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USAREUR-AF)은 미국 육군의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 사령부로,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 전구 작전 사령부로 시작하여 냉전 시기 유럽 주둔 미 육군(USAREUR)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USAREUR-AF는 유럽의 안보를 위해 대서양 결의 작전 등을 수행하며, NATO 연합지상사령부 지원, 우크라이나 및 코소보에서의 훈련 및 작전에 참여한다. 조직은 본부 및 본부대대, 제5군단, 제56포병사령부 등 주요 사령부와 제2통신여단, 제21전역유지사령부 등 지원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연합 훈련을 주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센주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헤센주 - 풀다
744년 풀다 수도원을 기반으로 발전한 독일 헤센주의 풀다는 카롤링거 왕조의 지원으로 종교·학문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종교 개혁과 전쟁을 거쳐 프로이센 왕국에 편입된 후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를 갖춘 도시로 발전했다. - 미국 육군의 근무 구성 사령부 - 주일 미국 육군
주일 미국 육군은 1941년 극동 미 육군에서 시작되어 재건 후 1957년 공식 출범한 미 육군의 사령부로, 캠프 자마에 본부를 두고 일본 육상 자위대와 협력하며 주일 미군의 육군 구성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고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토모다치 작전을 수행했다. - 미국 육군의 근무 구성 사령부 - 미국 남부 육군
미국 남부 육군은 1904년 파나마 운하 경비대로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고, 제2차 세계 대전과 국군 원정 기간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텍사스에 본부를 두고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작전 및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수행하는 미국 육군의 주요 사령부이다. - 1942년 설립 - 조선의용군
조선의용군은 1937년 중국 우한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 산하 항일 무장단체로 창설되어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여 항일 활동을 전개했으며, 해방 후 일부는 북한 인민군에 편입되어 한국 전쟁에 참여했다. - 1942년 설립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
표어 | Sword of Freedom (자유의 검) |
군종 | 미국 육군 |
역할 | 육군 근무구성사령부/전구군 |
규모 | 사령부 |
본부 | 루시우스 D. 클레이 막사(독일 비스바덴) |
![]() | |
![]() | |
![]() | |
![]() | |
약칭 | USAREUR-AF |
지휘 | |
사령관 | 다릴 A. 윌리엄스 대장 |
부사령관 | 피터 B. 안드리시아크 주니어 소장 |
육군 주방위군 담당 부사령관 | 마이클 D. 위크먼 소장 |
최상급 원사 | 제레미야 E. 인만 최상급 원사 |
연혁 | |
창설 | 1942년 |
참전 | |
주요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허스키 작전 로마-아르노 전선 오버로드 작전 드라군 작전 (화살표 장식 수여) 라인란트 전역 벌지 전투 독일 본토 침공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의 기원은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역의 작전을 지휘했던 유럽 작전 전구 미국 육군(ETOUSA)이다. 1945년 7월 1일, ETOUSA는 미국 육군 유럽 전구(HQ USFET) 사령부로 개칭되었다.
1947년 3월 15일, 미국군 유럽 전역 사령부는 미국 유럽 사령부(EUCOM)로 재편되었고, 11월 15일에는 미국 육군부의 새 명명 규칙에 따라 미국 유럽 육군(USAREUR)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1948년 6월 24일, 소련의 서베를린 봉쇄로 베를린 봉쇄가 시작되자, 루시우스 D. 클레이 사령관은 베를린 공수 작전을 명령했다. 비스바덴 육군 비행장에 본부를 둔 연합군은 1949년 5월 12일 봉쇄가 해제될 때까지 포위된 도시에 하루 약 약 8164665.00kg의 물자를 공급했다.
1950년 11월, 제7군이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재편성되어 북대서양 조약 기구 독일 방위 부대에서 미국 육군의 주력 부대가 되었다. 냉전 기간 동안 제7군은 제5군단과 제7군단을 주축으로 편성되었으며, 1962년 6월에는 총 277,342명의 병력이 소속되어 있었다. 1967년, 제7군은 미국 유럽 육군과 합병되었다.
냉전 종식 후 제7군은 걸프 전쟁에 참전했다. 제7군단은 미국 본토로 귀환했고, 제5군단은 유럽에 남았다. 1990년대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 및 코소보 평화 유지 임무를 수행했다.
2003년 이라크 전쟁에 제7군이 관여했고, 미군 재편으로 제1보병사단과 제1기갑사단이 유럽을 떠났다. 2013년에는 제5군단이 해산되었다.
