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3세의 넷째 아들로, 1878년에 태어났다. 그는 군 복무를 거쳐 형인 게오르기 알렉산드로비치의 사망으로 추정 상속인이 되었으나, 조카 알렉세이 황태자의 출생으로 다시 왕위 계승 서열 2위가 되었다. 미하일은 평민 출신 여성과의 결혼으로 황위 계승권을 박탈당하고 국외로 추방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군인으로서 능력을 발휘했다. 1917년 2월 혁명 이후 니콜라이 2세의 퇴위와 함께 잠시 제위에 올랐으나 이를 거부하고, 볼셰비키 정권 수립 후 체포되어 1918년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에서 사형된 사람 -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1872년)
헤센 대공국의 공주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는 니콜라이 2세의 황후로서 러시아 황실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독일 혈통과 라스푸틴과의 관계로 민중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남편과 자녀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 러시아에서 사형된 사람 - 안드레이 치카틸로
안드레이 치카틸로는 1978년부터 1990년까지 구 소련에서 53명 이상의 아동과 여성을 살해한 연쇄 살인범으로, '로스토프의 도살자'라는 악명과 함께 소련 붕괴 직전 사회주의 체제의 어두운 단면을 드러낸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1994년 사형 집행되었다. - 호엔촐레른 왕가장 대사령관 - 파울 폰 힌덴부르크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영웅이자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이었으나,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여 나치즘 집권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로, 군사적 성공과 정치적 책임 사이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 호엔촐레른 왕가장 대사령관 - 빌헬름 2세
빌헬름 2세는 군국주의적 성향으로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로서, 개인 통치를 통해 독일을 강국으로 부상시키려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독일의 패전으로 망명 후 사망했다. - 적색 테러 피해자 - 알렉산드르 콜차크
알렉산드르 콜차크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장교이자 북극 탐험가로, 러시아 혁명 이후 백군을 이끌고 볼셰비키에 대항했으나 처형되었으며, 군사적 업적과 가혹한 통치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 적색 테러 피해자 -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의 유일한 아들이자 황위 계승자였던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는 혈우병을 앓았으며 러시아 혁명 후 가족과 함께 처형당했고, 이후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로마노프 |
러시아어 표기 | 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
출생일 | 1878년 12월 4일 |
출생지 | 아니치코프 궁전,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18년 6월 13일 |
사망지 | 페름,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 |
사망 원인 | 살해 |
묻힌 곳 | 알려지지 않음 |
가문 | |
가문 | 로마노프-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 |
아버지 | 알렉산드르 3세 |
어머니 | 마리아 표도로브나 |
결혼 및 자녀 | |
배우자 | 나탈리아 브라소바 (1912년 10월 16일 결혼) |
자녀 | 게오르기 미하일로비치 브라소프 |
기타 정보 | |
직함 | 러시아 대공 |
권리상의 러시아 황제 | 1917년 3월 15일 ~ 1918년 6월 13일 |
2. 생애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알렉산드르 3세 황제와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의 막내아들이자 차남으로, 니콜라이 2세의 동생이다.[3]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아니치코프 궁전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할아버지인 알렉산드르 2세 황제가 1881년 암살된 후, 안전을 위해 가족과 함께 가치나 궁전으로 이주하여 성장했다.[4]
가족 내에서는 '미샤'라는 애칭으로 불렸고,[5] 검소하고 엄격한 환경 속에서 다른 형제자매들과 함께 개인 교사 및 영국인 유모의 보살핌 아래 교육받았다.[6][7][8] 1894년 아버지 알렉산드르 3세가 사망하고 형 니콜라이 2세가 황제로 즉위하자,[14][15] 미하일은 군인의 길을 걸어 포병 학교를 마치고 근위 포병대에 입대했다.[16]
1899년, 그의 형 게오르기가 사망하면서 미하일은 니콜라이 2세의 아들이 태어나기 전까지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17] 이 기간 동안 그는 왕위 계승자로서 빅토리아 여왕의 장례식 참석 등 여러 공적인 임무를 수행했으며,[20] 1902년에는 청색 기병 연대로 전속되어 가치나로 이주했다.[16][21] 성년이 된 후 그는 재정적으로 독립하여 상당한 규모의 개인 재산을 소유하기도 했다.[22][23] 그는 주변에서 평범하고 조용하며 선량한 인물로 여겨졌다.[19]
1904년 8월 12일, 조카인 알렉세이 황태자가 태어나면서 미하일은 다시 왕위 계승 서열 2위가 되었다.[24] 이후 그의 삶은 황족으로서의 의무와 개인적인 사랑 사이에서의 갈등,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러시아 혁명의 격동 속에서의 짧았던 황제로서의 순간, 그리고 결국 볼셰비키에 의한 비극적인 최후로 이어지게 된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미하일은 1878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아니치코프 궁전에서 차르 알렉산드르 3세와 그의 아내 마리아 표도로브나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182] 그의 외조부모는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9세와 헤센-카셀의 루이세였으며, 친할머니 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는 그가 두 살이 되기 전에 사망했다.
