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개혁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교 개혁가들은 14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일어난 종교 개혁 운동을 주도한 인물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가톨릭 교회의 부패와 성경 중심의 신앙을 강조하며, 기존 교리에 반하는 주장을 펼쳤다. 주요 종교 개혁가로는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이 있으며, 이들의 사상은 루터파, 개혁파(칼뱅주의), 성공회 등 다양한 개신교 분파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재세례파, 슈뱅크펠트파, 유니테리언과 같은 급진적 종교 개혁가들도 존재했으며, 가톨릭교회는 반종교 개혁을 통해 이에 맞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개혁가 - 토마스 뮌처
토마스 뮌처는 독일의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이자 1525년 독일 농민 전쟁의 주요 지도자로, 종말론적이고 혁명적인 사회 변혁을 주장하며 농민들을 규합했으나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사상은 초기 공산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종교 개혁가 - 구스타브 1세 바사
구스타브 1세 바사는 스웨덴을 칼마르 동맹으로부터 독립시키고 바사 왕조를 창시한 국왕으로, 반란을 통해 덴마크의 지배를 종식시키고 루터파 교리 인정 및 강력한 중앙집권 통치를 시행하여 스웨덴의 독립과 발전에 기여했으나 잔혹한 면모도 보였다.
종교 개혁가 | |
---|---|
개혁가 정보 | |
![]() | |
이름 | 종교 개혁가 |
본명 | 개혁가 |
설명 | 16세기 유럽 기독교의 큰 변화를 이끈 사람들 |
주요 인물 | |
독일 | 마르틴 루터 필리프 멜란히톤 마르틴 부서 요하네스 브렌츠 울리히 츠빙글리 (스위스) 요하네스 오에콜람파디우스 (스위스) 안드레아스 칼슈타트 토마스 뮌처 카스파르 슈벤크펠트 멜키오르 린커 미하엘 슈티펠 |
스위스 | 장 칼뱅 (프랑스) 테오도르 드 베즈 (프랑스) 하인리히 불링거 피에르 비레 (프랑스) 기욤 파렐 (프랑스) 레오 유데 베아투스 레난우스 (독일) |
영국 | 존 위클리프 윌리엄 틴들 토머스 크랜머 휴 래티머 존 녹스 (스코틀랜드) 조지 위시하트 (스코틀랜드) |
기타 국가 | 얀 후스 (보헤미아) 페테르 체흘치키 (보헤미아) 로렌츠 페테르센 고트란드 (스웨덴) 올라우스 페트리 (스웨덴) 라우렌티우스 안드레아에 (스웨덴) 크리스티안 2세 (덴마크/노르웨이) 한스 타우젠 (덴마크) 페투르 팔라손 (아이슬란드) 마르틴 체믈리스 (프로이센) 프란치스코 데 엔시나스 (스페인) 프리모시 트루바르 (슬로베니아) 이스트반 키슈 (헝가리) 마티아스 데바이 비로 (헝가리) 스타니스와프 라시치 (폴란드) 얀 라스키 (폴란드) 시몬 부드니 (벨라루스) 바실 티아핀스키 (벨라루스) 미칼 렙키 (벨라루스) 발렌틴 바라니우스 (벨라루스) 게라심 스몰트리츠키 (벨라루스) 메레티 스모트리츠키 (벨라루스) |
2. 종교 개혁 이전의 선구자들
존 위클리프[14], 얀 후스[15], 프라하의 제롬, 사보나롤라[12], 피터 발도[9], 베셀 간스포르트[11], 윌리엄 틴들은 종교 개혁 이전의 주요 인물들이다. 원시 개신교는 이들의 주요 사상이었다.
