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디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디비아는 1552년 페드로 데 발디비아에 의해 건설된 칠레의 도시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스페인 정착지였다. 1960년 칠레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몬테 베르데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증거는 이 지역이 기원전 12,000년경부터 인류가 거주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페루 부왕령의 통제를 받았으며, 19세기에는 독일 이민자들이 정착하여 농업과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현재 임업, 관광, 맥주 산업 등이 발달했으며, 칠레 남부의 주요 연구 중심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스리오스주 (칠레)의 취락 - 코랄 (칠레)
칠레 로스리오스 주의 코랄은 발디비아 보호를 위한 요새 본부에서 시작하여 태평양-대서양 항구로 기능했으나, 20세기 초 쇠퇴 후 현재는 목재 칩 선적항으로 운영되는 항구 도시이다. - 로스리오스주 (칠레)의 취락 - 마필
마필은 칠레 로스 리오스 주에 위치한 코무나로, 과거 윌리체 족 거주지였으나 19세기 후반 독일 농부들이 정착했고 1964년 코무나로 설립되었으며 코무나 의회에 의해 관리되고 칠레 선거구에 속한다. - 칠레의 주도 - 아리카
아리카는 칠레 북부의 항구 도시이자 코무나로, 페루 국경에서 가까우며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해 건조하지만 온화한 기후와 해변, 농산물 생산, 볼리비아 무역, 역사적 명소로 유명하다. - 칠레의 주도 - 안토파가스타
안토파가스타는 칠레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볼리비아 영토였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칠레에 귀속되었으며, 구리 광산과 리튬 채굴을 중심으로 경제가 운영되고 칠레와 볼리비아의 주요 수출 항구 역할을 한다. - 칠레의 항구 도시 - 아리카
아리카는 칠레 북부의 항구 도시이자 코무나로, 페루 국경에서 가까우며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해 건조하지만 온화한 기후와 해변, 농산물 생산, 볼리비아 무역, 역사적 명소로 유명하다. - 칠레의 항구 도시 - 안토파가스타
안토파가스타는 칠레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볼리비아 영토였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칠레에 귀속되었으며, 구리 광산과 리튬 채굴을 중심으로 경제가 운영되고 칠레와 볼리비아의 주요 수출 항구 역할을 한다.
발디비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 | |
![]() | |
별칭 | 강의 도시, 칠레 남부의 진주, 칠레 맥주 수도 |
표어 | Muy Noble y Muy Leal (매우 고귀하고 매우 충성스러운) |
기본 정보 | |
국가 | 칠레 |
주 | 로스 리오스 주 |
현 | 발디비아 현 |
정치 체제 | 지방 자치 단체 |
시장 | 카를라 암트만 |
시장 소속 정당 | RD |
설립 구분 | 산타 마리아 라 블랑카 데 발디비아 |
설립일 | 1552년 2월 9일 |
면적 | 1015.6 km² |
고도 | 5 m |
시간대 | CLT |
UTC 오프셋 | -04:00 |
서머 타임 | CLST |
UTC 오프셋 (서머 타임) | -03:00 |
좌표 | 39°48′50″S 73°14′45″W |
우편 번호 | 5090000 |
지역 번호 | '국가' 56 + '도시' 63 |
웹사이트 | 발디비아 시 정부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17년) | 150,048명 |
도시 인구 | 129,952명 |
촌락 인구 | 10,607명 |
남성 인구 (2017년) | 68,510명 |
여성 인구 (2017년) | 72,049명 |
인구 밀도 | auto |
주민 | 발디비아인 |
기후 | |
기후 | Cfb |
2. 역사
1552년: 페드로 데 발디비아에 의해 '산타 마리아 라 블랑카 데 발디비아'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다.[17] 이곳은 당시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스페인 정착지였다. 마리뇨 데 로베라는 이곳을 "칠레 왕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라고 묘사했다.[14]
1960년 5월 22일: 칠레 지진이 발생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7] 이 지진은 모멘트 규모 9.5를 기록했으며, 일본,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하와이에 영향을 미치는 파괴적인 쓰나미를 발생시켰다.
2. 1. 선사 시대 (기원전 12,000년 ~ 1543년)
몬테 베르데[11]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발디비아 주변 지역은 기원전 12,000년 ~ 11,800년 경부터 인류가 거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북아메리카의 클로비스 문화보다 약 1천 년 앞선 시기로, "클로비스 최초" 모델에 도전한다. 연구자들은 발디비아와 칠레의 최초 거주민들이 베링 해협의 육교가 아닌 선박을 이용하여 해로를 통해 아메리카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1]중기 고고 시대 동안 남부 칠레에는 찬-찬 콤플렉스라고 불리는 공통의 석기 문화를 공유하는 토착 집단이 거주했다. 이 명칭은 발디비아에서 북쪽으로 약 35km 떨어진 해안에 위치한 찬-찬 유적지에서 유래되었다.[12]
프랑스 학자 폴 리베의 다원적 기원설에 따르면,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및 북아시아 출신의 사람들이 3만 년에서 4천 년 전 사이에 즉석에서 만든 배를 타고 신세계 해안에 도착했다. 이 가설들 중에서 가장 시사하는 바가 큰 가설 중 하나는 일본의 조몬 문화 구성원들이 신세계로 이동했을 가능성과 기원전 3천 년경 현재의 에콰도르에서 발전한 발디비아 문화에 미친 강력한 영향이다.[13] 에콰도르 해안에는 매우 초기 발디비아 문화가 존재했지만, 이는 발디비아 시와는 관련이 없다.
스페인 정복자들이 도착할 무렵 발디비아는 우일리체족(마푸둥군어로 "남쪽 사람들"이라는 뜻)이 거주하고 있었다. 우일리체족과 마푸체족은 스페인인들에게 모두 "아라우카노"라고 불렸다. 그들의 주요 언어는 마푸체어의 변종인 마푸둥군이었다.
