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의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행정 구역으로, 러시아어 외에도 자체 공용어를 사용하고 자체 헌법을 갖는 특징이 있다. 1917년 러시아 제국 붕괴 이후 소수 민족에게 자결권을 부여하면서 자치 공화국들이 수립되었으며,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자치권이 제한되었으나, 1980년대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이후 소수 민족 문화가 부활했다. 1990년대 소비에트 연방 해체 이후 대부분의 자치 공화국은 연방 공화국으로 격상되었고, 일부는 독립을 시도했으나, 러시아 연방에 통합되었다. 현재 러시아에는 22개의 공화국이 있으며, 이들은 러시아 연방 내에서 다양한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크림 반도와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공화국으로 편입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러시아의 공화국 | |
---|---|
지도 | |
![]() | |
개요 | |
분류 | 연방 주체 |
위치 | 러시아 연방 |
현재 수 | 21 |
인구 범위 | 최소: 알타이 공화국 (206,195명) 최대: 바시키르 공화국 (4,072,102명) |
면적 범위 | 최소: 인구셰티야 공화국 (3,123 km²) 최대: 사하 공화국 (3,083,523 km²) |
정부 형태 | 공화국 정부 |
하위 행정 구역 | 러시아의 군 연방 주체 중요 도시 |
추가 정보 | |
관련 주석 | 21개 공화국은 국제적으로 승인된 러시아 국경 내에 있습니다. 크림 공화국은 2014년에 러시아에 합병되었습니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한스크 인민공화국은 2022년에 합병되었습니다. 국제연합은 세 지역 모두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인정합니다. 러시아는 1991년 89개의 지역을 상속받았고, 이들은 3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즉, 민족 연방 공화국, 다양한 종류의 자치 지역, 일반 지역(오블라스트)입니다. 오늘날 85개 지역이 있으며, 일부 소규모 지역이 합병되었고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이 2014년에 합병되었습니다. |
관련 링크 | 타타르스탄의 러시아 연방 탈퇴 시도 러시아, 타타르스탄의 자치권 박탈 |
2. 역사
러시아의 공화국들은 소비에트 러시아 초기에 러시아 제국의 붕괴 이후 수립되었다. 1917년 11월 15일,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 인민의 권리 선언을 발표하여 러시아 소수 민족에게 자결권을 부여하였다.[3] 그러나 이 선언은 소수 민족에게 진정한 독립을 보장하려는 의도가 아니었고, 러시아 내전에서 신생 소비에트 국가에 대한 소수 민족의 지지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되었다.[3]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되면서 각 자치 공화국은 "공화국"으로 계승되었다. (체첸 인구시 자치 공화국은 체첸 공화국과 인구시 공화국으로 분할).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공화국들은 러시아 연방 시대에도 그 지위를 유지했다. 1990년 6월 12일, 러시아 SFSR은 국가 주권 선언을 발표하여 러시아를 소비에트 법보다 우선하는 법률을 가진 주권 국가로 선포했다.[15] 보리스 옐친은 타타르 ASSR의 카잔에서 연설하며 ASSR에게 "소화할 수 있는 만큼 많은 주권을 가져라"라고 말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은 연방 시스템을 완전히 재구성하고 중앙 정부의 권위를 회복하겠다는 약속으로 2000년 3월 26일 선거에 참여했다.[37] 2000년대에 들어 블라디미르 푸틴이 대통령을 역임했던 시기에 연방 헌법의 우위와 중앙 집권화를 확립할 목적으로 공화국의 자치권은 크게 축소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여러 민족 공화국은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43]
2014년의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 따라 크림 공화국이 러시아에 편입되었고, 2022년에는 2022년 러시아 점령하 우크라이나의 병합 주민 투표에 따라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이 러시아에 편입되었지만, 대다수 국가는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2. 1. 소비에트 연방 시대
소비에트 러시아 초기, 러시아 제국이 붕괴된 후 러시아의 공화국들이 수립되었다. 1917년 11월 15일,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 인민의 권리 선언을 발표하여 러시아 소수 민족에게 자결권을 부여하였다.[3] 그러나 이 선언은 소수 민족에게 진정한 독립을 보장하려는 의도가 아니었고, 러시아 내전에서 신생 소비에트 국가에 대한 소수 민족의 지지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되었다.[3] 레닌의 선언을 이용하여 독립 국가를 건설하려는 시도는 내전 기간 동안 볼셰비키에 의해 탄압받았다. 1922년 12월 30일 소비에트 연방이 공식적으로 수립되었을 때, 국가의 소수 민족들은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ASSR)으로 강등되었는데, 이들은 연방 공화국보다 권한이 적었고 이들에게 종속되었다. 내전 이후 볼셰비키는 국가의 국경을 설정하기 위해 국경 확정 과정을 시작했다. 요셉 스탈린의 국민성에 대한 이론을 통해 다양한 인정된 민족 집단을 위한 국가적 고향을 만들기 위해 국경이 설정되었다. 중앙아시아의 카자흐 ASSR과 투르키스탄 ASSR과 같은 초기 공화국들은 해체되어 새로운 연방 공화국을 만들기 위해 분할되었다. 국경 확정과 함께 국가의 탈러시아화를 장려하고 소수 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증진하는 토착화 정책이 시행되었다.[4] 이 정책은 러시아계 주민들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부랴트 ASSR과 같이 원주민이 이미 자신의 고향에서 소수 민족인 ASSR에서 특히 강력하게 시행되었다.[5] 언어와 문화는 번영했고 궁극적으로 국가의 국가 기구에 민족성을 제도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볼셰비키는 독립을 추구할까 봐 우려하여 러시아 영토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국가의 새로운 공화국들을 고립시키려고 노력했다. 1925년 바시키르 ASSR은 소위 "오렌부르크 회랑"의 생성과 함께 미래의 카자흐 SSR과의 국경을 잃어, 볼가 지역 전체를 에워싸게 되었다.[6] 코미-지리안 자치주는 바렌츠해에 대한 접근을 잃고 1929년 7월 15일 이전에 코미 ASSR으로 승격되기 전에 하나의 점거지가 되었다.[7]
