의 형제는 가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자녀 훈육, 보살핌, 재정적 지원을 포함한다.[24]

아버지는 아이 양육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은 없지만,[24] 선물 등을 통해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24] 아이가 태어난 후, 남자는 아이를 돌봐야 할 도덕적, 문화적, 법적 의무가 없다. 아버지는 어머니의 가족에게 선물을 가져다줌으로써 자신의 자녀 양육에 대한 관심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그를 어머니 가족의 일원으로 만들지는 않지만, 가족 내에서 일종의 지위를 갖게 한다.[24]

주혼은 이혼이나 양육권 분쟁의 염려가 적고, 자녀가 대가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남녀가 법적으로 묶여 있지 않아 동일한 책임을 거의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이혼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자녀는 어머니의 확대 가족에 속하며 어머니의 성을 따르기 때문에 자녀의 양육권 소유에 대한 분쟁도 없다. 부모의 사망 시에도 자녀는 확대 가족으로부터 많은 보살핌과 애정을 받는다.

모쒀족은 대가족을 이루며, 여러 세대가 같은 집에서 함께 생활한다. 모든 구성원은 공동 구역에서 생활하며, 특정 연령대의 여성을 제외하고는 개인 침실이나 거실 공간이 없다. 비록 짝짓기가 장기적일 수 있지만, 남자는 여자의 가족과 함께 살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없다. 모쒀족 남성과 여성은 각자의 가족과 함께 살면서 그들에게 책임을 다한다. 부부는 재산을 공유하지 않는다.

3. 2. 오해와 논란

모쒀족은 종종 "마지막 모계 사회"로 불리지만,[4] 이는 오해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모쒀족 여성들이 자유롭게 파트너를 바꾼다는 인식이 있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이를 '순차적 일부일처제'라고 부른다.

일부 외부인들은 모쒀족 여성이 여러 파트너를 가진다고 오해하지만, 인류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은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과거에는 여러 파트너를 두는 경우가 더 흔했지만,[15] 현대에는 한 명의 파트너와 안정적인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자녀의 아버지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오해도 있지만, 대부분의 여성은 자녀의 아버지를 알고 있다.[15] 아버지는 자녀 양육에 직접적인 책임은 없지만, 자녀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4] 아이가 태어나면 아버지 측 가족이 선물을 가져오고, 설날에는 아이가 아버지 집을 방문하며, 성인식에도 참여하는 등 중요한 관계를 유지한다.[24]

4. 일상생활

모쒀족의 문화는 주로 농경에 기반하며, 야크, 물소, , 염소, 가금류 등의 가축을 기르고 곡물과 감자를 재배한다. 이들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만큼의 식량을 생산하여 자급자족하는 생활을 한다. 육류는 식단의 중요한 부분이며, 냉장 시설이 없어 소금에 절이거나 훈제하여 보존하는데, 특히 10년 이상 보관할 수 있는 돼지고기 절임으로 유명하다. 또한 곡물로 만든 지역 알코올 음료인 '술리마(sulima)'를 생산하는데, 이는 독한 와인과 비슷하며, 정기적으로 마시거나 손님 대접, 의식 및 축제에 사용된다.[9]

지역 경제는 물물교환에 기반을 두는 경향이 있지만, 외부 세계와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현금 거래 시스템의 사용도 늘어나고 있다. 평균 소득은 150USD~200USD 정도로 낮아 교육이나 여행 등에 재정적인 제약이 따르기도 한다. 대부분의 모쒀족 공동체에는 전기가 도입되었지만, 일부 마을에는 여전히 전기가 공급되지 않고 있다.[2]

모쒀족의 집은 중앙 안뜰을 중심으로 사각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1층에는 가축을 기르고, 주요 요리, 식사 및 방문 공간이 있다. 2층은 일반적으로 창고와 침실로 사용된다.[2]

