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구개수 파열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구개수 파열음은 자음의 한 종류로,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q]로 표기된다. 혀의 뒷부분과 구개수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려 내는 소리이며,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아랍어, 체첸어, 영어, 우즈베크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개수음 -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은 혀 뒤쪽과 구개수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무성 마찰음으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성대의 진동 없이 혀의 중앙을 따라 흐르며 마찰을 일으켜 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지며, 독일어, 웨일스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구개수음 - 유성 구개수 파열음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혀의 후설을 목젖에 대고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으로, 유성음이며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무성 구개수 파열음 | |
---|---|
음성 기호 정보 | |
IPA 기호 | q |
IPA 번호 | 111 |
10진수 | 113 |
X-SAMPA | q |
키르셴바움 | q |
브라유 | 12345 |
해당 음성 | |
한국어 | k (예시) |
영어 (예시) | q q̟ q˖ q k̠ k |
2. 특징
무성 구개수 파열음의 특징:
- 기류 발생 - 폐장 기류 기구로부터의 호기.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
- 조음
- * 조음 위치 - 혀 뒷부분과 구개수에 이르는 연구개의 끝부분인 구개수음.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혀의 중앙으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완전한 폐쇄를 만들고 한 번에 개방함으로써 생기는 파열음.
-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
3. 언어별 예시
- 아랍어: ق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체첸어: 키릴 문자 표기의 кх, 라틴 문자 표기의 q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ʊ oː ɔ oɪ ʊə/ 앞의 k에서 전(前)구개수음으로 발음된다.
- 다문화 런던 영어: /k/ 뒤에 후설 고모음이 오지 않을 때 변이음으로 난다.
- 우즈베크어: q에서 이 소리가 난다. 가끔 무성 전(前)구개수 파찰음으로도 발음된다.
- 투르크멘어: 후설모음 옆에 오는 k에서 변이음으로 난다.
- 소말리어, 케추아어족: q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위구르어: 라틴 문자 표기의 q에서 이 소리가 난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아바자어 | [qat͡sʼa] | '사람' | ||
아디게어 | [ataːqa] | '수탉' | ||
알류트어 | / | [qiːɣaχ] | '풀' | |
아랍어 | ||||
현대 표준 아랍어 | قـط|아랍어 발음ar | [qitˤː] | '고양이' | 아랍어 음운론 참조 |
헤자지 아랍어 | قِـمَّة|아랍어 발음ar | [qɪmːa] | '정상' | 음성 변이음 /g/. 헤자지 아랍어 음운론 참조 |
걸프 아랍어, 알제리 아랍어 | غـداً|아랍어 발음ar | [qədæn] | '내일' | 다른 방언에서는 /ɣ/에 해당. |
아시리아 신 아람어 | ܩܐ|아시리아어 발음syr | [qa] | 'for' | 종종 연구개 /q/보다는 긴장된 /k/로 실현. |
아르치어 | [qaːl] | '사람 가죽' | ||
아바-카노에이로어 | [ˈqɔːtõ] | '이것' | /k/의 가능한 실현. 40세에서 80세 사이의 사람들의 발화에서 자음은 후강성 또는 1차 또는 2차 강세 음절에서 [qˤ], [qʰ] 및 [k]와 자유 변이 관계에 있음.[1] | |
바슈키르어 | [qɑð] | '거위' | ||
체첸어 | [qɔʔ] | '셋' | ||
추크치어 | Нычымйыӄэн|추크치어 발음ckt | [nət͡ʃəmjəqen] | '쓰다' | |
다우사하크어 | [qoq] | '마르다' | ||
영어 | ||||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 caught|영어 발음영어 | [ḵʰoːt] | '잡았다' | 전 연구개; /ʊ oː ɔ oɪ ʊə/ 앞에서 /k/의 음성 변이음. 호주 영어 음운론 참조 |
다문화 런던 영어 | cut|영어 발음영어 | [qʌt] | '자르다' | 비고모음 앞에서 /k/의 음성 변이음.[2][3] |
에약어 | [qʊːtʃɪ̤] | '늑대' | ||
독일어 켐니츠 방언 | Rock|독일어 발음de | [qɔkʰ] | '치마' | /χ/, /ʁ/, /ʀ̥/와 자유 변이 관계에 있음. 코다에는 나타나지 않음. |
그린란드어 | illoqarpoq|그린란드어 발음kl | [iɬːoqɑppɔq] | '그는 집이 있다' | 그린란드어 음운론 참조 |
히브리어 | ||||
성경 히브리어 | קול|히브리어 발음he | [qol] | '목소리' | 성경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
미즈라히 히브리어 | 미즈라히 히브리어 참조 | |||
샤라브 테마니 | קול|히브리어 발음he | [qøːl] | 예멘 히브리어 참조 | |
