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마법은 흑마법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선한 의도와 목적을 가진 마법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백마법은 구석기 시대 종교에서 기원하여 고대 이집트, 유대교, 초기 기독교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자연 마법과 결합하여 발전했다. 현대에는 시술자의 의도에 따라 백마법과 흑마법을 구분하며, 개인의 운세 개선, 질병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백마법은 여신 숭배와 관련되기도 하며, 흑마법, 사술, 요술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양의 밀교 - 서양 밀교
서양 밀교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시작하여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으며, 영지주의, 헤르메스주의, 카발라, 신지학 등 다양한 사상적 흐름을 포괄한다. - 서양의 밀교 - 전통주의 영원철학
- 마법 - 마법사
마법사는 민담, 동화, 판타지 등에서 마법을 사용하는 인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선악의 역할과 다양한 능력을 지닌 존재로 묘사되며, 현실에서는 마술사나 역사 속 인물, 동아시아 신화 속 인물들과 연관되기도 한다. - 마법 - 아풀레이우스
아풀레이우스는 로마 제국 시대 북아프리카 출신의 작가이자 철학자, 웅변가로, 『황금 당나귀』라는 소설과 뛰어난 변론 능력으로 유명하며, 플라톤 철학 연구와 신플라톤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백마법 | |
---|---|
마법 | |
개요 | |
종류 | 마법 |
목적 | 이타적인 목적 |
특징 | 시전자에게 이익이 되지 않음 |
관련 용어 | 흑마법 |
2. 역사
개러스 나이트는 1978년 저서 《백마법의 역사》에서 백마법의 기원을 구석기 시대 종교의 초기 적응과 초기 종교사 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았으며, 여기에는 고대 이집트의 다신교 전통과 후기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의 일신교 사상이 포함된다고 설명한다.[11]
나이트는 백마술 전통의 많은 부분이 "언덕 꼭대기 사당에서 숭배되던 다산과 초목의 신들과 여신들"에 대한 초기 숭배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농경 생활에 정착한 유목 민족에게 매력적이었다"고 설명한다.[12] 그는 특히 유목 히브리어 사용 부족에 초점을 맞추고, 초기 유대인들이 그러한 신을 숭배하는 것을 악이 아닌 격세유전의 관점에서 보았다고 주장한다. 다신교와 이교 로마 제국이 확장되면서 유대교 지도자들은 그러한 생각에 반대하기 시작했다.[11]
15세기 후반까지 자연 마법은 "고등 문화계에서 많이 논의되었다."[13]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영적 존재와 영혼의 존재를 옹호했지만, 그러한 많은 이론은 후기 계몽주의 시대의 개념에 반했다. 피치노와 그의 지지자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에 의해 적대시되었지만, 교회 자체도 그러한 존재의 존재를 인정했다. 그러한 인정은 위치크래프트에 반대하는 캠페인의 핵심이었다.[13]
나이트는 초기 "자연" 종교와 이후의 철학적 사고와 같은 이러한 아이디어의 결합이 백마법의 뿌리가 되었다고 주장한다.[15] 또한 백마법의 뿌리에는 상징과 종교적 상징이 중요하다. 나이트가 예시로 든 별은 유대 전통과 초기 기독교인(다윗의 별과 같은), 후기 프리메이슨 전통과 신이교에 매우 중요했다.[11] 그것은 오각형과 야간 의식의 형태로 백마법 수행자들에게 계속해서 중요하다.
잠벨리는 백마법이 흑마법과 특별히 구별되지는 않았지만 종교 재판과 반위치크래프트 정서 시대에 오컬트 및 이교도 연구의 더 수용 가능한 형태로 성장했다고 주장한다.[16] 흑마법이 트리테미우스의 악마 소환과 관련된 것이라면, 피치노의 "순수한 자연" 백마법은 사악하거나 비종교적인 의도가 전혀 없는 일반적인 "자연" 현상에 대한 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잠벨리는 조르다노 브루노와 같은 학자를 "은밀한" 마법 수행자의 범주에 넣는다.[13]
2. 1. 초기 기원
개러스 나이트는 1978년 저서 《백마법의 역사》에서 백마법의 기원을 구석기 시대 종교의 초기 적응, 고대 이집트의 다신교 전통, 초기 유대교 및 초기 기독교의 일신교 사상 등에서 찾았다.[11]나이트는 백마술 전통의 많은 부분이 "언덕 꼭대기 사당에서 숭배되던 다산과 초목의 신들과 여신들"에 대한 초기 숭배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농경 생활에 정착한 유목 민족에게 매력적이었다"고 설명한다.[12] 그는 특히 유목 히브리어 사용 부족에 초점을 맞추고, 초기 유대인들이 그러한 신을 숭배하는 것을 악이 아닌 격세유전의 관점에서 보았다고 주장한다. 다신교와 이교 로마 제국이 확장되면서 유대교 지도자들은 그러한 생각에 반대하기 시작했다.[11]
백마법의 초기 기원은 영민한 사람들에게서도 찾을 수 있다. 백마법은 해를 입는 자가 없고 술자나 소원자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옛날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개운, 성취, 기우제, 풍작 기원, 수확 기원, 분실물 찾기, 파손된 물건 수리, 병 치료 등을 위해 사용되는 마법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중세에는 약초학, 연금술도 마법의 분야였으며, 이는 현대 약학, 의학, 화학의 원형이 되었다.