2020년, 미국 아프리카 육군과 통합되어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USAREUR-AF)이 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여 2022년 3월 7일, 제5군단 사령부가 독일에 전개되었고, 2023년 3월 21일에는 폴란드 포즈난에 제5군단 전방 전개 사령부의 상설 기지인 캠프 코시츄슈코가 개설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미국 육군 유럽 전구 작전 사령부(ETOUSA)는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선에서 미국 육군의 작전을 지휘한 전구 작전 사령부였다. 이탈리아 북쪽과 지중해 해안에서 육군 지상군, 육군 항공대, 육군 지원군 작전을 지휘했다. 남쪽으로는 북아프리카 전구 작전 사령부(NATOUSA)와 경계를 이루었으며, 이후 지중해 전구 작전 사령부(MTOUSA)가 되었다.1945년 5월 8일 유럽에서 전쟁이 종식되었을 때, ETOUSA 본부는 파리 외곽의 베르사유 궁전에 있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그의 참모들이 독일 점령을 준비하기 시작하면서 ETOUSA 본부 참모들은 프랑크푸르트로 이동했다. 프랑크푸르트에서 참모진은 연합군 원정군 최고사령부 및 미국 군정청(Office of Military Government, United States)과 함께 배치되었다. ETOUSA는 1945년 7월 1일에 유럽 전구 미국 육군 사령부(HQ USFET)로 재지정되었으며, 프랑크푸르트에 계속 주둔했다.
종전 당시 유럽 주둔 미국 육군 병력은 240만 명이었다. 군집단 2개(제6군집단, 제12군집단), 야전군 5개(제1군, 제3군, 제5군, 제7군, 제9군), 군단 13개, 전투 사단 62개(보병 43개, 기갑 16개, 공수 3개), 전차 및 장갑 전투차량 11,000대가 있었다.[4]
이 중 제7군이 유럽에서의 미국 점령 서부, 제3군이 동부 점령을 담당했다. 1945년 11월, 두 야전군 사령관은 기병 부대를 중심으로 "지구 경찰" 조직을 설치했다. 1946년 3월 제7군이 독일에서 해산되었다. 1946년 5월 1일, 이 지구 경찰 조직이 밤베르크에서 미국 경찰국으로 재편되었다. 1947년 제3군이 미국으로 귀환했다. 이후 1950년대 초반까지 미국 점령군은 제1보병사단을 주축으로, 보병 연대 여러 개와 기병 연대 10개로 구성된 미국 경찰국이 핵심이었다.
2. 2. 냉전 시대
1947년 3월 15일, 유럽 전구 미국 육군(USFET)은 "유럽 사령부(EUCOM)로 알려진 육군 사령부"로 대체되었다. 합동 유럽 사령부 본부의 육군 부서는 처음에는 유럽, 미국 육군 및 지원 부대 본부라고 불렸다.[5] 1948년 2월과 6월 사이에 본부는 하이델베르크의 캠벨 막사로 이전했고, 2013년 6월까지 그곳에 남아 있었다.
1947년 11월 15일, 유럽, 미국 육군 및 지원 부대는 육군부의 새로운 명칭에 따라 U.S. Army, Europe(USAREUR)로 개명되었다. USAREUR는 미국 군정청에 배정된 부대를 제외한 사령부의 모든 육군 및 지원 부대에 대해 행정 및 물류 지원에 필요한 지휘 기능을 제공하는 비작전형 "서류상" 조직이었다.[5] 유럽 주둔 미국 공군, 미국 해군, 독일 등 EUCOM 본부의 일반 및 특별 참모 부서의 사무실과 인원은 USAREUR의 일반 및 특별 참모 임무를 수행했다. USAREUR 사령관의 주요 기능은 높은 규율 기준을 확립하고 유지하는 것이었다.[6]
베를린 봉쇄는 1948년 6월 24일에 시작되었는데, 소련이 연합국이 관리하는 베를린 지역으로의 서방 연합군의 철도 및 도로 접근을 봉쇄하면서 시작되었다. 도시에 있는 연합군이 50:1로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미국 점령 지역을 담당하는 루시우스 D. 클레이 장군은 베를린 공수 작전을 명령했다. 비스바덴 육군 비행장에 본부를 둔 연합군은 봉쇄가 해제될 때까지 1일 거의 약 8164665.00kg의 물자를 포위된 도시에 공급했다.
