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름스 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름스 의회는 152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마르틴 루터의 견해를 듣기 위해 소집한 제국 의회이다. 루터는 교황 레오 10세의 칙서와 자신의 저작에 대한 질문을 받았으며,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의회는 루터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그의 저작을 금지하는 보름스 칙령을 발표했으나, 루터는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의 보호를 받아 바르트부르크 성에 피신했다. 보름스 의회는 종교 개혁의 확산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루터의 용기 있는 행동은 역사적으로 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0년대 신성 로마 제국 - 코냐크 동맹 전쟁
    코냐크 동맹 전쟁은 1526년부터 1530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에서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주도한 코냐크 동맹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이탈리아의 분열 심화, 교황권 쇠퇴,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간접적 원인이 되었다.
  • 1520년대 신성 로마 제국 - 독일 농민전쟁
    독일 농민전쟁은 1524년부터 1526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에서 일어난 농민 반란으로, 과중한 세금과 영주들의 횡포에 시달리던 농민들이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자신들의 권리를 찾기 위해 봉기를 일으킨 사건이다.
보름스 의회
개요
이름보름스 제국의회
독일어 명칭Reichstag zu Worms
장소보름스
날짜1521년 1월 28일 ~ 1521년 5월 25일
신성 로마 황제카를 5세
주요 인물
관련된 인물마르틴 루터
배경
배경종교 개혁
목적
목적루터의 이단 혐의 심문
신성 로마 제국의 정치적 문제 논의
주요 사건
주요 사건마르틴 루터의 출두 및 신념 철회 거부
보름스 칙령 발표
결과
결과루터, 제국으로부터 추방
루터의 저술 금지
종교 개혁 운동 확산
추가 정보
중요성종교 개혁의 중요한 전환점

2. 배경

1517년 마르틴 루터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하면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면죄부 판매 등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자, 독일 전역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는 곧 종교 개혁 운동으로 이어졌다. 1519년 라이프치히 논쟁에서 루터는 교황과 공의회의 권위를 부정하는 발언을 하여 교황레오 10세와 갈등을 빚었다.

1520년 6월, 교황 레오 10세는 교황 칙서 ''Exsurge Domine''(주여 일어나소서)를 발표하여 루터의 주장을 반박했다.[1] 152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루터 지지 세력과 민중의 압력으로 인해 제국 의회를 소집하고 루터를 소환하여 그의 주장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루터는 이를 거부했고, 결국 이단으로 몰려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파문당했다. 또한 제국으로부터 추방당하는 제국 금지령에 처해졌으나, 작센 선제후프리드리히 3세의 보호를 받아 바르트부르크 성에 은신하게 되었다.

마르틴 루터가 황제 카를 5세에 의해 소환된 보름스 의회 소환장; 왼쪽 텍스트는 뒷면에 있었다.

2. 1. 루터의 종교 개혁 운동

1518년 하이델베르크 논쟁1519년 라이프치히 논쟁 이후, 마르틴 루터는 독일 국민의 영웅이 되어가고 있었다. 독일인들은 루터의 개혁 사상과 민족주의를 지지하였고,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적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루터의 사상은 독일 민족주의와 결합하여 대중의 지지를 얻었고, 가톨릭교회에 대한 반발을 확산시켰다. 라이프치히 논쟁 등에서 루터는 교황과 공의회의 권위를 부정하고, 오직 성경만이 신앙의 유일한 기준이라고 주장했다.

1520년 6월, 교황 레오 10세교황 칙서 ''Exsurge Domine''(주여 일어나소서)를 발표하여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과 그가 저술했거나 관련된 다른 저작물에서 발견된 41가지 오류를 지적했다.[1]

2. 2. 신성 로마 제국의 상황

1518년 하이델베르크 논쟁1519년 라이프치히 논쟁 이후, 마르틴 루터는 독일 국민들 사이에서 영웅으로 떠올랐다. 독일인들은 루터의 개혁 사상과 민족주의를 지지하며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 루터의 영향력이 커지자 교황의 사절 알레안더(Alender)는 카를 5세에게 종교개혁을 탄압할 것을 요청했고, 카를 5세는 루터의 견해를 직접 듣고자 그를 제국 의회에 소환했다.