4. 1. 여성의 역할

모쒀족 소녀는 충분히 나이가 들면 평생 할 일을 배우게 된다. 모쒀족 여성들은 청소, 불 관리, 요리, 장작 수집, 가축 먹이기, 실 잣기 및 직조를 포함한 모든 집안일을 한다.[10][12] 과거에는 고립된 환경으로 인해 모쒀족 여성들은 모든 생활용품을 직접 생산했다. 오늘날에는 주변 마을 및 도시와의 교역이 증가하여 물품을 구하기가 더 쉬워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모쒀족 여성, 특히 노년층은 베틀을 사용하여 천을 생산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4. 2. 남성의 역할

모쒀족 남성


모쒀족 남성은 누이와 여성 사촌의 자녀를 양육하는 것을 돕고, 집을 짓고, 가축과 어업을 관리한다.[2] 삼촌과 나이 많은 남성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충분히 나이가 들면 이를 배운다. 일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저술가들은 남성이 모쒀 사회에서 아무런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며, 그들은 직업이 없고, 하루 종일 쉬며, 밤에 방문하기 위해 힘을 비축한다고 주장한다.[11]

남성은 여성이 절대 참여하지 않는 가축 도살을 처리한다. 특히 도살된 돼지는 통째로 보관되어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되어 최대 10년 동안 먹을 수 있다. 이는 혹독한 겨울로 인해 식량이 부족할 때 특히 유용하다.

모쒀족 사회를 떠나는 여성과 남성을 제외하고, 모쒀족 사람들은 대개 가족과 이웃과의 평범한 대화와 암시를 통해 자신의 아버지를 알게 된다. 아기가 돌이 되면, 아버지의 어머니와 누이가 방문하여 선물을 가져온다. 주요 축제 때, 아이들은 아버지의 집을 방문한다. 아버지는 자녀를 훈육하거나 부양할 책임이 없다. 대신 그들은 여동생의 자녀를 훈육하고 부양하며, 조카의 친자녀와 가까이 지내는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모쒀족 사람들은 "자신의 아버지를 알지만 아버지와 가깝지 않다"라고 한다.

5. 관습

모쒀족의 관습은 그들의 독특한 문화를 반영한다.

모쒀족은 성년이 되면 사춘기 이후 "걸어 다니는 결혼"을 위해 파트너를 초대할 수 있는 "꽃방"이라는 개인 침실을 가질 수 있다. 부뚜막은 자연, 조상, 정령 숭배가 결합된 공간으로, 모쒀족 가구의 중심이다.[10] 부뚜막 뒤에는 돌판(锅桩|궈좡중국어)과 조상 제단이 있어 이곳에 음식 공물을 바친다. 차를 마실 때조차도 매 식사 전에 이러한 의례를 행한다.[12]

장례는 남성이 담당하며, 모든 준비는 남성이 한다.[10] 마을의 모든 가족은 준비를 돕기 위해 최소 한 명의 남성을 보낸다. 다바라마는 고인을 위해 기도를 낭송하도록 초대받는다. 모쒀족은 다바가 없으면 영혼이 길을 잃고, 라마가 없으면 영혼이 환생할 수 없다고 믿는다.[10] 관은 작고 사각형이며, 고인의 시신은 태아 자세로 놓여 다음 생에서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한다. 화장하는 동안 장식된 말이 불 주위를 돌도록 하는데, 이는 고인의 영혼을 데려가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그 후, 친구와 가족들이 모여 마지막 경의를 표하고 고인이 조상의 땅으로 편안하게 가기를 기원한다.[10]

모쒀족은 개를 존중하며, 개를 먹는 것은 엄격히 금지된다.[10] 모쒀족 문화에는 오래전 개의 수명이 60년, 인간의 수명이 13년이었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인간은 수명이 너무 짧다고 느껴 개에게 경의를 표하는 대가로 수명을 맞바꿨다.[12] 따라서 개는 가족의 소중한 구성원이며, 절대 죽이지 않고, 절대 먹지 않는다. 성년식 때 모쒀족 청소년들은 집에서 기르는 개 앞에서 기도한다.[10]