1948년부터 1950년까지 냉전의 긴장이 고조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 발발은 유럽에서 동서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제7군은 1950년 11월 말 슈투트가르트의 파이힝겐에서 재활성화되었다. 독일의 미국 점령 지역에 있는 제1보병사단과 미국 헌병대는 제7군에 배속되었다. 몇 주 안에 V 군단 및 VII 군단이 제7군에 배정되었다. 1950년 12월 10일, 트루먼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미국 본토에 주둔한 4개 사단이 독일로 이동하라는 경고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한국 전쟁 동안 독일에서 수적으로 우위를 점한 소련이 "이점을 이용"할 가능성이었다. 1951년 5월, 4보병사단이 독일에 도착했고, 2기갑사단, 43사단, 28보병사단이 1951년 여름과 가을에 도착했다.
1950년 11월 24일, EUCOM은 슈투트가르트에 제7군 HHC를 발족하여 USAREUR로부터 지상 및 지원 부대 지휘를 넘겨받았고, 다른 USAREUR 기능은 EUCOM으로 다시 전환되었다. HQ USAREUR는 법원 재판 및 기타 책임과 관련된 특정 법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병력 없이 계속 존재했다.
새로운 합동, 다병과 미국 유럽 사령부가 1952년 8월 1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설립되었다. 같은 날,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미국 육군 본부는 이전 EUCOM으로 알려졌으며, 유럽 주둔 미국 육군 본부가 되었다. 1952년에 냉전의 긴장이 계속 고조되면서 2기갑사단을 지휘하는 윌리스턴 B. 팔머 장군은[7] 유럽 전역에서 미국의 문화 외교를 지원하기 위해 사무엘 애들러의 지휘 아래 파이힝겐-슈투트가르트에서 제7군 심포니 오케스트라 창단을 승인했다.[8][9][10]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서명되었고, 유럽의 긴장이 완화되기 시작했다. 약 13,500명의 군인이 각 USAREUR 사단을 운영했다. 당시 배치된 새로운 장비에는 M48 패튼 전차, M59 장갑 수송차, 전술 핵무기가 포함되었다. 1955년 10월 25일, 남유럽 태스크 포스 (SETAF)가 이탈리아에서 공식적으로 발족되었다.
1958년 7월 15일, USAREUR 부대는 레바논 정부를 지원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블루 배트 작전의 육군 부대인 태스크 포스 201은 8,000명 이상의 군인을 유럽에서 베이루트로 신속하게 공수 및 해상으로 배치했다. 상황이 빠르게 안정되면서 모든 미국군은 4개월 이내에 국가에서 재배치되었다.
한국 전쟁은 끝났지만, 유럽의 정치적 긴장은 여전히 높았다. 특히 문제시된 것은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과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에 대한 교착 상태였다.
베를린은 추가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동독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지만, 영국, 프랑스, 미국, 소련은 모두 도시에서 구역을 점령했다. 초창기에는 구역 간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았다. 1961년 6월, 소련 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는 소련이 동독 정부와 평화 조약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발표했고, 매일 3,000명의 동독 난민이 베를린으로 유입되었다.
1961년 8월 12일 밤, 소련은 국경 검문소를 폐쇄하고 베를린 장벽을 건설하기 시작하여 도시의 세 서부 구역을 동독 및 소련 구역으로부터 고립시켰다. 이에 대응하여 미국은 추가 기갑 기병 연대와 지원 부대를 유럽에 배치했다. USAREUR의 병력은 위기가 심화되면서 1962년 6월에 277,342명으로 2차 세계 대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946-1991년 냉전 최대 USAREUR 병력 기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했다.
사령부는 강화된 제1전투단인 제18보병연대를 기존 주둔지(제2 및 제3전투단, 제6보병)를 강화하기 위해 베를린으로 파견했다. 핵무기를 탑재한 USAREUR은 정치적인 이유로 1962년 10월 22일부터 11월 20일까지 쿠바 미사일 위기 동안 DEFCON 3으로 가지 않았다.
1962년부터 1963년까지 베를린의 위기가 진정되었고, 증원 병력은 미국으로 돌아갔다. 이 기간 동안 M113 장갑 수송차, M14 소총, M60 기관총, OV-1 고정익 관측기, UH-1B 휴이 헬리콥터, M151 MUTT 트럭, M60 패튼 전차가 도입되었다. 1963년 말, 빅 리프트 작전은 단일 공수를 통해 제2기갑사단을 유럽으로 재배치하여 미리 배치된 장비의 사용을 테스트했다.