1881년 3월 13일(율리우스력 3월 1일), 할아버지인 알렉산드르 2세 황제가 암살당하자[3][182], 아버지 알렉산드르 3세가 황제로 즉위했다. 새로운 차르는 가족의 안전을 위해 미하일을 포함한 가족들을 상트페테르부르크 남서쪽 약 46.67km 떨어진 가치나 궁전으로 이주시켰다.[4][183]
가족 내에서 미하일은 "미샤"라는 애칭으로 불렸으며,[5][184] 특히 여동생 올가와 가깝게 지냈다. 올가는 미하일이 의자에 "푹" 쓰러지는 모습을 보고 "플로피(Floppy)"라는 별명을 붙여주기도 했다.[5] 유년 시절 생활 환경은 검소하고 엄격했다.[6] 아이들은 딱딱한 야전 침대에서 잠을 자고 새벽에 일어나 찬물로 씻었으며, 아침 식사로는 간단한 죽을 먹었다.[6][185] 미하일은 형제자매들과 마찬가지로 개인 교사에게 교육을 받았고, 영국인 유모 엘리자베스 프랭클린 여사의 보살핌 아래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다.[7][8][186][187]
미하일과 올가는 종종 아버지와 함께 가치나 주변 숲에서 하이킹을 하며 숲 생활 기술을 배웠다.[9][188] 어린 시절부터 승마와 같은 신체 활동[10][189] 및 종교 교육도 받았다. 크리스마스와 부활절에는 축제가 열렸지만, 사순절 기간에는 고기, 유제품, 오락이 금지되는 등 엄격하게 지켜졌다.[11][190] 가족 휴가는 주로 여름에 페테르호프 궁전에서 보냈고, 덴마크에 있는 외조부모와 함께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12][191]

1894년, 미하일이 거의 16세가 되었을 때 아버지 알렉산드르 3세가 병에 걸려 연례 덴마크 여행이 취소되었다.[13][192] 같은 해 11월 1일(율리우스력 10월 20일), 알렉산드르 3세는 4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4][193] 미하일의 큰형 니콜라이가 차르가 되면서 미하일의 어린 시절은 사실상 끝났다.[15][194] 알렉산드르 3세 사후, 어머니 마리아 황태후는 미하일과 올가를 데리고 아니치코프 궁전으로 돌아왔다.
2. 2. 군 경력과 추정 상속인
미하일은 어머니 마리아 황태후, 여동생 올가와 함께 아니치코프 궁전에서 지냈다. 그는 로마노프 왕조의 다른 남성들처럼 군인의 길을 걸었다. 포병 학교를 졸업한 뒤 1897년 근위 포병대에 배속되었다.[16][195] 1898년 11월 법적으로 성년이 되었고, 이듬해 1899년, 둘째 형 게오르기 대공이 오토바이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형 니콜라이 2세의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17][196] 그러나 황태자를 의미하는 체사레비치 칭호는 받지 못했다.[196]
게오르기의 죽음은 니콜라이 2세에게 아들이 없다는 사실을 더욱 부각시켰다. 당시 니콜라이 2세에게는 올가, 타티아나, 마리아 세 딸만 있었고, 러시아의 계승법은 남성에게만 계승권을 부여했기 때문에 이들은 계승 자격이 없었다.[197] 1900년 황후 알렉산드라가 임신하자 아들이 태어나길 간절히 바랐다. 그녀는 만약 니콜라이 2세가 사망할 경우, 뱃속의 아이를 대신해 자신이 섭정이 되겠다고 주장했지만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아이의 성별과 관계없이 미하일이 계승할 것이라고 결정했다.[18] 그러나 1901년, 알렉산드라 황후는 넷째 딸인 아나스타시아를 낳았다.[18][197]
미하일은 평범하고 조용하며 선량한 성격으로 알려졌다.[19] 그는 추정 상속인으로서 공적인 임무를 수행했다. 1901년에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례식에 러시아 대표로 참석하여 바스 훈장을 받았고,[20][198] 이듬해인 1902년에는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참석하여 가터 훈장을 수여받았다.[20][198] 1902년 6월, 그는 청색 기병 연대로 전속되어 연대가 주둔하던 가치나로 이주했다.[16][21][195][199] 성년이 된 미하일은 재정적으로 독립했다. 그의 자산에는 러시아 최대 규모의 설탕 정제 공장, 수백만 루블에 달하는 자본, 자동차 컬렉션, 그리고 러시아령 폴란드의 오트로보와 오렐 근처의 브라소보에 있는 넓은 영지가 포함되었다.[22][23][200][201]
미하일은 1904년 8월 12일까지 추정 상속인 지위를 유지했다. 이날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 사이에서 오랫동안 기다리던 아들 알렉세이 황태자가 태어나면서 확정 상속인이 되었다.[24] 이로써 미하일은 다시 왕위 계승 서열 2위로 밀려났다.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은 미하일이 더 이상 황위 계승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얼굴을 빛내며 기뻐했다"고 기록했다.[202]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하일은 니콜라이 2세가 사망할 경우, 알렉산드라 황후와 함께 알렉세이 황태자의 공동 섭정으로 임명되었다.[24][203]
2. 3. 사랑과 귀천상혼

1902년, 미하일은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베아트리스 공녀와 사랑에 빠졌다. 베아트리스 공녀는 빅토리아 여왕의 손녀였으며, 미하일은 유창한 영어와 프랑스어를 구사하여 두 사람은 영어로 편지를 주고받으며 관계를 키워나갔다.[204][205] 두 사람은 결혼을 약속했지만, 베아트리스의 어머니가 알렉산드르 3세의 여동생인 마리아 대공녀였기 때문에, 사촌 간의 결혼을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러시아 정교회의 교회법에 따라 형 니콜라이 2세의 허가를 얻지 못해 결혼은 무산되었다.[206]