시술자의 상대방에게 손해를 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흑마법이나 저주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다 (예: 전쟁 승리 기원). 이야기 속에서는 천사 등의 "성스러운 것"의 힘을 빌리는 것을 "백마법", 악마 등의 "사악한 것"의 힘을 빌리는 것을 "흑마법"으로 나누는 경우가 있지만, 성과 악, 흑과 백은 각 개인의 신앙이나 윤리에 따라 달라진다.
2. 2. 르네상스 시대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영적 존재와 정령의 존재를 옹호하며, 해로운 정령을 소환하지 않는 "순수한 자연" 마법을 이론화했다.[13][4] 그러나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는 피치노의 이론에 반대하며 정령과의 유익한 소통을 위한 주문과 주술을 만들었지만, 그의 저서 ''Steganographia''는 오랫동안 금서 목록에 포함되었다.[13][4]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는 트리테미우스의 제자로, 고전적 요소, 수비학, 점성술, 카발라 등을 활용하는 오컬트 철학을 발전시켰다. 그의 저서 ''De occulta philosophia libri tres''에는 이러한 요소들을 의학, 투시, 연금술 및 의식에 활용하는 방법이 담겨 있다.[13][4] 지암바티스타 델라 포르타는 그의 저서 ''Magia Naturalis''에서 아그리파의 아이디어를 확장했다.[14][5]
이러한 르네상스 시대의 자연 마법은 초기 "자연" 종교와 철학적 사고의 결합으로, 백마술 전통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15][3]
2. 3. 현대적 해석
로버트 M. 플레이스는 2009년 저서 《마법과 연금술》에서 흑마법과 백마법을 현대적으로 폭넓게 정의하며, 시술자의 의도에 따라 "높은 마법"(흰색)과 "낮은 마법"(검은색)으로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17][6] 그는 백마법의 목적이 "선을 행하는 것"이거나 "수행자를 깨달음이나 의식의 더 높은 영적 상태로 이끄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7][6] 그러나 선의의 민속 마술이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값비싸거나 배타적인 요소가 포함된 의식 마술은 의도와 관계없이 일부 사람들에게 "높은 마술"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편견에 영향을 받는다고 인정한다.[17][6]플레이스에 따르면, 선사 시대 샤머니즘 마법은 질병이나 부상 치료, 꿈 해석을 통한 미래 예측, 분실물 찾기, 정령 달래기, 날씨나 수확 조절, 행운 생성 등 백마술의 기본 틀을 형성하였다.[6]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이러한 전통은 다양한 형태로 이어져 오고 있으며, 특히 정신적 치유와 관련된 분야에서 백마술의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3. 여신 숭배와의 관련성
현대 백마법은 어머니 여신, 요정, 자연 정령, 자연과의 일체감, 여신 숭배와 같은 여성적인 개념과 자주 연관된다.[7] 현대의 이야기나 동화에서 "백마법"의 개념은 종종 자애로운 할머니 또는 자상한 어머니와 같은 정신과 연관된다. 백마법과 어머니 지구 간의 연관성은 마리안 그린의 저서에서 자주 나타나는 주제이다.[7]
4. 현대 사회에서의 활용
현대 사회에서 백마법은 개인의 운세 개선, 소원 성취, 기우제, 풍작 기원, 분실물 찾기, 파손된 물건 복구, 질병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6] 중세 시대의 약초학, 연금술은 현대 약학, 의학, 화학의 원형이 되었으며, 이는 백마법이 현대 과학 기술 발전에도 일정 부분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로버트 M. 플레이스에 따르면, 사실상 모든 선사 시대의 샤머니즘 마법은 백마법을 "돕는" 것이었고, 그 마법의 기본 본질은 현대 백마법의 틀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다. 예를 들어 질병이나 부상 치료, 미래 예측 또는 꿈 해석, 분실물 찾기, 정령 달래기, 날씨 또는 수확 조절, 행운이나 웰빙 창출 등이 있다.[6]
그러나 전쟁 승리 기원과 같이 시술자의 상대방에게 손해를 주는 경우에는 흑마법 또는 저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6]
5. 흑마법과의 관계
백마법은 해를 입는 사람 없이 술자나 소원자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마법으로 여겨진다. 옛날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개운, 성취, 기우제, 풍작 기원, 분실물 찾기, 물건 수리, 병 치료 등에 사용되었다. 중세에는 약초학, 연금술도 백마법의 분야였으며, 이는 현대 약학, 의학, 화학의 원형이 되었다.