1966년, 프랑스는 NATO 군사 지휘 구조에서 탈퇴했고, 미국군은 프랑스에서 철수했다. 통신 지역 본부는 프랑스 오를레앙에서 독일 보름스로 이동했고, USEUCOM은 슈투트가르트로 이동했다.
1966년 12월 1일, 별도의 제7군 본부가 폐지되었고, HQ USAREUR는 미국 유럽 육군 및 제7군 본부 및 본사로 변경되었다.
1967년 1월, USAREUR 및 제7군 참모는 통합되어 미국 유럽 육군/제7군이 되었다. 거의 40년 후, 육군 캠페인 계획 DP 58(약 2006년)은 제7군이라는 명칭을 효과적으로 삭제했다. 2006년에 발효된 결정에 따르면 공식 명칭은 "미국 유럽 육군"(USAREUR)이 될 것이다.[11][12][13]
1968년, 약 28,000명의 군인이 독일에서 철수했다. 철수된 부대와 인원은 NATO에 전념했으며, 1969년 1월에 실시된 REFORGER I 훈련 동안 12,000명 이상의 군인이 사전 배치된 장비를 사용하여 독일로 돌아왔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USAREUR의 병력이 감소했다. 전쟁이 끝나가면서 병력이 유럽으로 돌아오기 시작했고, USAREUR는 커뮤니티 사령관 개념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시스템을 채택했다. 1974년, 본부를 간소화하려는 노력으로 미국 극장 육군 지원 사령부가 종료되고 더 작은 조직인 제21 극장 육군 지역 사령부(현재의 제21 극장 지속 사령부(TSC))로 대체되었다.
1970년대에 USAREUR은 M16A1 소총, TOW 대전차 무기, OH-58 카이오와 관측 헬리콥터, AH-1G 코브라 헬리콥터를 받으면서 화력을 계속 향상시켰다.
1970년대 동안, 팔레스타인 단체가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이스라엘 선수들을 납치하고, 적군파와 붉은 여단이 폭탄 테러, 납치 및 암살로 미국 시설 및 인원을 표적으로 삼으면서 병력 보호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1972년 5월, 프랑크푸르트의 V 군단 본부에서 폭탄이 폭발하여 육군 중령이 사망했고, 하이델베르크의 캠벨 막사에서 3명의 군인이 사망했다. 미국 시설은 10년 동안 산발적으로 공격을 받았으며, 기센의 미국 육군 기지에 대한 1977년 공격 실패도 포함되었다.
1981년 9월 15일, USAREUR 사령관 프레데릭 J. 크로이센 장군과 그의 아내는 하이델베르크를 지나 운전하던 중 암살 시도를 받았는데, 자동차 트렁크 뚜껑이 RPG-7 대전차 발사체를 막았다. 1985년, 육군 전문가 에드워드 피멘텔은 비스바덴 나이트클럽에서 유인되어 신분증을 빼앗겼으며, 이는 다음날 라인-마인 공군 기지에 들어가 폭탄을 설치하여 2명이 사망하는 데 사용되었다. 1986년, 군인이 자주 드나드는 베를린 디스코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2명의 군인이 사망했다.
1980년대에 사령부는 M1A1 에이브람스 전차, M2 및 M3 브래들리 시리즈 보병 및 기병 전투 차량, 다연장 로켓 시스템(MLRS), MIM-104 패트리어트 방공 시스템, UH-60 블랙 호크, AH-64A 아파치 헬리콥터를 포함하여 400개 이상의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했다.
2. 3. 냉전 이후
2006년 7월, 독일 뷔르츠부르크 레이턴 막사에 주둔하던 제1보병사단이 미국 본토로 귀환하여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 주둔하기 시작했다. 2011년 5월에는 제1기갑사단이 독일 비스바덴 육군 비행장을 떠나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로 복귀했다.2016년 7월, 합동다국적훈련사령부(JMTC)는 원래 이름인 제7군 훈련사령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육군부는 2020년 11월 20일부로 미국 유럽 육군과 미국 아프리카 육군이 병합된다고 발표했다. 다른 군종의 유럽 지역사령부처럼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USAREUR-AF)이 되며, 아프리카 육군에 배정되었던 부대는 USAREUR-AF로 재배정되고, 아프리카 육군은 이전 부대명에 아프리카를 붙여 ''남유럽-아프리카 태스크포스''(SETAF-AF)가 된다.[44][45]
2018년 1월 18일, 크리스토퍼 G. 카볼리 대장이 사령관으로 보임되면서 다시 대장(4성) 보직이 되었다.
