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그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로그다는 러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147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모스크바와 백해를 연결하는 수로에 위치하여 노브고로드 공화국 시대부터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1570년에는 이반 뇌제의 명령으로 성 소피아 대성당이 건설되었으며, 1780년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볼로그다 현의 도청 소재지로 지정되었다. 19세기에는 정치범 유배지로도 사용되었으며, 1917년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었다. 현재는 볼로그다주의 행정 중심지이며, 레이스, 버터, 아마 등의 특산품으로 유명하다. 다양한 문화 시설과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여러 자매 도시들과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로그다주 - 바바예보
바바예보는 러시아 볼로그다주에 위치한 농촌 지역이자 바바예보 군의 행정 중심지로, 야금 공장 건설과 철도역 개통으로 산업 발달과 도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교통 요충지로서 유제품 공장, 전기 공학 공장, 가구 공장 등 다양한 산업 시설과 바바예프스키 지역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 볼로그다주 - 체레포베츠
체레포베츠는 러시아 볼로그다주에 위치한 도시로, 수도원 건설에서 시작하여 교통 요충지로 발전했으며, 제철소 건설 이후 야금 및 화학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지만, 환경 오염 문제도 안고 있는 현대 도시이다. - 러시아의 주도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주도 - 오룔
오룔은 러시아 오룔 주의 주도로, 1566년 요새로 건설되어 곡물 생산 및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혼란과 전쟁을 거쳐 재건되어 현재는 교육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도시이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볼로그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러시아어) | Вологда |
로마자 표기 | Vologda |
위치 | 볼로그다주 |
도시의 날 | 6월 마지막 일요일 |
최초 언급 | 1147년 |
면적 | 116 km² |
시간대 | 모스크바 시간 (UTC+3) |
우편 번호 | 160000-160530 |
지역 번호 | +7 8172 |
웹사이트 | 볼로그다 공식 웹사이트 |
행정 | |
국가 | 러시아 |
연방 주체 | 볼로그다주 |
도시 관할 | 볼로그다 |
행정 중심지 | 볼로그다주, 볼로그다 구역 |
도시 구역 | 볼로그다 도시 구역 |
구역 관할 | 볼로그다 도시 구역, 볼로그다 구역 |
수장 | 유리 사포즈니코프 |
시 의회 | 볼로그다 시 두마 |
인구 | |
2021년 인구 | 313,944명 |
2010년 인구 조사 | 301,755명 |
2002년 인구 조사 | 293,046명 |
1989년 인구 조사 | 282,802명 |
인구 밀도 | 2,601 명/km² (2010년) |
상징 | |
![]() | |
![]() | |
기타 정보 | |
역사적 지위 | 역사적인 도시 |
2. 역사
1147년 노브고로드 공국의 연대기에 볼로그다에 대한 첫 언급이 나타난다. 당시 볼로그다는 깊은 숲 속에 위치한 마을이었으며, 백해에서 온 작은 배들이 볼로그다 강을 거쳐 볼가 강 지류까지 운반되는 교역 거점이었다.[11] 이를 통해 북유럽과 백해에서 그리스, 페르시아까지 교역이 이루어졌다. 1273년에는 몽골 제국의 습격을 받았다.[11]
1371년 드미트리 프릴루츠키가 스파소-프릴루츠키 수도원을 건립하였다. 모스크바 대공 드미트리 돈스코이는 이 수도원을 후원하며 북부 지역에서 모스크바 대공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거점으로 삼았다.[11]
1412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할양되어 최북단 전초 기지가 되었고, 15세기 말에는 러시아 북방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11]
이반 뇌제의 명령에 따라 1570년 성 소피아 대성당이 완성되었다. 이후 북드비나 강이나 백해를 경유한 유럽과의 교역(영국의 모스코비 회사 등)과 수호나 강, 비체그다 강을 통한 시베리아와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볼로그다는 비약적으로 발전했다.[11]
1780년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볼로그다 현의 현 도청 소재지로 지정되었다.[11]
2. 1. 기원
볼로그다의 공식적인 건립 연도는 1147년으로 알려져 있다.[11][12] 이는 17세기의 "볼로그다의 게라시무스 기적 이야기"와 1716년 이반 슬로보드스키의 "연대기"에 근거한 것으로, 수도사 게라시무스가 볼로그다 강 근처에 삼위일체 수도원을 세웠다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13][14] 1780년 역사가 알렉세이 자세츠키는 이 연도가 모스크바와 거의 같은 시기에 볼로그다가 건립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보았다.[15]그러나 역사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공식적인 건립 연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13] 그 이유는 출처의 연대가 늦고 내용이 이차적이며, 13세기 이전의 고고학적 발굴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16] 대신, 학자들은 볼로그다가 13세기에 건립되었으며, 1264년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블라디미르 대공 사이의 협약에서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외곽 영토로 처음 언급되었다고 본다.[17]
13세기 볼로그다의 중심지는 현재 시내 중심가가 아니라 부활 교회 근처의 "게으른 터"(Ленивая площадкаru)로 알려진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1565년까지 볼로그다의 중심지였으며, 당시 볼로그다에는 석조 건축물이 없었고 모든 도시 시설은 나무로 만들어졌다.[12]
2. 2. 노브고로드 공화국 시대
볼로그다는 1147년에 건립된 것으로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으나,[11][12] 역사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13세기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17] 1264년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블라디미르 대공 사이의 협약에서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외곽 영토로 처음 언급되었다.[17]볼로그다는 모스크바, 노브고로드, 백해를 연결하는 중요한 수로에 위치하여 전략적 요충지였다. 이 때문에 노브고로드 공화국뿐만 아니라 트베르, 모스크바 등 여러 세력들이 볼로그다를 차지하기 위해 각축전을 벌였다.