1930년대에 이르러, 요셉 스탈린 치하의 소비에트 연방은 토착화를 중단하고 정부와 지식인층에서 비러시아인들을 숙청하기 시작하면서 분위기가 바뀌었다. 따라서 러시아화 시대가 시작되었다. 러시아어는 비러시아계 민족의 모든 지역에서 필수가 되었고 키릴 문자는 소비에트 연방의 모든 언어에 대해 필수가 되었다. 헌법은 ASSR이 자체 영토 내에서 자체 정책을 시행할 권한이 있다고 명시했지만, 실제로 ASSR과 그 명목상의 국민들은 스탈린의 숙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사람들 중 일부였고 모스크바의 엄격한 통제를 받았다. 1937년부터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는 "러시아 인민의 적"이 되었고 토착화는 폐지되었다. 1941년 6월 22일, 독일은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었고 러시아 영토 깊숙이 진격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스탈린은 1941년 9월 7일 볼가 독일인 ASSR을 폐지하고 볼가 독일인을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로 추방했다.[8] 소비에트가 우위를 점하고 1943년에 영토를 탈환하기 시작하자, 국가의 많은 소수 민족들이 스탈린에 의해 독일 협력자로 간주되기 시작했고, 특히 러시아 남부에서 반역죄로 고발되었다.[9] 1943년에서 1945년 사이에 발카르인, 체첸인, 크림 타타르인,[10] 잉구시인, 그리고 칼미크인은 국가의 외딴 지역으로 대규모 강제 이주당했다. 강제 이주 직후 소비에트 정부는 1943년 12월 27일 칼미크 ASSR,[11] 1944년 2월 23일 크림 ASSR,[11] 1944년 3월 7일 체체노-잉구시 ASSR을 해산하는 법령을 통과시켰고, 1944년 4월 8일 카바르디노-발카르 ASSR의 이름을 카바르딘 ASSR로 변경했다.[12] 스탈린의 사망 후인 1953년 3월 5일, 니키타 흐루쇼프의 새로운 정부는 그의 논란이 많은 유산을 되돌리려고 노력했다. 1956년 2월 25일 그의 비밀 연설에서 흐루쇼프는 러시아 소수 민족을 복권시켰다. 카바르디노-발카르 ASSR[8]과 체체노-잉구시 ASSR은 1957년 1월 9일 복원되었고, 칼미크 ASSR은 1958년 7월 29일에 복원되었다. 그러나 정부는 볼가 독일인 ASSR[13]과 크림 ASSR의 복원을 거부했는데, 후자는 1954년 2월 19일에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로 이양되었다.[11]

소비에트 연방 역사를 통틀어 ASSR의 자치권은 크게 달랐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화는 계속되었고 ASSR로의 러시아 내부 이주는 다양한 원주민이 자신의 공화국에서 소수 민족이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동시에 ASSR의 수는 증가했는데, 카렐 ASSR은 1940년부터 연방 공화국이었다가 1956년 7월 6일에 설립되었고, 부분적으로 인정받은 국가인 투바는 1944년 10월 11일에 소비에트에 합병되었고 1961년 10월 10일에 투바 ASSR이 되었다.[14] 1980년대에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도입한 ''글라스노스트''는 ASSR의 소수 민족 문화의 부활기를 시작했다. 1989년부터 고르바초프의 소비에트 연방과 보리스 옐친이 이끄는 러시아 SFSR은 권력 투쟁을 벌였다. 옐친은 더 많은 권한 이양을 약속하고 "맨땅에서부터" 연방을 건설하겠다고 약속하며 ASSR의 지지를 얻으려고 했다. 1990년 6월 12일, 러시아 SFSR은 국가 주권 선언을 발표하여 러시아를 소비에트 법보다 우선하는 법률을 가진 주권 국가로 선포했다.[15] 그 다음 달 옐친은 카잔, 타타르 ASSR에서의 연설에서 ASSR에게 "소화할 수 있는 만큼 많은 주권을 가져라"라고 말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ASSR이 이제 약화된 소비에트 연방에 맞서 자체적으로 주장하도록 촉구했다. 1990년과 1991년 내내 대부분의 ASSR은 러시아의 선례를 따라 "주권 선언"을 발표하여 연방 러시아 내에서 연방 공화국의 지위로 격상되었다. 다게스탄 ASSR과 모르도바 ASSR은 주권을 선포하지 않은 유일한 공화국이었다.[16]
소비에트 연방의 마지막 해에 국가를 느슨한 연합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새로운 조약에 대한 협상이 진행 중이었다. 고르바초프는 ASSR을 조약 초안 작성에 참여하도록 초청하여 연방 공화국과 동등한 것으로 인정했다.[17] 그러나 1991년 8월 쿠데타 미수로 협상이 좌절되었고 연방 공화국은 그 해에 독립을 선언하기 시작했다.[17] 소비에트 연방은 1991년 12월 26일에 붕괴되었고 ASSR의 위치는 불확실해졌다. 법적으로 ASSR은 연방 공화국과 같이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분리될 권리가 없었지만 러시아로부터의 독립 문제는 일부 ASSR에서 논의의 주제가 되었다. ASSR이 채택한 주권 선언은 분리 문제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 일부는 러시아 연방의 통합을 옹호했고, 다른 일부는 이 문제에 대해 함구했으며, 코미 ASSR,[18] 마리 ASSR,[19] 그리고 투바 ASSR[20]과 같이 다른 일부는 자결권을 유보했다.
구 소련 시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에서는 나치야(民族), 나로드노스티(亞民族), 프례미야(種族)라는 민족 집단의 규모와 자치 정도의 단계에 따라 3단계의 민족 자치체가 있었고, 단계가 낮아질수록 자치권은 작아졌다.[112] 국민 국가를 형성할 수 있는 규모와 결속력을 가진 민족(나치야)에 의한 자치 공화국(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ASSR), 국가를 가질 수는 없지만 한곳에 모여있는 민족(나로드노스티)에 의한 자치주(AO), 그리고 원주민인 작은 민족(프례미야)에 의한 자치구가 있었다.