중세 시대 에드먼드 해머 브로드벤트에 따르면, 기독교의 종교 운동의 사회학적 분류에는 초기 기독교의 순수성으로 여겼던 것으로의 회귀를 추구하고, 그들의 가르침이 개신교 사상을 예고한 여러 기독교 종교 운동이 존재했다.[1]
- 존 위클리프: 14세기 영국에서 활동하며,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여 대중에게 보급하고 교황의 권위를 비판했다. 롤라드파의 지도자로서, 종교 개혁 사상의 기초를 놓았다.
- 얀 후스: 15세기 보헤미아(체코)에서 활동하며, 위클리프의 사상을 이어받아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고 성경 중심의 신앙을 강조했다.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어 화형당했다.
- 프라하의 제롬: 후스와 함께 보헤미아 종교 개혁을 이끈 인물로,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화형당했다.
- 사보나롤라: 15세기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교회의 세속화와 부패를 강력하게 비판하고 도덕적 개혁을 외쳤다.
- 피터 발도: 12세기 프랑스 리옹에서 활동하며, 청빈을 강조하고 평신도 설교 운동을 전개했다. 발도파는 가톨릭 교회로부터 이단으로 박해받았다.
- 베셀 간스포르트: 15세기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며, 교황 무오설과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고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는다는 이신칭의를 주장했다.
- 윌리엄 틴들: 16세기 영국에서 활동하며,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여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토르의 클라우디우스[2], 오르베의 고트샬크[3][4][5], 투르의 베렝가르[6][7][8], 로렌초 발라[10],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13]도 종교개혁 이전의 주요 인물들이다.
2. 1. 중세 시대의 개혁 운동
중세 시대에는 초기 기독교의 순수성으로 여겨지는 것으로의 회귀를 추구하며, 개신교 사상을 예고한 여러 기독교 종교 운동이 존재했다.[1]- '''토르의 클라우디우스'''[2]: 중세 시대 초기, 성상 숭배와 성지 순례 등 가톨릭 교회의 관행에 반대하며 성경의 가르침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 '''오르베의 고트샬크'''[3][4][5]: 9세기경, 예정론을 주장하며 인간의 자유 의지보다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여 가톨릭 교회로부터 이단으로 정죄받았다.
- '''투르의 베렝가르'''[6][7][8]: 11세기, 성찬에서 빵과 포도주가 실제로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는 화체설을 부인하고 상징적인 의미를 주장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2. 2. 종교 개혁 직전의 인물들
중세 시대 에드먼드 해머 브로드벤트에 따르면, 기독교의 종교 운동의 사회학적 분류에는 초기 기독교의 순수성으로 여겼던 것으로의 회귀를 추구하고, 그들의 가르침이 개신교 사상을 예고한 여러 기독교 종교 운동이 존재했다.[1]- 존 위클리프: 14세기 영국에서 활동하며,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여 대중에게 보급하고 교황의 권위를 비판했다. 롤라드파의 지도자로서, 종교 개혁 사상의 기초를 놓았다.
- 얀 후스: 15세기 보헤미아(체코)에서 활동하며, 위클리프의 사상을 이어받아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고 성경 중심의 신앙을 강조했다.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어 화형당했다.
- 프라하의 제롬 혹은 히에로니무스: 후스와 함께 보헤미아 종교 개혁을 이끈 인물로,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화형당했다.
- 사보라롤라: 15세기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교회의 세속화와 부패를 강력하게 비판하고 도덕적 개혁을 외쳤다.
- 피터 발도: 12세기 프랑스 리옹에서 활동하며, 청빈을 강조하고 평신도 설교 운동을 전개했다. 발도파는 가톨릭 교회로부터 이단으로 박해받았다.
- 웨셀 간스포트: 15세기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며, 교황 무오설과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고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는다는 이신칭의를 주장했다.
- 윌리엄 틴들: 16세기 영국에서 활동하며,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여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토르의 클라우디우스[2], 오르베의 고트샬크[3][4][5], 투르의 베렝가르[6][7][8], 로렌초 발라[10],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13]도 종교개혁 이전의 주요 인물들이다.
3. 주요 종교 개혁자들
교권 종교 개혁 안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개혁가들이 있었다.