베아트리스 공녀와의 관계가 끝난 후, 미하일은 여동생 올가의 시녀였던 알렉산드라 코시코프스카야(애칭 '다이나')와 가까워졌다. 그러나 그녀는 평민 출신 변호사의 딸이었기에, 그녀와의 결혼은 신분 차이로 인한 귀천상혼에 해당되어 황실의 인정을 받기 어려웠다.[207] 미하일의 친구들은 결혼을 포기하고 그녀를 애인으로 두라고 권했지만, 미하일은 이를 거부하고 1906년 7월 니콜라이 2세에게 결혼 허가를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208][207] 니콜라이 2세와 어머니 마리아 황태후는 큰 충격을 받았고, 러시아 황실법에 따라 귀천상혼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들은 미하일이 허가 없이 결혼할 경우 군인 봉급을 정지하고 러시아 출국을 금지하겠다고 압박했으며,[207] 어머니 마리아는 미하일이 덴마크에 가 있는 동안 다이나를 해고하고 궁정에서 내쫓았다.[207]
미하일이 귀국한 9월 24일, 영국 신문들은 그와 패트리샤 오브 코넛 공녀의 약혼을 보도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으며 버킹엄 궁전도 공식 부인했다.[209][210] 이 허위 보도는 다이나와의 결혼을 막으려는 어머니 마리아 황태후의 개입으로 로이터 통신 기자가 퍼뜨린 것으로 여겨진다.[211][210] 미하일은 다이나와의 도피를 계획했으나, 그녀가 오흐라나(제국 비밀경찰)의 감시 하에 있어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212] 가족의 압력 속에서 미하일은 점차 다이나에 대한 관심을 잃은 것처럼 보였고,[213] 다이나는 자신이 미하일의 정당한 약혼자라고 믿었지만, 두 사람의 관계는 결국 이루어지지 못했다.[214]

1907년 12월, 미하일은 장교 동료의 아내였던 나탈리아 브리펠트( Natalia Brasova영어 )와 알게 되어 1908년부터 친구 관계를 시작했다.[215] 그녀 역시 평민 출신이었고, 게다가 이혼 경력이 있는 아이 딸린 여성이었다. 두 사람은 8월에 교제를 시작했고, 1909년 11월에 그녀는 두 번째 이혼을 했으며, 이후 모스크바의 아파트에서 미하일의 생활비를 받으며 살았다.[216] 교제를 알게 된 니콜라이 2세는 두 사람을 멀어지게 하기 위해 미하일을 모스크바에서 멀리 떨어진 오룔의 제17 경보병 체르니고프 연대장으로 임명했지만, 그는 나탈리아를 만나기 위해 한 달에 몇 번 모스크바를 방문했다.[217] 1910년 7월에 나탈리아는 미하일의 아들을 낳았고, 그는 죽은 둘째 형을 기려 게오르기( George Mikhailovich, Count Brasov영어 )라고 이름 지었다.[218] 미하일은 출생일을 이혼 전 날짜로 맞춰 니콜라이 2세는 게오르기에게 "브라소프"라는 성을 사용하도록 명령했다.[219]
1911년 5월, 니콜라이 2세는 나탈리아에게 모스크바에서 이동할 것과 "브라소바"라는 성을 사용할 것을 허가했다.[220] 1912년 5월, 미하일은 숙부 프레데리크 8세의 국장에 참석하기 위해 코펜하겐을 방문했다.[221] 국장을 마치고 프랑스에서 휴가를 보내던 미하일과 나탈리아는 오흐라나에 의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연행되었다. 미하일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나탈리아와 함께 살기 시작했지만, 그녀는 귀족 사회에서 소외되었기 때문에 몇 달 후 그녀를 가치나의 별장으로 옮겼다.[222]

1912년 9월, 미하일과 나탈리아는 해외로 휴가를 떠났지만, 항상 오흐라나의 감시가 따라다녔다. 베를린 체류 중에 두 사람은 갑자기 칸으로 드라이브를 가기로 결정했고, 감시에게는 기차로 칸에 오라고 지시했다. 오흐라나는 사전에 기차로 동행하라는 지시를 받았기 때문에 미하일의 지시에 따랐지만, 이것은 미하일의 의도였다.[223] 두 사람은 칸으로 가는 도중에 비엔나에 들러 10월 16일에 세르비아 정교회 성 사바 교회에서 결혼했다.[224] 결혼에는 나탈리아의 전전 남편과의 딸이 참석했고, 미하일 부부는 베네치아, 밀라노에 들른 후에 칸에 도착했다.[225]
2주 후, 미하일은 니콜라이 2세와 어머니 마리아에게 결혼을 보고하는 편지를 보냈다.[226] 니콜라이 2세와 어머니 마리아는 미하일의 보고에 충격을 받았고, 어머니는 "상상할 수 없는 끔찍함"이라고 말했고, 형은 "동생은 그녀와 결혼하지 않겠다는 맹세를 깨뜨렸다"며 격분했다.[227][228] 이 무렵, 니콜라이 2세의 아들 알렉세이는 혈우병이 악화되어 위험한 상태였고, 니콜라이 2세는 만약의 경우 미하일에게 제위를 계승시킬 생각이었기 때문에 특히 분노를 드러냈다.[229] 한편, 미하일도 알렉세이가 죽어 다시 제위 계승권 제1위가 되어, 나탈리아와 결혼할 수 없게 될 것을 두려워했다. 그래서 미하일은 나탈리아와의 결혼을 강행함으로써 다시 제위 계승권 제1위가 되는 것을 막았다.[226] 니콜라이 2세의 분노는 가라앉지 않았고, 1912년 12월부터 1913년 1월에 걸쳐 칙령을 내려, 미하일의 러시아 추방, 국내 자산 몰수, 섭정 권리 취소를 결정했다.[230] 이에 대해 귀족 사회에서는 미하일과 나탈리아에게 동정하는 목소리가 나왔다.[231]
추방 후 6개월 동안 미하일과 나탈리아는 프랑스, 스위스의 호텔을 전전하며 생활했다. 같은 무렵, 누나 크세니야 여대공과 사촌 안드레이 대공이 두 사람을 방문했다.[232] 그 후, 미하일은 런던 교외의 네브워스 하우스를 1년간 임대했다.[233] 미하일의 자산은 모두 몰수되었기 때문에 생활비는 니콜라이 2세로부터의 송금에 의존했다.[234]
2. 4.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미하일은 니콜라이 2세에게 편지를 보내 러시아로 돌아가 군 복무를 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235] 니콜라이 2세는 이를 수락했고, 미하일은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대공국을 거쳐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명된 페트로그라드로 귀국했다. 그는 이전에 계약했던 영국 저택의 임대가 끝나면 서식스에 새로 구입한 토지에서 살 계획이었으며, 기존 저택은 영국군에 제공했다.[235] 아내 나탈리야가 로마노프 왕조 궁전에 거주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기에, 미하일은 가치나 별장에서 지내기로 했다.[236]