1371년, 드미트리 프릴루츠키가 스파소-프릴루츠키 수도원을 건립하였다. 모스크바 대공 드미트리 돈스코이는 이 수도원을 후원하며 북부 지역에서 모스크바 대공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거점으로 삼았다.
1397년, 바실리 1세 통치 기간에 볼로그다는 모스크바 대공국에 편입되었다. 이후 모스크바 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462년 바실리 2세 사후에는 안드레이 멘쇼이의 소유가 되어 볼로그다 공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1481년 안드레이 멘쇼이 사후 이반 3세에게 넘어가면서 모스크바 대공국에 완전히 통합되었다.
2. 3.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
1397년, 바실리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볼로그다는 모스크바 대공국에 편입되었다.[17] 이후 볼로그다는 여러 차례 노브고로드 군대의 공격을 받았다. 모스크바 내전 동안 볼로그다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1447년 모스크바 대공인 바실리 2세가 드미트리 셰먀카에게 패배한 후, 셰먀카와 다시는 전쟁을 하지 않겠다고 맹세하고 볼로그다로 유배되었으며, 도시를 개인 소유로 받았다.[17] 바실리 2세는 키릴로-벨로제르스키 수도원으로 가서 수도원장이 그에게서 맹세를 풀어주도록 했다. 내전은 계속되었고, 1450년 볼로그다는 드미트리 셰먀카의 군대에 의해 포위되었지만, 점령에는 실패했다.[17]1462년 바실리 2세가 사망한 후, 볼로그다는 그의 아들 안드레이 멘쇼이의 소유가 되었고, 볼로그다 공국의 중심지가 되었다.[17] 1481년, 후계자가 없었던 안드레이 멘쇼이가 사망하자 볼로그다는 모스크바 대공인 이반 3세에게 넘어갔고, 모스크바 대공국에 포함되었다.[17]
2. 4. 이반 뇌제 시대
차르 이반 뇌제 통치 기간 동안 볼로그다는 러시아 무역의 주요 환승 중심지 중 하나였다. 대외 무역은 주로 백해를 통해 잉글랜드, 네덜란드 및 기타 서방 국가들과 이루어졌으며, 아르한겔스크가 주요 대외 무역 중심지였다. 볼로그다는 모스크바와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는 수로에 위치해 있었다. 시베리아와의 무역은 수호나강과 비체그다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볼로그다는 환승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볼로그다 강둑에는 국가 안뜰이 건설되었다. 1553년, 영국의 항해사 리처드 챈슬러가 볼로그다를 방문하여 러시아 차르국과 잉글랜드 사이에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12] 1554년, 무역 에이전트 존 가스는 볼로그다를 잉글랜드 상인들에게 빵이 풍부하고 상품 가격이 모스크바와 노브고로드보다 두 배나 저렴하며, 볼로그다와 거래하지 않는 러시아의 도시는 없다고 묘사했다. 존 가스의 보고에 따라, 1555년 잉글랜드는 도시에 무역 사무소를 열었고, 협상을 위해 잉글랜드에 파견된 최초의 러시아 대사는 볼로그다 출신의 오시프 네페야였다.[12]1565년, 이반 뇌제는 오프리치니나 정책을 도입하고 볼로그다를 오프리치니나 영토 구조에 포함시켰다.[12] 그해, 그는 처음으로 도시를 방문하여 이곳을 오프리치니나의 중심지이자 결과적으로 국가의 수도로 만들기로 결정했다. 차르는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라고 명령했다. 요새는 이전의 도시 중심지가 아닌 도시의 다른 부분, 즉 한쪽은 강으로, 다른 쪽은 현재 레닌그라드, 옥티야브르스카야, 미라 거리가 있는 지역으로 제한된 지역에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요새는 해자로 둘러싸였다.[12] 이반 뇌제는 1566년 4월 28일, 성 제이슨(러시아 전통에서는 나손)과 성 소시파터의 축일인 날, 직접 볼로그다로 가서 요새의 기초 공사를 감독했다. 따라서 볼로그다의 새로운 부분에 위치한 요새의 영토는 "나손-고로드"(나손-마을)로 명명되었다. 나손-고로드의 또 다른 이름은 볼로그다 크렘린(현재는 때때로 주교 안뜰이라고만 불린다)이었다.[12]
1568년에서 1570년 사이에 새로운 요새에 성 소피아 대성당이 건설되었다. 이는 볼로그다 최초의 석조 건물이었다.[12] 대성당의 설계는 모스크바 크렘린의 성모 승천 대성당을 모방했다. 이는 자신의 새로운 수도를 모스크바와 유사하게 만들고 싶어했던 이반 뇌제의 아이디어였다. 그는 건축가 라즈미슬 페트로프가 이끄는 공사를 직접 감독했다.[12] 1571년, 볼로그다는 1492년에 설립되어 이전에는 페름 지역의 우스트-빔에 주요 교회를 가지고 있던 볼로그다 및 페름 교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로써 볼로그다는 무역, 군사 및 정치적 영향뿐만 아니라 교회 업무에서도 강화되었다.[12]