5. 1. 성년식

모쒀족 아이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는 13세에 치르는 성년식이다. 성년식 전까지 아이들은 모두 똑같은 옷을 입으며, 종교 의례 등 모쒀족 생활의 특정 측면에 제한을 받는다. 또한, 성년식 전에 사망한 아이는 전통적인 장례를 치르지 못한다. 성년식을 치른 후, 여자아이들은 치마를, 남자아이들은 바지를 받는다. 여자아이들의 성년식은 "치마 의례", 남자아이들의 성년식은 "바지 의례"라고 불린다.[19]

성년식을 치른 모쒀족 여성들은 "꽃방"이라는 자신만의 개인 침실을 가질 수 있으며, 사춘기가 지난 후에는 "걸어 다니는 결혼"을 위해 파트너를 초대할 수 있다.

5. 2. 부뚜막

부뚜막은 모쒀족 가구의 중심이며, 자연, 조상, 정령 숭배가 결합된 공간이다.[10] 부뚜막 뒤에는 돌판(锅桩|궈좡중국어)과 조상 제단이 있는데, 모쒀족 사람들은 이곳에 음식 공물을 바친다. 차를 마실 때조차도 매 식사 전에 이러한 의례를 행한다.[12]

5. 3. 장례

모쒀족의 장례는 남성의 영역이며,[10] 모든 장례 준비는 남성이 담당한다. 남성이 가족과 손님을 위해 음식을 준비하는 유일한 때이기도 하다. 보통 마을의 모든 가족은 준비를 돕기 위해 최소 한 명의 남성을 보낸다. 다바라마는 고인을 위해 기도를 낭송하도록 초대받는다. 모쒀족은 다바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영혼이 길을 잃고, 라마가 없으면 영혼이 환생할 수 없다고 믿는다.[10] 관은 작고 사각형이며, 고인의 시신은 태아 자세로 놓여 다음 생에서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한다. 화장하는 동안 장식된 말이 불 주위를 돌도록 하는데, 모쒀족은 이것이 고인의 영혼을 데려가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그 후, 친구와 가족들이 모여 마지막 경의를 표하고 고인이 조상의 땅으로 편안하게 가기를 기원한다.[10]

5. 4. 개에 대한 존중

모쒀족은 일부 아시아 문화권에서 개를 먹는 풍습이 있지만, 모쒀족에게는 이는 엄격히 금지된다.[10] 모쒀족 문화에는 오래전에 개의 수명이 60년이었고 인간의 수명은 13년이었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인간은 자신의 수명이 너무 짧다고 느껴 개에게 경의를 표하는 대가로 수명을 맞바꿨다.[12] 따라서 개는 가족의 소중한 구성원이며, 절대 죽이지 않고, 절대 먹지 않는다. 성년식 때 모쒀족 청소년들은 집에서 기르는 개 앞에서 기도한다.[10]

6. 종교

모쒀족의 삶에서 종교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모쒀족의 종교는 고유의 혼합 종교인 다바교와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20]

6. 1. 다바교

다바는 수천 년 동안 모쒀족 문화의 일부였으며, 구전을 통해 대대로 전해져 내려왔다. 다바는 모쒀족 문화와 역사의 대부분을 담고 있는 저장소 역할을 한다. 다바는 정령 숭배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조상 숭배와 어머니 여신 숭배를 포함한다. "모쒀족은 주변 민족들과 달리 수호신으로 전사신이 아닌 어머니 여신을 숭배한다."[20]

다바라고도 불리는 제사장(또는 샤먼)의 주요 임무는 엑소시즘을 수행하고 죽은 영혼을 돕는 것이다.[10] 제사장들은 술을 마시고 트랜스 상태에 들어가 영혼과 대화할 수 있다. 모쒀족은 문자가 없기 때문에 종교적 경전도, 사찰도 없다. 모든 다바 제사장은 남성이며, 어머니의 집에서 형제자매와 함께 생활한다. 종교적 의무를 수행하지 않을 때는 낚시와 목축과 같은 일상적인 일을 한다.[21]

일상생활에서 다바는 모쒀족의 삶에서 훨씬 작은 역할을 한다. 다바는 주로 아이의 이름 짓기, 성인식, 장례식 또는 춘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의 주요 행사에서 전통적인 의식을 수행하기 위해 불려진다. 또한 누군가 아플 경우 특정 의식을 수행하기 위해 다바를 부르기도 한다.