- 기욤 파렐
- 마르틴 루터
- 마르틴 부서
- 마르틴 켐니츠
- 마티아스 플라키우스
- 볼프강 카피토
-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 앤드류 멜빌
- 외콜람파디우스
- 요한 웨슬리
- 울리히 츠빙글리
- 장 칼뱅
- 존 낙스
- 테오도르 드 베즈
- 토마스 크랜머
- 피에르 비레
- 피터 버미글리
- 필리프 멜란히톤
- 하인리히 불링어
- Caspar Hedio
- Justus Jonas
- Jan Łaski
- Aonio Paleario
- Laurentius Petri
- Olaus Petri
- Jiří Třanovský
- Joachim Vadian
- Primož Trubar
3. 1. 루터파
마르틴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통해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고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성경을 강조하며 종교 개혁의 불씨를 당겼다. 필리프 멜란히톤은 루터의 동역자이자 신학적 조력자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작성에 참여하여 루터교 신학 체계화에 기여했다. 유스투스 요나스는 루터의 친구이자 동료로서 종교 개혁 저술을 번역하고 종교 회의에 참여하는 등 루터파 운동에 헌신했다.마르틴 케니츠는 루터 사후 루터교의 통합과 정통성 확립에 기여하여 '제2의 마르틴'으로 불리는 신학자이다. 게오르크 스팔라틴은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의 비서이자 루터의 후원자로, 종교 개혁 초기 루터를 보호하고 지원했다. 요아힘 베스트팔은 루터교 정통주의 신학자로, 성만찬 논쟁에서 칼뱅주의에 맞서 루터교의 입장을 옹호했다. 안드레아스 오시안더는 루터교 신학자로, 칭의론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제시하여 논쟁을 일으켰다.
요하네스 브렌츠는 뷔르템베르크 지역의 종교 개혁을 주도한 신학자로, 루터교 신앙고백 작성에 참여했다.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북독일과 덴마크 지역의 종교 개혁을 이끈 인물로, '북독일의 사도'로 불린다. 한스 타우센은 덴마크 종교 개혁의 선구자로, 루터의 사상을 덴마크에 전파하고 덴마크어 성경 번역에 기여했다. 미카엘 아그리콜라는 핀란드 종교 개혁의 아버지로, 핀란드어 성경 번역과 핀란드 문어 확립에 기여했다. 프리모즈 트루바르는 슬로베니아 종교 개혁의 지도자로, 슬로베니아어 성경 번역과 슬로베니아 문학 발전에 공헌했다. 이르지 트르자노프스키는 슬로바키아 종교 개혁의 주요 인물로, 찬송가 작가로도 유명하다.
3. 2. 개혁파 (칼뱅주의)
울리히 츠빙글리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종교 개혁을 주도하며, 성경 중심의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성만찬에 대한 견해 차이로 마르틴 루터와 결별했다. 마르틴 부서는 스트라스부르의 종교 개혁을 이끈 온건한 성격의 신학자로, 루터파와 츠빙글리파 사이의 중재를 위해 노력했다.장 칼뱅은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주도하며, 개혁파 신학을 체계화하고 교회 제도를 확립했다. 예정론과 성만찬론 등 그의 신학은 전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하인리히 불링거는 츠빙글리의 후계자로, 취리히 교회의 지도자로서 개혁파 신학을 발전시키고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테오도르 베자는 칼뱅의 후계자로, 제네바 아카데미를 통해 개혁파 신학 교육에 힘쓰고 칼뱅주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욤 파렐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스위스 지역의 종교 개혁을 주도한 인물로, 칼뱅을 제네바로 초청하여 함께 개혁 운동을 이끌었다. 존 낙스는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의 지도자로, 칼뱅의 영향을 받아 장로교회를 설립하고 스코틀랜드를 개신교 국가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볼프강 카피토는 스트라스부르의 종교 개혁 초기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부서와 함께 개혁 운동을 이끌었다. 외콜람파디우스는 바젤의 종교 개혁을 주도한 신학자로, 츠빙글리와 협력하여 스위스 종교 개혁을 이끌었다. 페터 마터 베르미글리는 이탈리아 출신의 종교 개혁자로, 스트라스부르, 옥스퍼드 등에서 활동하며 개혁파 신학 발전에 기여했다. 레오 유드는 츠빙글리의 친구이자 동료로, 취리히에서 함께 종교 개혁을 이끌었다.