그러나 1571년 이반 뇌제는 갑자기 볼로그다에서의 건설 작업을 중단하고 도시를 떠났다. 이는 그가 오프리치니나를 폐지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이 있으며, 볼로그다는 더 이상 두 번째 수도로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전설에 따르면, 이반이 성 소피아 대성당을 방문했을 때 작은 돌이 지붕에서 그의 머리 위로 떨어졌다. 심각한 머리 부상을 입은 미신적인 차르는 그것을 불운의 징조로 받아들여 도시를 떠나기로 결정했다.[12] 차르는 심지어 대성당을 철거하기를 원했고, 그의 생전에 대성당은 축성되지 않았다. 축성은 그의 아들 표도르 1세의 통치 기간인 1587년에 이루어졌다. 17세기에 나무 벽으로 강화된 미완성 요새의 일부는 19세기에 도시 당국과 지역 주민들에 의해 해체되어 석조 건물 자재로 사용될 때까지 남아 있었다.[12]
2. 5. 혼란 시대
1605년 흑사병 유행으로 볼로그다의 혼란기가 시작되었다.[10] 1608년, 러시아는 차르 바실리 슈이스키 통치 지역과 폴란드 군대의 지원을 받는 거짓 드미트리 2세 통치 지역으로 분열되었는데, 이때 볼로그다 사람들은 거짓 드미트리에게 충성을 맹세했다.[10] 거짓 드미트리 2세는 볼로그다를 장악함으로써 러시아와 영국의 무역 창고를 통제하고 러시아 북부를 장악할 수 있는 위치를 확보했다.[10] 그러나 볼로그다에 파견된 새로운 행정부의 학대와 재산 몰수는 주민들 사이에 극심한 불만을 야기했고, 그 결과 볼로그다는 거짓 드미트리 2세를 비난하고 슈이스키를 지지하게 되었다.[10] 1609년 2월, 니키타 비셰슬라브체프가 이끄는 국민 자위대가 볼로그다에서 결성되어 거짓 드미트리 2세에 대항하여 싸웠다.[10]1612년, 볼로그다 사람들은 쿠즈마 미닌과 드미트리 포자르스키가 조직한 자위대에 상당한 식량과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여 폴란드 군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다.[11] 그러나 두 번째 자위대를 지원하기 위해 도시가 막대한 군사력을 보낸 후, 방어가 취약해진 틈을 타 1612년 9월 22일 리투아니아의 한 무리가 저항 없이 볼로그다를 점령하여 도시를 불태우고 많은 주민들을 살해하거나 투옥했다.[11]
2. 6. 로마노프 왕조 시대
이반 뇌제 통치 시기, 볼로그다는 러시아 무역의 주요 환승 중심지 중 하나였다.[12] 대외 무역은 주로 백해를 통해 잉글랜드, 네덜란드 등 서방 국가들과 이루어졌으며, 아르한겔스크가 주요 무역 중심지였다.[12] 볼로그다는 모스크바와 아르한겔스크를 잇는 수로에 위치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수호나 강과 비체그다 강을 통한 시베리아와의 무역에서도 볼로그다는 환승 중심지였다.[12]1553년, 영국 항해사 리처드 챈슬러가 볼로그다를 방문, 러시아 차르국과 잉글랜드 간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12] 1554년, 무역 대리인 존 가스는 볼로그다가 빵이 풍부하고 상품 가격이 모스크바와 노브고로드보다 저렴하며, 볼로그다와 거래하지 않는 러시아 도시는 없다고 잉글랜드 상인들에게 보고했다. 이에 1555년 잉글랜드는 볼로그다에 무역 사무소를 열었고, 협상을 위해 잉글랜드에 파견된 최초의 러시아 대사는 볼로그다 출신 오시프 네페야였다.[12]
1565년, 이반 뇌제는 오프리치니나 정책을 도입, 볼로그다를 오프리치니나 영토에 포함시켰다.[12] 그는 볼로그다를 오프리치니나의 중심지이자 국가 수도로 삼고, 새로운 요새 건설을 명령했다.[12] 요새는 해자로 둘러싸였으며, 1566년 4월 28일 이반 뇌제가 직접 기초 공사를 감독했다.[12]
1568년부터 1570년까지 성 소피아 대성당이 건설되었다. 이는 볼로그다 최초의 석조 건물이었다.[12] 모스크바 크렘린의 성모 승천 대성당을 모방한 설계였다.[12] 1571년, 볼로그다는 볼로그다 및 페름 교구 중심지가 되어 교회 업무에서도 중요성이 커졌다.[12]
그러나 1571년 이반 뇌제는 갑작스레 건설을 중단하고 도시를 떠났다.[12] 전설에 따르면, 성 소피아 대성당 방문 중 지붕에서 떨어진 작은 돌에 머리를 맞은 이반 뇌제가 불운의 징조로 여겨 떠나기로 했다고 한다. 그는 대성당 철거를 원했고, 그의 생전에는 축성되지 않았다.[12] 축성은 아들 표도르 1세 통치 시기인 1587년에 이루어졌다.[12]
2. 7. 소비에트 시대
1917년 12월, 볼로그다에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었고, 1918년 여름까지 ''젬스트보'' 및 시 정부와 공존했다.[19] 1918년 2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던 대사관들이 독일군의 위협을 받자, 데이비드 R. 프랜시스 미국 대사를 필두로 한 서방 열강들은 대사관을 볼로그다로 이전하면서 볼로그다는 몇 달 동안 "러시아 외교 수도"가 되었다.[19] 그러나 볼셰비키의 압력으로 1918년 7월 24일, 외교관들은 볼로그다를 떠나 아르한겔스크를 통해 본국으로 돌아가야 했다.[19]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볼로그다는 제6 적군 사령부가 위치하여 예브게니 밀러가 지휘하는 백군과 북러시아의 연합국 군대에 맞섰다.[19]
