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흐마니 술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흐마니 술탄국은 1347년부터 1527년까지 데칸 지역을 통치했던 이슬람 왕조이다. 델리 술탄국에 반기를 든 자파르 칸이 건국했으며, 굴바르가를 수도로 삼았다. 비자야나가라 왕국과의 잦은 전쟁을 치렀으며, 1481년 마흐무드 가완의 처형 이후 쇠퇴하여 여러 독립국으로 분열되었다. 마지막 술탄 칼리물라 샤는 1527년에 멸망하고 바리드 샤히 왕조에 통합되었다. 바흐마니 술탄국은 페르시아 문화와 건축을 후원했으며, 굴바르가 요새, 마흐무드 가완 마드라사 등 건축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르나타카주의 중세사 - 호이살라
    호이살라는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 카르나타카 지역에서 번성한 남인도 왕조로, 서찰루키아 왕조의 봉신에서 독립하여 촐라 제국을 몰아냈으며, 정교한 사원 건축과 예술 후원으로 유명하고 벨루르, 할레비두, 소마나타푸라의 사원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카르나타카주의 중세사 - 서찰루키아 왕조
    서찰루키아 왕조는 973년 타일라파 2세가 라슈트라쿠타를 격퇴하고 서부 데칸 지역을 지배하면서 멸망한 왕조이다.
  • 인도 아대륙의 이슬람 국가 - 마이소르 왕국
    마이소르 왕국은 1610년 라자 워디야 1세가 건국한 남인도의 왕국으로, 여러 왕조와의 경쟁 속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집권화를 이루었으나, 하이데르 알리와 티푸 술탄 시대에 영국 동인도 회사와 전쟁을 치른 후 영국 인도 제국 내 토후국이 되었다가 인도 독립 후 카르나타카 주에 편입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 독특한 문화, 군사적·행정적 개혁으로 인도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인도 아대륙의 이슬람 국가 - 델리 술탄국
    델리 술탄국은 1206년부터 1526년까지 인도 북부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튀르크계 유목민의 이동과 이슬람 확산 속에서 노예, 할지, 투글루크, 사이이드, 로디 왕조를 거치며 인도-페르시아 문화 융합과 독특한 건축 양식을 발전시켰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무굴 제국에 멸망하였다.
  • 중세 인도의 군주국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중세 인도의 군주국 - 비자야나가라 제국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14세기 초 하리하라 1세가 남인도에 건국한 힌두 제국으로, 크리슈나 데바 라야 시대에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탈리코타 전투에서 패배하여 몰락했으며, 정교한 행정 체계, 발달된 경제, 독특한 건축 양식과 문화를 발전시키고 종교에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바흐마니 술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흐마니 왕조의 최대 판도
바흐마니 왕조의 최대 판도
약칭바흐마니
공식 국명베흐마니 살타나트
건국 시기1347년
멸망 시기1527년
위치인도
수도굴바르가
비다르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수장 칭호술탄
초대 술탄알라 웃딘 바흐만 샤
마지막 술탄칼리물라 샤
역사
이전 국가델리 술탄국
건국1347년
굴바르가에서 비다르로 천도1425년
멸망1527년
이후 국가데칸 5왕국
언어
공용어페르시아어
종교
국교수니파 이슬람교
민족
민족 구성페르시아인
튀르크인
인도아리아인
드라비다인
경제
통화타카

2. 역사

1347년 알라웃딘 하산 바흐만 샤가 델리 술탄국에서 독립하여 바흐마니 술탄국을 건국하였다. 초기 수도는 굴바르가였으나, 1429년 비다르로 천도하였다.

바흐마니 술탄국은 남쪽의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끊임없이 대립하였다. 특히 퉁가바드라 강과 크리슈나 강 유역의 비옥한 라이추르 지방을 둘러싸고 분쟁이 잦았다. 타즈 웃 딘 피루즈 샤는 비자야나가라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데바 라야의 딸과 결혼하기도 하였으나, 1419년에는 패배하였다.