하지만 시술자의 상대방에게 손해를 주는 경우가 있어 흑마법이나 저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전쟁 승리 기원은 상대방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5. 1. 대립되는 개념
백마법은 흑마법, 사술, 요술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여겨진다. 흑마법은 악마나 사악한 존재의 힘을 빌려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마법으로 간주된다.[17]로버트 M. 플레이스는 그의 저서 《마법과 연금술》에서 흑마법과 백마법을 현대적으로 폭넓게 정의하면서,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의도에 따라 "높은 마법"(흰색)과 "낮은 마법"(검은색)으로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고 하였다.[17] 그는 백마법의 목적이 "선을 행하는 것"이거나 "개인 수행자를 깨달음이나 의식의 더 높은 영적 상태로 이끄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7]
플레이스에 따르면 사실상 모든 선사 시대 샤머니즘 마법은 백마법을 "돕는" 것이었고, 그 마법의 기본 본질은 현대 백마술의 틀을 형성한다. 날씨나 수확을 제어하고 행운이나 웰빙을 생성한다.[18]
이야기 속에서는 천사 등의 "성스러운 것"의 힘을 빌리는(또는 소환하는) 것을 "백마법", 악마 등의 "사악한 것"의 힘을 빌리는(또는 소환하는) 것을 "흑마법"으로 나누는 경우가 있다.
5. 2. 구분의 모호성
로버트 M. 플레이스는 그의 저서 《마법과 연금술》에서 흑마법과 백마법을 현대적으로 폭넓게 정의하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높은 마법"(흰색)과 "낮은 마법"(검은색)으로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고 하였다.[17] 그는 백마법의 목적이 "선을 행하는 것"이거나 "개행자를 깨달음이나 의식의 더 높은 영적 상태로 이끄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7]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선의의 민속 마술이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고가의 또는 배타적인 요소가 포함된 의식 마술은 의도와 관계없이 일부 사람들에 의해 "높은 마술"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편견에 시달린다는 것을 인정한다.[17]플레이스에 따르면 사실상 모든 선사 시대 샤머니즘 마법은 백마법을 "돕는" 것이었고 따라서 그 마법의 기본 본질은 현대 백마술의 틀을 형성한다. 날씨나 수확을 제어하고 행운이나 웰빙을 생성한다.[18]
백마법은 해를 입는 자가 없고 술자나 소원자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옛날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개운, 성취, 기우제, 풍작, 기원, 수확 기원, 분실물 찾기, 파손된 물건 수리, 병의 치료 등을 위해 사용되는 마법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중세에는 약초학, 연금술도 마법의 분야였으며 현대의 약학, 의학, 화학의 원형이 되었다.
하지만, 시술자의 상대방에게 손해를 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흑마법이나 저주로 해석되는 경우가 있다(예: 전쟁 승리 기원).
이야기 속에서는, 천사 등의 "성스러운 것"의 힘을 빌리는(또는 소환하는) 것을 "백마법", 악마 등의 "사악한 것"의 힘을 빌리는(또는 소환하는) 것을 "흑마법"으로 나누는 경우가 있다. 단, 성악흑백은 각 개인의 신앙이나 윤리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참조
[1]
간행물
Practice and perception of black magic among the Hittites
https://www.sprachwi[...]
2010
[2]
서적
Magic and the Common People of Early Modern Europe
https://www.lutherco[...]
[3]
서적
A History of White Magic
https://books.google[...]
Skylight Press
2011
[4]
서적
White Magic, Black Magic in the Europe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RILL
2007
[5]
서적
The Occult Sciences in the Renaissance: A Study in Intellectual Patter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6]
서적
Magic and Alchem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7]
서적
White Magic
https://books.google[...]
Southwater
2004
[8]
저널
Practice and perception of black magic among the Hittites
https://www.sprachwi[...]
2010
[9]
저널
The Magic Art of Witchcraft and Black Magic
http://citeseerx.ist[...]
2015
[10]
서적
Magic and the Common People of Early Modern Europe
https://www.lutherco[...]
[11]
서적
A History of White Magic
https://books.google[...]
Skylight Press
2011
[12]
서적
A History of White Magic
https://books.google[...]
Skylight Press
2011
[13]
서적
White Magic, Black Magic in the Europe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RILL
2007
[14]
서적
The Occult Sciences in the Renaissance: A Study in Intellectual Patter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15]
서적
A History of White Magic
https://books.google[...]
Skylight Press
2011
[16]
서적
White Magic, Black Magic in the Europe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RILL
2007
[17]
서적
Magic and Alchem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18]
서적
Magic and Alchem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19]
서적
White Magic
https://books.google[...]
Southwater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