1924년, 정부는 도시에서 가장 크고 존경받는 브세그라드스키 사원을 폐쇄했다.[19] 1929년, 볼로그다 주는 폐지되고 아르한겔스크, 북드비나 주, 코미-지르얀 자치주를 포함하는 북부 크라이에 편입되었다. 북부 크라이의 행정 중심지는 아르한겔스크였다.[19] 1936년 12월, 북부 크라이는 폐지되고 코미 ASSR과 북부 주로 분할되었으며, 행정 중심지는 여전히 아르한겔스크였다.[19] 1937년 9월 23일, 소비에트 연방 중앙 집행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북부 주는 아르한겔스크 주와 볼로그다 주로 분할되었다.[19] 같은 결정에 따라, 이전 레닌그라드 주의 체레포베츠 오크루그 지역들이 볼로그다 주에 편입되어 현재 볼로그다 주의 서쪽 부분을 구성하게 되었다.[19]
1930년대에는 아마 공장, 코치 수리 공장, "북부 코뮌"이라는 제재소가 건설되었다.[19]
제2차 세계 대전 중, 볼로그다에는 계엄령이 선포되었고, 산업 시설들은 군사 생산으로 전환되었다.[19] 1941년 가을, 핀란드 군대가 볼로그다 주의 경계를 넘어오면서 볼로그다는 전선 도시가 되었다.[19] 주민들은 참호를 파는 데 동원되었고, 시내에는 방공호와 대피소가 건설되었으며, 철도 연결 지점과 군수 산업 시설을 보호하는 방공 시스템이 개발되었다.[19] 여러 차례 폭격 시도가 있었지만, 도시에 폭탄이 떨어지지는 않았다.[19] 이를 기념하기 위해 조시몹스카야 거리에 대공포 형태를 한 방공군 기념비가 세워졌다.[19] 볼로그다는 군대를 지원하고 장비를 대피시키는 철도 허브이자 대규모 병원 센터 역할을 수행했다.[19] 볼로그다 주민들은 헌혈, 돈, 보석을 기부하여 "볼로그다 집단 농부" 탱크 부대를 지원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미라 거리에 T-34 탱크 기념비가 세워졌다.[19]
1961년부터 1985년까지 아나톨리 드리긴이 CPSU 볼로그다 주 위원회의 제1 서기이자 주의 수장이었다.[19] 이 기간 동안 베어링 공장, 기계 공장, 광학 기계 공장이 볼로그다에 건설되고, 폴리텍 대학교가 개교했으며, 대규모 가금류 농장이 설립되는 등 도시와 주 경제의 여러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가 일어났다.[19] 대규모 건설 사업으로 5층 이상 건물이 처음 건설되었고, 비발로보, GPZ,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 마이크로디스트릭트 등 새로운 주거 지역이 건설되면서 도시가 확장되었다.[19] 1976년에는 볼로그다 트롤리버스 시스템이 개통되었다.[19]
2. 8. 탈 소비에트 시대
1991년 11월, 시 행정부가 구성되었고 지방 정부 개혁이 시작되었다. 1993년 10월, 모든 레벨의 인민 대표 소비에트가 폐지되었다. 볼로그다 소비에트가 해산된 후, 시 두마가 설립되었다. 첫 번째 두마 선거는 1994년 3월 20일에 열렸으며, 이 첫 번째 두마는 6석만 있었다. 1995년 다음 선거 이후 30명의 의원으로 확대되었다.[1]1996년 7월 25일, 시 두마는 볼로그다 헌장을 채택했다. 1996년 10월 6일, 볼로그다 역사상 최초의 시장 선거가 열렸고, 알렉세이 야쿠니체프가 선출되어 시의 수장이 되었다. 그의 임기는 2008년에 종료되었다.[1]
2003년, 순환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그 전에는 모스크바와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는 М8 고속도로가 시내 중심을 통과하여 교통 체증을 유발했다. 완공 이후, 순환도로는 А114 고속도로 (볼로그다 – 노바야 라도가), Р5 고속도로 (볼로그다 – 메드베제고르스크), М8 고속도로 (모스크바 –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한다. 2005년 8월 25일, 시 두마는 새로운 볼로그다 헌장을 승인했다. 의원들이 400개 이상의 수정안을 도입하고 문서의 분량이 1996년 헌장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변경 사항은 비교적 사소했다.[1] 2008년 10월 12일, 예브게니 슐레포프가 시 수장으로 선출되었다.[1]
3. 행정 구역 및 지방 자치
볼로그다는 볼로그다주의 행정 중심지이며,[20] 행정 구역 내에서 볼로그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도 한다.[21][22] 행정 구역으로서, 하나의 농촌 지역과 함께 볼로그다 시(볼로그다주 내 4개 중 하나)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20] 지방 자치체로서는 볼로그다 시는 '''볼로그다 시 구'''로 통합된다.[23]
4. 정치
- '''볼로그다 시 두마'''는 대표 기구이다. 30개의 단일 의석 선거구에서 보통, 평등,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 3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시의회 임기는 5년이다. 볼로그다 시 두마는 모든 선출직 공무원(볼로그다 시의 시장 포함), 시 행정부, 통제 및 회계 위원회에 의해 통제되고 책임을 진다. 시 두마의 활동은 의장과 간부단(의장, 부의장, 파벌 및 상임 위원회 대표, 볼로그다 시의 시장 대표로 구성)에 의해 관리된다. 볼로그다 시 두마의 유일한 파벌은 통일 러시아 파벌(26명)이다.[25]