황제 카를 5세는 1521년 1월 23일 보름스에서 제국 의회를 소집했다.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은 카를 5세의 통치 아래 있었지만, 제후들의 권력이 강해 중앙 집권력이 약한 상태였다. 종교 개혁은 이러한 제국의 분열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고, 카를 5세는 루터를 제국 의회에 소환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는 루터가 안전하게 회의에 참석하고 돌아올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을 요구했고, 이는 1415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안전 통행 약속에도 불구하고 재판을 받고 처형된 얀 후스의 사례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조치였다.[1]

3. 보름스 의회 소집

카를 5세1521년 1월 23일 보름스에서 제국 의회를 소집했다.[15] 마르틴 루터는 자신의 견해를 철회하거나 재확인하라는 소환을 받았다.

1520년 6월, 교황 레오 10세교황 칙서 ''Exsurge Domine'' ("주여 일어나소서")를 발표하여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과 그가 저술했거나 관련된 다른 저작물에서 발견된 41가지 오류를 지적했다.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는 루터가 출두할 경우 회의에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도록 보장하겠다는 합의를 얻었다. 이는 1415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안전 통행 약속에도 불구하고 재판을 받고 처형된 얀 후스의 사례 때문에 필수적이었다.

루터는 안전 통행이 보장되었지만, 얀 후스와 윌리엄 틴데일처럼 종교 개혁가들이 처형당한 전례가 있었기에 친구들은 루터에게 불참을 권유했다. 하지만 루터는 "'''보름스의 지붕 기왓장만큼이나 많은 마귀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고 해도 나는 그곳에 가겠다.'''"라며 참석을 강행했다. 1521년 4월 2일 비텐베르크를 떠나 4월 16일 보름스에 도착한 루터는 대중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15]

3. 1. 루터의 소환과 안전 보장

카를 5세마르틴 루터에게 안전한 통행을 약속했지만, 얀 후스 등 이전 종교 개혁가들이 체포되어 고문당하고 화형당한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루터의 친구들은 그에게 불참을 권유했다.[15]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는 비서 스팔라틴(Spalatin)을 보내 1415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순교한 얀 후스의 예를 상기시키며 루터에게 가지 말 것을 권했다.

하지만 루터는 "'''보름스의 지붕 기왓장만큼이나 많은 마귀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고 해도 나는 그곳에 가겠다.'''"라며 자신의 입장을 밝히기 위해 참석을 강행했다. 루터는 1521년 4월 2일 비텐베르크를 떠나 4월 16일 보름스에 도착하여 대중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15]

1520년 6월, 교황 레오 10세교황 칙서 ''Exsurge Domine'' ("주여 일어나소서")를 발표하여 루터의 ''95개조 반박문''과 그가 저술했거나 관련된 다른 저작물에서 발견된 41가지 오류를 지적했다. 루터는 황제에 의해 소환되었고,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는 루터가 회의에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도록 보장하겠다는 합의를 얻었다. 이는 얀 후스의 사례 때문에 필수적이었다. 황제 카를 5세는 1521년 1월 23일 보름스에서 제국 의회를 시작했고, 루터는 자신의 견해를 철회하거나 재확인하라는 소환을 받았다.

3. 2. 루터의 참석 결정

카를 5세가 루터에게 안전 통행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얀 후스나 윌리엄 틴데일 등 종교 개혁가들이 체포되어 고문당하고 화형당한 전례가 있었기 때문에 루터의 친구들은 불참을 권유했다. 특히 프리드리히는 비서 스팔라틴을 보내 얀 후스의 예를 들어 루터에게 가지 말 것을 권했다.[15]

하지만 루터는 자신의 입장을 밝히기 위해 참석을 강행하며 "'''보름스의 지붕 기왓장만큼이나 많은 마귀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고 해도 나는 그곳에 가겠다.'''"라고 말했다.

1520년 6월, 교황 레오 10세교황 칙서 ''Exsurge Domine'' ("주여 일어나소서")를 발표하여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과 다른 저작물에서 발견된 41가지 오류를 지적했다. 루터는 황제에 의해 소환되었고, 프리드리히 3세 (작센 선제후)는 루터가 안전하게 회의에 참석할 수 있도록 보장하겠다는 합의를 얻었다. 이는 1415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안전 통행 약속에도 불구하고 재판을 받고 처형된 얀 후스의 사례 때문에 필수적이었다.

4. 의회 심문 과정

1521년 4월 16일 마르틴 루터보름스에 도착하여 다음 날 열린 의회에 출두했다. 의회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 독일의 영주들, 여러 추기경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교황을 맹목적으로 지지하는 사람들, 루터를 지지하는 사람들, 그리고 중립적인 입장을 가진 사람들로 나뉘었다.[16] 에라스뮈스 지지자들은 중립적인 입장을 가지고 루터가 공재설을 포기하고 화체설을 인정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와 타협할 것을 권했지만, 루터는 이를 거부했다.