현재 발디비아 시내에 해당하는 지역에는 "아이닐"이라는 큰 마을이 있었고, 우일리체족은 강을 "아이닐레부"(현재 발디비아 강)라고 불렀다. "아이닐"은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이며, 바다에 접해 있었고, 크루세스 강과 칼레-칼레 강의 네트워크를 통해 내륙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아이닐"은 습지와 운하가 넓게 분포해 있어 "작은 베네치아"와 같다고 묘사될 수 있다. 그 이후로 이 수로와 습지 대부분은 배수되거나 매립되었다. "아이닐"의 시장은 해안에서 조개류와 생선, 푸누카파에서 콩류, 산 호세 데 라 마리키나에서 다른 식량을 공급받았다.[21] 이러한 고대 무역의 잔재는 발디비아 강둑에 있는 현대의 "페리아 플루비알"(영어: 강변 시장)이다. 발디비아 주변은 방대한 평야로 묘사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감자, 옥수수, 퀴노아, 콩류 등을 재배했다.[14] 일부 역사가들은 정복자들의 묘사를 바탕으로 1548년경의 인구를 3만에서 4만 명으로 추정했다.[15] 초기 정복자이자 연대기 작가인 페드로 마리뇨 데 로베라는 도시에서 10리그 (1리그는 대략 4.2km) 이내에 50만 명의 인디언이 살고 있다고 기록했다.[14] 다른 역사가들은 이러한 숫자가 너무 과장되었다고 생각하며, 초기 스페인인들이 일반적으로 묘사에서 과장했다고 주장한다.
이후 영국의 박물학자 찰스 다윈은 "발디비아 근처에는 개간된 땅이 많지 않다"고 관찰했다.[21] 이는 발디비아의 선사 시대 농업이 그의 방문 당시인 19세기 초에 행해진 농업보다 훨씬 더 광범위했음을 시사한다.
2. 2. 스페인 식민 시대 (1544년 ~ 1810년)
제노바 출신의 선장 후안 바우티스타 파스테네는 1544년 스페인 국왕 카를 5세의 이름으로 코랄 만의 발디비아 강 어귀를 점유하고, 칠레 총독 페드로 데 발디비아의 이름을 따서 강 이름을 지었다.[17]
페드로 데 발디비아는 나중에 파스테네가 묘사한 강으로 육로 여행을 갔고, 1552년 발디비아 시를 '산타 마리아 라 블랑카 데 발디비아'로 설립했다.[17] 이곳은 당시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스페인 정착지였다. 마리뇨 데 로베라는 이곳을 "칠레 왕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라고 묘사했다.[14] 헤로니모 데 알데레테, 로리고 데 키로가, 프란시스코 데 비야그라 및 페드로 데 비야그라와 같이 칠레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복자이자 미래 총독 중 다수가 페드로 데 발디비아 자신 외에도 발디비아에서 토지를 받았다. 발디비아 설립(Jerónimo de Vivar)을 목격한 연대기 작가 헤로니모 데 비바르는 총독이 도시를 건설하고 강변에 그런 좋은 항구를 가진 이러한 좋은 지역과 장소를 보았고, 도시를 세우고 '발디비아 시'라고 이름을 지었으며, 알칼데와 시의회를 임명했다고 적었다.[16]
페드로 데 발디비아의 죽음 이후, 마푸체와의 전쟁, 즉 아라우코 전쟁이 계속되었다. 1575년 3월 17일, 이 도시는 1575년 발디비아 지진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후 피해 규모 면에서 1960년의 대칠레 지진에 비유되었다.[17] 1575년까지 발디비아의 우이치족은 스페인에 대해 눈에 띄는 저항을 조직하지 않았다. 그들은 아라우코 전쟁에서 북부 마푸체에 맞서 스페인과 함께 '인디오스 아미고스'로 싸웠다. 그러나 그 해, 마르틴 루이즈 데 감보아의 군대에서 싸우던 4,000명의 인디언이 발디비아 지역으로 돌아온 후 반란을 일으켰다. 16세기 동안 발디비아의 경제는 인근 지역의 농산물 거래와 비야리카, 마드레 데 디오스 광산, 오소르노에서 채굴한 사금 금의 주조 및 수출에 의해 유지되었다. 리마와 칠레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이 원천에서 나온 모든 금을 "발디비아에서 나온 금"이라고 불렀다. 리마의 많은 상인들은 발디비아에 사절을 보냈고, 이 도시는 대규모 조선 산업을 발전시켰다. 이곳은 칠레 왕국에서 가장 큰 배를 생산했다.
1598년 쿠랄라바 전투에서 마푸체가 칠레 총독(governor of Chile) 마르틴 가르시아 오녜스 데 로욜라를 살해한 후, 마푸체와 우이치족은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다. 인디언들은 자신들의 영토에 있는 모든 스페인 정착지와 요새를 파괴하거나 버리도록 강요했는데, 이는 7개 도시의 파괴로 알려지게 되었다. 1599년 11월 24일 아침, 우이치족은 도시를 공격하여 주민들을 학살했고, 일부는 항구에 있는 배에 의해 구조되었다. 스페인 제국의 경계는 비오비오 강 북쪽으로 이동했다. 발디비아는 재건되었지만, 원주민 우이치족 영토에 둘러싸인 스페인 영토였다. 칠로에 섬의 카스트로, 칠레와 함께 이곳은 제국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식민지 중 하나였다. 발디비아의 첫 번째 파괴 11일 후, 270명의 스페인 군인이 페루에서 도착했다.[17] 군대의 사령관인 프란시스코 델 캄포 대령은 발디비아 시를 재건해야 한다고 확신했다.
프란시스코 델 캄포의 원정이 떠난 후, 네덜란드인 해적 세바스티안 데 코르데스는 몇 달 동안 발디비아의 부지를 점령하여 스페인 제국의 이 버려진 부분에 대한 정보를 네덜란드 정부에 제공했다. 스페인 사람들은 1602년 3월 13일에 돌아와 프란시스코 에르난데스 오르티스 대위가 도시의 폐허에 요새를 건설했다. 9월 24일, 원주민들은 요새를 공격했지만 실패했고 포위했다. 스페인 사람들은 음식이나 물품을 얻을 수 없었고, 1604년 2월 3일에 배고픈 생존자들을 배로 구조하면서 요새를 버렸다.