- '''볼로그다 시장'''은 시의 최고 공무원으로, 시 경제, 예산, 자금 배분, 시 행정부 관리를 담당한다. 2017년 11월 24일, 세르게이 보로파노프(통일 러시아)[26]가 시의 제1 부시장이자 볼로그다 시장 대행으로 임명되었고, 2019년 11월 26일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 '''볼로그다 시의 시장'''은 외부 시 관계를 담당하는 시 공무원이며, 연방 당국에 책임을 진다. 시 두마와 주지사의 의원들에 의해 5년 임기로 임명된다. 연 1회 이상 볼로그다 시 두마에 보고한다. 2016년 9월 26일부터 유리 사포즈니코프가 볼로그다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 '''볼로그다 시 행정부'''는 행정 및 관리 기구이다. 7개 부서(직접 관리 수행), 5개 부서 및 2개 부서(행정부 업무 제공)로 구성된다. 행정부장은 볼로그다 시의 시장이다. 시 부시장은 부서장이다.[27]
- '''볼로그다 시 통제 및 회계 위원회'''는 통제 기구이다. 볼로그다 시 두마에 의해 구성되며 보고한다. 예산 집행과 시 소유 재산 처분을 통제하고, 시 법률 행위에 대한 예산 심사를 실시하며, 예산 기금 사용의 효율성을 감사한다.
5. 기후
볼로그다의 기후는 온화한 습윤 대륙성 기후(''Dfb'')이며,[28]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트레와르타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난한 여름과 추운 겨울을 가진 온대 대륙성 기후(''Dclo'')이다.[29] 겨울은 길고 춥지만 심하지 않으며 5개월 동안 지속된다. 봄과 가을은 서늘하고 여름은 온화하며, 가장 추운 달은 1월과 2월이고, 가장 더운 달은 7월이다. 비는 여름과 가을에 가장 자주 내린다.[4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7.2 | -6.0 | 0.5 | 9.0 | 16.9 | 20.9 | 23.4 | 20.3 | 14.0 | 6.7 | -1.4 | -5.4 | 7.6 |
평균 기온 (°C) | -10.7 | -10.0 | -4.0 | 3.5 | 10.6 | 15.1 | 17.6 | 14.7 | 9.3 | 3.4 | -3.9 | -8.4 | 3.1 |
평균 최저 기온 (°C) | -14.5 | -13.9 | -8.2 | -1.0 | 4.8 | 9.5 | 12.0 | 9.8 | 5.5 | 0.6 | -6.5 | -11.7 | -1.1 |
강수량 (mm) | 35 | 28 | 26 | 31 | 41 | 67 | 74 | 76 | 57 | 50 | 42 | 38 | 565 |
평균 적설량 (cm) | 28 | 38 | 36 | 5 | 0 | 0 | 0 | 0 | 0 | 1 | 6 | 18 | - |
평균 상대 습도 (%) | 86 | 83 | 78 | 71 | 65 | 73 | 76 | 81 | 84 | 87 | 88 | 87 | 80 |
평균 일조 시간 | 24.8 | 57.4 | 117.8 | 199.5 | 268.2 | 280.5 | 283.7 | 224.8 | 133.5 | 63.6 | 30.0 | 14.0 | - |
6. 인구 통계
연도 | 인구 |
---|---|
1897 | 27,705 |
1926 | 57,076 |
1939 | 95,314 |
1959 | 139,137 |
1970 | 177,751 |
1979 | 236,537 |
1989 | 282,802 |
2002 | 293,046 |
2010 | 301,755 |
2021 | 313,944 |
볼로그다 시와 볼로그다주의 인구는 주로 러시아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인구의 상당 부분은 다양한 수준의 정부 관료와 공무원이며, 여러 추정에 따르면 그 수는 5만 명에 이른다. 그 이유는 볼로그다가 큰 도시일 뿐만 아니라 볼로그다 주의 행정 중심지이기 때문이다. 약 43000000ha의 농지가 사용되지 않아 정부는 토지를 무상으로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볼로그다는 농업 및 축산 목적으로 468000ha의 토지를 대여할 예정이다.[1]
7. 문화와 예술
볼로그다는 전통 목조 건축물과 석조 기념물이 결합된, 러시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대도시 중 하나이다. 볼로그다에는 연방 중요 문화재로 지정된 건축 및 역사 기념물이 193개나 있다. 대표적인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 볼로그다 크렘린
- 성 소피아 대성당
- 스파소-프릴루츠키 수도원
- 블라디미르 교회 앙상블
- 콘스탄틴과 헬레나 교회, 프레스코화가 있는 로쉬체니예의 세례자 요한 교회
- 드미트리 프릴루츠키 교회
- 코즐료나의 중재 교회
- 스톤 브릿지와 레볼류치 광장의 건축 앙상블
러시아 역사 도시 116곳 중 목조 건축 기념물을 가진 도시는 16곳뿐인데, 볼로그다가 그중 하나이다.
