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서부 조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서부 조례는 1787년 미국 연합 회의에서 통과된 법으로, 미국이 북서부 지역을 관리하고 새로운 주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절차를 규정했다. 이 조례는 해당 영토에 대한 각 주의 영유권 주장을 무효화하고, 중앙 정부가 직접 관리하며, 인구 6만 명 이상 시 신규 주를 설립하도록 했다. 또한, 종교의 자유, 배심 재판의 권리, 노예제 금지 등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북서부 조례는 노예제 금지 조항을 통해 미국 의회 내 자유주와 노예주의 균형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헌법의 권리 장전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서부 영토 - 오하이오 영토
    오하이오 영토는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민족과 유럽 세력의 경쟁을 거쳐 미국의 영토가 되었고, 북서부 조례에 따라 노예제가 금지된 후 1803년에 미국의 주로 편입되었다.
북서부 조례
개요
미국 북서부 조례
북서부 조례
법률 정보
종류연방법
제정1787년 7월 13일
발효1789년 8월 7일
제정 기관연합 회의
지리적 범위
관할 구역북서부 영토
포함 지역현재의 오하이오주
인디애나주
일리노이주
미시간주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의 일부
주요 내용
목적북서부 영토의 정부 조직 및 주 편입 절차 규정
노예 제도북서부 영토 내 노예 제도 금지
공공 교육공공 교육 장려
원주민 권리원주민 권리 존중
역사적 맥락
배경미국 독립 전쟁 이후 영토 확장 및 정부 수립 필요성 증대
중요성미국 영토 확장 및 주 편입의 선례 확립, 노예 제도 확산 방지 노력
추가 정보
다른 이름자유 조례, 1787년 조례
관련 법률토지 조례 (1785년)
관련 지도

2. 역사적 배경

북서부 영토는 원래 프랑스의 식민지였으나, 7년 전쟁에서 영국이 승리한 후 1763년 파리 조약에 따라 영국 영토가 되었다. 영국은 이 지역을 오하이오 영토라고 불렀으며, 같은 해 조지 3세 국왕이 발표한 1763년 선언을 통해 애팔래치아산맥 서쪽으로 백인들의 이주 및 정착을 제한하고자 했다. 이는 서부로의 확장을 원했던 13개 식민지 주민들과 영국 왕실 사이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1774년 영국은 이 지역을 퀘벡주에 병합하기도 했다.

미국 독립 전쟁(1775-1783)이 미국의 승리로 끝나고 1783년 파리 조약이 체결되면서, 미국은 오대호 남쪽의 이 광대한 영토에 대한 권리를 확보하게 되었다. 그러나 독립 이후 매사추세츠주, 코네티컷주, 뉴욕주, 버지니아주 등 여러 주들이 식민지 시대의 권리를 근거로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문제가 복잡해졌다. 각 주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신생 독립국의 서부 영토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다. 또한, 이 지역에 남아있던 영국인들의 문제는 이후 1812년 전쟁이 발발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784년, 버지니아 대표였던 토머스 제퍼슨은 중요한 제안을 내놓았다. 그는 각 주가 애팔래치아산맥 서쪽 영토에 대한 개별적인 주장을 포기하고, 이 지역을 연방 정부의 관리 하에 두어 새로운 주(state)들을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1776년부터 논의되었던 연방 영토 창설 구상과 연합 규약 논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7] 제퍼슨은 이 영토를 구획하여 '케로네수스', '실바니아', '아세니시피아', '일리노이아', '메트로포타미아', '폴리포타미아', '펠리시피아', '워싱턴', '미시간니아', '사라토가' 등 독특한 이름을 가진 10개의 새로운 주를 만들자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제시했다.[8]

제퍼슨의 제안은 연합 회의에서 수정되어 1784년 토지 조례로 통과되었다. 이 조례는 비록 제퍼슨의 원래 구상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이후 북서부 조례의 중요한 기초를 마련했다. 그러나 1784년 조례는 조지 워싱턴제임스 먼로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특히 먼로는 제안된 주의 경계 설정에 문제를 제기했고, 일부 정치인들은 새로운 주 정부 구성 방식과 작은 주들이 기존 주의 권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7]

결국 이러한 논의와 수정을 거쳐 1787년 뉴욕에서 북서부 조례가 최종적으로 통과되었다. 이 조례는 토지를 체계적인 격자형 구획(타운십)으로 측량하고 판매하는 방식을 규정했다. 이는 연방 정부에게 새로운 수입원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서부 개척과 정착 과정에서 질서 있는 패턴을 확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9][10]

3. 조례의 주요 내용 및 효과

북서부 조례의 통과를 기념하는 명판. 로어 맨해튼페더럴 홀


북서부 조례는 미국 독립 선언 외에 대륙 회의 또는 연합 회의에서 가결된 가장 중요한 법령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조례는 기존 주의 영토 확장이 아닌 새로운 주의 창설을 공식적으로 인정함으로써, 미국북아메리카 대륙 서쪽으로 확장하는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했다.