문화적 위기가 발생하고 있다. 과거 중국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다바 제사장이 되는 것이 불법이었고(이 정책은 현재 폐지됨), 다바는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대부분이 노인이다. 이로 인해 일부 모쒀족은 현재 다바 세대가 사라질 때 모쒀족의 역사와 유산이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6. 2. 티베트 불교

최근 몇 년 동안 모쒀족 문화에서 불교가 더 큰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티베트 불교가 주된 종교이지만, 모쒀족 사회에 다소 적응되었다. 티베트의 불교도들과 마찬가지로 모쒀족의 재가 신자와 승려 모두 고기를 먹는다. 모쒀족 라마는 감사의 기도와 죽은 자를 위한 기도를 올리고,[10] 어린 아이들에게 기본적인 종교 및 세속 교육을 제공하며, 어른들을 상담한다. 여러 아들을 둔 가정에서는 십중팔구 아들 중 한 명을 승려로 보낸다.[15]

모쒀족은 심지어 그들만의 "활불(活佛, Living Buddha)"을 가지고 있는데, 그는 위대한 티베트 영적 지도자 중 한 명의 환생이라고 한다. 그는 보통 리장에 거주하지만, 중요한 영적 휴일을 위해 융닝의 주요 티베트 사찰로 돌아온다. 많은 모쒀족 가정이 적어도 한 명의 남성을 승려로 훈련시키며, 최근 몇 년 동안 이러한 승려의 수가 상당히 증가했다. 현재 모쒀족 활불은 2011년 4월 노환으로 사망했다.

대부분의 모쒀족 가정에서는 부처의 조각상을 부뚜막 위에 놓아둔다. 가족들은 보통 요리하는 음식의 작은 부분을 불에 넣어 신에게 공물로 바친다. 티베트 불교의 휴일과 축제는 모든 모쒀족 공동체가 참여한다.

7. 경제

모쒀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귀리, 메밀, 아마 등을 재배했다.[23] 19세기 말 한족의 영향으로 옥수수, 해바라기, 콩, 감자, 호박과 같은 채소들을 재배하기 시작했다.[23] 감자는 20세기 중반까지 주요 주식이었지만, 이후 을 재배하기 시작했고, 오늘날 쌀은 연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23]

모쒀족은 가축(야크, 물소, 양, 염소, 가금류)을 기른다.[9] 특히 돼지는 모쒀 사회에서 중요한 가축으로, 돼지고기는 손님에게 제공되거나 장례식 제물, 지불 및 배상 등에 사용된다. 돼지고기는 일종의 화폐이자 부의 상징으로 여겨진다.[25] 모쒀족은 돼지고기를 소금에 절이거나 훈제하여 보존하며, 10년 이상 보관할 수 있는 돼지고기 절임으로 유명하다.[9] 또한 곡물로 만든 지역 알코올 음료인 '술리마(sulima)'를 생산하는데, 이는 독한 와인과 비슷하며, 정기적으로 마시거나 손님 대접, 의식 및 축제에 사용된다.[9]

모쒀족 남성들은 일 년에 한 번 가축 시장에 모여 가축을 판매하고 거래하며 가계 소득을 보충한다.[10] 루구 호수에서 물고기를 잡기도 하는데,[9] 모터 보트를 사용하지 않고 원시적인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탁 트인 물에서 물고기를 잡는 것은 쉽지 않다.