7. 1. 상표
볼로그다의 대표적인 상표 제품으로는 볼로그다 레이스, 버터, 아마 등이 있다.[1]
7. 2. 박물관
러시아 북부의 가장 큰 문화 센터는 볼로그다 국립 박물관 보호 구역이다. 현재 이 박물관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1]종류 | 설명 |
---|---|
볼로그다 크렘린(주교의 안뜰) | |
표트르 대제의 집 박물관 (표트르의 집) | 볼로그다 최초의 박물관 (1885년 개관) |
전시 센터 "세기의 경계에 있는 볼로그다" | |
박물관 "잊혀진 것들의 세계" | |
K. N. 바튜슈코프의 아파트 박물관 | |
박물관 "문학. 예술. 20세기" | |
알렉산드르 모자이스키의 집 박물관 | |
박물관 "볼로그다 유배" | |
건축 및 민족지학 박물관 (세묜코보) |
또한 볼로그다에는 1918년 볼로그다에 외교 사절단이 잠시 머물렀던 것을 조명하는 독특한 러시아 사립 정치사 박물관인 외교 사절단 박물관이 있다.[1]
7. 3. 극장
- 볼로그다 드라마 극장
- 볼로그다 어린이 청소년 극장
- 인형 극장 "테레목"
- 실내 극장
- 발레리 가브릴린 필하모닉
- 어린이 뮤지컬 극장
7. 4. 연례 축제
볼로그다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례 축제가 열린다.[32]- 연극 축제 "역사의 목소리" (매년 7월 초)
- 발레리 가브릴린 국제 음악 축제 (매년 10월~12월)
- "크렘린의 여름" (격년, 짝수 해 6월~7월)
- 연례 멀티미디어 아트 국제 오픈 페스티벌 "멀티마토그라프"
7. 5. 전시회
볼로그다에서 열리는 연례 전시회는 다음과 같다.
7. 6. 문학
볼로그다에서는 많은 저명한 러시아 작가와 시인이 태어나 활동했다.- 콘스탄틴 바튜슈코프 (1787년-1855년) — 시인
- 니콜라이 루브초프 (1936년-1971년) — 시인
- 바실리 벨로프 — 작가
- 바를람 샬라모프 (1907년-1982년) — 작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과 함께 소련 시대의 반체제 작가.
- 블라디미르 길랴롭스키 (1853년-1935년) — 작가, 언론인, 러시아 제국 말기부터 소련 시대에 걸쳐 활동.
- 올가 포키나 — 시인
- 알렉산드르 야신 (1913년-1968년) — 시인
볼로그다 출신으로 가장 잘 알려진 작가로는 콘스탄틴 바튜슈코프, 바를람 샬라모프, 니콜라이 루브초프, 바실리 벨로프, 블라디미르 길랴롭스키가 있다. 볼로그다의 현대 문학은 나타 수치코바, 마리아 마르코바, 갈리나 셰키나, 안톤 초르니를 포함한 여러 작가들이 대표한다.
8. 고등 교육 기관
볼로그다에는 다음과 같은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 볼로그다 국립 기술 대학교
- 볼로그다 국립 교육 대학교
- N.V. 베레쉬차긴 볼로그다 국립 낙농 아카데미
- 연방 형사 서비스 볼로그다 법률 경제 연구소
- 볼로그다 경영 연구소
볼로그다에는 다음과 같은 대학교들의 분교가 있다.
- 모스크바 국립 법학 아카데미 볼로그다 분교
- 북서 공공 서비스 아카데미 볼로그다 분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공학 경제 대학교 볼로그다 분교
- 국제 경영 및 신기술 아카데미 볼로그다 분교
9. 교통
볼로그다는 고속도로, 철도, 수로가 교차하는 주요 교통 요충지이다.
볼로그다 시내에는 버스와 트롤리버스 노선이 잘 발달되어 있다. 시에는 볼로그다를 가로지르는 자동차 다리 2개와 철도를 가로지르는 다리 2개, 총 4개의 큰 자동차 다리가 있다. 시 중심에는 보행자 다리인 붉은 다리가 하나 있다.
M8 연방 고속도로(모스크바–야로슬라블–볼로그다–아르한겔스크–세베로드빈스크)는 모스크바 방면(남쪽)에서 오크루즈노예 쇼세와 코네바 거리를 통해, 아르한겔스크 방면(북쪽)에서는 체르니셰프스카야 거리를 통해 볼로그다로 들어온다. A-114 도로는 레닌그라드스코예 쇼세와 오크루즈노예 쇼세를 통해, Р-5 도로는 알렉산더 클루보프 거리를 통해 볼로그다로 들어온다. 이외에도 모자이스코예와 노로보, 페티니노, 그랴조베츠와 로스틸로보를 연결하는 지방 도로가 있다. 현재 A-114, Р-5, M-8 도로(아르한겔스크 방향)를 연결하는 새로운 볼로그다 순환 도로가 건설 중이다.