2. 4. 2020년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육군부는 2020년 11월 20일부로 미국 유럽 육군과 미국 아프리카 육군을 병합한다고 발표하였다. 다른 군종의 유럽 지역사령부처럼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USAREUR-AF)이 되며, 아프리카 육군에 배정되었던 부대는 USAREUR-AF로 재배정되고, 아프리카 육군은 이전 부대명에 아프리카를 붙여 ''남유럽-아프리카 태스크포스''(SETAF-AF)가 된다.[44][45]2020년 2월 11일, 미국 육군성은 사령부 부대로서 제5군단을 재편성한다고 발표했다. 사령부에는 약 635명의 병사가 소속되며, 그 중 약 200명이 유럽에서 육군 작전 지휘소를 지원한다. 제임스 C. 매콘빌참모총장은 2020년 10월 1일에 폴란드의 포즈난에 제5군단 전방 사령부를 설치한다고 발표했다.[40] 630명의 병사 중 200명이 교대제로 포즈난에 주둔할 예정이다.[39][40][41]
2022년 3월 7일, 유럽에서 미국군 지휘 체계를 추가하고 강화하기 위해 제5군단 사령부는 독일에 전개하여 이미 유럽에 있던 전선 부대와 합류했다. 사령부는 유럽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보여주고, 군단이 긴급 전개 능력을 획득하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동쪽 측면을 강화하기 위한 임무를 지원하고, 유럽 대륙 전체에서 다국적 훈련을 조정하는 임무를 맡는다. 이 제5군단 사령부 전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42]
2023년 3월 21일, 폴란드 포즈난에 제5군단 전방 전개 사령부의 상설 기지인 캠프 코시츄슈코가 개설되었다.[43]

3. 지휘부
wikitext
- 사령관: 크리스토퍼 카볼리 중장; 2018년 1월 18일 취임.[1]
- 부사령관: 티모시 맥과이어; 2016년 6월 1일 취임.[2]
- 방위군 담당 부사령관: 존 그론스키 소장; 2016년 5월 1일 취임.[3]
- 예비군 동원 부사령관: 케이드 리시 준장; 2017년 8월 취임.[4]
- 주임원사: 알베르토 델가도; 2018년 2월 20일 취임.[5]
- 참모장: 독일 육군 준장 Kai Ronald Rohrschneider|카이 로날트 로어슈나이더de; 2017년 1월 26일 취임.[6]

4. 부대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USAREUR-AF)은 비스바덴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본부 및 본부 대대를 포함한다.[27]
2023년 기준으로,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의 주요 사령부와 직할 부대, 지원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주요 사령부: 제5군단, 제56포병사령부 등
- 직할 부대
-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사령부 및 사령부 대대, 비스바덴
- 제19전장 조정 파견대
- 제2 기병 연대, 빌제크
- 제1대대(보병)
- 제2대대(보병)
- 제3대대(보병)
- 제4대대(정찰, 감시, 표적 획득(RSTA))
- 야전 포병 대대, 그라펜뵈어
- 공병 대대
- 지원 대대
- 제41야전포병 여단, 그라펜뵈어
- 사령부 및 사령부 대대
- 제6야전포병 연대 제1대대
- 제77야전포병 연대 제1대대
- 제589여단 지원 대대
- 제232통신 중대
- 제12전투항공 여단, 안스바흐
- 제3항공 연대 제1대대
- 제214항공 연대 제1대대
- 남유럽 임무 부대-아프리카(SETAF-AF)
- 제173공수여단, 비첸차 및 그라펜뵈어
-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
- 제91기병 연대 제1대대
- 제503보병 연대 제1대대
- 제503보병 연대 제2대대
- 제319야전포병 연대 제4대대
- 제54공병대대
- 제173지원대대
- 제56포병 사령부
- 제2멀티도메인 임무 부대
- 제10육군 항공 및 미사일 방어 사령부
- 제7방공포병 연대 제5대대, 스미스 막사
- 제4방공포병 연대 제5대대, 십톤 카제른
- 제7육군 훈련 사령부, 그라펜뵈어
- 유럽 훈련 지원 활동
- 제7육군 부사관 학교
- 우크라이나 통합 다국적 훈련단
- 통합 다국적 준비 센터, 호엔펠스
- 제4보병 연대 제1대대, 호엔펠스
- 통합 다국적 시뮬레이션 센터
- 제21전역 유지 사령부
- 제21전역 유지 사령부 임무 대대
- 제266재무 관리 지원 센터
- 제1인재 유지 센터
- 유럽 전역 수송 지원 센터
- 제7임무 지원 사령부(육군 예비군),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209전산 조정 파견대
- 제2500전산 조정 파견대
- 제7중급 레벨 교육 파견대
- 유럽 위생 지원 부대
- 제361민사 활동 여단
- 제510지역 지원군
- 제16유지 여단
- 제16유지 여단 특별 임무 대대
- 제39수송 대대
- 제18전투 유지 지원 대대
- 제18헌병 여단
- 제709헌병 대대
- 제15공병 대대
- 제30위생 여단
- 제519병원 센터
- 제512야전 병원
- 제421위생 대대
하위 섹션 '지원 부대 (2023년 기준)'에 이미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본 섹션에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한다.