3. 3. 성공회 (영국 국교회)
토마스 크랜머는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헨리 8세의 이혼을 지지하고 영국 교회를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분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공동 기도서를 작성하여 성공회 예배의 기초를 마련했다. 토마스 크롬웰은 헨리 8세의 수석 국무장관으로, 수도원 해산 등 종교 개혁 정책을 추진하고 왕권 강화를 꾀했다.매튜 파커는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캔터베리 대주교로, 성공회 신학의 '39개 신조'를 확정하고 성공회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다. 휴 라티머는 영국 종교 개혁의 순교자로, 메리 1세 치하에서 화형당했다. 리처드 후커는 성공회 신학자로, '교회 정치 체제'를 저술하여 성공회 신학과 제도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3. 4. 아르미니우스주의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는 네덜란드의 신학자로, 칼뱅주의 예정론에 반대하여 인간의 자유 의지를 강조하는 신학을 제시했다.4. 급진적 종교 개혁
'''재세례파'''
토마스 뮌처는 독일 농민 전쟁을 이끈 급진적 종교 개혁가로, 천년왕국 건설을 주장하며 사회 변혁을 추구했다. 츠비카우 예언자들은 뮌처와 함께 활동한 급진적 종교 개혁 그룹으로, 성령의 직접적인 계시를 강조했다. 요한 레이덴은 뮌스터 재세례파 왕국을 건설하려 시도한 인물이다. 메노 시몬스는 네덜란드 출신의 재세례파 지도자로, 평화주의를 강조하고 메노나이트 교파를 형성했다. 디르크 빌렘스는 재세례파 순교자로, 자신을 쫓던 박해자를 구하고 처형당한 일화로 유명하다. 카스퍼 폰 슈뱅크펠트, Sebastian Franck, 요하네스 뷘더린, 한스 뎅크, 크리스티안 엔트펠더, 콘라트 그레벨, 발타자르 후브마이어, 펠릭스 만츠등이 재세례파에 속한다.
'''슈뱅크펠트파'''
카스파 슈벵크펠트 폰 오시히는 독일의 귀족 출신 종교 개혁가였다. 그는 내면의 빛을 강조하고 성례전보다 영적 체험을 중시했다.
'''유니테리언 (반삼위일체파)'''
페렌츠 다비드는 트란실바니아 지역의 종교 개혁자로,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유일신 신앙을 주장했다. 미겔 세르베트는 스페인 출신의 신학자이자 의사로,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독자적인 신학을 제시하여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박해받았다.
'''제2 전선'''
급진 개혁가들과 초기에 협력했지만, 주로 성사주의에 반대하여 "제2 전선"을 형성하기 위해 그들과 분리된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여기에는 요하네스 뷘더린, 한스 뎅크, 크리스티안 엔트펠더, 콘라트 그레벨, 발타자르 후브마이어, 펠릭스 만츠 등이 있다.