마흐무드 가완은 이란 출신의 재상으로 바흐마니 술탄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마흐무드 가완 마드라사를 설립하여 교육을 장려하고, 군사적으로 영토를 확장하였다. 그러나 토착 무슬림 엘리트와 외국인 출신 엘리트 간의 갈등에 휘말려 1481년 처형되었다.

마흐무드 가완 사후 바흐마니 술탄국은 급격히 쇠퇴하였다. 1518년 이후 아마드나가르, 골콘다, 비하르, 베라르, 비자푸르의 다섯 데칸 술탄국들로 분열되었고, 1527년 비자야나가라 제국에 의해 완전히 멸망하였다.

2. 1. 건국

검증되지 않은 건국 신화에 따르면, 창건자 자파르 칸은 원래 강주(따라서 하산 강주)라는 브라만 통치자의 하인 또는 노예였다.[20][21][22] 술탄국이 수립되기 이전 자파르는 데칸의 총독이자 투글루크 왕조를 대표하는 사령관이었으며, 1347년 8월 3일, 델리 술탄국에 반기를 든 나지르 웃딘 이스마일 샤는 그날 델리 출신의 바흐만 샤를 지지하며 그에게 자신의 자리를 넘겨주었다.[23] 반란에 성공한 바흐만 샤는 델리 술탄국의 남부 지방에 있는 데칸에 독립국을 세운 후 수도를 하사나바드(굴바르가)로 정했으며, 하사나바드에서 그의 모든 주화가 주조되었다.[24][25] 영향력 있는 취쉬티 수피 족장의 지원으로 그는 "알라웃딘 바흐만 샤 술탄 - 바흐마니 왕조의 개창자"라는 칭호를 받았다.[26]

알라 웃딘 바흐만 샤의 동전


투글루크 왕조의 데칸 지방 총독 알라 웃딘 하산(하산 강구)은 1347년 데칸의 굴바르가에서 독립했다. 하산은 즉위하면서 '''바흐만 샤''' (재위 1347 - 1458)라고 칭했다. 이 때문에 이 왕조는 바흐마니(바흐만) 왕조라고도 불렸다.

바흐만 샤라고 칭한 이유로 페르시아 출신의 피리슈타라는 역사가가 이야기하는 민중의 전설에 따르면, 신비로운 이란의 영웅 바흐만과 자신을 동일시하려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바흐만 샤라는 말은 알라 웃딘 하산이 이전에 섬기던 주인인 강구라는 인물이 브라만이었기 때문에, 그 주인에 대한 찬사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설도 있다.

2. 2. 비자야나가라 왕국과의 항쟁

바흐마니 왕조는 굴바르가를 수도로 삼고 남쪽에 인접한 비자야나가르 왕국과 끊임없이 항쟁 상태에 있었다.[3]

양국이 항쟁한 이유는 국경 지대인 퉁가바드라 강과 크리슈나 강 유역의 라이추르 지방이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토지였고, 크리슈나 강과 고다바리 강 하류 평야는 매우 비옥한 토지 위에 수많은 항구가 있어 외국 무역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지역을 영유한 왕조는 그 이익으로 윤택해졌다.[3]

바흐마니 왕조의 술탄은 뛰어난 포병대와 기동적인 기마대를 가지고 종종 비자야나가르 왕국을 격파했지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전쟁으로 무차별 학살과 아이들의 노예 매매가 이루어지거나 경제적으로 피폐해졌기 때문에, 양국은 잔혹한 행위를 하지 않고 국경을 처음 그대로 유지한다는 협정을 맺었다.