네덜란드 동인도 총독 헨드릭 브라우어는 발디비아의 상황에 대해 알게 되었고, 페루 부왕에 대한 추가 공격을 위한 기지를 그곳에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네덜란드가 스페인과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이 계획은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헨드릭 브라우어는 나이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동인도 총독직을 사임하고 직접 원정을 이끌었다. 네덜란드 함대는 카렐마푸 요새와 카스트로 시를 파괴한 후 발디비아 강 어귀의 코랄 만에 도착했다. 헨드릭 브라우어는 발디비아로 북쪽으로 항해하기 위해 더 나은 바람을 기다리던 중 푸에르토 잉글레스에서 8월 7일에 사망했다. 나사우 요한 마우리츠는 브라질의 네덜란드 부분을 담당하는 동안 원정에 필요한 장비를 제공했으며 브라우어가 사망할 경우 엘리아스 헤르크만을 비밀리에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헤르크만은 결국 1643년에 발디비아의 폐허를 점령하고 이름을 '''브라우어스하벤'''으로 변경했다. 네덜란드인들은 기대했던 금광을 찾지 못했고, 원주민들의 적대감으로 인해 1643년 10월 28일에 떠나야 했다.[17]

페드로 알바레스 데 톨레도 이 레이바 페루 부왕(1639–1648)은 발디비아의 전략적 중요성을 알고, 이를 영구적으로 재정착시키고 요새화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자신의 자본으로 발디비아 재정착 원정을 부분적으로 지원했다.[17] 이 임무를 담당한 병력은 페루에서 조직되었으며, 당시 사람들이 그 규모에 놀라워했던 건축 자재와 물품으로 가득 찬 17척의 배로 구성되었다.[6] 칠레 지방 정부는 마푸체족과의 지속적인 전쟁에 시달리고 있었고, 칠레 군대를 지원하기 위한 포토시에서 매년 은을 지불하는 레알 시투아도에 깊이 의존했기 때문에 발디비아를 확보할 수 없었다. 발디비아의 거점은 1645년 재정착부터 1740년까지 발디비아를 관리한 페루 부왕령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았다.[17] 발디비아로 들어가는 강 입구에 위치한 코랄은 당시 가장 요새화된 만 중 하나가 되었으며,[6] 17개의 요새가 있었다. 이 기간 동안 발디비아 시를 만세라 섬으로 이전하자는 제안이 여러 번 있었다. 현대 발디비아 시내에 위치한 발디비아의 원래 부지는 1684년에 재정착되었다.
1645년 스페인군이 발디비아에 재정착한 후, 당국은 페루 부왕령 전역에서 죄수들을 보내 발디비아 요새 시스템을 건설하게 했다.[18] 죄수들 중 많은 수가 아프로-페루인이었고, 형기를 마치면 병사-정착민이 되었다.[18] 토착 마푸체족과의 긴밀한 접촉은 많은 병사들이 스페인어와 마푸둥군어에 능통하게 만들었다.[19] 1749년 발디비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이 지역에 아프리카계 후손이 강력한 존재감을 보였다.[18]
18세기 중반부터 발디비아는 거점으로서의 과거를 뒤로하고 농업 확장의 시대를 시작했다. 주로 남쪽으로 향한 이 확장은 대부분 평화적인 수단으로 이루어졌지만, 토착 윌리체족과의 적대 행위도 발생했다. 발디비아 식민지가 부에노 강에 도달한 후, 스페인 당국은 발디비아 시와 차카오 해협의 정착지를 도로로 연결하려고 추진했다.[20]
2. 3. 칠레 독립과 성장 (1810년 ~ 1959년)
나폴레옹이 스페인을 점령하고 페르난도 7세를 억류하자, 스페인 아메리카와 스페인에 자치 정부가 등장했다.[17] 1810년 칠레의 첫 번째 정부 자치 정부 당시, 발디비아 주지사 알버트 알렉산더는 스페인 국왕의 정통성을 확인하는 축하 행사를 이끌었다. 그러나 카밀로 엔리케스 같은 독립 운동가들은 1811년 11월 1일에 쿠데타를 조직하고 다른 칠레 도시들에 합류했다.[17] 1812년 3월 16일, 반혁명 쿠데타가 도시를 장악하고 전쟁 위원회를 만들어 칠레와의 무역 관계를 단절하고 스페인에 대한 충성을 확인했다.[17]칠레 독립 전쟁 동안 스페인 군대가 여러 번 패배했음에도 발디비아와 칠로에는 스페인에 충성했다. 1820년, 토마스 코크란 경이 지휘하는 칠레 해군이 발디비아를 점령했지만 칠로에를 해방하는 데는 실패했다. 코크란의 육상 공격은 발디비아 강 입구의 요새와의 직접 충돌을 피하면서 스페인군을 기습했다. 발디비아의 충성 군인들은 코랄 함락 소식을 듣고 도시를 약탈하고 오소르노를 지나 칠로에를 강화하기 위해 남쪽으로 도망쳤다.[17]
칠레 최고 지도자 베르나르도 오'히긴스는 1821년 발디비아 남쪽에 라 우니온 도시를 설립하여 오소르노로 가는 길을 확보했다. 발디비아는 칠레 일반 캡틴지의 한 지방이었으며 1826년 칠레의 8개 지방 중 하나로 편입되었다.[17]
1835년 2월 20일, 발디비아는 큰 지진의 영향을 받았고, 이 사건은 찰스 다윈이 목격했다.[21] 다윈은 ''"발디비아 근처에는 개간된 땅이 많지 않다"''[21]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초기 스페인인들이 묘사한 것과 대조적이다.
19세기 초, 도시의 확장과 경제 발전은 제한되었다. 경제 개발을 위해 칠레 정부는 베른하르트 에우놈 필리피와 빈센테 페레스 로살레스를 통해 이민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수천 명의 독일인들이 정착하여 농업 및 산업 발전에 기술과 노하우를 통합했다. 야키우에 지역 이민자들은 가난한 농부였지만, 발디비아는 정치적 망명자와 상인을 포함한 더 교육받은 이민자들을 받아들였다. 발디비아에 도착한 일부 이민자들은 작업장을 설립하고 새로운 산업을 건설했다. 가장 유명한 이민자 중 한 명은 루켄발데 출신 망명자 카를로스 안반드터로, 1850년 발디비아에 도착하여 1858년 칠레 최초의 독일 학교를 설립했다. 다른 독일인들은 자유 토지의 약속에 이끌려 정착민이 되었다. 그들은 숲이 우거진 땅을 받아 농장으로 만들었다.[22] 원주민 마푸체와 윌리체는 토지를 팔거나 보호 구역으로 밀려났다. 발디비아 주의 오소르노 지역은 야키우에 지역으로의 독일 이민의 결과로 야키우에 주 (1853년 설립)로 이전되었다.