군에 복귀한 미하일은 소장으로 진급하여, 북캅카스의 6개 민족 지원병으로 구성된 카프카스 원주민 기병사단(일명 '야생 사단')의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이 사단은 강력한 전투력을 가졌지만,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통솔이 어려웠다.[237] 미하일은 부대를 성공적으로 지휘하여 1915년 1월 카르파티아 산맥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그 공로로 4등 성 게오르기 훈장을 받았다.[238] 이 시기 그는 니콜라이 2세에게 아들 게오르기를 인지하고 자신의 사후 재산을 상속받게 해달라고 청원했다.[238] 니콜라이 2세는 미하일의 전공을 인정하여 1915년 3월 26일 칙령으로 게오르기에게 백작 작위를 수여하고, 나탈리야에게도 '브라소바 백작 부인' 칭호를 부여했다.[239]

1915년 6월, 러시아군이 후퇴하는 와중에 콘스탄틴 대공이 사망했지만, 미하일은 전선에 남아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은 유일한 황족이었다. 그는 어려운 시기에 지휘관이 부대를 떠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했다.[67][240] 미국 종군 기자 스탠리 워시번은 미하일이 "계급 표시는 어깨끈뿐인 단순한 제복"을 입고 "소탈하고 민주적"이며 "더러운 마을에서 소박하게 살고 있다"고 기록했다.[68] 나탈리야는 남편이 화려한 제복과 훈장을 피하는 것에 불만을 표하기도 했으나,[69] 미하일은 "이 어려운 시기에 나는 러시아를 섬겨야 하며, 이곳 최전선에서 섬겨야 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70] 1915년 7월, 미하일은 디프테리아에 걸렸으나 회복했다.[71][241] 전쟁 상황이 악화되자 8월 니콜라이 2세는 스스로 총사령관이 되었지만, 이는 군 내부에서 환영받지 못했다.[72][242] 이 시기 니콜라이 2세는 라스푸틴의 친구인 브라톨류보프라는 기술자가 파괴적인 화염방사기를 발명했다고 주장하자 미하일에게 비용 지불 승인을 지시하는 등 잘못된 판단을 내리기도 했다. 브라톨류보프는 사기꾼으로 체포되었으나 라스푸틴의 개입으로 풀려났다.[73] 이 사건은 미하일이 주변 상황에 다소 순진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나탈리야의 친구는 그가 "모든 사람을 신뢰했고... 아내가 끊임없이 그를 감시하지 않았다면 매 순간 속았을 것"이라고 평하기도 했다.[74]
1915년 10월, 미하일은 니콜라이 2세로부터 자신의 영지와 자산을 돌려받았다.[75][243] 1916년 2월에는 야만 사단, 코사크 사단, 돈 코사크 사단을 포함하는 제2 기병 군단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75][243] 하지만 차르 주변 측근들은 여전히 그를 경계했다. 1916년 7월 중장으로 진급했을 때, 다른 대공들과 달리 황제의 시종무관(aide-de-camp)으로 즉시 임명되지 못하는 차별을 겪었다.[76][244] 미하일 자신도 "페트로그라드 상류 사회를 항상 경멸했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그들은 모두 쓰레기다"라고 말할 정도였다.[77] 그는 공개적인 정치 발언을 삼갔지만,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여겨졌으며 영국 영사 브루스 로크하트는 그가 "훌륭한 입헌 군주가 되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78]

1916년 여름, 미하일의 군단은 브루실로프 공세에 참여했다. 이 공세에서 그의 삼촌인 파울 대공이 지휘하던 근위군은 무능한 지휘로 막대한 손실을 입고 파울 대공은 해임되었다.[79][245] 반면 미하일은 전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2등 성 블라디미르 훈장을 수여받았고,[79][245] 뒤늦게 황제의 시종무관으로 임명되었다.[80][246]
그러나 전쟁의 장기화와 전선에서의 격리된 생활은 미하일과 나탈리야 모두에게 정신적인 부담을 주었다.[81][247] 미하일은 위궤양으로 계속 고통받았고, 1916년 10월에는 크림 반도에서 휴가를 보내라는 명령을 받았다.[82][248] 얄타 인근에 있는 누이 크세니야의 영지로 떠나기 전, 그는 형 니콜라이 2세에게 정치 상황의 긴박함을 알리는 솔직한 편지를 보냈다. 편지에서 그는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걱정하고 있습니다. 가장 충성스러운 사람들의 분위기에 충격적인 변화가 있었고... 이것은 당신과 우리 가족의 운명뿐만 아니라 국가 질서의 완전성에 대해서도 가장 심각한 불안감을 갖게 합니다. 당신에게 가깝다고 여겨지고 현재 정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특정 사람들에 대한 대중의 증오는, 놀랍게도, 우파, 좌파, 온건파를 모두 결집시켰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증오심은 변화에 대한 요구와 함께 이미 공개적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라고 경고했다.[83][249]
미하일은 알렉산드르 대공, 니콜라이 대공, 게오르기 대공, 드미트리 대공, 엘리자베타 대공비 등 다른 황족들과 마찬가지로, 독일 출신 알렉산드라 황후에게 영향을 미쳐 국정을 어지럽히는 그리고리 라스푸틴이 국민적 불만의 핵심 원인이라고 생각했다.[250] 황족들은 라스푸틴 제거를 니콜라이 2세에게 호소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라스푸틴은 1916년 12월 펠릭스 유수포프와 드미트리 대공 등에 의해 암살되었다.[251] 미하일은 가족과 함께 있을 때 암살 소식을 들었다.[252] 이러한 혼란 속에서 니콜라이 2세는 두마(국가 두마)와의 대립을 강화했고, 황제 부부에 대한 불신은 더욱 깊어졌다.[254][255]