thumb

Taj ud-Din Firuz Shah영어 (피루즈 샤 바흐마니, 재위 1397 - 1422)는 바흐마니 왕조 최고의 명군으로 꼽히는 인물로, 퉁가바드라 강 유역을 획득하려 했던 비자야나가르 왕 데바 라야 1세(재위 1406 - 1422)를 격파하고 막대한 배상금과 코끼리, 진주를 지불하게 했다.[4] 그는 1398년과 1406년에 비자야나가라 제국을 상대로 승리했지만, 1419년에는 패배했다. 그의 승전 중 하나는 데바 라야의 딸과 결혼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피루즈 샤는 『코란』 주석에 통달하고 자연 과학을 좋아하여 국내외 학자들을 적극적으로 초청했다.[5] 그러나 1422년 동생인 Ahmad Shah I Wali영어 (재위 1422 - 1436)에게 퇴위를 강요당했고, 같은 해 사망했다.[6]

2. 3. 비다르 천도와 마흐무드 가완

1425년 바흐마니 술탄국은 데바라야 2세 (재위 1422년 - 1446년) 치하에서 군제 개혁을 단행하여 강력해진 비자야나가르군에게 패배하여, 굴바르가에서 북동쪽으로 100km 떨어진 비다르로 천도했다.[7] 1429년 비다르는 바흐마니 술탄국의 수도가 되었다.

알라 웃딘 아흐마드 2세(재위 1436년 - 1458년)부터 샴스 웃딘 무하마드 샤 3세(재위 1463년 - 1482년) 치세에, 이란 출신의 마흐무드 가완이 재상을 맡았다.[3] 바흐마니 술탄국은 칸치푸람까지 비자야나가르 영토에 침입했을 뿐만 아니라, 고아 등을 비자야나가르에서 빼앗아 서부 해안 지역을 정복하는 데 성공했다.[3][8]

그 결과, 이란, 이라크 등과의 해외 교역 확장이 가능해졌고, 이에 따라 국내 상업 유통과 수공업도 발전했다. 또한, 구자라트 술탄국과의 동맹 덕분에 북방의 말와 지방에도 영토를 확대했다.[8]

후마윤 샤, 니잠 웃 딘 아흐마드 3세 및 무함마드 샤 3세 락카리의 장남들이 어린 나이에 차례대로 즉위하였다. 이 시기 동안 무함마드 샤가 성인이 될 때까지 마흐무드 가완이 섭정으로서 나라를 통치하였는데, 그는 종교 교육과 세속 교육의 중심지인 마흐무드 가완 마드라사를 설립한 것으로 유명하며, 위대한 정치가인 동시에 평판이 좋은 시인으로 여겨졌다. 마흐무드 가완은 데칸인이라고 불리는 지배적인 바흐마니의 토착 무슬림 엘리트와 자신과 같은 서쪽에서 온 새로운 외국인 사이의 투쟁에 휘말렸는데,[27] 결국 그는 무함마드 샤 3세에 의해 처형되었으며, 이후 샤 3세는 1482년에 사망할 때까지 그를 처형한 것을 후회하였다.

2. 4. 분열과 멸망

기야트 웃 딘은 그의 아버지 무함마드 2세의 뒤를 이었지만 타갈친이라는 투르크계 귀족에 의해 폐위된 후 투옥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타갈친의 꼭두각시였던 샴수딘이 술탄이 되었으며, 4대 술탄 다우드의 아들인 피루즈와 아흐메드는 기야트 웃 딘의 복수를 위해 굴바르가로 진군하였다. 피루즈는 본인을 술탄으로 선언하는 동시에 타갈친의 군대를 격파하였으며, 타갈친은 전사하고 샴수딘은 폐위되었다.

타즈 웃 딘 피루즈 샤는 1397년에 술탄이 되었다. 피루즈 샤는 그의 치세 내내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여러 번 충돌하였는데, 1398년과 1406년에는 승리했던 반면 1419년에는 패배하였으며, 그의 승전 중 하나는 데바 라야의 딸과 결혼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그의 남동생 아흐마드 샤 1세 왈리가 피루즈의 자리를 계승하였다.

비다르는 1429년에 술탄국의 수도가 되었다.