카를로스 안반드터는 "우리는 그들 중 최고와 같이 정직하고 근면한 칠레인이 될 것이며, 새로운 동포의 대열에 합류하여 우리의 입양된 국가를 어떤 외국 압제로부터도 방어하고, 자기 나라, 가족, 이익을 지키는 사람의 결단력과 굳건함으로 방어할 것입니다. 우리를 자녀로 받아들이는 국가는 그런 훌륭하고 인간적이며 관대한 절차에 대해 결코 후회할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발디비아는 조선소, 호프만 제분소, 루돌프 신발 공장, 안반드터 맥주 회사 등 산업으로 번성했다. 코랄의 제철소는 당시 칠레에서 가장 큰 개인 투자였으며 남아메리카 최초의 제철소였다. 1891년 발디비아는 코뮌이 되었다. 1890년 말레코 육교가 건설된 후 철도는 더 남쪽으로 진출하여 1895년 발디비아에 도달했다. 첫 번째 여객 열차가 1899년에 도착했다. 1909년 화재로 발디비아 시내 18개 블록이 파괴되었으며,[17] 현대적인 콘크리트 건물로 재건되었다. 1911년까지 원시림 개간으로 인한 목재 생산이 가장 중요한 산업이 되었다. 가축 사육은 성장하는 산업이었고, 개간된 토지에서는 밀이 재배되었다. 목재, 가축, 가죽, 밀가루, 맥주가 수출되었다. 1895년 도시 인구는 8,062명이었고 1902년에는 9,704명으로 추산되었다.
칼 스코츠버그는 "해안에서 다소 떨어진 칼레칼레 강에 위치한 발디비아는 독일 도시입니다. 어디에서나 독일 얼굴, 스페인어 옆에 독일 간판과 플래카드를 만날 수 있습니다. 큰 독일 학교, 교회, 다양한 ''Vereine'', 대형 신발 공장, 그리고 물론 양조장이 있습니다..."라고 기록했다.
발디비아의 경제적 번영은 20세기 전반에 걸쳐 계속되었다. 1917년 첫 번째 "발디비아 주간"(''Semana Valdiviana'')이 기념되었다. 칠레에서 가장 오래된 미인 대회인 "강의 여왕"(''Reina de Los Ríos'')이 같은 해에 시작되었다. 이 도시는 칠레의 초기 관광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발디비아와 칼레칼레 강을 언급하는 대중가요는 칠레 대중문화에서 더 잘 알려지게 만들었다. 페드로 데 발디비아 다리는 1954년에 건설되었다. 발디비아는 산티아고 데 칠레와 발파라이소와 함께 칠레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발디비아가 겪은 상업 및 인적 유동의 두 가지 좌절은 20세기 초에 발생했다. 먼저 오소르노가 칠레 중부로 철도로 연결되면서 발디비아가 오소르노를 칠레 중부로 연결하는 항구의 자격을 잃었다.[23] 나중에 1911년 파나마 운하의 개통으로 마젤란 해협을 통과하거나 칠레 항구를 방문할 필요가 없게 되면서 선박 교통량이 감소했다.
2. 4. 대지진과 로스 리오스 주 (1960년 ~ 현재)
1960년 5월 22일, 칠레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지진을 겪었으며, 모멘트 규모 9.5를 기록했고 발디비아가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7] 이 지진은 일본,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하와이에 영향을 미치는 파괴적인 쓰나미를 발생시켰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발디비아 주변 요새는 심각하게 파괴되었고, 지반 침강으로 인해 건물들이 파괴되었으며, 지역 강이 깊어졌고, 도시 북쪽에 새로운 수생 공원인 리오 크루세스 이 초로코마요 습지가 생겨났다.지진 후 도시의 넓은 지역이 침수되었고, 트랄칸 산 근처의 산사태가 리니우에 호수를 막았다. 리니우에 호수의 수위는 20m 이상 상승하여, 파괴적인 붕괴와 하류 지역의 모든 것을 파괴할 위험을 높였다. 정부 당국은 도시를 대피시키기 위한 계획을 세웠지만,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떠났다. 대규모 작업팀이 산사태에 배수 채널을 열면서 도시의 위험은 감소했고, 호수의 수위는 서서히 정상으로 돌아왔다. 1575년에 유사한 산사태와 지진이 발생했다는 증거가 있다.[17] 대칠레 지진 이후 발디비아의 경제와 정치적 위상은 하락했다. 도시의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고 많은 주민들이 떠났다.
1973년 칠레 쿠데타와 그 뒤를 이은 군부의 조치로 수십 명의 구금자가 발디비아로 이송되었고, 전국적인 통금령이 시행되었다. 10월에는 호세 그리고리오 리엔도를 포함한 12명의 젊은이들이 안데스 산맥의 콤플레호 포레탈 이 마데레로 팡기풀리에서 발디비아로 이송되어 넬투메 경찰서 습격 및 "게릴라 활동"에 참여했다는 혐의로 총살되었다.
1974년까지 군사 정권은 칠레의 정치적 구분을 재편성하고 발디비아를 로스 라고스 주의 주로 선언했으며, 푸에르토몬트를 주도로 정했다. 많은 발디비아 주민들은 이 결정에 불만을 품었고, 발디비아가 합법적인 주도가 되어야 한다고 느꼈다. 발디비아는 1552년에 건설되었고, 해적 공격, 적대적인 원주민, 그리고 여러 차례의 지진을 견뎌냈지만, 푸에르토몬트는 1853년 (301년 후)에 건설된 비교적 새로운 도시였다.
1980년대 칠레 경제 자유화 이후 발디비아의 임업 부문은 번성했다. 처음에는 코랄에서 일본으로 목재 칩을 수출했고, 그 다음에는 마리키나 (발디비아에서 북동쪽으로 50km)에서 목재 펄프를 생산했다. 이는 발디비아 온대 우림의 삼림 벌채와 소나무와 유칼립투스 식물로의 대체로 이어졌지만,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했다. 발디비아는 1990년대 연어 양식 개발의 혜택을 받기도 했지만, 푸에르토몬트와 칠로에와 같은 지역보다는 훨씬 적은 수준이었다.
3. 지리
칠레 파타고니아의 일부인 발디비아 지역의 지형은 습지와 충적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카오카오, 칼레칼레 및 크루세스와 같은 여러 강이 도시 근처에서 합류하여 더 큰 발디비아 강을 형성한다. 발디비아 강은 다시 발디비아에서 서쪽으로 약 15km 떨어진 코랄 만의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러한 강 네트워크는 발디비아를 선사 시대부터 무역 중심지로 만들었다. 도시 자체는 강변 테라스에 건설되었지만 나중에 인접한 습지로 확장되었다. 오늘날 도시는 북쪽을 제외하고 모든 면에서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곳에서 발디비아의 저지대가 산호세 데 라 마리키나의 평원과 연결된다. 발디비아 주변의 일부 언덕 지역은 미국 원산 소나무(Douglas-fir), ''방사소나무''(Pinus radiata) 및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와 같은 외래종으로 덮여 있다. 다른 장소는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고유 생태계의 보존에 사용된다. 자작나무, 칠엽수, 포플러와 같은 북반구의 외래종 나무도 주거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야자는 드물게 나타난다.