소련 붕괴 후, 러시아 SFSR의 영역에 탄생한 러시아 연방도 각 자치 공화국을 같은 이름의 "공화국"으로 계승했다(체첸 인구시 자치 공화국의 경우, 체첸 공화국과 인구시 공화국이라는 두 개의 공화국으로 분할되었다).
소련 시대 자치주 중 아디게, 알타이, 카라차이 체르케스, 하카스는 소련 붕괴 전후로 공화국이 되었고, 현재 러시아 연방에서는 유대인 자치주만이 자치주로 남아 있다.
2. 2. 러시아 연방 시대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러시아의 공화국들은 러시아 연방 시대에도 그 지위를 유지했다. 1990년 6월 12일, 러시아 SFSR은 국가 주권 선언을 발표하여 러시아를 소비에트 법보다 우선하는 법률을 가진 주권 국가로 선포했다.[15] 보리스 옐친은 타타르 ASSR의 카잔에서 연설하며 ASSR에게 "소화할 수 있는 만큼 많은 주권을 가져라"라고 말했다.이러한 사건들은 ASSR이 자체적으로 주장하도록 촉구했다. 1990년과 1991년 내내 대부분의 ASSR은 "주권 선언"을 발표하여 연방 러시아 내에서 연방 공화국의 지위로 격상되었다.[16] 다게스탄 ASSR과 모르도바 ASSR은 주권을 선포하지 않은 유일한 공화국이었다.
소비에트 연방의 마지막 해에 국가를 느슨한 연합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새로운 조약에 대한 협상이 진행되었으나, 쿠데타 미수로 협상이 좌절되었고 연방 공화국은 그 해에 독립을 선언하기 시작했다.[17] 소비에트 연방은 1991년 12월 26일에 붕괴되었고 ASSR의 위치는 불확실해졌다. 법적으로 ASSR은 연방 공화국과 같이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분리될 권리가 없었지만 러시아로부터의 독립 문제는 일부 ASSR에서 논의의 주제가 되었다.
옐친은 "주권의 행진"에서 연방 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했지만, ASSR에 관해서는 분리를 지지하지 않았고 그들이 독립을 선언하는 것을 막으려고 노력했다. 조하르 두다예프가 이끄는 체체노-잉구시 ASSR은 1991년 11월 1일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했고,[21] 옐친은 1994년 12월 11일에 제1차 체첸 전쟁을 시작하여 이를 탈환하려고 시도했다.[22] 1992년 3월 21일에 타타르 ASSR이 독립 선포 여부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했을 때, 그는 헌법재판소에 의해 투표가 불법으로 선언되었다.[23]

1992년 3월 31일, 타타르 ASSR과 사실상 국가인 체첸을 제외한 러시아의 모든 주체는 러시아 정부와 연방 조약에 서명하여 연방 구조를 강화했고 보리스 옐친은 러시아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24] ASSR은 해체되어 오늘날의 공화국이 되었다. 자치주인 아디게야, 고르노알타이, 하카시아, 그리고 카라차이-체르케시아가 정식 공화국으로 승격되면서 공화국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고,[25] 체체노-잉구시 ASSR의 잉구시 지역은 분리주의 국가의 일부가 되기를 거부하고 1992년 6월 4일 러시아에 잉구셰티야 공화국으로 재가입했다.[26] 타타르스탄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 내에서 자치권을 유지하기 위한 자체 합의를 요구했고, 1994년 2월 15일 모스크바와 카잔은 후자에게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부여하는 권력 분담 협상에 서명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은 연방 시스템을 완전히 재구성하고 중앙 정부의 권위를 회복하겠다는 약속으로 2000년 3월 26일 선거에 참여했다.[37] 권력 분담 협정은 점차 만료되거나 종료되기 시작했고, 2003년 이후 타타르스탄과 바시코르토스탄만이 조약 연장에 대한 협상을 계속했다.[27] 북오세티야-알라니아의 학교에서 체첸 분리주의자들의 공격 이후 푸틴은 주지사 직선제를 폐지하고 그들을 직접 임명하고 해임할 권한을 행사했다.[40] 2017년 7월 24일, 타타르스탄과 모스크바의 권력 분담 협정이 만료되면서 특별 지위를 상실한 마지막 공화국이 되었다. 협정 종료 후 일부 논평가들은 러시아가 더 이상 연방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2000년대에 들어 블라디미르 푸틴이 대통령을 역임했던 시기에 연방 헌법의 우위와 중앙 집권화를 확립할 목적으로 공화국의 자치권은 크게 축소되었다. 푸틴은 연방 대통령이 지방을 감독하기 위해 연방을 7개로 구분하여 주와 공화국 위에 연방 관구를 설치하고 연방의 법률과 헌법을 위반하지 않는지 공화국의 활동을 감독하도록 했다. 더 나아가 푸틴은 각 공화국의 입법부 권한을 강화하는 대신 수장(대통령)의 권한을 약화시켰다. 공화국 수장(대통령)의 선출 방식도 푸틴 시대에 직접 선거가 폐지되어 러시아 연방 대통령이 지명하는 방식이 되었지만, 각 공화국 의회의 승인은 필요하다.
2022년 러시아의 여러 민족 공화국은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43]
2014년의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 따라 크림 공화국이 러시아에 편입되어 러시아의 공화국이 되었지만, 러시아 이외의 국가 대부분은 우크라이나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2022년에도 2022년 러시아 점령하 우크라이나의 병합 주민 투표에 따라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이 편입되었지만, 마찬가지로 대다수 국가는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3. 헌법적 지위
러시아의 공화국들은 러시아어 외에도 그 공화국에서 지정한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의 공화국들은 의회와 헌법을 갖고 있다.[44]
크라이, 오블라스트와 같은 다른 연방 구성주와 달리 공화국들은 자체 공용어를 설정할 권리가 있으며,[44] 자체 헌법과 국가 의례가 있다.[44] 1992년 3월 31일에 체결된 연방 조약은 공화국이 천연 자원, 대외 무역 및 내부 예산에 대한 권한이 확대된 "주권 국가"임을 명시했다.[46] 1993년 러시아 헌법 위기 이후 현재의 헌법이 채택되었지만, 공화국은 더 이상 "주권 국가"로 분류되지 않았고 연방의 모든 구성주는 평등하게 선언되었지만 2자간 협정의 유효성은 유지되었다.