1917년 1월, 미하일은 다시 전선으로 복귀했고, 같은 달 29일에는 기병 총감으로 임명되어 가치나에 주둔했다.[256] 이 무렵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장군이 미하일에게 군대의 즉각적이고 근본적인 개혁을 니콜라이 2세에게 건의해달라고 요청했으나, 미하일은 "나는 이미 황제에게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다"고 답하며 자신의 한계를 인정했다.[325]
2. 5. 러시아 혁명과 제위 포기

러시아 혁명이 임박하면서, 미하일 대공을 포함한 많은 황족들은 커져가는 민중의 불안과 니콜라이 2세가 독일 출신 아내 알렉산드라 황후와 라스푸틴의 영향 아래 국정을 운영한다는 인식에 대해 깊이 우려했다.[84][250] 미하일, 알렉산드르 대공, 니콜라이 대공, 게오르기 대공, 드미트리 대공, 엘리자베트 대공녀 등은 라스푸틴 제거를 포함한 개혁을 촉구했지만, 황제 부부는 이러한 충언을 듣지 않았다.[88] 결국 1916년 12월, 드미트리 대공과 펠릭스 유수포프 등이 라스푸틴을 암살했다.[85][251] 미하일은 이 소식을 가족과 함께 브라소보에서 들었다.[86][252] 그러나 라스푸틴의 죽음 이후에도 니콜라이 2세는 두마와의 대립을 이어갔고, 황제 부부에 대한 불신과 추문은 계속 확산되었다.[89][254][255]
1917년 1월, 미하일은 전선으로 복귀하여 기병 총감에 임명되었고 가치나에 주둔했다.[90][256] 당시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장군은 미하일에게 차르에게 개혁의 필요성을 간청해달라고 요청했으나, 미하일은 자신이 더 이상 형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답했다.[91][325] 브루실로프는 회고록에서 미하일을 "절대적으로 정직하고 올바른 사람", "훌륭한 지도자이자 소탈하고 성실한 일꾼"으로 평가했다.[91]
1917년 2월, 2월 혁명이 발발하자 미하일은 알렉산드르 대공, 두마 의장 미하일 로잔코 등과 함께 니콜라이 2세에게 민중의 요구에 부응하여 새 내각을 구성할 것을 압박했다.[92][257] 2월 27일, 페트로그라드의 군인들이 시위대에 합류하고 일부 군대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상황이 격화되었다.[93][258] 니콜라이 2세는 두마 해산을 명령했으나, 의원들은 이를 거부하고 임시 위원회를 구성했다.[94][259] 미하일은 로잔코와 회담 후 니콜라이 2세에게 기존 내각을 해임하고 임시 위원회가 추천한 게오르기 르보프 공이 이끄는 새 정부를 승인하라고 조언했다.[95][260] 참모총장 미하일 알렉세예프 장군도 이를 지지했지만, 니콜라이 2세는 이 제안을 거부하고 군대에 폭동 진압을 명령했다.[96][261]
미하일은 로잔코를 만나기 위해 가치나로 돌아가려 했으나 혁명 세력에 의해 길이 막혔다.[97][262] 혁명가들이 거리를 장악하고 구체제 인사들을 체포하는 혼란 속에서[98][263] 미하일은 겨울 궁전을 거쳐 푸탸티나 공주의 아파트로 피신했다.[100][265] 주변에서는 구체제 인사들이 체포되거나 살해당하는 등 위험한 상황이었다.[101][102][266][267] 3월 1일, 로잔코가 보낸 경비대의 보호 아래 미하일은 로잔코와 파벨 대공이 작성한 입헌 군주제 도입 제안 문서에 서명했다.[103][268] 그러나 새롭게 결성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이를 거부하고 차르의 퇴위를 요구했다.[104][269]
1917년 3월 2일(구력) / 3월 15일(신력) 오후, 군 장성들과 두마 대표들의 압력에 굴복한 니콜라이 2세는 아들 알렉세이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미하일을 섭정으로 임명하며 퇴위했다.[105][270] 그러나 그날 밤, 혈우병을 앓는 어린 아들이 황제가 되면 자신과 떨어지게 될 것을 염려하여[106][271] 결정을 번복하고, 동생 미하일에게 직접 제위를 넘긴다는 두 번째 퇴위 선언서에 서명했다.[107][272] 니콜라이 2세는 "사랑하는 아들과 헤어지고 싶지 않기에, 우리의 계승을 형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에게 넘기고 그가 왕위에 오르기를 축복한다"고 선언했다.[108]

다음 날 아침, 미하일은 자신이 '황제 미하일 2세'로 선포되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111][275] 일부 군대는 새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전반적인 반응은 미온적이었고[109][273] 새로 구성된 러시아 임시 정부 역시 그의 즉위를 인정하지 않았다.[110][274] 미하일은 푸탸티나 공주의 아파트에서 로잔코, 총리 게오르기 르보프, 파벨 밀류코프,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등 임시 정부 각료들과 긴급 회의를 가졌다.[112][276] 회의에서는 미하일의 법적 지위와 제위 수락 여부를 놓고 격론이 벌어졌다.[113] 결국 미하일은 제헌 의회가 구성되어 국민의 뜻이 결정될 때까지 최고 권력 수락을 유보한다는 조건부 포기 선언문에 서명했다.[114][277] 그는 선언문에서 임시 정부를 인정하고 모든 시민에게 복종할 것을 촉구하며, 제헌 의회가 정부 형태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115][116][278]
> 온 국민과 마찬가지로 조국의 복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믿음에서 영감을 받아, 보편적 투표로 정부 형태를 결정하고 새로운 러시아 국가의 기본법을 제정하기 위해 제헌 의회를 선출한 우리 위대한 국민이 그러한 권한을 부여할 경우에만 최고 권력을 행사하기로 확고하게 결정했습니다.