트리어 대주교의 고문관 요한 폰 에크(라이프치히 논쟁 때의 요한 에크와는 다른 인물)는 루터에게 두 가지 질문을 던졌다.[16] 루터는 첫 번째 질문에는 자신의 책들이 맞다고 인정하고, 두 번째 질문에는 하루의 시간을 요청하여 다음 날인 4월 18일 답변했다. 그는 자신의 저작을 세 가지로 분류했는데, 첫째는 모두에게 호평받는 책, 둘째는 교황청의 악습을 비판하는 책, 셋째는 개인을 공격하는 책이었다. 루터는 자신의 주장이 성경에 어긋난다는 것이 증명된다면 철회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철회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전설에 따르면, 루터는 "여기 내가 서 있노라. 나는 달리 할 수 없노라"라고 선언한 후 "하나님이여, 저를 도우소서. 아멘"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5]

이후 루터의 운명을 결정하기 위한 비공개 회의가 열렸지만,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와의 협상을 통해 안전 통행증을 보장받았기에 체포되지 않았다.[2]

4. 1. 1차 심문 (4월 17일)

요한 폰 에크는 마르틴 루터에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질문을 던졌다.[16]

# 그대의 이름으로 출판된 이 책들을 그대의 것으로 인정하는가?

# 그대는 이 책들에서 쓴 내용을 철회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루터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해 자신의 저작들이 맞으며, 자신이 쓴 책들이 더 있다고 인정했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답변을 위해 하루의 시간을 요청했고, 이는 받아들여졌다.[16]

루터는 4월 17일 저녁 비엔나의 요하네스 큐스피니아누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내일 나는 철회에 대한 답변을 할 것이다. 생각할 시간을 달라는 요청은 받아들여졌지만, 이 하루 이상은 허락이 안될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리스도께서 내게 은혜를 베풀어 주시는 한 영원히 한 글자도 철회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썼다.[16]

4. 2. 2차 심문 (4월 18일)

4월 17일 저녁 비엔나의 요하네스 큐스피니아누스에게 편지를 써서 다음 날 있을 일에 대한 예고와 자신의 심경을 밝혔다.[16] 그리고 다음 날(4월 18일) 루터는 황제 앞에서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루터는 자신의 저서를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설명했다. 첫째, 적들조차 호평한 작품은 거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둘째, 기독교 세계와 교황청의 악습을 비판하는 책은 철회하면 악습이 계속될 것이라고 주장했다.[3] 셋째, 개인에 대한 공격은 거친 어조에 대해 사과했지만, 내용의 본질은 거부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저서가 성경에 의해 오류임이 밝혀진다면 거부하겠다고 말했다.

전설에 따르면, 루터는 "여기 내가 서 있노라. 나는 달리 할 수 없노라"라고 선언한 후 "하나님이여, 저를 도우소서. 아멘"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5]

루터에 따르면, 에크는 루터에게 이단처럼 행동하고 있다고 말했다.[6]

루터의 운명을 결정하기 위한 비공개 회의가 열렸지만, 그는 프리드리히 3세와의 협상을 통해 안전 통행증을 보장받았기에 체포되지 않았다.[2]

5. 의회 결과 및 영향

마르틴 루터는 보름스 의회에서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아 제국 추방령을 받았다. 1521년 5월 26일, 카를 5세는 '보름스 칙령'을 발표하여 루터를 정죄하고, 그의 모든 책을 불태우라고 명령했지만, 당시 행정 체제는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루터를 체포할 수는 없었다.[17]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는 마르틴 루터가 보름스 의회를 떠날 때 살해 음모를 파악하고 병사들을 보내 루터를 바르트부르크 성에 피신시켜 보호했다. 독일 국민들의 루터에 대한 지지는 높아졌고, 몇몇 독일 제후들의 보호를 받으면서 보름스 칙령은 독일에서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다.