이론적으로 러시아 헌법이 공화국에 대한 최고 권위였지만, 권력 분배 조약이 실제로는 더 큰 무게를 가졌다. 공화국들은 종종 헌법과 모순되는 자체 법률을 제정했다. 2000년 3월 26일 블라디미르 푸틴의 당선은 연방 정부의 권한을 중앙 집중화하고 모든 법률을 헌법에 맞추는 광범위한 개혁의 시대를 열었다.[49] 푸틴 대통령의 첫 번째 조치는 2000년 5월 18일 국가 구성주에 대한 연방 통제를 행사하도록 임무를 부여받은 연방 관구를 만든 것이었다.[50]
공화국이 연방 정부에 점차 더 많은 자치권을 잃어가면서 권력 중앙 집중화가 계속되었고, 이로 인해 유럽 의회는 러시아가 공식적으로 연방이지만 단일 국가로 기능한다고 결론지었다.[51] 2010년 12월 29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공화국 지도자들이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했다.[52]
대부분의 공화국에는 분리주의 운동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 세력이 크지는 않다. 헌법에는 공화국이 러시아 연방으로부터 법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러시아 헌법재판소는 1991년 체첸의 일방적 분리 이후 공화국은 분리될 권리가 없으며 국가의 불가분의 일부임을 판결했다.[64]
4. 분리주의 운동
각 공화국에는 일정 규모의 분리주의 세력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그 세력은 강하지 않다. 하지만 소비에트 연방 붕괴 직후 타타르스탄 공화국,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사하 공화국, 체첸 공화국은 분리 독립을 선언하고 각 공화국 국민의 지지를 얻었다. 특히 체첸의 경우 체첸 전쟁으로까지 이어졌다.[109] 각 공화국에는 「주요 민족」 외에 러시아인 등 다른 민족이 다수 거주하여 분리주의에 대한 일정한 제동이 되고 있다. 또한 각 공화국의 「주요 민족」은 대부분 그 공화국 내에 거주하지만, 타타르인의 경우 타타르스탄 공화국 외부에 대다수가 거주하여 이 또한 분리 독립의 제동이 되고 있다.
5. 우크라이나 지역 공화국
2014년 3월 18일, 러시아는 국민투표 이후 우크라이나의 크림 자치 공화국을 병합했다.[66] 이후 크림 반도는 러시아의 22번째 공화국인 크림 공화국이 되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 대부분은 크림 반도의 병합을 인정하지 않으며,[67] 유엔총회 결의 제68/262호는 이 국민투표가 무효라고 선언했다.[68]
2022년 2월 24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의 광대한 지역을 점령했다. 2022년 3월 초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69]과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70]의 지도자들은 러시아가 주장하는 영토 전체를 점령한 후 러시아에 합류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2022년 9월 동부에서 우크라이나의 갑작스러운 승세가 나타나자, 두 공화국은 러시아 합류를 위한 일련의 국민투표를 실시했으며, 이 국민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이 보고되었다.[71] 2022년 9월 30일, 푸틴은 두 공화국과 헤르손주 및 자포리자주라는 두 우크라이나주에 대한 병합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72] 이 국민투표는 국제적으로 비난을 받았다. 유럽 연합과 G7은 이를 불법으로 거부했으며,[73]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우 구테흐스는 이 병합을 유엔 헌장 위반으로 규탄했다.[74]
6. 공화국 목록
명칭 | 지도 | 현지어 명칭 | 수도 | 주요 민족 인구 및 2010년-2021년 변화[75] | 러시아인 인구 및 2010년-2021년 변화 | 인구 (2021)[75] | 면적 |
---|---|---|---|---|---|---|---|
아디게야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Адыгея|Respublika Adygeya|아디게야 공화국ru Адыгэ Республик|Adıgə Respublik|아디게야 공화국ady | 마이콥 Майкоп|Maykop|마이콥ru Мыекъуапэ|Mıequapə|미예쿠아페ady | 체르케스인 (25.7%) 0.1% | 64.4% 0.8% | 496,934 | 7792km2 | |
알타이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Алтай|Respublika Altay|알타이 공화국ru Алтай Республика|Altay Respublika|알타이 공화국alt Алтай Республикасы|Altay Respublikasy|알타이 공화국kk | 고르노알타이스크 Горно-Алтайск|Gorno-Altaysk|고르노알타이스크ru Улалу|Ulalu|울랄루alt Горно-Алтайск|Gorno-Altaisk|고르노알타이스크kk | 알타이인 (37.0%) 2.5% | 53.7% 2.9% | 210,924 | 92903km2 | |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Башкортостан|Respublika Bashkortostan|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ru Башҡортостан Республикаһы|Başqortostan Respublikahı|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ba | 우파 Уфа|Ufa|우파ru Өфө|Öfö|우파ba | 바시키르인 (31.5%) 2.0% | 37.5% 1.4% | 4,091,423 | 142947km2 | |
부랴트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Бурятия|Respublika Buryatiya|부랴트 공화국ru Буряад Улас|Buryaad Ulas|부랴트 공화국bua | 울란우데 Улан-Удэ|Ulan-Ude|울란우데ru Улаан Үдэ|Ulaan Üde|울란우데bua | 부랴트인 (32.5%) 2.5% | 64.0% 2.1% | 978,588 | 351334km2 | |
체첸 공화국 | Чеченская Республика|Chechenskaya Respublika|체첸 공화국ru Нохчийн Республика|Noxçiyn Respublika|체첸 공화국ce | 그로즈니 Грозный|Grozny|그로즈니ru Соьлжа-ГӀала|Sölƶa-Ġala|솔자갈라ce | 체첸인 (96.4%) 1.1% | 1.2% 0.7% | 1,510,824 | 16165km2 | |
추바시 공화국 | Чувашская Республика|Chuvashskaya Respublika|추바시 공화국ru Чӑваш Республики|Čăvaš Respubliki|추바시 공화국cv | 체복사리 Чебоксары|Cheboksary|체복사리ru Шупашкар|Šupaškar|슈파슈카르cv | 추바시인 (63.7%) 4.0% | 30.7% 3.8% | 1,186,909 | 18343km2 | |