4. 1. 주요 사령부 (2023년 기준)
- 제5(V)군단[27]
- 제56포병사령부[27]
- 제7군 훈련사령부[27]
- 제10육군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27]
- 제21전구지원사령부[27]
- 남유럽-아프리카 태스크포스[27]
-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군악대와 합창단[27]
- 미국 유럽 육군 NATO 여단[27]
- 제19전장협조분견대[27]
4. 2. 지원 부대 (2023년 기준)
다음은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을 지원하는 부대들이다.[27]- 제2통신여단
- 제5헌병대대 (CID)
- 제66군사정보여단
- 제405육군야전지원여단
- 제409계약지원여단
- 제598수송여단 (SDDC)
- 유럽 의무대응사령부 (MRC-E)
- 유럽 치의사령부 (DHCE)
- 유럽 보건사령부 (PHCE)
- 란츠후트 지역의료원 (LRMC)
- 바이예른 의무청 활동처 (MEDDAC-Bavaria)
- 시설관리사령부 유럽지국 (IMCOM-E)
- USAG 안스바치
- USAG 바이예른
- USAG 베네룩스
- USAG 이탈리아
- USAG 라인란트팔츠
- USAG 스투트가르트
- USAG 비스바덴
- 미국 육군 공병대 유럽지부
- 미국 육군 유럽 의료군수원
- 코소보군 동부지역사령부 (MNBG RC-East) - 캠프 본스틸
- 미국 육군 NATO 여단
- 여단 사령부
- 북부 연합군 대대
- 남부 연합군 대대
- 제66군사정보 여단
- 제2군사정보 대대
- 제24군사정보 대대
- 제207군사정보 여단
- 제522군사정보 대대
- 제307군사정보 대대
- 제2통신 여단 (비스바덴)
- 제39전략통신 대대 (시에브르 공군기지)
- 제44원정통신 대대 (바움홀더)
- 제52전략통신 대대 (슈투트가르트)
- 제102전략통신 대대 (비스바덴)
- 제509전략통신 대대 (비첸차)
- 제698민사 지원군 (게르머스하임)
- 제405육군 야전 지원 여단
- 아프리카 육군 야전 지원 대대
- 베네룩스 육군 야전 지원 대대
- 독일 육군 야전 지원 대대
- 만하임 육군 야전 지원 대대
- 제409계약 지원 여단
- 전역 위탁 지원 센터
- 제928계약 대대 (그라펜뵈어)
- 베네룩스 지역 계약 사무소
- 슈투트가르트 지역 계약 사무소
- 비스바덴 지역 계약 사무소
- 제598수송여단 (젬바흐)
- 제838수송 대대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839수송 대대 (리보르노)
- 설치 관리 사령부-유럽
- 유럽 주둔지 지원반
- 슈투트가르트 육군 주둔지 업무대
- 라인란트팔츠 육군 주둔지 업무대
- 이탈리아 육군 주둔지 업무대
- 베네룩스 육군 주둔지 업무대
- 안스바흐 육군 주둔지 업무대
- 바이에른 육군 주둔지 업무대
- 지역 보건 사령부-유럽
- 란츠툴 지역 위생 센터
- 위생 부대 활동-바이에른
- 공중 보건 사령부-유럽
- 치과 위생 사령부-유럽
5. 프로그램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은 작전 및 연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작전에는 대서양 결의 작전, 개선된 전방 주둔, 우크라이나 합동다국적훈련단, 코소보군 등이 있다. 연습에는 제7군 훈련사령부 주관의 Allied Spirit영어, Combined Resolve영어, Dynamic Front영어, Rapid Trident영어, Saber Junction영어과 미국 유럽 육군 주관의 Noble Partner영어, Saber Guardian영어, Saber Strike영어, Swift Response영어 등이 있다.