도시의 일부는 1960년과 2010년 칠레 지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진 발생 시 취약한 이전의 습지 또는 인공 매립재로 구성된 열악한 토양 위에 건설되었다.[31]
판 구조론의 맥락에서, 이 도시는 태평양의 나스카 판이 섭입되어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들어가는 수렴 경계에 위치해 있다. 지형학적으로 발디비아는 칠레 해안산맥의 침강 지형에 위치해 있다. 도시 주변 언덕에서 노출된 기반암은 변성암 유형이다. 도시 자체는 주로 굳어진 화산 모래로 이루어진 테라스 위에 건설되었다. 이 화산 사암은 "칸카구아"로 알려져 있으며, 후기 홍적세에 퇴적되었다.[32] 테라스는 마지막 간빙기인 란키우에 빙하기를 앞둔 간빙기 동안 형성되었으며, 이 간빙기는 칠레에서 발디비아 간빙기로 알려져 있다.[33]
올리고세와 초기 마이오세 동안의 구조 운동 및 해수면 변화가 안정적인 기간 동안 침식으로 인해 해안 산맥에 깊은 계곡이 형성되었고, 현재 발디비아 분지의 강어귀에는 늪지가 형성되었다.[34] 약 2350만 년 전, 이 안정적인 기간은 주요 화산 폭발로 인해 중단되었고, 2300만 년 전 페루-칠레 해구에서의 수렴 속도 증가로 인해 지형이 융기하고 침식이 재개되었다.[34] 그러나 분지 침강과 해양 해침으로 인해 깊은 만, 조수 갯벌, 만두 삼각주 및 해변이 형성되었다.[34]
이 지역의 자연 식생은 발디비아 온대 우림이다.
3. 1. 기후
발디비아는 해양성 기후에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35] 여름(12월~2월) 평균 기온은 약 17°C이고, 겨울에는 기온이 8.5°C까지 내려간다. 로스 리오스 주의 연평균 기온은 11°C이며, 평균 기온 진폭은 8.8°C이고 일교차는 11°C이다.[35]연평균 강수량은 1750mm로 연중 고르게 분포하지만, 주로 3월부터 10월 사이에 집중된다.[35] 겨울에는 우박이 자주 내리지만, 눈은 드물게 내린다. 발디비아에 마지막으로 눈이 내린 때는 2020년 8월, 2007년 7월, 그리고 1995년 8월로, 소위 ''테레모토 블랑코''(스페인어로 백색 지진)라고 불리는 시기였다.
내륙에 위치한 세븐 레이크스는 지역 전체의 평균 상대 습도를 80%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평균 습도가 75% 미만인 달은 없다.[35] 강수는 지역을 통과하는 전선 시스템에 의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흐린 날씨가 많고 맑은 날은 적다.[35] 발디비아 해안 산맥의 풍하측 효과는 낮은 고도(세로 온콜에서 715m)와 발디비아 강이 태평양으로 흘러나가는 틈새로 인해 미미하다.
기후 변화로 인해 칼레-칼레 강의 도시 수자원이 해안에서 유입되는 염수로 오염되었다.[36] 발디비아의 수자원에 염수가 유입되는 영향은 2015년 3월에 물맛에 대한 불만이 급증하면서 특히 두드러졌다.[36][37] 발디비아 인근 강의 가을철 염수 농도는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37] 추정에 따르면 크루세스 강과 칼레-칼레 강 방류량의 합이 74m³/s 미만으로 떨어지면 소토 언덕의 공급 지점에 염수가 도달한다.[37]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
최고 기온 기록 °C (°F) | 35.2 (95.4) | 35.4 (95.7) | 32.0 (89.6) | 27.5 (81.5) | 21.2 (70.2) | 18.2 (64.8) | 19.2 (66.6) | 20.0 (68.0) | 25.9 (78.6) | 29.2 (84.6) | 29.8 (85.6) | 33.2 (91.8) | 35.4 (95.7) | |
평균 최고 기온 °C (°F) | 22.7 (72.9) | 22.9 (73.2) | 20.5 (68.9) | 16.8 (62.2) | 13.4 (56.1) | 10.7 (51.3) | 10.5 (50.9) | 12.0 (53.6) | 14.3 (57.7) | 16.5 (61.7) | 18.6 (65.5) | 21.0 (69.8) | 16.6 (61.9) | |
평균 기온 °C (°F) | 18.2 (64.8) | 17.8 (64.0) | 15.7 (60.3) | 12.7 (54.9) | 10.5 (50.9) | 8.1 (46.6) | 7.8 (46.0) | 8.8 (47.8) | 10.7 (51.3) | 12.8 (55.0) | 14.8 (58.6) | 17.1 (62.8) | 12.9 (55.2) | |
평균 최저 기온 °C (°F) | 10.5 (50.9) | 9.6 (49.3) | 8.3 (46.9) | 6.9 (44.4) | 6.9 (44.4) | 5.1 (41.2) | 4.6 (40.3) | 4.5 (40.1) | 5.2 (41.4) | 6.8 (44.2) | 8.6 (47.5) | 10.4 (50.7) | 7.3 (45.1) | |
최저 기온 기록 °C (°F) | 0.1 (32.2) | 0.2 (32.4) | -1.2 (29.8) | -3.8 (25.2) | -6.0 (21.2) | -6.8 (19.8) | -7.2 (19.0) | -5.2 (22.6) | -5.0 (23.0) | -2.6 (27.3) | -1.4 (29.5) | 0.0 (32.0) | -7.2 (19.0) | |
강수량 mm (인치) | 48.8 (1.92) | 46.0 (1.81) | 67.7 (2.67) | 131.5 (5.18) | 285.6 (11.24) | 325.7 (12.82) | 282.8 (11.13) | 212.3 (8.36) | 141.7 (5.58) | 103.2 (4.06) | 77.5 (3.05) | 64.7 (2.55) | ||
평균 강수일수 | 8 | 7 | 10 | 15 | 22 | 22 | 22 | 21 | 16 | 14 | 11 | 9 | ||
평균 상대 습도 (%) | 63 | 64 | 72 | 80 | 87 | 89 | 87 | 83 | 76 | 72 | 68 | 65 | ||
평균 월간 일조 시간 | 288.3 | 259.9 | 213.9 | 132.0 | 80.6 | 45.0 | 71.3 | 108.5 | 147.0 | 195.3 | 213.0 | 263.5 |
이 지역의 자연 식생은 발디비아 온대 우림이다.