다게스탄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Дагестан|Respublika Dagestan|다게스탄 공화국ru | 마하치칼라 Махачкала|Makhachkala|마하치칼라ru | 13개의 토착 민족 (96.1%) 0.0% | 3.3% 0.3% | 3,182,054 | 50270km2 | |
인구시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Ингушетия|Respublika Ingushetiya|인구시 공화국ru ГӀалгӀай Мохк|Ġalġay Moxk|인구시 공화국inh | 마가스 Магас|Magas|마가스ru Магас|Magas|마가스inh | 인구시인 (96.4%) 2.3% | 0.7% 0.1% | 509,541 | 3123km2 |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ая Республика|Kabardino-Balkarskaya Respublika|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ru Къэбэрдей-Балъкъэр Республикэ|Qəbərdey-Batlqər Respublikə|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kbd Къабарты-Малкъар Республика|Qabartı-Malqar Respublika|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krc | 날치크 Нальчик|Nalchik|날치크ru Налщӏэч|Nalş’əç|날치크kbd Нальчик|Nalçik|날치크krc | 발카르인 (13.7%) 1.0% 카바르딘인 (57.1%) 0.1% | 19.8% 2.7% | 904,200 | 12470km2 | |
칼미키아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Калмыкия|Respublika Kalmykiya|칼미키야 공화국ru | 엘리스타 Элиста|Elista|엘리스타ru | 칼미크인 (62.5%) 5.1% | 25.7% 4.5% | 267,133 | 74731km2 | |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 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ская Республика|Karachayevo-Cherkesskaya Respublika|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ru | 체르케스크 Черкесск|Čerkessk|체르케스크ru | 아바진인 (8.1%) 0.3% 카바르딘인 (12.7%) 0.8% 카라차이인 (44.4%) 3.4% 노가이인 (3.7%) 0.4% | 27.5% 4.1% | 469,865 | 14277km2 | |
카렐리야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Карелия|Respublika Kareliya|카렐리야 공화국ru Karjalan tazavaldu|카렐리야 공화국krl | 페트로자보츠크 Петрозаводск|Petrozavodsk|페트로자보츠크ru Petroskoi|Petroskoi|페트로스코이krl | 카렐인 (5.5%) 1.9% | 86.4% 4.2% | 533,121 | 180520km2 | |
하카스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Хакасия|Respublika Khakasiya|하카시야 공화국ru Хакас Республиказы|Xakas Respublikazı|하카스 공화국kjh | 아바칸 Абакан|Abakan|아바칸ru Абахан|Abaxan|아바칸kjh | 하카스인 (12.7%) 0.6% | 82.1% 0.4% | 534,795 | 61569km2 | |
코미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Коми|Respublika Komi|코미 공화국ru Коми Республика|Komi Respublika|코미 공화국kv | 시크티브카르 Сыктывкар|Syktyvkar|식팁카르ru Сыктывкар|Syktyvkar|식팁카르kv | 코미인 (22.3%) 1.4% | 69.7% 4.6% | 737,853 | 416774km2 | |
마리엘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Марий Эл|Respublika Mariy El|마리옐 공화국ru Мары Эл Республик|Mary El Republik|마리옐 공화국mrj Марий Эл Республик|Marij El Republik|마리옐 공화국mhr | 요시카르올라 Йошкар-Ола|Yoshkar-Ola|요시카르올라ru Йошкар-Ола|Joškar-Ola|요시카르올라mrj Йошкар-Ола|Joškar-Ola|요시카르올라mhr | 마리인 (40.1%) 3.8% | 52.5% 5.1% | 677,097 | 23375km2 | |
모르도바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Мордовия|Respublika Mordoviya|모르도비야 공화국ru Мордовия Республикась|Mordovija Respublikaś|모르도비야 공화국myv Мордовия Pеспубликась|Mordovija Respublikaś|모르도비야 공화국mdf | 사란스크 Саранск|Saransk|사란스크ru Саран ош|Saran oš|사란오시myv Саранош|Saranoš|사란오시mdf | 모르드빈인 (38.7%) 1.4% | 54.1% 0.7% | 783,552 | 26128km2 | |
북오세티아-알라니아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Северная Осетия–Алания|Respublika Severnaya Osetiya–Alaniya|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ru Республикӕ Цӕгат Ирыстон–Алани|Respublikæ Cægat Iryston–Alani|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os | 블라디카프카스 Владикавказ|Vladikavkaz|블라디캅카스ru Дзӕуджыхъӕу|Dzæudžyqæu|좌우지카우os | 오세티아인 (68.1%) 3.0% | 18.9% 1.9% | 687,357 | 7987km2 | |
사하 공화국(야쿠티아) | Республика Саха (Якутия)|Respublika Sakha (Yakutiya)|사하 공화국(야쿠티야)ru Саха Өрөспүүбүлүкэтэ|Saxa Öröspüübülükete|사하 공화국sah | 야쿠츠크 Якутск|Yakutsk|야쿠츠크ru Дьокуускай|Cokuuskay|조쿠스카이sah | 야쿠트인 (55.3%) 5.4% | 32.6% 5.2% | 995,686 | 3083523km2 | |
타타르스탄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Татарстан|Respublika Tatarstan|타타르스탄 공화국ru | 카잔 Казань|Kazan|카잔ru | 타타르인 (53.6%) 0.4% | 40.3% 0.6% | 4,004,809 | 67847km2 | |
투바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Тува|Respublika Tuva|투바 공화국ru Тыва Республика|Tıva Respublika|투바 공화국tyv | 키질 Кызыл|Kyzyl|키질ru Кызыл|Kızıl|키질tyv | 투바인 (88.7%) 6.7% | 10.1% 6.2% | 336,651 | 168604km2 | |