볼로그다의 시립 대중교통은 버스와 트롤리버스, 노선 택시로 운영된다. 1929년에 정기 버스 운행이, 1976년에 트롤리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9. 1. 철도
볼로그다는 북부 철도의 가장 큰 분류 및 환승 지점이다. 볼로그다-1, 볼로그다-2, 르키노, 로스타역이 있다. 볼로그다-2와 로스타 사이의 구간은 러시아 연방 철도망에서 가장 활발한 구간으로, 매일 120~150쌍 이상의 열차가 운행된다. 통근 열차와 장거리 열차는 볼로그다-1역에서 출발하며, 화물 열차를 위한 철도역인 르키노역은 볼로그다 근처에 있다.9. 2. 항공
볼로그다 공항은 아르한겔스크 고속도로를 따라 시내 중심에서 10km 떨어져 있다.[1] Yak-40 항공기는 모스크바, 우흐타, 벨리키우스튜그, 키치멘스키고로도크, 비테그라로 정기 여객 운송을 수행한다.[1] Mi-2 및 Mi-8 헬리콥터는 볼로그다 항공 회사에서 사용하며,[1] 비상 항공기 및 송유관 서비스에 사용된다.[1]9. 3. 고속도로
- M8 연방 고속도로 (모스크바–야로슬라블–볼로그다–아르한겔스크–세베로드빈스크) : 모스크바 방면(남쪽)에서 볼로그다로 들어가는 입구는 오크루즈노예 쇼세와 코네바 거리이며, 아르한겔스크 방면(북쪽)에서는 체르니셰프스카야 거리이다.
- A-114 도로 (볼로그다–체레포베츠–노바야 라도가) : 볼로그다로 들어가는 입구는 레닌그라드스코예 쇼세와 오크루즈노예 쇼세이다.
- 노선 Р-5 (볼로그다–키릴로프–비테그라–푸도시–메드베지예고르스크) : 볼로그다로 들어가는 입구는 알렉산더 클루보프 거리이다.
- 지방 도로 연결:
- 모자이스코예와 노로보보
- 페티니노 (세묜코보 경유)
- 그랴조베츠와 로스틸로보 (구 모스크바 고속도로)
A-114, Р-5, M-8 (아르한겔스크 방향) 도로를 연결하는 현대식 출입구가 있는 새로운 볼로그다 순환 도로가 건설 중이다. 아르한겔스크 방향은 아직 순환 도로로 연결되지 않았다.
9. 4. 도시 대중교통
볼로그다의 시립 대중교통은 버스와 트롤리버스 노선, 노선 택시 노선으로 운영된다. 정기 버스 운행은 1929년에, 트롤리버스 운행은 1976년에 볼로그다에서 개통되었다. 2009년 11월 기준으로 5개의 트롤리버스 노선, 19개의 시립 버스 노선, 약 40개의 ''마르슈루트카''(노선 택시)가 운행되고 있었다. 주요 운송 회사는 "볼로그다엘렉트로트란스"(트롤리버스), PATP-1 및 PATP-32(시립 버스 노선)이다.10. 산업
볼로그다에는 현재 1만 개 이상의 다양한 형태의 기업이 있다.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기업명 | 주요 생산 품목 |
---|---|
볼로그다 베어링 공장 | 다양한 유형의 베어링 |
바그론 | 알코올 |
볼로그다 기계 제조 공장 | 농업용 가공 장비 |
볼로그다 광학 및 기계 공장 | 광학 기기 |
볼로그다 철도 차량 수리 공장 (러시아 철도 공개 회사 지점) | 열차 생산, 객차 수리 및 재건 |
비발로프스키 기계 공장 | 크레인 (러시아 북서부 주요 기업) |
일렉트로테크마시 | 전기 가정용 및 기술 제품 |
중앙 운영 회사 | 건물 건설, 설계, 주택 관리, 상업용 부동산 관리 |
트랜스-알파 (구 볼로그다 기계 공장) | 트롤리 버스 및 버스 |
볼로그다 건축 설계 및 도로 기계 공장 | 가정, 공공 및 산업용 이동식 건물 |
소유즈레스몬타시 | 목재 가공용 및 제지 산업용 장비 |
전통 민속 공예는 «스네지노크»(레이스), "나데즈다" 및 기타 기업에서 선보이고 있다.
11. 스포츠
볼로그다에는 "디나모", "로코모티브", "비탸즈" 등의 대형 경기장, "디나모"와 "라군" 수영장, "스펙트럼" 스포츠 및 콘서트 단지, 피트니스 센터, 지역 체육 시설이 있다.
볼로그다의 스포츠 팀은 다음과 같다.
- 디나모: 남성 축구팀
- 체바카타: 여성 농구팀
12. 자매 도시
13. 저명한 인물
볼로그다 출신의 저명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문학:
- 콘스탄틴 바튜시코프 (1787년-1855년) — 시인
- 니콜라이 룹초프 (1936년-1971년) — 시인
- 바실리 벨로프 — 작가
- 바를람 샬라모프 (1907년-1982년) — 작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과 함께 소련 시대의 반체제 작가
- 블라디미르 길랴롭스키 (1853년-1935년) — 작가, 언론인. 러시아 제국 말기부터 소련 시대에 걸쳐 활동.