후마윤 샤, 니잠 웃 딘 아흐마드 3세 및 무함마드 샤 3세 락카리의 장남들이 어린 나이에 차례대로 즉위하였다. 이 시기 동안 무함마드 샤가 성인이 될 때까지 마흐무드 가완이 섭정으로서 나라를 통치하였는데, 그는 종교 교육과 세속 교육의 중심지인 마흐무드 가완 마드라사를 설립한 것으로 유명하며, 위대한 정치가인 동시에 평판이 좋은 시인으로 여겨졌다. 마흐무드 가완은 데칸인이라고 불리는 지배적인 바흐마니의 토착 무슬림 엘리트과 자신과 같은 서쪽에서 온 새로운 외국인 사이의 투쟁에 휘말렸는데,[27] 결국 그는 무함마드 샤 3세에 의해 처형되었으며, 이후 샤 3세는 1482년에 사망할 때까지 그를 처형한 것을 후회하였다. 그러나 마흐무드 가완은 바흐마니 왕조 국내의 오랜 귀족(데칸 출신)과 이란계 등 새로운 귀족의 대립에 시달리며 융화책을 꾀했지만, 1481년 데칸파의 참언으로 처형되었다.[9][10]

무함마드 샤 2세의 아들로서 뒤를 이은 마흐무드 샤 바흐마니 2세는 실질적인 권력을 가진 마지막 바흐마니 통치자였다.

마지막 바흐마니 술탄은 실질적인 통치자인 바리드 샤히 총리 아래의 꼭두각시 군주였다. 1489년 이후, 마흐무드 샤 시대에 지방 장관들이 잇달아 독립하였다. 1518년 이후 술탄국은 아마드나가르의 니잠 샤히, 골콘다(하이데라바드)의 쿠트브 샤히, 비하르의 바리드 샤히, 베라르의 이마드 샤히, 비자푸르아딜 샤히 등의 5개국으로 분열되었으며, 이들 5개국들은 소위 데칸 술탄국들로 통칭되었다.

1510년, 포르투갈 제독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가 비자푸르 왕국이 지배하는 고아를 공방전 끝에 획득(포르투갈령 인도)[12]

1527년에 카림 알라 샤(재위 1525-1527)의 치세에 멸망했다. 그 판도는 바흐마니 왕조 재상이 수립한 비다르 왕국(바리드 샤히 왕조)에 통합되어, 여기에 데칸 술탄국(무슬림 5개 왕국)이 성립했다.[10]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남인도 황제 크리슈나 데바 라야가 바흐마니 술탄국의 잔존 세력을 물리친 후 바흐마니 술탄국은 완전히 무너졌다.[28]

3. 문화

바흐마니 술탄국의 통치자들은 스스로를 대이란 전설 속 신화적 인물인 바흐만의 후손이라고 믿었다. 바흐마니 술탄들은 페르시아어, 문화, 문학을 후원했으며, 페르시아어에 능통했던 왕조의 일부 구성원은 직접 페르시아어로 문학 작품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초대 술탄인 알라웃딘 바흐마니 샤는 북부 카르나타카 족장과 전투를 벌인 후 힌두교 사원에서 노래하고 춤추는 소녀 1,000명을 사로잡았다.[29] 또한 바흐마니는 전쟁에서 포로로 잡은 민간인 여성과 어린이를 노예로 삼았으며, 이들 중 다수는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29] 구리와 은에 상감 세공으로 유명세를 얻은 비다르의 장인들은 곧 비디르와르로 알려지게 되었다.[30]

3. 1. 건축

이 시기 동안 개발된 페르시아식 인도-이슬람 건축 양식은 나중에 데칸 술탄국에서도 채택되었다.