우드무르트 공화국 | Удмуртская Республика|Udmurtskaya Respublika|우드무르트 공화국ru Удмурт Элькун|Udmurt Elkun|우드무르트 공화국udm | 이제프스크 Ижевск|Izhevsk|이젭스크ru Ижкар|Ižkar|이즈카르udm | 우드무르트인 (24.1%) 3.9% | 67.7% 5.5% | 1,452,914 | 42061km2 |
7. 제안된 공화국
러시아 연방 내 불평등 문제, 특히 옐친 집권 초기 공화국들에 부여된 특권에 대한 대응으로, 여러 지역에서 공화국 지위 획득을 위한 시도가 있었다. 에두아르트 로셀은 스베르들롭스크주 주지사 시절, 모든 지역의 평등권을 주장하며 1993년 7월 1일 자신의 주를 우랄 공화국으로 전환하려 했다. 초기에는 옐친의 지지를 받았으나, 이후 옐친은 공화국을 해체하고 1993년 11월 9일 로셀을 해임했다.[69]
블라디미르주 당국도 1993년 5월 14일 "블라디미르 공화국" 설립 의사를 표명했으나, 모스크바에 의해 무시되고 대중의 관심에서 사라졌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공화국 설립 시도가 있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공화국 명칭 | 관련 지역 |
---|---|
포모르 공화국 | 아르한겔스크주 |
남 우랄 공화국 | 첼랴빈스크주 |
추코트카 공화국 | 추코트카 자치구[77] |
예니세이 공화국 | 이르쿠츠크주 |
레닌그라드 공화국 | 레닌그라드주 |
네네츠 공화국 | 네네츠 자치구[78] |
시베리아 공화국 | 노보시비르스크주 |
프리모르예 공화국 | 프리모르예 지방 |
네바 공화국 | 상트페테르부르크 |
오룔주를 중심으로 한 러시아 서부 11개 지역 |
기존 영토 분할을 통한 공화국 설립 시도도 있었다. 소련 붕괴 후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을 여러 개의 작은 공화국으로 분할하자는 제안은 1992년 3월 28일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었다. 모르도바 공화국을 에르자인과 막샨인의 별도 고향으로 나누자는 제안도 1995년에 부결되었다.[79]
참조
[1]
웹사이트
No Longer the Russian Federation: A Look at Tartarstan
http://georgiatoday.[...]
2017-08-14
[2]
뉴스
Russia revoking Tatarstan's autonomy
https://www.european[...]
2017-08-09
[3]
논문
Soviet Approach to Right of Peoples to Self-Determination
https://www.research[...]
2017-04-00
[4]
웹사이트
Korenizatsiya: The Soviet Nationalities Policy for Recognised Minorities
http://liamslookathi[...]
2016-08-23
[5]
논문
On the problems of indigenization in the national autonomies of Eastern Siberia in the 1920s – 1930s
https://cyberleninka[...]
2013-00-00
[6]
웹사이트
Idel-Ural: Polyethnic Volcano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prometheus.n[...]
2019-03-28
[7]
웹사이트
Komi and imperial policy in the Arctic
http://idel-ural.org[...]
2020-06-01
[8]
웹사이트
Punished Peoples" of the Soviet Union: The Continuing Legacy of Stalin's Deportations
https://www.hrw.org/[...]
1991-09-00
[9]
논문
The Nature of Anti-Soviet Armed Resistance, 1942–44: The North Caucasus, the Kalmyk Autonomous Republic, and Crimea
https://muse.jhu.edu[...]
2005-00-00
[10]
웹사이트
The Deportation and Fate of the Crimean Tatars
http://hlrn.org/img/[...]
2000-00-00
[11]
웹사이트
Transfer of the Crimea to the Ukraine
http://www.iccrimea.[...]
2005-07-00
[12]
웹사이트
Decree of the Presidium of the Supreme Soviet of the USSR of April 8, 1944 "On the resettlement of Balkars living in the Kabardino-Balkarian Autonomous Soviet Socialist Republic, and on the renaming of the Kabardino-Balkarian Autonomous Soviet Socialist Republic in the Kabardian Autonomous Soviet Socialist Republic
http://www.libussr.r[...]
1944-04-08
[13]
간행물
Minority Rights: Problems, Parameters, and Patterns in the CSCE Context
https://www.csce.gov[...]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14]
논문
Tuva: A State Reawakens
Taylor & Francis, Ltd
1992-00-00
[15]
웹사이트
Russian republic declares sovereignty
https://www.upi.com/[...]
1990-06-12
[16]
논문
Sovereignisation and State Languages: Early Formation of Language Policy of Russia's Finno-Ugric Republics in the Conditions of the USSR Disintegration
https://core.ac.uk/d[...]
2013-00-00
[17]
논문
Sovereignty After Empire: Self-Determination Movements in the Former Soviet Union
https://www.usip.org[...]
1997-00-00
[18]
간행물
Continuing the Chronicle of Ancestors ... (Notes of a Komi human rights activist)
https://www.rulit.me[...]
Polygraph-Service Printing House LLC
[19]
웹사이트
Declaration of State Sovereignty of the Mari SSR
https://constitution[...]
2010-01-06
[20]
웹사이트
Adoption of the Declaration on State Sovereignty of the Soviet Republic of Tuva
https://www.tuva.asi[...]
2012-05-31
[21]
웹사이트
Dzhokhar Dudayev: Lone wolf of Grozny
http://www.independe[...]
1995-01-22
[22]
뉴스
The Chechen wars murdered Russian democracy in its cradle
https://www.theguard[...]