- 올가 포키나 — 시인
- 알렉산드르 야신 (1913년-1968년) — 시인
- 아폴로 코르제니오프스키와 그의 아들 조지프 콘래드 — 작가, 군사 재판 명령에 따라 볼로그다로 추방됨
- 예술:
- 발레리 가브릴린 (1939년–1999년) — 작곡가
- 게오르기 바실리예프 (1899년–1946년) — 영화 감독, 각본가
- 아냐 몬지코바 (1984년 8월 25일 출생) — 모델이자 배우
- 과학:
-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비코프 (1962년 출생) — 역사학자, 화폐학자
- 하리톤 체보타료프 (1746년–1815년) — 역사학자, 모스크바 대학교 총장
- 니콜라이 데브야트코프 (1907년–2001년) — 엔지니어, 발명가
- 그리 고리 란츠베르크 (1890년–1957년) — 물리학자
- 스포츠:
- 우노 아바 (1928년 출생) — 에스토니아 출신 레이싱 드라이버
- 율리야 체칼료바 (1984년 출생) —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 잔나 그로모바 (1949년 출생) — 피겨 스케이팅 코치
- 니콜라이 굴랴예프 (1966년 출생) —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쿨리코프 (1988년 출생) — 축구 선수
- 나탈리아 포돌스카야(카누 선수) (1993년 출생) — 카누 선수
- 아르투르 릴로프 (1989년 출생) — 축구 선수
- 타마라 릴로바 (1931년 출생) —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아담 비시냐코프 (1991년 출생) — 전직 프로 축구 선수
- 아르템 야쉬킨 (1975년 출생) — 축구 선수
참조
[1]
문서
Charter of Vologda, Chapter I
[2]
문서
Law #1112-OZ
[3]
문서
Charter of Vologda, Chapter V
[4]
웹사이트
Yevgeny Borisovich Shulepov, City Head
http://vologda-porta[...]
2012-10-29
[5]
웹사이트
Entry on Vologda
http://www.mojgorod.[...]
[6]
문서
ru-pop-ref
[7]
웹사이트
List of postal codes
http://info.russianp[...]
2011-12-17
[8]
웹사이트
Телефонный код города Вологда
http://kody.su/telco[...]
kody.su
2011-12-17
[9]
웹사이트
Приказ Министерства культур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инистерства регионального развит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29 июля 2010 г. N 418/339 г. Москва "Об утверждении перечня исторических поселений"
http://www.rg.ru/201[...]
Российская газета
2011-10-24
[10]
웹사이트
Culture in the Vologda region: Vologda city
http://www.cultinfo.[...]
2010-08-28
[11]
논문
The impact of the water routes of Novgorod and northeastern Rus'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Transvolga in the 12th-14th centuries
1989
[1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Vologda
http://vologda-oblas[...]
2011-07-22
[13]
문서
Башенькин А. Н., Кукушкин И. П. Древняя Вологда // Вологда. Краеведческий альманах. Вып. 1. — Вологда, 1994. — С. 29–45
[14]
웹사이트
Повесть о чудесах Герасима Вологодского (Публикация Ю. С. Васильева, Е. А. Малышевой)
https://www.booksite[...]
[15]
웹사이트
Васильев Ю. С. Герасим Вологодский и начало города Вологды
https://www.booksite[...]
[16]
웹사이트
Древняя Вологда
https://www.booksite[...]
[17]
서적
Vologda
1972
[18]
뉴스
Vologda Journal; Russia's Favorite Spread Smeared by Counterfeiters
https://www.nytimes.[...]
2000-05-27
[19]
웹사이트
Why were some Russian churches built in a day?
https://www.rbth.com[...]
Russia Beyond The Headlines
2020-01-29
[20]
문서
Law #371-OZ
[21]
문서
OKATO reference
[22]
문서
Resolution #178
[23]
문서
Law #1103-OZ
[24]
웹사이트
Регламент Вологодской городской Думы от 25 марта 2009 года
http://www.duma-volo[...]
2011-08-15
[25]
웹사이트
Состав фракции политической партии "Единая Россия" в Вологодской городской Думе
http://www.duma-volo[...]
[26]
웹사이트
Head of city
http://vologda-porta[...]
2021-05-10
[27]
웹사이트
City administration
http://vologda-porta[...]
2010-12-31
[28]
웹사이트
Meteocorne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meteocorn[...]
[29]
웹사이트
Meteocorne (Trewartha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meteocorn[...]
[30]
웹사이트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 Климат Вологда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1-11-12
[31]
웹사이트
Volgoda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11-13
[32]
웹사이트
The official festival website
http://multimatograf[...]
[33]
웹사이트
International Fair and Exhibition "Russian Flax"
http://vologda-oblas[...]
2010-10-16
[34]
웹사이트
International Fair and Exhibition "Russian Wood"
http://vologda-oblas[...]
2011-07-07
[35]
웹사이트
Exhibition "Gates to the North"
http://vologda-oblas[...]
2011-07-09
[36]
웹사이트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станция Рыбкино. Фотолинии — Railwayz.info
https://railwayz.inf[...]
2024-09-10
[37]
웹사이트
Рыбкино -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станция, Вологда - расписание поездов
https://tochka-na-ka[...]
2024-09-10
[38]
웹사이트
Города – побратимы города Вологды
https://vologda-port[...]
Vologda
2020-02-03
[39]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citypopulati[...]
2023-05-05
[40]
웹인용
Pogoda.ru.net
http://pogoda.ru.net[...]
2007-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