주요 내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 연방 정부의 영토 직접 통치 확립: 북서부 영토에 대한 기존 주들의 영유권 주장을 모두 기각하고 해당 지역을 연방 정부가 직접 관리하도록 했다. 이는 중앙 정부가 특정 주의 권한을 넘어 영토를 관리하는 선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2] 이에 따라 각 주는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영토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고, 이 지역은 연방 정부의 공공 토지가 되었다.
  • 새로운 주 설립 조건 규정: 특정 지역의 인구가 6만 명을 넘으면 기존 13개 주와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새로운 주를 설립할 수 있도록 명시했다. 이 규정에 따라 1803년 오하이오를 시작으로 인디애나, 일리노이, 미시간, 위스콘신 주가 차례로 연방에 가입했다.
  • 노예 제도 금지: 북서부 영토 내에서 노예 제도를 금지했다. 이 조항은 오하이오강을 경계로 노예주와 자유주의 구분을 명확히 했으며, 이후 미국 정치에서 중요한 쟁점이 되었고 남북 전쟁의 배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 영토 정부 구성 및 기본권 보장: 영토 정부(준주 정부)의 구성 방식과 운영에 대한 규정을 마련했으며, 주민의 기본적인 권리(종교의 자유, 인신보호영장, 재판받을 권리 등)를 보장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이후 미국 권리장전의 토대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북서부 조례는 1785년 공유지 조례와 더불어 미국 중서부 및 서부 지역의 법적, 정치적, 사회적 기틀을 마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에이브러햄 링컨이나 샐먼 P. 체이스와 같은 인물들의 법철학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3. 1. 영토 정부 (준주 정부) 구성

이 조례는 중앙 정부 직할의 북서부 영토 행정부를 구성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이는 이후 미국이 서부로 확장할 때 새로운 행정부를 구성하는 규범이 되었다.

영토 내 자유로운 남성 주민의 인구가 5,000명 미만일 경우, 제한적인 형태의 정부가 운영되었다. 이 초기 정부는 연방 의회가 임명하는 총독, 서기, 그리고 3명의 판사로 구성되었다.[17] 각 관리의 주요 역할과 자격은 다음과 같다.

직책임기주요 자격 및 역할
총독3년1000acre 토지 소유, 민병대 최고 사령관, 치안 판사 및 기타 관리 임명, 법률 제정 및 공포 기여
서기4년500acre 토지 소유, 영토 법률 및 공공 기록 보관, 해당 기록 사본을 6개월마다 연방 의회 서기에게 전달
판사 (3명)무기한 ("선량한 행위 지속 시")500acre 토지 소유, 총독의 법률 제정 보조, 공식 법원 판결 담당



영토의 인구가 5,000명의 자유로운 남성 주민에 도달하면, 주민들은 자체적으로 입법부를 구성할 권한을 가졌다. 각 카운티 또는 읍에서는 영토 일반 의회로 보낼 대표를 선출할 수 있었다. 대표는 자유 남성 500명당 1명 비율로 선출되었으며, 총 대표 수가 25명이 될 때까지 이 비율이 유지되었다. 이후 대표 수와 비율은 해당 입법부가 결정했다. 대표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았다.[18]


  • 최소 3년 이상 미국 시민권자일 것
  • 또는 해당 지역에 3년 이상 거주하고 동일 지역 내 최소 200acre의 토지를 소유할 것


선출된 대표는 2년의 임기를 수행했으며, 임기 중 사망하거나 해임될 경우 남은 임기를 채울 새로운 대표가 선출되었다.[18]

1789년, 미국 의회는 조례에 약간의 수정을 가했다. 이 수정으로 기존에 연방 의회가 가졌던 영토 지사 및 관리의 임명 및 해임 권한이 미국 대통령에게 이관되었다. 다만, 대통령은 미국 상원의 조언과 동의를 얻어야 했다. 또한, 지사가 사망, 부재, 해임 또는 사임하는 경우, 영토 서기가 지사의 직무를 대행하도록 규정했다.

3. 2. 시민권 확립

조례의 시민권 조항은 이후 미국 헌법의 첫 10개 수정 조항인 권리장전의 중요한 선구자가 되었다.[19] 1787년 조례에서 제시된 많은 개념과 보장된 권리는 미국 헌법과 권리장전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북서부 영토에서는 다양한 법적 권리와 재산권이 법제화되었다.