4. 1. 재세례파
토마스 뮌처는 독일 농민 전쟁을 이끈 급진적 종교 개혁가로, 천년왕국 건설을 주장하며 사회 변혁을 추구했다. 츠비카우 예언자들은 뮌처와 함께 활동한 급진적 종교 개혁 그룹으로, 성령의 직접적인 계시를 강조했다. 요한 레이덴은 뮌스터 재세례파 왕국을 건설하려 시도한 인물이다. 메노 시몬스는 네덜란드 출신의 재세례파 지도자로, 평화주의를 강조하고 메노나이트 교파를 형성했다. 디르크 빌렘스는 재세례파 순교자로, 자신을 쫓던 박해자를 구하고 처형당한 일화로 유명하다. 카스퍼 폰 슈뱅크펠트, Sebastian Franck, 요하네스 뷘더린, 한스 뎅크, 크리스티안 엔트펠더, 콘라트 그레벨, 발타자르 후브마이어, 펠릭스 만츠등이 재세례파에 속한다.4. 2. 슈뱅크펠트파
카스파 슈벵크펠트 폰 오시히는 독일의 귀족 출신 종교 개혁가였다. 그는 내면의 빛을 강조하고 성례전보다 영적 체험을 중시했다.4. 3. 유니테리언 (반삼위일체파)
'''유니테리언 (반삼위일체파)'''페렌츠 다비드는 트란실바니아 지역의 종교 개혁자로,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유일신 신앙을 주장했다. 미겔 세르베트는 스페인 출신의 신학자이자 의사로,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독자적인 신학을 제시하여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박해받았다.
4. 4. 제2 전선
급진 개혁가들과 초기에 협력했지만, 주로 성사주의에 반대하여 "제2 전선"을 형성하기 위해 그들과 분리된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여기에는 요하네스 뷘더린, 한스 뎅크, 크리스티안 엔트펠더, 콘라트 그레벨, 발타자르 후브마이어, 펠릭스 만츠 등이 있다.5. 반종교 개혁
가톨릭교는 종교 개혁에 적극적으로 반대했으며, 반종교 개혁에 참여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 지롤라모 알레안드로는 교황 특사로서 마르틴 루터를 파문하고 보름스 제국 의회에서 루터를 정죄하는 데 앞장섰다.
- 아우구스티누스 알펠트는 프란치스코회 수사로, 루터의 성서 번역을 비판하고 가톨릭 교리를 옹호했다.
- 토마스 카예탄은 추기경이자 신학자로, 루터를 심문하고 그의 주장을 반박했다.
- 요한 코클라에우스는 인문주의자이자 신학자로, 루터와 종교 개혁에 반대하는 저술 활동을 펼쳤다.
- 요한 에크는 신학자로, 라이프치히 논쟁에서 루터와 맞서 가톨릭 교리를 옹호했다.
- 예롬 엠서는 루터의 성서 번역을 비판하고 가톨릭 교리를 옹호한 신학자이다.
- 교황 레오 10세는 루터를 파문하고 종교 개혁에 강경하게 대응한 교황이다.
- 요한 테첼은 도미니코회 수사로, 면죄부 판매를 통해 종교 개혁의 도화선이 되었다.
- 토마스 모어는 영국의 정치가이자 인문주의자로, 헨리 8세의 종교 개혁에 반대하다가 처형당했다.
- 이냐시오 데 로욜라는 예수회 창립자로, 엄격한 규율과 선교 활동을 통해 가톨릭 교회의 부흥에 기여했다.
- 프란치스코 드 살은 제네바 주교로, 온건한 설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개신교 지역에서 가톨릭 신앙을 회복하는 데 힘썼다.
- 교황 바오로 3세는 트리엔트 공의회를 소집하여 가톨릭 교회의 개혁을 추진하고 교리를 명확히 한 교황이다.
- 교황 비오 5세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결정을 시행하고 가톨릭 교회의 규율을 강화한 교황이다.
- 카를로 보로메오는 밀라노 대주교로, 트리엔트 공의회의 정신에 따라 교구 개혁을 단행하고 가톨릭 교육을 강화했다.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예수회 선교사로, 아시아 지역에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쳐 '동방 선교의 사도'로 불린다.
- 페터 파버는 예수회 창립 멤버 중 한 명으로, 독일 지역에서 가톨릭 신앙을 회복하는 데 힘썼다.
- 디에고 라이네스는 예수회 2대 총장으로, 예수회의 조직을 강화하고 교육 사업을 확장했다.