5. 1. 작전
- 대서양 결의 작전(Operation Atlantic Resolve) - 유럽 안보체계 확립.
- 개선된 전방 주둔 (Enhanced Forward Presence|인핸스드 포워드 프레즌스영어) - NATO 연합지상사령부와 협력.
- 우크라이나 합동다국적훈련단 (Joint Multinational Training Group-Ukraine|조인트 멀티네셔널 트레이닝 그룹-우크라이나영어)
- 코소보군(Kosovo Force|코소보 포스영어)
5. 2. 연습
- 제7군 훈련사령부 주관
- * Allied Spirit영어
- * Combined Resolve영어
- * Dynamic Front영어: 합동 화력/포격 훈련
- * Rapid Trident영어
- * Saber Junction영어: 제2기병연대 주관.
- 미국 유럽 육군 주관
- * Noble Partner영어: 조지아 국군과의 훈련, 조지아 국내의 훈련장에서 진행됨.
- * Saber Guardian영어
- * Saber Strike영어
- * Swift Response영어: 다국적 공수훈련, 제82공수사단 예하 여단전투단에서 순환하며 주관. 이스라엘, 이탈리아,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 등의 정규군 공수부대를 운영하는 군대에서 참가한다.
6. 계보
- 1942년 1월 8일,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the British Isles|주브리튼 제도 미국 육군영어
- 1942년 6월 8일, Headquarters, European Theater of Operations, United States Army|미국 육군 유럽 작전전구, 본부영어
- 1945년 8월 1일, Headquarters, United States Forces, European Theater|미국 유럽 전구군, 본부영어
- 1947년 3월 15일, Headquarters, European Command|유럽 사령부, 본부영어
- 1952년 8월 15일,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Europe|미국 유럽 육군, 본부영어
- 2010년 4월 1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alion, United States Army Europe|미국 유럽 육군, 본부 및 본부대대영어
; 별지 1
- 1943년 2월 25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Seventh Army|제7군,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
- 1965년 9월 25일 - 제7군 특수병력, 본부와 본부 및 본부중대를 통합함.
; 별지 2
- 1943년 2월 25일, Headquarters, Special Troops, Seventh Army|제7군, 특수병력, 본부영어
7. 전역
스트리머 | 내역 |
---|---|
![]()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 |
참조
[1]
웹사이트
The U.S. Army Command Structure
https://www.army.mil[...]
US Army
2020-04-09
[2]
뉴스
Army Consolidating Europe, Africa Commands
https://www.ausa.org[...]
2020-10-01
[3]
웹사이트
U.S. Army Europe and Africa Commands consolidate
https://www.army.mil[...]
2020-11-21
[4]
Webarchive
Reorganization of Tactical Forces in Post-war Germany
https://usarmygerman[...]
2022-10-15
[5]
웹사이트
United States Army, Europe & Seventh Army
http://www.usarmyger[...]
[6]
웹사이트
USAREUR Units & Kasernes, 1945 – 1989
http://www.usarmyger[...]
Usarmygermany.com
2017-05-21
[7]
웹사이트
"7th Army Symphony Chronology – General Palmer authorizes Samuel Adler to found the orchestra in 1952'' on 7aso.org"
https://www.7aso.org[...]
2019-04-25
[8]
웹사이트
Seventh Army Symphony Orchestra founded by Samuel Adler in 1952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9]
Webarchive
" Army – \"Musical Ambassadors, Soldiers Too\""
https://books.google[...]
2023-04-06
[10]
웹사이트
'"7th Army Symphony Draws Praise" (Samuel Adler and Army Commendation Ribbon with Metal Pendant) on 7aso.org'
https://www.7aso.org[...]
2019-04-25
[11]
웹사이트
Design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Europe as an army service component command
http://armypubs.army[...]