> 이에 신의 축복을 기원하며, 저는 러시아 제국의 모든 시민들에게 제헌 의회가 보편적, 직접적, 평등하고 비밀 투표로 가능한 한 가장 짧은 시간 내에 선출되어 새로운 정부 형태를 결정함으로써 국민의 의지를 표명할 때까지 두마에 의해 설립되고 완전한 권한을 부여받은 임시 정부에 복종할 것을 요청합니다.[116]

케렌스키와 프랑스 대사 모리스 팔레올로그 등은 미하일의 결정을 "고귀하고 애국적"이라고 평가했지만,[117][279] 니콜라이 2세는 동생이 "제헌 의회에 굴복했다"며 격분하여 선언문을 "쓰레기"라고 비난했다.[118][280] 미하일의 조건부 제위
2. 6. 체포와 처형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미하일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러시아 임시 정부 총리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이미 1917년 8월 21일, 미하일과 그의 아내 나탈리아를 가택 연금시켰었다.[122] 잠시 연금이 해제되기도 했으나,[128] 10월 혁명 이후 미하일은 다시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고, 그의 재산은 볼셰비키에게 압수되었다.[130][131]1918년 3월 7일, 미하일과 그의 비서 니콜라스 존슨(Nicholas Johnson)은 페트로그라드 체카(비밀 경찰) 수장 모이세이 우리츠키의 명령으로 다시 체포되어 스몰니 연구소의 볼셰비키 본부에 수감되었다.[133] 3월 11일, 인민 위원회 위원회(블라디미르 레닌과 이오시프 스탈린 포함)의 명령에 따라 미하일과 존슨은 우랄 산맥 근처의 도시 페름으로 유배되었다.[134] 창문도 난방도 없는 화물 열차로 8일간 이동한 끝에 페름에 도착한[135] 미하일은 처음에는 호텔에 머물렀으나 곧 지역 소비에트에 의해 투옥되었다.[136] 아내 나탈리아가 페트로그라드에서 석방을 위해 노력한 결과, 4월 9일 미하일은 페름 내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지낼 수 있게 되었다.[137] 그는 존슨과 두 명의 하인과 함께 페름 최고의 호텔에서 지냈다.[138] 5월에는 나탈리아가 페름을 방문하여 일주일간 함께 지냈으나,[140]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이 백군과 연합하여 페름으로 접근해오자 안전을 위해 나탈리아는 페름을 떠났다.[141][142]

1918년 6월 12일 밤, 지역 체카 책임자 가브릴 미야스니코프(Gavril Myasnikov)는 다른 지역 볼셰비키들의 묵인 하에 미하일을 살해할 계획을 세웠다.[144][145] 미야스니코프는 바실리 이반첸코, 이반 콜파시치코프, 안드레이 마르코프, 니콜라이 주즈고프 등 4명으로 팀을 꾸렸다.[146] 이들은 위조된 명령서를 가지고 오후 11시 45분경 미하일의 호텔 방에 들이닥쳤다.[147] 미하일은 처음에는 몸이 아프다는 이유로 동행을 거부했으나, 결국 강제로 끌려나왔다. 비서 존슨도 동행을 고집하여 함께 마차에 태워졌다.[148]

이들은 페름 외곽 모토빌리하 근처 숲으로 끌려갔다. 6월 13일 새벽, 숲 속에서 마차에서 내리게 한 뒤 총격을 가했다. 미하일과 존슨은 즉시 사망하지 않았으나, 곧이어 추가 총격으로 살해되었다.[150][151] 암살자들은 시신의 옷을 벗겨 가치 있는 물건을 훔쳤고, 시신은 황산을 뿌려 불태워졌다. 옷은 페름으로 가져가 미야스니코프에게 살해 증거로 보여준 뒤 소각되었다.[312][152] 이 살해는 우랄 지역 소비에트 의장 알렉산드르 벨로보로도프와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사후 승인되었다.[153][154]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볼셰비키에 의해 살해된 첫 로마노프 황족이었으며, 이는 이후 황족 전체의 비극적인 학살로 이어지는 시작점이 되었다.[155] 미하일과 존슨의 유해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316]
페름 당국은 미하일이 신원 미상의 괴한들에게 납치되어 실종되었다는 거짓 정보를 퍼뜨렸다.[156] 미하일의 하인 첼리셰프와 보루노프, 그리고 미하일의 실종 소식을 나탈리아에게 알린 전 제국군 장교 즈나메로프스키 대령도 페름 볼셰비키에 의해 살해되었다.[153] 이러한 소련의 허위 정보는 미하일이 탈출하여 반혁명을 이끌고 있다는 헛소문을 낳기도 했다.[317] 나탈리아는 독일의 도움으로 독일이 통제하던 우크라이나의 키예프로 피신했다가, 독일 제국 붕괴 후 영국 해군에 의해 구조되어 영국으로 망명했다.[158]
2009년 6월 8일, 미하일과 존슨은 러시아 검찰에 의해 공식적으로 복권되었다. 검찰은 "이들이 구체적인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계급 및 사회적 이유로 체포, 망명, 감시 등 탄압을 받았다"고 밝혔다.[159]
2. 7. 사후
미하일과 그의 비서 니콜라스 존슨이 살해된 후, 그들의 시신은 옷이 벗겨진 채 숲에 매장되었고, 소지품은 도난당했으며 옷은 불태워졌다.[152] 이 살해는 알렉산드르 벨로보로도프가 이끄는 우랄 지역 소비에트와 레닌에 의해 사후 또는 사전에 승인된 것으로 여겨진다.[153][154] 미하일은 볼셰비키에 의해 살해된 첫 로마노프 왕가의 일원이었으나, 마지막은 아니었다.[155] 미하일과 존슨의 유해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156]페름 당국은 미하일이 신원 미상의 괴한들에게 납치되어 실종되었다는 거짓 정보를 퍼뜨렸다.[156] 이러한 소련의 허위 정보는 미하일이 탈출하여 성공적인 반혁명을 이끌고 있다는 근거 없는 소문을 낳기도 했다.[157] 미하일의 실종 소식을 접한 그의 부인 나탈리아 셰레메티옙스카야와 그녀의 딸은 독일의 도움으로 독일이 통제하던 우크라이나의 키예프로 탈출했다. 1918년 11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망하자, 나탈리아와 딸은 해안으로 이동하여 영국 해군에 의해 구출되었다.[158]
미하일의 아들 게오르기는 1931년, 21번째 생일을 앞두고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다.[160] 이로써 러시아 제국의 황제 알렉산드르 3세의 직계 남자 후손은 끊기게 되었다. 나탈리아 셰레메티옙스카야는 망명 생활을 이어가다 1952년 프랑스 파리의 한 자선 병원에서 빈곤 속에 사망했다.[161] 미하일의 의붓딸 나탈리아 마몬토바는 세 번 결혼했으며, 1940년 자신의 삶을 다룬 책 Stepdaughter of Imperial Russiaeng를 출판했다.[162]
2009년 6월 8일, 미하일과 존슨은 사망 91주기를 며칠 앞두고 러시아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복권되었다. 러시아 검찰은 "아카이브 자료 분석 결과, 이들은 구체적인 계급 및 사회 관련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음에도 체포, 망명 및 조사를 통한 탄압을 받았다"고 발표하며 이들의 명예를 회복시켰다.[159]
3. 평가
미하일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조용하고 눈에 띄지 않으며 마음씨 좋은 인물로 여겨졌다.[322] 그는 군무에 전념하며 정치적인 발언은 삼갔는데,[323] 이 때문에 영국 영사 R. H. Bruce Lockhart|R. H. 브루스 로커트eng는 "그라면 훌륭한 입헌 군주가 되었을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323]
미하일은 형 니콜라이 2세나 다른 황족들에 비해 병사들로부터 더 깊은 신뢰를 받는 사령관이었다.[324]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장군은 회고록에서 미하일을 "음모에 가담하지 않고 추문을 멀리하며, 병사들에게 뛰어난 리더십과 양심을 가진 지휘관"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25] 제1차 세계 대전 중 그의 소박한 태도는 여러 기록에서 확인된다. 미국의 종군 기자 스탠리 워시번에 따르면, 미하일은 전장에서 견장 없는 간소한 군복을 입고 가난한 마을에서 지냈다.[326] 그의 아내 나탈리아 역시 남편이 러시아를 위해 가혹한 최전선에서 복무하는 동안 화려한 장식이나 군복을 피하는 모습에 놀랐다고 언급했다.[327][328]
가족과 친척들 사이에서는 "미샤" 또는 "잠꾸러기"라는 애칭으로 불렸는데, "잠꾸러기"는 자동차 운전 중 졸음운전을 하는 버릇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었다.[202] 한편, 그는 다소 속기 쉬운 성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라스푸틴의 친구가 제안한 화염방사기 개발 건으로 속을 뻔한 일화가 있으며,[329] 나탈리아의 친구는 "나탈리아가 항상 지켜보지 않으면 미하일은 여러 상황에서 속았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330]
4. 훈장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훈장'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The Abdication of Nicholas II: 100 Years Later
https://www.russianl[...]
2018-01-30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뉴스
The Observer, The Sunday Times, and Reynold's News
1906-10-07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49]
서적
Letter to Nicholas, 4 November 1912,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1912-11-04
[50]
서적
Letter to Marie, 7 November 1912,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1912-11-07
[5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5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5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5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5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56]