4. 인구
2002년 국립 통계청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발디비아 코무나는 1015.6 km2의 면적에 140,559명(남성 68,510명, 여성 72,049명)이 거주한다. 이 중 129,952명(92.5%)이 도시 지역에, 10,607명(7.5%)이 농촌 지역에 거주했다. 1992년과 2002년 인구 조사 사이 인구는 15.1%(18,391명) 증가했다.[3] 발디비아 시는 42.39 km2의 면적에 127,750명의 인구와 35,217채의 가구가 있어 인구 밀도는 3013.7명/km2이다.[3]
인구 중에서는 독일계 이민자와 스페인계 이민자 후손의 존재도 두드러지며, 이들은 다양한 사회, 교육, 스포츠 및 문화 기관으로 묶여 있다.
5. 경제
발디비아 시와 코무나는 임업, 펄프 및 제지 산업 및 기타 임업 관련 활동(근처 유칼립투스 및 미국 솔송나무 농장에서 목재를 수확하고 가공하는 것)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CELCO, 보마실(Bomasil) 및 루이지애나-퍼시픽(Louisiana-Pacific)과 같은 대규모 기업이 발디비아 근처에 목재 가공 공장을 설립했다. 야금, 조선 및 수리 또한 중요한 산업이며, 아세나브(Asenav)와 Alwoplast가 이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43] 농림업/농업, 축산업, 양식업 및 식품 가공은 덜하지만 이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중요한 산업이기도 하다. 초콜릿 회사(엔트레라고스(Entrelagos))는 양조장 산업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의 이미지에 기여하며, 이는 이 지역의 상징이자 지역 경제의 또 다른 중요한 부분이며, 쿤스트만(Kunstmann)은 발디비아에서 가장 유명한 양조장이다. 맥주는 콜드 컷 고기 및 소시지와 함께 이 도시의 독일 유산의 일부이며 지역 유산의 일부로 보존되어 있다.[44] 무역, 레스토랑 및 호텔은 발디비아의 성장하는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관광 산업과 연계되어 있다.[45]
5. 1. 관광
발디비아는 칠레의 역사적인 관광 명소로, 도시와 주변 지역의 아름다움, 지역의 문화, 그리고 역사로 인해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발디비아는 사계절 관광 도시이지만, 특히 여름 (12월, 1월, 2월) 동안 관광은 발디비아 경제의 주요 수입원이다.[46] 1917년부터 알려진 "발디비아 주간"(스페인어: ''Semana Valdiviana'')은 도시 건립 이후 이어진 오래된 전통이다. 매년 2월 9일부터 시작[46]하여 도시의 기념일을 기념하고 발디비아가 관광 중심지로서 홍보할 기회를 제공한다. "Semana Valdiviana"는 17세기에 스페인 당국에 대한 항의로 시작된 전통인 배들의 우화적인 퍼레이드를 특징으로 하며, 대규모 공예 시장, 유원지 놀이기구, 그리고 로스 리오스의 "여왕" 선발을 포함한다. 이 주간은 "Noche Valdiviana"(발디비아의 밤)으로 알려진 폐막 밤의 불꽃놀이와 연극 공연으로 마무리된다.[46]도시 중심부에는 풍부한 건축 유산이 있다. 가장 많이 방문하는 건물 중 하나는 "Mercado Municipal"("시립 시장")[47]으로, 현지 농산물 시장이자 현재는 미식 및 문화 명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Convento San Francisco"(성 프란치스코 수도원)와 20세기 초에 지어진 유럽 스타일 건물도 인기가 높으며, 현재는 도시의 대학교, 문화 센터, 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다.[47]
6. 문화
발디비아는 초기 스페인 식민 시대와 독일 식민지화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 칠레의 다른 도시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24] 두 시대 모두 코랄만 요새와 독일식 목조 주택과 같은 눈에 띄는 랜드마크를 남겼다.[24] 스페인과 독일 정부는 현재 발디비아에 명예 영사관을 유지하고 있다. 이 도시는 칠레의 관광 명소로, ''라 펄라 델 수르''("남쪽의 진주") 및 ''라 시우다드 마스 린다 데 칠레''("칠레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로 묘사되기도 한다.[24]
매년 1월과 2월 여름철에는 강변에서 콘서트, 스포츠 행사 등 다양한 무료 문화 행사가 열린다.[24] 2월 중순에는 ''노체 발디비아나''(발디비아의 밤) 축제가 열려 관광 여름철을 마감한다.[24] 이 밤 동안 지역 단체와 지역 사회는 보트를 타고 강 위에서 퍼레이드를 펼치며, 심사위원단이 여러 부문에서 우승자를 선정한다.[24]
1840년대 중반 독일인들이 발디비아로 이주한 이후, 독일 문화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24] 발디비아의 독일인들은 주로 테하 섬(Isla Teja)과 콜리코 교외 지역에 정착했으며, 페드로 데 발디비아 다리 건설 이전에는 테하 섬 주민들이 도시와 격리되어 생활하여 독일어를 먼저 배우는 경우가 흔했다.[24] 오늘날 독일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독일 학교 중 하나인 ''카를로스 안반터 독일 학교(Instituto Alemán Carlos Anwandter)''에서 보존되고 있다.[24] 독일 후손들은 테하 섬에 위치한 발디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소방서인 ''게르마니아''를 설립했다.[24]
발디비아는 매년 1월 말 또는 2월에 ''비어페스트 발디비아''(Bierfest Valdivia)를 개최하는데, 이는 작은 지역 옥토버페스트로 묘사될 수 있다.[24] 주요 후원자이자 주최자는 지역 맥주 회사인 쿤스트만(Kunstmann)이다.[24]
발디비아 도서전은 사발 공원(Parque Saval)에서 시립 문화 법인이 매년 주최한다.[25] 칠레 작가 협회는 발디비아 지사를 통해 칠레 오스트랄 대학교의 협력을 받아 정기적으로 문학 모임을 개최한다.[26] 로스 리오스 주에서 태어난 마하 비알(Maha Vial),[27] 이반 에스피노사 리에스코(Iván Espinoza Riesco),[28] 호세 바로하(José Baroja),[29] 알도 아스테테 쿠아드라(Aldo Astete Cuadra), 에프라인 미란다 카르데나스(Efraín Miranda Cárdenas) 등의 작가들이 이 도시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30]
아우스트랄 대학교와 CECS 연구 센터 설립으로 발디비아는 현재 칠레의 주요 연구 센터로 간주된다. 특히 빙하학 및 생태학과 같은 자연 관련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24]
최근 몇 년 동안 발디비아 사람들은 자연과 생태 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시스네스를 위한 행동과 같은 생태학적 그룹이 결성되어 검은목 백조와 도시를 둘러싼 자연 환경, 특히 칠레 대지진으로 인해 생성되거나 확장된 습지를 보호하고 있다.[24]
7. 교통
발디비아의 대부분은 발디비아 강과 카예-카예 강 남쪽에 위치해 있지만, 테하 섬과 라스 아니마스와 같은 도시의 다른 지역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로 들어가는 주요 진입로는 북쪽의 카예-카예 다리와 남쪽 경로이다. 이 두 경로는 모두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숲과 습지를 통과한다. 207번 국도는 발디비아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5번 국도의 파이아코 마을과 연결된다.[50]
카예-카예 다리는 도시에서 처음 건설된 다리로 발디비아와 라스 아니마스를 연결하며 도시의 북쪽 고속도로 진입로를 형성한다. 페드로 데 발디비아 다리는 1954년에 건설되었으며, 한때 많은 독일 이민자들이 살았던 테하 섬과 도시를 연결한다. 1960년 1960년 발디비아 지진 당시에는 작은 카오카오 다리 (라스 아니마스와 테하 섬 연결)만 파괴되었고, 다른 모든 다리는 수리되어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1987년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리오 크루세스 다리를 개통하여 니에블라 해안 마을과 토로바요, 푸누카파를 도로로 접근할 수 있게 했다. 도시의 주요 진입로인 카예-카예 다리는 1990년대에 확장되었다.