[12]
웹사이트
Instructions for Re-writing Army Regulation 10-87
http://www.tradoc.ar[...]
[13]
웹사이트
Army Regulation 10-87
http://www.fas.org/i[...]
[14]
간행물
US regional commands diversify across the 'arc of instability'
2005-09
[15]
뉴스
Name changes set for 2 Germany-based units
http://www.stripes.c[...]
2008-03-07
[16]
웹사이트
The Official Home Page of the 7th Mission Support Command
http://www.eur.army.[...]
2017-09-06
[17]
웹사이트
DOD plan indicates 172nd and 170th infantry brigades to be eliminated
http://www.stripes.c[...]
2012-04-13
[18]
뉴스
Thousands of soldiers to leave Europe
http://www.armytimes[...]
2013-03-05
[19]
웹사이트
European Posture Changes
https://web.archive.[...]
2013-06-21
[20]
웹사이트
V Corps inactivates after nearly a century of service to U.S. Army
http://www.eur.army.[...]
Eur.army.mil
2013-06-12
[21]
웹사이트
V. Korps der US-Armee zieht für ein Jahr nach Afghanistan und wird dann aufgelöst – Wiesbadener Kurier
http://www.wiesbaden[...]
[22]
Webarchive
US Army's last tanks depart from Germany
http://www.stripes.c[...]
2014-05-28
[23]
뉴스
US Army names head of V Corps HQ to be based in Poland
https://abcnews.go.c[...]
The Associated Press
2020-08-10
[24]
뉴스
Army's resurrected V Corps will go to Poland
https://www.armytime[...]
Army Times
2020-08-10
[25]
웹사이트
U.S. Army V Corps Headquarters (9 September 2020) V Corps Headquarters (Forward) in Poland to be located in Poznan
https://www.army.mil[...]
2022-04-17
[26]
웹사이트
Hundreds of V Corps Soldiers depart for Germany in support of NATO allies
https://www.army.mil[...]
2022-03-16
[27]
웹사이트
U.S. Army Europe and Africa Units
https://www.europeaf[...]
US Army Europe and Africa
2023-05-02
[28]
웹사이트
598th Transportation Brigade
https://www.sddc.arm[...]
Military Surface Deployment and Distribution Command
2023-05-02
[29]
웹사이트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 Europe
https://home.army.mi[...]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 Europe
2024-06-28
[30]
웹사이트
Army Medical Treatment Facilities
https://mrc-europe.a[...]
Medical Readiness Command, Europe
2023-05-02
[31]
웹사이트
WPAOG Recognizes BG(R) Paul D. Phillips ’40 as the Newest Oldest Living West Point Graduate
https://www.westpoin[...]
2023-10-18
[32]
웹사이트
Official register of the officers and cadets. 1971 (page 484)
https://babel.hathit[...]
2023-10-18
[33]
문서
Command Sgt. Maj. Jeremiah E. Inman
https://www.europeaf[...]
[34]
웹사이트
The U.S. Army Command Structure
https://www.army.mil[...]
US Army
2022-06-27
[35]
뉴스
Army Consolidating Europe, Africa Commands
https://www.ausa.org[...]
2020-10-01
[36]
웹사이트
U.S. Army Europe and Africa Commands consolidate
https://www.army.mil[...]
2020-11-20
[37]
웹사이트
U.S. Army Europe and Africa Command Biography
https://www.eur.army[...]
[38]
문서
[39]
뉴스
US Army names head of V Corps HQ to be based in Poland
https://abcnews.go.c[...]
The Associated Press
2020-08-04
[40]
뉴스
Army's resurrected V Corps will go to Poland
https://www.armytime[...]
Army Times
2020-08-05
[41]
웹사이트
U.S. Army V Corps Headquarters (9 September 2020) V Corps Headquarters (Forward) in Poland to be located in Poznan
https://www.army.mil[...]
[42]
웹사이트
U.S. Army V Corps Headquarters (9 September 2020) V Corps Headquarters (Forward) in Poland to be located in Poznan
https://www.army.mil[...]
[43]
웹사이트
ついにポーランドへ米軍の“常設”駐屯地が開設 「攻められるもんなら攻めてみろ」?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3-03-23
[44]
뉴스
U.S. Army Europe and Africa Commands consolidate
https://www.army.mil[...]
2020-11-20
[45]
뉴스
Merged US Army Europe-Africa command boosts crisis response, general says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2021-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