굴바르가 요새의 대모스크


하프 검바드


비다르 지역의 바흐마니 무덤


바흐마니 술탄국의 와지르인 마흐무드 가완이 종교 및 세속 교육의 중심지로서 지은 마흐무드 카완 마드라사


굴바르가의 굴바르가 요새, 하프 검바드 및 자마 마시드, 비하르의 비하르 요새 및 마드라사 마흐무드 가완 등이 이들이 남긴 주요 건축 유산이다.

후기 통치자들은 바흐마니 무덤으로 알려진 정교한 무덤 단지에 매장되었다. 한 무덤의 외부는 유색 타일로 장식되어 있으며, 페르시아 시와 꾸란 구절이 무덤 내부에 새겨져 있다.

바흐마니 통치자들은 비다르와 굴바르가에 아름다운 무덤과 사원을 만들었으며, 다울라타바드, 골콘타 및 라이추르에는 많은 요새를 건설하였다. 이들의 건축은 페르시아 건축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페르시아, 터키, 아라비아의 건축가들을 초청하기도 하였다. 굴바르가의 자미 마지시드, 찬단드 미나르 및 비다르의 마흐무드 가완 마드라사는 바흐마니 시기에 지어진 장엄한 건축물 중 일부이다.

4. 역대 술탄

이름재위 기간
알라 웃 딘 바흐만 샤1347년 ~ 1358년
무함마드 샤 1세1358년 ~ 1375년
알라 웃 딘 무자히드 샤1375년 ~ 1378년
다우드 샤 1세1378년
무함마드 샤 2세1378년 ~ 1397년
기야스 웃 딘 타흐마탄 샤1397년
샴스 웃 딘 다우드 샤 2세1397년
타주 딘 피루즈 샤1397년 ~ 1422년
시하브 웃 딘 아흐마드 샤 1세1422년 ~ 1436년
알라 웃 딘 아흐마드 샤 2세1436년 ~ 1458년
알라 웃 딘 후마윤 잘림 샤1458년 ~ 1461년
니잠 웃 딘 아흐마드 샤 3세1461년 ~ 1463년
샴스 웃 딘 무함마드 샤 3세1463년 ~ 1482년
시하브 웃 딘 마흐무드 샤1482년 ~ 1518년
아흐마드 샤 4세1518년 ~ 1520년
알라 웃 딘 샤1520년 ~ 1523년
왈리 울라 샤1523년 ~ 1526년
칼림 울라 샤1526년 ~ 1527년


참조

[1]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3]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4]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5]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6]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7]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8]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9]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10]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11]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12]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13] 논문 Hindu temples in Hyderabad: state patronage and politics in South Asia
[14] 논문 Reassessing indirect rule in hyderabad: Rule, ruler, or sons-in-law of the state?
[15]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Medieval India: From Twelf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Pvt. Ltd 2011
[16] 서적 Medieval Deccan History: Mediaeval Deccan History: Commemoration Volume in Honour of Purshottam Mahadeo Joshi https://books.google[...]
[17] 웹인용 The Five Kingdoms of the Bahmani Sultanate https://web.archive.[...] orbat.com 2007-01-05
[18] 서적 Dictionary of War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9] 서적 Bharat-Rus: An Introduction to Indo-Russian Contracts and Travels from Mediaeval Times to the October Revolution https://books.google[...] ISCUS
[20] 문서
[21] 서적 The Age of Wars of Religion, 1000-1650: An Encyclopedia of Global ..., Volym 1 https://archive.org/[...] 2006
[22] 서적 The Discovery of India
[23] 서적 Anecdotes from Islam https://books.google[...] M. Ashraf
[24] 문서
[25]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26] 서적 Islamic Civilization in South Asia: A History of Muslim Power and Presence in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www.google.c[...] Routledge
[27] 서적 Islamic Civilization in South Asia: A History of Muslim Power and Presence in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www.google.c[...] Routledge
[28] 서적 A Social History of the Deccan, 1300–1761: Eight Indian Lives
[29] 문서
[30] 뉴스 Proving their mettle in metal craft https://web.archive.[...] 2012-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