특히, 자유 보유(fee simple) 소유권 개념이 확립되어 토지를 영구적으로 소유하고 자유롭게 판매하거나 증여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되었다. 이는 "미국 계약 자유의 첫 번째 보장"으로 평가받기도 한다.[11]

조례는 종교적 관용을 선언하며 "종교, 도덕, 지식은 훌륭한 정부와 인류의 행복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학교와 교육 수단이 영원히 장려되어야 한다"고 명시하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시민의 권리를 보장했다.

  • 인신보호영장 (Habeas Corpus|헤이비어스 코퍼스lat)의 권리
  • 종교 예배의 자유
  • 과도한 벌금 및 잔혹하고 비정상적인 처벌 금지
  •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 소급 입법 금지

3. 3. 노예제 금지

조례는 북서부 영토 내에서 노예 제도를 금지했는데, 이는 당시 뉴욕주뉴저지주 같은 북동부 주에서도 노예 제도를 인정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20] 조례 제6조는 "이 영토에는,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노예 제도나 자발적이지 않은 노역이 존재하지 아니한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 지역에서도 노예가 불법적으로 소유되거나 계약에 따른 예속이 암묵적으로 인정되기도 했다.

또한 제6조는 "원래의 주 중 하나에서 적법하게 노동력 또는 서비스를 요구받는 사람이 이 영토로 도망친 경우, 그 도망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의 노동력 또는 서비스를 주장하는 사람에게 적법하게 반환될 수 있다"는 도망 노예 조항도 포함하고 있었다.[20][23] 이 조항의 작성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매사추세츠 출신의 네이선 데인과 마나세 커틀러가 각각 자신이 작성했다고 주장했다. 역사가 데이비드 맥컬러프는 데인의 문장력을 근거로 그의 주장을 일축하기도 했다.[21]

북서부 영토에 노예제가 금지되면서, 이 지역에 설립된 자유주들은 미국 남북 전쟁 발발 전까지 수십 년간 남부의 노예주와의 미국 의회 내 정치적 힘의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하이오강은 애팔래치아 산맥과 미시시피강 사이 지역에서 자유주와 노예주의 실질적인 경계선이 되었으며, 이 경계는 루이지애나 매입미주리 타협 이후 서쪽으로 로키산맥까지 확장되었다. 그러나 이 균형은 멕시코-미국 전쟁의 결과로 인해 무너지게 되었다.

1820년대에는 노예제 지지자들이 북서부 영토에서 분리된 일리노이주인디애나주에서 노예제를 합법화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다만, "용역 계약" 법을 통해 일부 노예 소유주가 제한적인 형태로 노예를 데려오는 것은 가능했다.[25][26] 남부 주들은 이 법안에 찬성했는데, 이는 노동 집약적인 담배 재배에서 북서부 영토와의 경쟁을 피하고, 당시 노예주가 자유주보다 많았던 상황에서 정치적 균형을 맞추려는 의도도 있었다.[27]

1850년대에 이르러 미국 남부의 과격파(파이어 이터) 대부분은 연방 정부가 북서부 영토에 노예제를 금지할 권한이 있다는 것 자체를 부정했다. 반면,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개인적으로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북서부 영토에서의 노예제 금지 조항에 서명했으며, 친구인 라파예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를 현명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토머스 제퍼슨제임스 매디슨 역시 연방 정부가 이러한 권한을 가진다고 믿었다.

북서부 조례의 노예제 금지 조항은 이후 미국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865년에 비준된 미국 헌법 수정 제13조는 미국 전역에서 노예제를 폐지하면서 북서부 조례 제6조의 문구를 거의 그대로 인용했다.[28]

4. 미국 원주민에 대한 영향

북서부 조례는 미국 원주민과의 관계에 대해 두 부분에서 언급한다. 하나는 원주민이 소유권을 포기한 것으로 간주되는 토지에 군사 구역과 마을 경계를 설정하는 내용(제8조)이고[29], 다른 하나는 원주민과의 관계에 대한 원칙을 제시하는 내용(제3조)이다. 제3조는 "인디언에 대해 항상 최고의 성실성을 준수해야 한다. 그들의 토지와 재산은 그들의 동의 없이 결코 빼앗겨서는 안 되며, 그들의 재산, 권리 및 자유는 의회가 인정한 정당하고 합법적인 전쟁이 아니고는 침해되거나 방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며, 평화와 우정을 유지하기 위한 법률 제정을 강조했다.[30]

그러나 이러한 조례의 이상적인 내용과 달리 현실에서는 갈등이 지속되었다. 오하이오 강 북쪽 지역에 거주하던 많은 미국 원주민 부족들은 미국 독립 전쟁 이후 체결된 조약에서 자신들의 토지를 미국에 할양한다는 내용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백인 정착민들과 원주민 사이의 갈등은 북서 인디언 전쟁(1785-1795)으로 이어졌다.