지역 경제는 물물교환에 기반을 두는 경향이 있었으나, 외부 세계와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현금 거래 시스템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2] 그러나 평균 소득은 연간 150USD~200USD로 낮아 재정적인 제약이 있다.[2] 대부분의 모쒀족 공동체에는 전기가 도입되었지만, 일부 마을에는 여전히 전기가 공급되지 않고 있다.[2]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모쒀족의 생계는 관광 산업의 발달로 인해 농업에서 관광업으로 변화하고 있다.[24]

8. 언어와 문자

모쒀족은 시노티베트어족의 나이쉬어군에 속하는 나루아어(나어)를 사용하며, 이는 나시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일부 모쒀족 화자들은 '나시어'라는 명칭에 불만을 품고 나어라는 명칭을 선호한다.[26] https://www.ethnologue.com/language/nru 나루아어 관련 자료들이 온라인에 공개되어 있다.[27][28]

오늘날 모쒀족은 일상에서 한자를 사용하며, 종교적인 목적으로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고유 종교인 다바는 32개의 상징을 사용한다.[31][32] 현재 모쒀어 문자 형태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21]

러구 호수 모쒀 문화 박물관에서 발견된 고대 모쒀 상징 (중국어 설명)

8. 1. 언어

모쒀족은 나어(나루아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시노티베트어족의 나이쉬어군에 속하며 나시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모쒀족의 언어와 나시족의 언어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일부 모쒀족 화자들은 리장시와 주변 마을의 방언을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 이름인 나시어를 사용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다. 더 적절한 이름은 여러 언어학 출판물에서 사용되는 나어이다.[26] "나루아어"라는 이름은 언어 재고 목록인 Ethnologue의 여름 언어 연구소에서 사용된다. https://www.ethnologue.com/language/nru 나루아어 온라인에서 오디오 녹음 모음집을 이용할 수 있으며,[27] 삼개국어 용어집도 온라인에 게시되었다.[28] 언어에 대한 두 권의 책 분량의 설명이 있으며,[26][29] 여러 연구 논문도 있다.

중국 윈난성 리장시 융닝 진에서 사용되는 융닝 나어는 자크와 미쇼(2011)에 의해 문서화되었다.[30]

8. 2. 문자

다른 중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오늘날 모쒀족은 일상적인 소통에 한자를 사용한다. 티베트 문자는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모쒀족은 32개의 상징을 사용하는 다바라는 고유 종교를 가지고 있다.[31][32] 다바 종교의 수석 의례 전문가는 영에 사로잡힌 샤먼 단계를 넘어섰으며, 다수의 성스러운 텍스트를 소유하고 있어 일종의 사제로 분류된다.[33] 현재 모쒀어의 문자 형태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21]

8. 3. 한족과의 교류

한족은 56개 민족 중 하나이다. 명나라 시대 융닝 지역에서 모쒀족은 많은 한족의 이상을 받아들였다.[10] 모쒀족은 불교를 받아들여 그들의 가치관에 맞게 적응시켰다. 문화 대혁명이나 다른 문화 간의 교역은 모쒀족의 신념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모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8. 4. 현대 사회의 영향

도로와 교통이 개선되면서 젊은 모쒀족 남녀는 마을을 떠나 인근 도시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다.[10] 텔레비전은 현대 세계의 아이디어와 더 부유한 생활 방식의 이미지를 가져왔으며, 남성들은 가구와 독립적인 직업을 갖고 스스로 소득을 올리기 시작했다.[10] 나이든 모쒀족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재산 분쟁과 젊은 세대가 마을을 떠나면서 가족을 돌보는 문제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10]

러구 호수 근처의 아름다운 지역에 거주하는 모쒀족은 사진 작가, 텔레비전 제작진, 작가, 예술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는 관광객 증가로 이어졌다.[24] 관광은 주로 국내 관광으로, "이국적" 문화를 보기 위한 조직적인 관광 그룹의 형태로 이루어진다.[24] 이러한 관광은 모쒀족의 친족 관계와 양육 방식에 영향을 미쳐, 관광이 활발한 지역에 사는 모쒀족은 엄격한 모계 사회 규범을 덜 따르는 경향을 보인다.[24]