하지만 합스부르크 네덜란드(현재의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에서는 루터의 지지자들을 상대로 칙령이 시행되었다. 1521년 12월, 안트베르펜의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장 야코프 프로스트가 최초로 체포되었고, 1523년 7월 1일, 브뤼셀에서 얀 판 에센과 헨드릭 보스 두 수도사가 화형에 처해졌다.[13]

1522년과 1524년의 뉘른베르크 제국 의회는 루터에 대한 보름스 칙령의 판결을 집행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4]

5. 1. 보름스 칙령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는 1521년 5월 25일에 보름스 칙령을 발표하여 마르틴 루터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그의 저작을 금지했다.[7] 이 칙령은 루터를 국가의 적으로 선언하고, 누구든지 그를 합법적으로 죽일 수 있도록 허용했다.[7] 이는 제국 금지령이었다.[7] 비록 이 칙령이 실제로 시행되지는 않았지만, 로마 가톨릭 통치자들은 루터와 그의 추종자들을 탄압하려 했고, 루터는 남은 생애 동안 이동의 제약을 받았다.[7]

이 칙령은 마르틴 루터와 가톨릭교회 사이의 개혁, 특히 면죄부 판매 관행을 둘러싼 갈등의 정점이었다.[7] 루터는 교황이 승인하고 가르친 면죄부 교리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며, 교황의 교회에 대한 절대적인 권위에 도전했다.[8] 또한 루터는 오직 믿음만으로(''오직 믿음'') 구원받는다고 주장했다.[9]

5. 2. 루터의 피신과 보호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는 마르틴 루터가 보름스 의회를 떠날 때 살해 음모를 파악하고 병사들을 보내 루터를 바르트부르크 성에 피신시켜 보호했다.[17]

5. 3. 종교 개혁의 확산

마르틴 루터가 보름스 의회를 떠날 때, 독일군이 약속대로 그를 호위하여 체포를 막았다. 많은 백성들이 루터의 영웅적인 행동을 칭송했지만, 카를 5세로마 가톨릭교회는 루터를 살해하고자 했다. 프리드리히 3세는 이러한 살해 음모를 파악하고, 1521년 4월 24일 병사들을 보내 루터를 몰래 아이제나흐 근처 바르트부르크 성에 피신시켰다.[17]

카를 5세는 루터의 단호한 태도에 충격을 받았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황제는 오랫동안 불편한 관계였던 교황과 화해하기 위해 루터의 종교개혁을 억누르려 했다. 1521년 5월 26일, 카를 5세는 '보름스 칙령'을 발표하여 루터를 정죄하고, 그의 모든 책을 불태우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당시 행정 체제는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루터를 체포할 수는 없었다.[17]

결국 루터에 대한 독일 국민들의 대중적 지지가 높아지고, 몇몇 독일 제후들의 보호를 받으면서 보름스 칙령은 독일에서 시행되지 못했다. 하지만 합스부르크 네덜란드(현재의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에서는 루터의 가장 적극적인 지지자들을 상대로 칙령이 처음 시행되었다. 이는 이들 국가가 황제 카를 5세와 그의 섭정인 사보이의 마르가레테 여공작이 직접 통치했기 때문이다.

1521년 12월, 안트베르펜의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장 야코프 프로스트가 보름스 칙령에 따라 체포되어 기소된 최초의 루터 지지 성직자였다. 1522년 2월, 프로스트는 공개적으로 루터의 가르침을 철회하고 부인해야 했다. 그해 말 안트베르펜의 아우구스티누스회에서 추가 체포가 이루어졌다. 두 수도사, 얀 판 에센과 헨드릭 보스는 철회를 거부했고, 1523년 7월 1일, 브뤼셀에서 화형에 처해졌다.[13]

1522년과 1524년의 뉘른베르크 제국 의회는 루터에 대한 보름스 칙령의 판결을 집행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4]

6. 평가

토머스 칼라일마르틴 루터가 보름스 제국의회에 죽음을 무릅쓰고 출두하여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말한 장면을 인류 근대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순간이라고 평가했다.[18] 그는 루터의 행위가 두려움 없는 최고의 용기가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18]

루터는 1521년 4월 18일 보름스 의회에서 자신의 저작을 세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1) 적들조차도 호평한 작품, (2) 기독교 세계와 교황청의 악습을 비판하는 책, (3) 개인에 대한 공격이다. 그는 성경에 의해 오류임이 밝혀진다면 거부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자신의 양심에 따라 철회할 수 없다고 밝혔다.[3] 그는 "성경의 증언이나 명확한 이성으로 설득되지 않는 한, 나는 내가 인용한 성경에 묶여 있고 나의 양심은 하나님의 말씀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나는 양심에 어긋나는 일을 하는 것은 안전하지도 옳지도 않으므로 어떤 것도 철회할 수 없고 철회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나님이 저를 도우시기를 바랍니다. 아멘."[4]이라고 말했다. 전설에 따르면, 루터는 "여기 내가 서 있노라. 나는 달리 할 수 없노라. 하나님이여, 저를 도우소서. 아멘."이라고 덧붙였다고 한다.[5]