전쟁 초기, 쇼니 족의 블루 재킷과 마이애미 족의 리틀 터틀이 이끄는 원주민 연합군은 백인들의 영토 확장을 저지하기 위해 강력하게 저항했다. 이들은 두 차례의 전투에서 800명이 넘는 미국 군인을 사살하며 미국 역사상 원주민과의 전투에서 가장 큰 규모의 패배를 안겼다.

이에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앤서니 웨인 장군에게 새로운 군대의 지휘를 맡겼다. 웨인 장군이 이끄는 미국 군대는 결국 원주민 연합군을 격파했고, 이는 백인들이 해당 영토에 정착하는 것을 더욱 가속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조례에 명시된 원주민의 권리 보호 약속은 사실상 지켜지지 못했으며, 미국의 서부 확장은 원주민의 희생 위에서 이루어졌다.

5.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북서부 조례는 국민기본권 보장, 법치주의 확립, 민주적 절차에 따른 새로운 의 설립 등 민주주의 국가의 기본 원칙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원칙들은 대한민국 헌법이 추구하는 기본 정신과도 깊은 관련성을 가지며, 한국 민주주의가 발전해 온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선례로 평가받을 수 있다.

특히, 북서부 조례에서 노예제를 명시적으로 금지한 조항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인권 존중의 가치를 시대를 앞서 강조한 것으로,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없애고 모든 구성원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북서부 조례는 과거의 법률적 문서에 그치지 않고, 현대 사회의 민주주의인권 가치를 실현하는 데 있어 여전히 유효한 교훈을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and Ordinance of 1785 http://ohiohistoryce[...] Ohio History Central 2018-12-16
[2] 논문 The Northwest Ordinance and the Shaping of an Expanding Republic 1989-09
[3] 웹사이트 Primary Documents in American History: Northwest Ordinance https://loc.gov/rr/p[...] The Library of Congress 2020-04-07
[4] 서적 History of the land question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1886
[5] 문서 Strader v. Graham
[6] 논문 The Northwest Ordinance and the Shaping of an Expanding Republic https://www.jstor.or[...] 1989
[7] 서적 American Boundaries: the Nation, the States, the Rectangular Surve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웹사이트 Report from the Committee for the Western Territory to the United States Congress http://jeffersonswe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and University of Virginia 1784-03-01
[9] 서적 The Politics of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
[10] 서적 The Pioneers Simon & Schuster
[11] 서적 The Mystery of Capital: Why Capitalism Triumphs in the West and Fails Everywhere Else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2] 간행물 The Nation and its Water Resources https://ecommons.cor[...] United States Public Health Service, Division of Water Supply and Pollution Control 1962
[13] 논문 Public Education in the Old Northwest: 'Necessary to Good Government and the Happiness of Mankind' 1988-03
[14] 논문 he American Right to Education: The Northwest Ordinance, Reconstruction, and the Current Challenge https://www.prrac.or[...] 2021-03-22
[15] 서적 Freedom Just Around the Corner: A New American History, 1585–1828 Harper Collins 2004
[16] 웹사이트 Ohio University http://www.ohiohisto[...] Ohio History Central: An Online Encyclopedia of Ohio History 2009-12-31
[17] 웹사이트 Northwest Ordinance http://loc.gov/rr/pr[...] 2019-03-07
[18] 웹사이트 Northwest Ordinance http://loc.gov/rr/pr[...] 2019-03-07
[19] 서적 The history of Michigan law Ohio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Northwest Ordinance; July 13, 1787 http://avalon.law.ya[...] Lillian Goldman Law Library, Yale Law School 2014-02-17
[21] 서적 The Pioneers Simon and Schuster
[22] 뉴스 Opinion {{!}} When Anti-Immigration Meant Keeping Out Black Pioneers https://www.nytimes.[...] 2019-09-21
[23] 논문 Slavery and the Northwest Ordinance: A Study in Ambiguity https://www.jstor.or[...] 1986
[24] 문서 McCullough
[25] 서적 The Boisterous Sea of Liberty 2000
[26] 논문 Evading the Ordinance: The Persistence of Bondage in Indiana and Illinois https://www.jstor.or[...] 1989
[27] 서적 Student's Guide to Landmark Congressional Laws on Civil Right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2
[28] 웹사이트 Guide to the Constitution https://www.heritage[...] 2019-09-21
[29]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Northwest Ordinance – 1787. An Ordinance for the government of the Territory of the United States northwest of the River Ohio http://www.ourdocume[...] 2014-03-21
[30]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Northwest Ordinance – 1787. An Ordinance for the government of the Territory of the United States northwest of the River Ohio http://www.ourdocume[...] 2014-03-21
[31] 웹사이트 Ordinance of 1787 Sesquicentennial Issue https://arago.si.edu[...] Smithsonian National Postal Museum 2018-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