서적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5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5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5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6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6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6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6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64]
서적
Letter from Michael to Natalia, 22 January 1915,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622/20,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1915-01-22
[65]
서적
Letter from Michael to Nicholas, 15 November 1914,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601/1301,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1914-11-15
[6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6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68]
서적
Washburn, Stanley (1916), The Russian Campaign, 1915, London: Andrew Melrose,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Andrew Melrose
1916
[69]
서적
Letter from Natalia to Michael, 10 June 1915,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668/78,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1915-06-10
[70]
서적
Letter from Michael to Natalia, 20 June 1915,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622/20,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1915-06-20
[7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195
[72]
서적
Grand Duke Andrew, Major-General Sir Alfred Knox, French ambassador Maurice Paléologue, and General Aleksei Brusil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197
[7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11
[74]
서적
Dimitri Abrikos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213
[7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21
[7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25
[77]
서적
Letter from Michael to Natalia, 5 August 1916,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622/21,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224
[78]
서적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218
[7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30
[8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31
[8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31–233
[8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33
[83]
서적
Letter from Michael to Nicholas, 11 November 1916,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601/1301,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234
[8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40
[8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41–243
[8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44–245
[87]
서적
Paléologue, Maurice (1925), An Ambassador's Memoirs, New York: Doran, vol. III, p. 162,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p. 231–233
[8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47–251
[8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52–254
[9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51
[91]
서적
Brusilov, Aleksei (1936), A Soldier's Note-Book, London: Macmillan, pp. 287–288,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252
[9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55–256
[9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56–259
[9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59–260
[9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62–263
[9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64
[97]
서적
Michael's diary,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265
[9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65, 267, 271–272
[9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65–266
[10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266
[10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66–267, 274
[102]
서적
Michael's diary,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267
[103]
서적
Burdzhalov and Raleigh, pp. 262–263; Crawford and Crawford, pp. 274–275
[104]
서적
Burdzhalov and Raleigh, p. 264; Crawford and Crawford, pp. 276–277
[10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279–281
[10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0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08]
서적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10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1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1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1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1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1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1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16]
웹사이트
The Catastrophe
http://www.marxists.[...]
2009-11-14
[117]
서적
The Catastrophe
1927
[118]
서적
Nicholas's diary
1917-03-03
[11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2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21]
웹사이트
The Catastrophe
http://www.marxists.[...]
2009-11-14
[12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2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2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25]
서적
Telegram from Ambassador Buchanan to Foreign Secretary Balfour
PRO FO/371/3015
[12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27]
서적
Michael's diary
Allan Lane
1917-09-02
[12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2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3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4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41]
문서
Massie, p. 13
[142]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 348
[143]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 352
[144]
웹사이트
Царская семья: последние дни, расстрел, обретение останков :: Документы
https://web.archive.[...]