6. 1. 역사적 의의

토머스 칼라일 등 역사학자들은 마르틴 루터가 보름스 의회에 출두한 것을 유럽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했다.[18] 칼라일은 루터가 죽음을 무릅쓰고 의회에 출두하여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말한 장면을 인류 근대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순간이라고 칭송했다. 그는 루터의 행위가 두려움 없는 용기를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보름스에서의 루터'', 1577년 채색 목판화


독일 보름스에 있는 루터 동상

6. 2. 한국에 미친 영향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과 보름스 의회는 한국 개신교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종교와 양심의 자유에 대한 가치는 한국 사회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마르틴 루터는 1521년 보름스 의회에서 "성경의 증언이나 명확한 이성으로 설득되지 않는 한 (중략) 양심에 어긋나는 일을 하는 것은 안전하지도 옳지도 않으므로 어떤 것도 철회할 수 없고 철회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나님이 저를 도우시기를 바랍니다. 아멘."[4]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이러한 루터의 저항 정신은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신앙을 지킨 한국 개신교인들에게 큰 귀감이 되었다.

7. 기타

합스부르크 왕가는 광대한 영토를 다스렸기 때문에 황제가 자리를 비울 때 네덜란드 총독과 스페인 섭정을 포함한 대리인이 필요했다.[10][11][12]

카를 5세는 동생 페르디난트를 제국 대리인으로 임명하고 대공 지위를 부여했다. 페르디난트는 카를 5세의 오스트리아 세습 영토 섭정이자 총독이었으며, 독일에서 황제의 대표였다. 1522년 비밀리에 맺어진 '브뤼셀 합스부르크 협약'을 통해 페르디난트의 오스트리아 영토 통치가 확인되었으며, 이 협약에 따라 카를은 페르디난트가 로마 왕으로 선출되는 것을 돕기로 했고, 이는 1531년에 이루어졌다.

7. 1. 합스부르크 가문 관련 결정

합스부르크 왕가는 광대한 영토를 다스렸기 때문에 황제가 자리를 비울 때 네덜란드 총독과 스페인 섭정을 포함한 대리인이 필요했다.[10][11][12]

카를 5세는 동생 페르디난트를 제국 대리인으로 임명하고 대공 지위를 부여했다. 페르디난트는 카를 5세의 오스트리아 세습 영토 섭정이자 총독이었으며, 독일에서 황제의 대표였다. 그러나 페르디난트의 독일 제국 정부 의장 역할은 시행되지 못하고 1523년 해체되었다. 1522년 비밀리에 맺어진 '브뤼셀 합스부르크 협약'을 통해 페르디난트의 오스트리아 영토 통치가 확인되었으며, 이 협약에 따라 카를은 페르디난트가 로마 왕으로 선출되는 것을 돕기로 했고, 이는 1531년에 이루어졌다.

1556년 카를 5세가 퇴위한 후, 페르디난트는 황제 자리를 계승했고, ''수오 유레''로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대공이 되었다.[10][11][12]

참조

[1] 웹사이트 Chronik der Stadt Worms https://web.archive.[...]
[2]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Arkrose Press
[3] 서적 Luther: Man Between God and the Devil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5] 웹사이트 'Hier stehe ich!' http://www.christian[...] 2002-04-01
[6] 웹사이트 Life of Luther (Luther by Martin Luther) http://law2.umkc.edu[...]
[7] 웹사이트 Edict of Worms https://www.britanni[...] 2023-10-21
[8] 서적 Turning Points: Decisive Moment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Baker Academic
[9] 웹사이트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ctsfw.edu[...] Concordia 2012-02-15
[10]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11] 서적 History of the German speaking nations https://books.google[...] Troubador Publishing 2019
[12] 서적 The Emperor Charles V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13] 서적 Martin Luther Fortress Press
[14] 서적 Lutheran Cyclopedia https://books.google[...] 1899
[15] 서적 마르틴 루터 생명의 말씀사
[16] 서적 마르틴 루터 생명의말씀사
[17] 서적 종교개혁사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18] 서적 영웅숭배론 한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