참조

[1] 웹사이트 Mòso o Mòsso http://www.sapere.it[...] 2015-09-11
[2] 웹사이트 Daba religion http://www.chinadail[...]
[3] 간행물 The collection of papers that Latami Dashi edited, published in 2006, contains an extensive list of references in Chinese, and a bibliography of books and articles in other languages (especially English) compiled by He Sanna.
[4] 논문 Economic impacts of tourism and erosion of the visiting system among the Mosuo of Lugu lake 2010
[5] 웹사이트 The Mosuo: Matriarchal/Matrilineal Culture http://www.mosuoproj[...] Lugu Lake Mosuo Cultural Development Association 2011-07-10
[6] PDF http://public.gettys[...] 2022-03
[7] 웹사이트 The Place in China Where the Women Lead https://www.npr.org/[...]
[8] 서적 Women at the Center: Life in a Modern Matriarchy http://www.cornellp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2
[9] 웹사이트 The Mosuo: Daily Life http://www.mosuoproj[...] Lugu Lake Mosuo Cultural Development Association 2011-07-11
[10] 영상 Kingdom of Women: The Matriarchal Mosuo of China Films for the Humanities and Societies 2007
[11] 서적 The Ladies of the Lake: A Matriarchal Society Journeymen Pictures
[12] 서적 A Society without Fathers or Husbands: The Na of China Zone Books 2001
[13] 서적 A Society without Fathers or Husbands: The Na of China Zone Books 2001
[14] 논문 Genesis of Marriage among the Mosuo and Empire-Building in Late Imperial China 2001-05
[15] 웹사이트 The Na of Southwest China: Debunking the Myths http://web.pdx.edu/~[...]
[16] 웹사이트 Matriarchal/Matrilineal Culture Lugu Lake Mosuo Cultural Development Association 2006
[17] 간행물 Land of the Walking Marriages
[18] 웹사이트 Gender Differences in the Dictator Experiment: Evidence from the Matrilineal Mosuo and the Patriarchal Yi 2010
[19] 논문 Unhitching the Horse From the Carriage: Love and Marriage Among the Mosuo 2009
[20] 서적 A History and Anthropological Study of the Ancient Kingdoms of the Sino-Tibetan Borderland – Naxi and Mosuo 2003
[21] 논문 A Comparison of the Twenty-Eight Lunar Mansions Between Dabaism and Dongbaism 2015
[22] 서적 A Society without Fathers or Husbands: The Na of China Zone Books 2001
[23] 서적 A Society without Fathers or Husbands: The Na of China Zone Books 2001
[24] 논문 Paternal Investment and the Positive Effects of Fathers among the Matrilineal Mosuo of Southwest China 2014
[25] 서적 A Society without Fathers or Husbands: The Na of China Zone Books 2001
[26] 서적 Tone in Yongning Na : lexical tones and morphotonology 2017-04-26
[27] 웹사이트 Mosuo Voices: Recordings of Na (Mosuo) in the Pangloss Collection https://web.archive.[...] CNRS/ADONIS 2013-04-30
[28] 서적 Na (Mosuo) – English – Chinese dictionary https://shs.hal.scie[...] Lexica
[29] 서적 A descriptive grammar of Yongning Na (Mosuo) University of Texas, Department of linguistics Ph. D. dissertation
[30] 논문 Approaching the historical phonology of three highly eroded Sino-Tibetan languages http://www.benjamins[...] 2011
[31] 논문 From Daba Script to Dongba Script: A Diachronic Exploration of the History of Moso Pictographic Writings 2017
[32] 문서 Often mistaken for a written script, these symbols do not represent a written language. There is currently no written form of Naru, the native Mosuo language; it is a purely oral language in which all history, tradition, and ceremonies are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word of mouth.
[33] 서적 Popular Religion and Shamanism https://books.google[...] Brill 2011
[34] 영상 The Mosuo Sisters
[35] 영상 Sunny Side of Sex: a documentary series by Sunny Bergman Viewpoint Production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