5. 1. 가톨릭 개혁
가톨릭교회는 종교 개혁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며, 반종교 개혁에 참여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지롤라모 알레안드로는 교황 특사로서 마르틴 루터를 파문하고 보름스 제국 의회에서 루터를 정죄하는 데 앞장섰다.
- 아우구스티누스 알펠트는 프란치스코회 수사로, 루터의 성서 번역을 비판하고 가톨릭 교리를 옹호했다.
- 토마스 카예탄은 추기경이자 신학자로, 루터를 심문하고 그의 주장을 반박했다.
- 요한 코클라에우스는 인문주의자이자 신학자로, 루터와 종교 개혁에 반대하는 저술 활동을 펼쳤다.
- 요한 에크는 신학자로, 라이프치히 논쟁에서 루터와 맞서 가톨릭 교리를 옹호했다.
- 예롬 엠서는 루터의 성서 번역을 비판하고 가톨릭 교리를 옹호한 신학자이다.
- 교황 레오 10세는 루터를 파문하고 종교 개혁에 강경하게 대응한 교황이다.
- 요한 테첼은 도미니코회 수사로, 면죄부 판매를 통해 종교 개혁의 도화선이 되었다.
- 토마스 모어는 영국의 정치가이자 인문주의자로, 헨리 8세의 종교 개혁에 반대하다가 처형당했다.
- 이냐시오 데 로욜라는 예수회 창립자로, 엄격한 규율과 선교 활동을 통해 가톨릭 교회의 부흥에 기여했다.
- 프란치스코 드 살은 제네바 주교로, 온건한 설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개신교 지역에서 가톨릭 신앙을 회복하는 데 힘썼다.
- 교황 바오로 3세는 트리엔트 공의회를 소집하여 가톨릭 교회의 개혁을 추진하고 교리를 명확히 한 교황이다.
- 교황 비오 5세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결정을 시행하고 가톨릭 교회의 규율을 강화한 교황이다.
- 카를로 보로메오는 밀라노 대주교로, 트리엔트 공의회의 정신에 따라 교구 개혁을 단행하고 가톨릭 교육을 강화했다.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예수회 선교사로, 아시아 지역에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쳐 '동방 선교의 사도'로 불린다.
- 페터 파버는 예수회 창립 멤버 중 한 명으로, 독일 지역에서 가톨릭 신앙을 회복하는 데 힘썼다.
- 디에고 라이네스는 예수회 2대 총장으로, 예수회의 조직을 강화하고 교육 사업을 확장했다.
참조
[1]
서적
The Pilgrim Church
Pickering & Inglis
1931
[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3rd edi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7-03-13
[3]
웹사이트
Gottschalk Of Orbais {{!}} Roman Catholic theologian
https://www.britanni[...]
2021-10-27
[4]
웹사이트
Reformation parallels: the case of Gottschalk of Orbais
https://doinghistory[...]
2021-10-27
[5]
웹사이트
Gottschalk "Fulgentius" of Orbais
https://www.academia[...]
[6]
서적
John Bale's 'The Image of Both Church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4-01-26
[7]
서적
Prophecy, Piety, and the Problem of Historicity: Interpreting the Hebrew
2016-03-11
[8]
서적
The Grail Legen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9]
웹사이트
Pierre Valdo (1140-1217) and the Waldenses
https://museeprotest[...]
2021-12-31
[10]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 The Middle Ages. A.D. 1294-1517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1-12-23
[11]
간행물
The forms of communication employed by the Protestant Reformers and especially Luther and Calvin
http://www.pharosjot[...]
2016
[12]
EB1911
[13]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 The Middle Ages. A.D. 1294-1517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1-12-23
[14]
웹사이트
Lollard {{!}} English religious history
https://www.britanni[...]
2021-10-27
[15]
웹사이트
Jan Hus (1369-1415) and the Hussite wars (1419-1436)
https://museeprote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