2014-12-12
[23]
뉴스
Tatarstan Votes for Self-Rule Repudiating Russia and Yeltsin
https://www.washingt[...]
1992-03-23
[24]
뉴스
Tatarstan, the Last Region to Lose Its Special Status Under Putin
https://themoscowtim[...]
2017-07-24
[25]
법률
On the Procedures of the Transformation of Adyghe, Gorno-Altai, Karachay-Cherkess, and Khakas Autonomous Oblasts into the Soviet Socialist Republics of the RSFSR
http://pravo.gov.ru/[...]
1991-07-03
[26]
웹사이트
Ingushetia Abandoned
https://www.opendemo[...]
2009-08-16
[27]
논문
The Rise and Fall of Power-Sharing Treaties Between Center and Regions in Post-Soviet Russia
http://demokratizats[...]
[28]
웹사이트
Nations in Transit: Russia
https://freedomhouse[...]
2005-00-00
[29]
웹사이트
Dzhokhar Dudayev: Fighting for a free Chechnya
https://www.dailysab[...]
2019-11-14
[30]
웹사이트
Khasavyurt Accords Failed To Preclude A Second War
https://www.rferl.or[...]
2006-08-30
[31]
뉴스
Yeltsin Signs Peace Treaty With Chechnya
https://www.nytimes.[...]
1997-05-13
[32]
웹사이트
How Boris Yeltsin, Russia's first president, resigned
https://www.rbth.com[...]
2019-12-31
[33]
뉴스
Aslan Maskhadov
https://www.telegrap[...]
2005-03-09
[34]
뉴스
Russians Capture Grozny
http://www.washingto[...]
2000-02-07
[35]
뉴스
Putin Lays Direct Rule on Chechnya
https://www.washingt[...]
2000-06-09
[36]
뉴스
Boycott call in Chechen poll ignored
https://www.telegrap[...]
2003-03-24
[37]
뉴스
Russian Regions Wary as Putin Tightens Control
https://www.nytimes.[...]
2000-03-09
[38]
BA thesis
We Never Said We're Independent: Natural Resources, Nationalism, and the Fight for Political Autonomy in Russia's Regions
https://egrove.olemi[...]
University of Mississippi
2018
[39]
웹사이트
Federation Council Backs Power-Sharing Bill
https://www.rferl.or[...]
2007-07-11
[40]
뉴스
The Devolution of Russian Federalism
https://jamestown.or[...]
2017-04-04
[41]
뉴스
Mintimer Shaimiev Steps Down as President of Tatarstan
https://carnegie.ru/[...]
2010-01-25
[42]
뉴스
Russian Regional Strongman to Retire
https://www.nytimes.[...]
2010-07-13
[43]
뉴스
Ethnic Minorities Hit Hardest By Russia's Mobilization, Activists Say
https://www.themosco[...]
2022-09-27
[44]
법률
Article 68 of the Constitution of Russia
[45]
간행물
Asymmetries in Russian Federation Bargaining
https://www.ucis.pit[...]
1996-05-29
[46]
간행물
Center-Periphery Bargaining in Russia: Assessing Prospects of Federal Stability
https://www.ucis.pit[...]
1996-05-30
[47]
간행물
Federal Reforms in Russia: Putin's Challenge to the Republics
https://pdfs.semanti[...]
2004
[48]
간행물
Power Sharing in the Russian Federation: the View from the Center and from the Republics
http://www.dartmouth[...]
1998-04
[49]
간행물
Gestalt Switch in Russian Federalism: The Decline in Regional Power under Putin
2013
[50]
뉴스
Russian Federal Districts as Instrument of Moscow's Internal Colonization
https://jamestown.or[...]
2018-07-16
[51]
간행물
Russia's constitutional structure: Federal in form, unitary in function
http://www.europarl.[...]
2015-10-20
[52]
웹사이트
Medvedev forbade the heads of subjects to be called presidents
https://www.newsru.c[...]
2010-12-29
[53]
웹사이트
Tatarstan Vote Seen As Test For Russian Regional 'President'
https://www.rferl.or[...]
2015-09-15
[54]
웹사이트
Putin signed a law banning the heads of regions from being called presidents
https://www.rbc.ru/p[...]
2021-12-21
[55]
간행물
Putin's Plan to Russify the Caucasus
https://www.foreigna[...]
2018-08-01
[56]
웹사이트
A Common Language: Russia's 'Ethnic' Republics See Language Bill As Existential Threat
https://www.rferl.or[...]
2018-06-20
[57]
간행물
Russian "Chechenization" and the Prospects for a Lasting Peace in Chechnya
https://www.research[...]
2013
[58]
뉴스
Russian Anger Grows Over Chechnya Subsidies
https://www.nytimes.[...]
2011-10-08
[59]
웹사이트
Putin's closest ally – and his biggest liability
http://www.theguardi[...]
2015-09-23
[60]
웹사이트
Why Putin won't get tough on Kadyrov
https://ecfr.eu/arti[...]
2017-04-25
[61]
웹사이트
Kadyrovtsy: "Vladimir Putin's Combat Infantry" and Ramzan Kadyrov's Henchmen
https://www.interpre[...]
2015-06-15
[62]
간행물
Chechnya's Status within the Russian Federation: Ramzan Kadyrov's Private State and Vladimir Putin's Federal "Power Vertical"
https://www.swp-berl[...]
2018
[63]
간행물
A State within a State: the Case of Chechnya
https://digitalcommo[...]
2012
[64]
웹사이트
How 'separatists' are prosecuted in Russia: Independent lawyers on one of Russia's most controversial statutes
https://meduza.io/en[...]
2016-09-21
[65]
웹사이트
Russia broadens anti-incitement law to include separatism
http://www.timesofis[...]
2014-07-05
[66]
뉴스
Putin signs Crimea treaty as Ukraine serviceman dies in attack
https://www.reuters.[...]
2014-03-18
[67]
뉴스
Red Square rally hails Vladimir Putin after Crimea accession
https://www.theguard[...]