헝가리어 | korom|헝가리어 발음hu | [qorom] | '그을음' | 후설 모음 앞에서 /k/의 가능한 음성 변이음. 헝가리어 음운론 참조 |
힌두스탄어 | ||||
बर्क़|힌디어 발음hi / برق|우르두어 발음ur | [bərq] | '번개' | 주로 아랍어에서 힌디어-우르두어 차용어에 있으며, 주로 우르두어와 교육받은 힌디어 화자가 발음하고, 시골 힌디어 화자는 종종 이를 /k/로 발음. 힌두스탄어 음운론 참조[5][6][7] | |
이누이트어 | ᐃᐦᐃᑉᕆᐅᖅᑐᖅ|이누이트어 발음iu | [ihipɢiuqtuq] | '탐구하다' | 이누이트어 음운론 참조 |
이라크어 | qeet|이라크어 발음irk | [qeːt] | '깨다' | |
카바르딘어 | [qabardej] | '카바르딘' | ||
카빌어 | / / | [θɐqβæjlɪθ] | '카빌어' | 유성음화될 수 있음. /ɢ/. |
카바란어 | qaqa|카바란어 발음ckv | [qaqa] | '형님' | |
카자흐어 | Қазақстан|카자흐어 발음kk | [qɑzɑqˈstɑn] | '카자흐스탄' | 후설 모음 앞에서 /k/의 음성 변이음 |
케트어 | [qan] | '시작하다' | ||
클라랄람어 | qəmtəm|클라랄람어 발음clm | [qəmtəm] | '철' | |
쿠르드어 | ||||
소라니어 | [qutɑbxɑnə] | '학교' | 후설 모음 앞에서 /k/의 음성 변이음 | |
쿠르만지어 | Qalikdar|쿠르드어 발음ku | [qɑlɯkdɑr] | '갑각류' | 후설 모음 앞에서 /k/의 음성 변이음 |
쿠테나이어 | [qajkitʼwu] | '아홉' | ||
키르기스어 |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어 발음ky | [qɯrʁɯsˈstɑn] | '키르기스스탄' | 후설 모음 앞에서 /k/의 음성 변이음 |
리샨 디단어 우르미 방언 | אקלא|리샨 디단어 발음trg | [aqlɑ] | '발, 다리' | |
몰타어 고대 코토네라 방언 | qattus|몰타어 발음몰타어 | [qɐˈtːuːs] | '고양이' | |
말토어 | क़ान|말토어 발음mjt | [qa:n] | '눈' | 다른 북 드라비다어에서는 /x/에 해당. |
네즈 퍼스어 | ʔaw̓líwaaʔinpqawtaca|네즈 퍼스어 발음nez | [ʔawˀɪlwaːʔinpqawtat͡sa] | '나는 불 속에 그를 집어넣으러 간다' | |
니브흐어 | тяқр̆|니브흐어 발음niv | [tʲaqr̥] | '셋' | |
오세트어 철 | Дзæуджыхъæу|오세트어 발음os | [ˈzə̹ʊ̯d͡ʒɪ̈qə̹ʊ̯] | '블라디캅카스' | |
페르시아어 | ||||
초창기 신 페르시아어 | قـاشُـق|페르시아어 문자prs | '스푼' | 유성음 파열음 앞에서 [ɢ]로 유성음화될 수 있음. 페르시아어 음운론 참조. | |
다리어 표준 | [qɑːˈʃʊq] | |||
타지크어 표준 | қошуқ|타지크어 발음tg | [qɔʃuq] | ||
일부 이란 화자 | قـورباغه|페르시아어 발음fa | [qurbɒɣe] | '개구리' | 서부 이란 방언에서는 /q/와 /ɣ/가 /ɢ/로 병합. 동부 이란의 일부 방언에서는 일부 단어에서 구별을 유지할 수 있음. 페르시아어 음운론 참조. |
케추아어 | qallu|케추아어 발음qu | [qaʎu] | '혀' | |
사하프틴어 | qu | [qu] | '무거운' | |
세디크어 | Seediq|세디크어 발음trv | [ˈseˈʔediq] | '세디크' | |
쇼르어 | [qɑm] | '무당' | ||
소말리아어 | qaab|소말리아어 발음so | [qaːb] | '모양' | 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
St’át’imcets어 | teq|릴루엣어 발음lil | [təq] | '만지다' | |
틀링깃어 | ghagw|틀링깃어 발음tli | [qɐ́kʷ] | '나무 척추' | 틀링깃어는 6개의 서로 다른 연구개 파열음을 대조. |
심시안어 | gwildmḵa̱p'a|심시안어 발음tsi | [ɡʷildmqɑpʼa] | '담배' | |
투르크멘어 | ak|투르크멘어 발음tk | [ɑ:q] | '하얀' | 후설 모음 옆에 /k/의 음성 변이음 |
우비흐어 | qhë | [qʰɜ] | '무덤' | 10개의 구별되는 연구개 파열음 중 하나. 우비흐어 음운론 참조 |
위구르어 | [ɑq] | '하얀' | ||
우즈베크어 | qol|우즈베크어 발음uz | [q̟oɫ] | '팔' | 전 연구개; 때로는 파찰음으로 실현. /q͡χ˖/. |
유픽어 | meq|유픽어 발음ypk | [məq] | '신선한 물' | |
유카기르어 | ||||
북부 | маарх|유카기르어 발음ykg | [maːrq] | '하나' | |
남부 | атахл|유카기르어 발음yux | [ataql] | '둘' | |
!Xóõ어 | ǀqhɑ́á|!Xóõ어 발음nmn | [ǀ͡qʰɑ́ː] | '부드럽게 하다' |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John Wells's phonetic blog: k-backing
http://phonetic-blog[...]
2010-07-27
[3]
간행물
Contact, the feature pool and the speech community: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London English
http://eprints.white[...]
2019-07-09
[4]
웹사이트
Glossary
https://www.uni-due.[...]
2015-02-10
[5]
서적
A Primer of Modern Standard Hindi
Motilal Banarsidass Publ.
1989
[6]
서적
A Guru's Journey: Pandit Chitresh Das and Indian Classical Dance in Diaspor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9-12-20
[7]
서적
Dialect Accent Features for Establishing Speaker Identity: A Case Stud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