새로운 카우 카우 다리는 시내 중심에서 테하 섬을 거쳐 피초이 공항까지 더 빠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지만, 부실한 건설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발디비아의 경제와 시민들은 고속도로 다리가 건설되기 전까지 주변 강에서 운행하는 배에 의존했지만, 다리와 고속도로가 수축되면서 강의 중요성은 감소했다. 오늘날, 강은 칠레에서 가장 중요한 조선소 회사 중 하나인 아세나브(Asenav)에서 건조되거나 수리된 상선과 관광 유람선에 의해 사용된다. 관광 유람선이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지역으로는 만세라 섬과 푸누카파 등이 있다.
어선 또한 해안에서 내륙의 강 시장까지 운항한다. 오늘날에는 니에블라–코랄 노선 단 하나의 페리만 운행 중인데, 도로를 이용하는 것보다 페리를 이용하는 것이 코랄에 훨씬 더 빨리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동안 강은 발디비아의 대중 교통에서 주요 역할을 하지 못했지만, "로스 솔라레스"[51]라는 환경 친화적인 회사가 발디비아 강에서 태양열 동력의 강 택시를 운영하는 새로운 민간 프로젝트가 개발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지속 가능한 수로 운송(Transporte Fluvial Sustentable, TFS)'이라고 불린다. 현재까지 이 회사는 3대의 강 택시를 보유하고 있으며,[52] 부두, 카페 및 회사의 사무실을 포함하는 작고 지속 가능하며 지역에서 설계된 수상 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공동체는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물을 공급하며, 박테리아 용액으로 자체 폐수를 처리한다.[53]
7. 1. 공항
발디비아 시는 주로 피초이 공항을 이용하며, 시의 북쪽 진입로를 통해 시와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를 연결하여 시에서 북동쪽으로 32km 떨어져 있다. 소규모 항공기가 주로 이용하는 라스 마리아스 공항은 훨씬 가깝지만, 운영하는 항공사는 없다.8. 교육
8. 1. 대학교
발디비아에는 여러 공립 및 사립 학교와 대학교가 있다. 가장 크고 오래된 대학교는 1954년 칙령에 의해 칠레의 7개 칠레 전통 대학교 중 하나로 설립된 칠레 아우스트랄 대학교(Universidad Austral de Chile, UACh)이다. 이 대학교의 본교는 테하 섬에 위치해 있으며, 도시와 남부 칠레 전역에 걸쳐 다른 부속 캠퍼스와 재산을 가지고 있다. 1980년대 칠레의 고등 교육 자유화 이후, 아르투로 프라트 대학교(Universidad Arturo Prat), 산 세바스티안 대학교(Universidad San Sebastián), 산토 토마스 대학교(Universidad Santo Tomás) 및 로스라고스 대학교(Universidad de Los Lagos)를 포함한 다른 대학교들이 발디비아에 캠퍼스를 설립했다.8. 2. 학교
카를로스 안반터 독일 학교(Deutsche Schule Valdivia)는 1858년에 설립되어 오소르노 독일 학교(1854년)에 이어 칠레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독일 학교이다. 다른 주목할 만한 사립 학교로는 윈저 학교(Windsor School)와 콜레히오 산 루이스 데 알바가 있다. 발디비아 살레시오 연구소(Instituto Salesiano de Valdivia), 렉토르 아르만도 로블레스 리베라 고등학교(Liceo Rector Armando Robles Rivera) 및 상업 고등학교(Liceo Comercial)는 칠레의 공립 학교중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참조
[1]
웹사이트
Asociación Chilena de Municipalidades
https://web.archive.[...]
2011-02-23
[2]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Valdivia
https://web.archive.[...]
2011-02-23
[3]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http://www.ine.cl/ca[...]
2010-02-07
[4]
웹사이트
Censo 2017: Primera entrega de resultados definitivos - Cantidad de personas por sexo y edad
http://www.censo2017[...]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2019-01-01
[5]
웹사이트
Ciudades, pueblos, aldeas y caceríos 2019
https://geoarchivos.[...]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2019-01-01
[6]
웹사이트
The Defensive Complex of Valdivia
https://whc.unesco.o[...]
2007-08-15
[7]
웹사이트
Historic Earthquakes – Chile – 1960 May 22 19:11:14 UTC – Magnitude 9.5: The Largest Earthquake in the World
https://earthquake.u[...]
U.S. Geological Survey
2006-03-07
[8]
논문
La desaparición del luchecillo (Egeria densa) del Santuario del Rio Cruces (Valdivia, Chile): una hipótesis plausible
2006-01-01
[9]
웹사이트
Ley de Humedales Urbanos 21.202 y su Reglamento
https://humedaleschi[...]
Government of Chile
2021-04-04
[10]
뉴스
Reconocen como humedales urbanos a Angachilla y el sector de Isla Teja en Valdivia
https://www.biobioch[...]
2021-12-10
[11]
서적
Monteverde: A Late Pleistocene Settlement in Chile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89-01-01
[12]
논문
Geoarqueología del sitio arcaico Chan-Chan 18
http://www.scielo.cl[...]