2014-03-18
[68]
뉴스
U.N. General Assembly declares Crimea secession vote invalid
https://www.reuters.[...]
2014-03-27
[69]
뉴스
Ukrainian rebel region Luhansk may vote to join Russia
https://www.reuters.[...]
2022-03-27
[70]
뉴스
Russia-backed Donetsk Republic may consider joining Russia – leader
https://www.reuters.[...]
2022-03-29
[71]
웹사이트
Russian forces have staged illegal 'referendums' in Ukraine. What comes next?
https://www.cnn.com/[...]
2022-09-27
[72]
뉴스
Putin says Russia has 'four new regions' as he announces annexation of Ukrainian territory
https://www.reuters.[...]
2022-09-30
[73]
웹사이트
West condemns Russia's 'illegal' annexation of Ukraine provinces
https://www.aljazeer[...]
2022-09-30
[74]
웹사이트
Ukraine: UN Secretary-General condemns Russia annexation plan
https://news.un.org/[...]
2022-09-29
[75]
웹사이트
National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76]
논문
Language in a Borderland: On the Official Status of Karelian Language
https://www.academia[...]
2012
[77]
웹사이트
25 years ago Chukotka withdrew from the Magadan Region
http://vesma.today/n[...]
2017-09-29
[78]
웹사이트
Nenets Republic – It Sounds Weird
http://old.nvinder.r[...]
2005-11-17
[79]
서적
The Finno-Ugric Republics and the Russian State
Routledge
[80]
뉴스
Pact Tightens Russian Ties With Abkhazia
https://www.nytimes.[...]
2014-11-25
[81]
웹사이트
Georgia angered by Russia-Abkhazia military agreement
https://www.theguard[...]
2014-11-25
[82]
웹사이트
South Ossetia to hold referendum to join Russia in future – report
https://www.jpost.co[...]
2022-03-30
[83]
웹사이트
Abkhazia and the Danger of 'Ossetianization'
https://www.themosco[...]
2019-07-16
[84]
웹사이트
Abkhazia Is Not Crimea but Everything Is Set to Become It
https://moderndiplom[...]
2021-02-14
[85]
웹사이트
Georgia condemns adoption of program on creation of common socio-economic space between Russia, occupied Abkhazia
https://agenda.ge/en[...]
2020-11-25
[86]
웹사이트
A Fateful Step Towards Annexation
https://cepa.org/a-f[...]
2021-02-18
[87]
웹사이트
Civil.Ge | S.Ossetia Sets Repeat Independence Referendum
https://old.civil.ge[...]
[88]
뉴스
South Ossetians vote for independence
https://www.theguard[...]
2006-11-13
[89]
뉴스
Kremlin announces that South Ossetia will join 'one united Russian state'
http://www.timesonli[...]
2008-08-30
[90]
뉴스
How people in South Ossetia, Abkhazia and Transnistria feel about annexation by Russia
https://www.washingt[...]
2014-03-20
[91]
웹사이트
Putin signs treaty integrating South Ossetia into Russia
http://america.aljaz[...]
2015-03-18
[92]
뉴스
Moscow, Tskhinvali Sign 'Integration Treaty'
http://www.civil.ge/[...]
2015-03-18
[93]
웹사이트
Breakaway Tskhinvali proposes name change New name emphasizes South Ossetia as part of Russia
https://agenda.ge/en[...]
2015-12-29
[94]
웹사이트
South Ossetia Referendum On Name Change Steers Clear Of Thornier Unification Issue
https://www.rferl.or[...]
2017-02-08
[95]
웹사이트
An Occupied Region's Referendum Brings Georgia New Iteration of Old Challenges
https://foreignpolic[...]
2017-04-10
[96]
뉴스
Breakaway Georgian territory of South Ossetia plans to join Russia
https://www.theglobe[...]
2022-03-30
[97]
웹사이트
Breakaway region of Georgia to hold referendum on joining Russia
https://www.theguard[...]
2022-05-13
[98]
웹사이트
South Ossetia to hold Russian annexation referendum on 17 July
https://oc-media.org[...]
2022-05-13
[99]
웹사이트
South Ossetia shelves plan for referendum to join Russia
https://www.dw.com/e[...]
2022-05-31
[100]
웹사이트
Trans-Dniester Votes for Independence and Russian Accession
https://www.dw.com/e[...]
2006-09-18
[101]
뉴스
Moldova's Trans-Dniester region pleads to join Russia
https://www.bbc.com/[...]
2014-03-18
[102]
뉴스
Where's Transnistria? And why do people there hope Russia will annex them next?
https://www.pri.org/[...]
2014-03-24
[103]
웹사이트
Transnistria is a bridge too far for Russia
https://www.opendemo[...]
2014-06-11
[104]
웹사이트
Transnistria: From entropy to exodus
https://ecfr.eu/arti[...]
2016-09-01
[105]
웹사이트
Near Ukraine, a Breakaway Russian Republic Plows On
https://newlinesmag.[...]
2022-04-18
[106]
웹사이트
Ukraine crisis 'very sensitive' for Russia-backed breakaway state
https://www.aljazeer[...]
2022-02-11
[107]
웹사이트
Transnistria: The breakaway region torn between Moldova, Russia and the EU
http://www.middleeas[...]
2022-04-01
[108]
웹사이트
Russia targets Moldova invasion next as they seek land corridor via Ukraine
https://www.newsweek[...]
2022-04-22
[109]
뉴스
ロシアの「大統領」は1人だけ 共和国内に改称の動き
http://www.asahi.com[...]
asahi.com(朝日新聞社)
2010-08-16
[110]
뉴스
大統領を「首長」に改称 ロシア・チェチェン共和国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10-09-03
[111]
뉴스
ロシア:共和国首長の「大統領」は禁止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1-01-02
[112]
서적
国家論
NHKブックス
2007
[113]
일반
[114]
일반
[115]
일반
[116]
일반
[117]
일반
[118]
일반
[119]
일반
[120]
일반
[121]
일반
[122]
일반
[123]
일반
[124]
일반
[125]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