2022-07-17
[145]
문서
Statements of local Bolsheviks in the State Archive of the Perm District (Pavel Malkov 90/M-60 and A. A. Mikov 09/2/M-22b),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354
[146]
문서
Myasnikov, G (1995), "Filosofiya ubiistva, ili pochemu i kak ya ubil Mikhaila Romanova", ''Minuvshee'', Moscow & Saint Petersburg: Atheneum & Feniks, 18,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355
[147]
문서
Myasnik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p. 356–357
[148]
문서
Statements of murderers Andrei Markov and Gavriil Myasnikov, valet Vasily Chelyshev and hotel guest Krumnis,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p. 357–358
[149]
문서
Myasnikov quoting Zhuzhg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359
[150]
문서
Myasnikov quoting Zhuzhgov, and Markov's statement,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360
[151]
문서
Myasnikov quoting Zhuzhg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360
[152]
문서
Myasnik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p. 360–361
[153]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 362
[154]
문서
Statements of Myasnikov and Mark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p. 356–357
[155]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 354
[156]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 361
[157]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 365
[158]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p. 374–378
[159]
Webarchive
Russia rehabilitates tsar's slain younger brother
http://www.expatica.[...]
Expatica Communications B.V.
2009-11-18
[160]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 391
[161]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 395
[162]
서적
Step-daughter of imperial Russia
https://archive.org/[...]
S Paul
1940
[163]
뉴스
Latest intelligence – Germany
The Times
1901-12-17
[164]
문서
'Rangeliste der Königlich Preuβischen, Für 1903'
E. S. Mittler
1903
[165]
Webarchive
Russian Imperial Army – Grand Duke Michael Alexandrovich of Russia
http://regiment.ru/b[...]
[166]
문서
Crawford and Crawford, p. 179
[167]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16
https://slaegtsbibli[...]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1916
[168]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169]
서적
Slava i čast: Odlikovanja među Srbima, Srbi među odlikovanjima
Službeni Glasnik
[170]
문서
Ruvigny, p. 144
[171]
간행물
พระราชทาน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 ที่ประเทศยุโรป
https://web.archive.[...]
1898-01-22
[172]
간행물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173]
문서
Ilya Yefimovich Repin: Formal Session of the State Council on 7 May 1901, in honour of the 100th Anniversary of Its Founding, and other photographs
[174]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175]
문서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London
1906
[176]
웹사이트
p. 71
https://archive.org/[...]
Shaw
[177]
간행물
Troca de Decorações entre os Reis de Portugal e os Imperadores da Rússia
https://www.academia[...]
2017
[178]
뉴스
Court circular
The Times
1901-12-27
[17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80]
서적
Norges Statskalender
2021-09-17
[181]
서적
Svensk Rik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18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8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8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8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8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8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88]
서적
Vorres
[189]
서적
Phenix
[190]
서적
Vorres
[191]
서적
Phenix
[192]
서적
Vorres
[193]
서적
Phenix
[19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9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9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9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9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19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0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0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02]
서적
ロマノフ朝史1613-1918
白水社
2021-09-10
[20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0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0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0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0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0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09]
뉴스
The Observer, The Sunday Times, and Reynold's News
1906-10-07
[21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1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1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1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1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1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1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1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1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1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2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2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2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2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2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2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2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27]
서적
Letter to Nicholas, 4 November 1912,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228]
서적
Letter to Marie, 7 November 1912,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22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3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3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3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3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3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3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3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3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38]
서적
Letter from Michael to Nicholas, 15 November 1914,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601/1301,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23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4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4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42]
서적
Grand Duke Andrew, Major-General Sir Alfred Knox, French ambassador Maurice Paléologue, and General Aleksei Brusil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24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4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4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4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4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4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49]
서적
Letter from Michael to Nicholas
1916-11-11
[25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5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5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53]
서적
An Ambassador's Memoirs
Doran
1925
[25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5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5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5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5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5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6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6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62]
서적
Michael's diary
[26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6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6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6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67]
서적
Michael's diary
[268]
서적
Burdzhalov and Raleigh
[269]
서적
Burdzhalov and Raleigh
[27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7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72]
서적
State Archive of the Russian Federation
[27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7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7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7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7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278]
웹사이트
The Catastrophe
http://www.marxists.[...]
1927
[279]
서적
See, for example, Kerensky's The Catastrophe and Paléologue's An Ambassador's Memoirs
[280]
서적
Nicholas's diary
1917-03-03
[28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315–319
[28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18
[283]
웹사이트
'The Catastrophe'
http://www.marxists.[...]
1927
[28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27
[28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30
[28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31
[287]
서적
Telegram from Ambassador Buchanan to Foreign Secretary Balfour
[28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322–323, 332
[289]
서적
Before the Revolution – A View of Russia Under the Last Tsar
Allan Lane
1977
[29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32
[29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34
[292]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335–336
[29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46
[29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39
[29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339–340
[29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41
[29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42
[29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342–343
[29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343–344
[30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344–345
[301]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p. 345–347
[302]
서적
Massie, p. 13
[30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48
[30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52
[305]
서적
Statements of local Bolsheviks in the State Archive of the Perm District (Pavel Malkov 90/M-60 and A. A. Mikov 09/2/M-22b)
[306]
서적
"Filosofiya ubiistva, ili pochemu i kak ya ubil Mikhaila Romanova"
Moscow & Saint Petersburg: Atheneum & Feniks
1995
[307]
서적
Myasnik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p. 356–357
[308]
서적
Statements of murderers Andrei Markov and Gavriil Myasnikov, valet Vasily Chelyshev and hotel guest Krumnis
[309]
서적
Myasnikov quoting Zhuzhg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359
[310]
서적
Myasnikov quoting Zhuzhgov, and Markov's statement,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360
[311]
서적
Myasnikov quoting Zhuzhg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 360
[312]
서적
Myasnik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p. 360–361
[313]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62
[314]
서적
Statements of Myasnikov and Markov, quoted in Crawford and Crawford, pp. 356–357
[315]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p. 354
[316]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17]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18]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1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20]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21]
뉴스
Russia rehabilitates tsar's slain younger brother
http://www.expatica.[...]
Expatica Communications B.V.
2009-06-09
[322]
인용
[323]
인용
[32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25]
서적
A Soldier's Note-Book
Macmillan
1936
[326]
서적
The Russian Campaign, 1915
Andrew Melrose
1916
[327]
편지
1915-06-10
[328]
편지
1915-06-20
[329]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30]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