2005-01-01
[13]
웹사이트
Was Jōmon the origin of the Valdivia culture? • Neperos
https://www.neperos.[...]
2023-12-05
[14]
서적
Crónica del reino de Chile, Colección de historiadores de Chile
Imprenta del Ferrocarril
1865-01-01
[15]
서적
Nueva historia de Valdivia
Editorial Universidad Católica de Chile
2001-01-01
[16]
서적
Crónica y relación copiosa y verdadera de los reynos de Chile
Fondo Histórico y Bibliográfico José Toribio Medina
1966-01-01
[17]
웹사이트
Breve Historia de Valdivia
http://www.buscalibr[...]
Editorial Francisco de Aguirre
2007-09-17
[18]
웹사이트
Historia
https://web.archive.[...]
Servicio Nacional del Patrimonio Cultural
2020-04-07
[19]
논문
La expedición de John Narborough a Chile, 1670: Defensa de Valdivia, rumeros de indios, informaciones de los prisioneros y la creencia en la Ciudad de los Césares
https://scielo.conic[...]
2017-01-01
[20]
논문
Reseña de "La frontera de arriba en Chile colonial. Interacción hispano-indígena en el territorio entre Valdivia y Chiloé e imaginario de sus bordes geográficos, 1600–1800" de MARÍA XIMENA URBINA CARRASCO
http://www.redalyc.o[...]
2009-01-01
[21]
서적
The Voyage of the Beagle
[22]
서적
La Huella del Fuego: Historia de los bosques y cambios en el paisaje del sur de Chile
Editorial Pehuen
[23]
논문
Investigación aplicada sobre Geografía Urbana: Un caso práctico en la ciudad de Valdivia
http://mingaonline.u[...]
UACh
[24]
논문
Aspectos diacrónicos en la toponimia de Valdivia
http://www.anales.uc[...]
1984-01-01
[25]
웹사이트
Todo lo que necesitas saber sobre la 29° Feria del Libro de Valdivia
https://www.diariofu[...]
2022-06-16
[26]
웹사이트
Invitan a nueva tertulia literaria Tren de letras bajo la lluvia
https://diario.uach.[...]
2022-06-16
[27]
웹사이트
Muere la poeta y actriz Maha Vial
https://www.latercer[...]
2020-10-27
[28]
웹사이트
Iván Espinoza Riesco
https://comunidadcre[...]
2022-06-16
[29]
웹사이트
"La escritura le aportó sentido, coherencia e identidad a mi vida"
https://www.elcorreo[...]
2022-06-16
[30]
웹사이트
Aldo Astete Cuadra – El Ser que acecha entre la Lluvia
https://comunidadcre[...]
2022-06-16
[31]
논문
El terremoto chileno del 27 de febrero de 2010: Análisis preliminar de las consecuencias en la ciudad de Valdivia
2013-01-01
[32]
논문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y of a late Pleistocene incised valley fill: a depositional and paleogeographic model for "Cancagua" deposits in north-western Patagonia, Chile
http://www.andeangeo[...]
2018-01-01
[33]
논문
Fossil leaves from the last interglacial in Central-Southern Chile: Inferences regarding the vegetation and paleoclimate
http://www.raco.cat/[...]
2011-01-01
[34]
논문
Sedimentologic development of a Late Oligocene–Miocene forearc embayment, Valdivia Basin Complex, southern Chile
https://www.scienced[...]
2000-01-01
[35]
웹사이트
Dirección Meteorológica de Chile
http://www.meteochil[...]
[36]
뉴스
Científicos proyectan en 80 años la llegada de mar a toma de agua en Valdivia para buscar soluciones
https://www.biobioch[...]
2020-09-21
[37]
뉴스
El mar se acerca a principal toma de agua dulce en Valdivia y amenaza calidad del recurso
https://www.biobioch[...]
2020-09-16
[38]
웹사이트
Datos Normales y Promedios Históricos Promedios de 30 años o menos
https://climatologia[...]
Dirección Meteorológica de Chile
[39]
웹사이트
Temperatura Histórica de la Estación Pichoy, Valdivia Ad. (390006)
https://climatologia[...]
Dirección Meteorológica de Chile
[40]
웹사이트
Estadistica Climatologica Tomo II
https://web.archive.[...]
Dirección General de Aeronáutica Civil
2001-03-01
[41]
웹사이트
Pichoy Valdivia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42]
문서
Forbes List of Billionaires 2006
[43]
간행물
Los Ríos en Cifras_V4_Diciembre_2010(1)
http://www.inelosrio[...]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S DIRECCIÓN REGIONAL DE LOS RÍOS
2010-10-01
[44]
웹사이트
Gobierno de Chile
http://www.gobiernod[...]
Gobiernodechile.cl
[45]
웹사이트
El Indicador de Actividad Económica Regional (INACER) presentó alza de 3,4% respecto a doce meses
http://www.inelosrio[...]
2014-02-18
[46]
웹사이트
CULTURA E IDENTIDAD DE VALDIVIA
http://www.munivaldi[...]
2014-02-18
[47]
웹사이트
Mercado Municipal de Valdivia
http://www.valdivia.[...]
[48]
웹사이트
World Rowing Medalists
https://archive.toda[...]
[49]
웹사이트
DIMAYOR
http://www.dimayor.c[...]
[50]
서적
Chile: The Bradt Travel Guide
Bradt Travel Guides
[51]
웹사이트
Rutas de Los Solares Transportes TFS
http://www.solaresde[...]
[52]
웹사이트
Barrio Flotante en Valdivia ya está en marcha
http://www.elnavegha[...]
2013-01-27
[53]
웹사이트
Valdivia’s River neighbourhood Short documentary with English subtitles
http://www.livingatl[...]
2014-02-18
[54]
간행물
South Pacific Continental Report Annual 1998
CSIRO, AGSO - Marine And Petroleum Division
[55]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56]
웹사이트
Estadisca Climatologica Tomo II
http://164.77.222.61[...]
Dirección General de Aeronáutica Civil
2001-03-01
[57]
웹인용
Estadistica Climatologica Tomo II
https://web.archive.[...]
Dirección General de Aeronáutica Civil
2001-03-01
[58]
웹인용
Temperatura Mensual Histórica de Pichoy, Valdivia. (390006)
https://web.archive.[...]
Dirección Meteorológica de Chile
[59]
웹인용
Tabla 4.6: Medias mensuales de horas de sol diarias extraídas del WRDC ruso (en (hrs./dia))
https://www.u-cursos[...]
Universidad de Chile
2007-09-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