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게스탄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게스탄 공화국은 북캅카스 산맥에 위치한 러시아의 공화국이다. 카스피해와 접하며, 면적은 50,300km²이다. 지리적으로 북쪽은 칼미크 공화국, 서쪽은 체첸 공화국, 북서쪽은 스타브로폴 지방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 조지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수도는 마하치칼라이다. 다게스탄은 41개의 구와 10개의 도시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한다. 이슬람교가 다수를 차지하며, 러시아어와 30개 이상의 지방 언어가 사용된다. 주요 산업은 석유, 기계 공학, 농업 등이며, 격투기, 레슬링, 복싱 등의 스포츠 강국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어권 - 튀르키예
튀르키예는 오랜 역사를 지닌 아나톨리아 반도를 포함하는 나라로, 1923년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2022년 "Türkiye"로 명칭을 변경했고,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아제르바이잔어권 - 이란
이란은 서아시아에 위치한 이슬람 공화국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 문화를 가진 다문화 사회를 형성하고 있으며, 석유 매장량이 풍부하지만, 핵 개발 프로그램과 서방 국가들과의 갈등으로 국제 사회에서 복잡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북캅카스 - 인구셰티야 공화국
인구셰티야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의 구성주로 카프카스 산맥에 위치하며 북오세티야 공화국, 체첸 공화국, 조지아와 국경을 접하고, 인구시인이 대다수이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러시아 연방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마르슈트카가 주요 교통수단인 온대성 기후 지역이다. - 북캅카스 - 칼미키야 공화국
칼미키야 공화국은 유럽 러시아 남서부에 위치하며 몽골 계통의 칼미크인이 거주하고, 유럽에서 유일하게 불교를 국교로 삼으며, 목축업, 농업, 석유 가스 산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 다게스탄 공화국 - 쿠미크인
쿠미크인은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등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북카프카스 지역 최대 튀르크계 민족이며, 킵차크어족에 속하는 쿠미크어를 사용하고, 19세기부터 러시아의 재정착 정책과 1944년 강제 이주 등 민족 말살 정책의 피해를 입었다. - 다게스탄 공화국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다게스탄 공화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정치 | |
정치 체제 | 공화국 |
연방 관구 | 북캅카스 연방관구 |
경제 지구 | 북캅카스 경제 지구 |
수도 | 마하치칼라 |
수반 | 세르게이 멜리코프 |
입법부 | 인민 의회 |
인구 | |
인구 (2021년) | 3,182,054 명 |
인구 순위 | 10위 |
도시 인구 비율 | 45.2% |
농촌 인구 비율 | 54.8% |
민족 구성 (2021년) | 아바르족 30.5% 다르긴족 16.6% 쿠미크족 15.8% 레즈긴족 13.3% 라크족 5.2% 타바사란족 4% 아제르바이잔인 3.7% 러시아인 3.3% 체첸족 3.2% 루툴족 1% 기타 3.3% |
언어 | |
공용어 | 아굴어 아바르어 아제르바이잔어 체첸어 다르긴어 쿠미크어 레즈긴어 라크어 노가이어 루툴어 타바사란어 타트어 차후르어 러시아어 |
상징 | |
![]() | |
![]() | |
기타 | |
웹사이트 | 다게스탄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다게스탄 공화국은 북캅카스산맥에 위치하며, 남쪽은 캅카스산맥, 북쪽은 카스피해 저지에 자리 잡고 있다. 면적은 50300km2이다. 북쪽으로는 칼미크 공화국, 서쪽으로는 체첸 공화국, 북서쪽으로는 스타브로폴 지방과 접한다. 남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 남서쪽으로는 조지아와 국경을 접하며, 동쪽으로는 카스피해와 맞닿아 있다.[10] 최고봉은 바자르듀지산(4466m)이다.
"다게스탄(Dagestan)"이라는 이름은 튀르크어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했으며, "산의 땅"이라는 뜻이다. 튀르크어 단어 dağtr는 "산"을, 페르시아어 접미사 ''-stan''은 "땅"을 의미한다.[10]
다게스탄의 일부 지역은 레키아(Lekia), 아바리아(Avaria), 타르키(Tarki) 등으로 알려지기도 했다.[10] 1860년부터 1920년 사이에는 현재 공화국의 남동부에 해당하는 다게스탄 주(Dagestan Oblast)로 불렸다. 현재의 경계는 1921년 다게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형성되었는데, 여기에는 산악 지대는 아니지만 테렉 강 연안이 카스피 해 저지 남쪽 끝에 있는 테렉 주의 동부 지역이 포함되었다.
- 북캅카스 연방관구의 공화국: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북오세티아-알라니아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 체첸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 북쪽과 서쪽: 남부 연방관구
남북 최장 거리는 약 400km이며, 동서 최장 거리는 약 200km이다.
2. 1. 시간대
모스크바 시간대(MSK/MSD)에 접해 있다. UTC와의 시차는 +0300 (MSK)/+0400 (MSD)이다. 이 지역은 모스크바 표준시를 사용한다. 표준시는 UTC+3이며, 일광 절약 시간은 없다. (2011년 3월까지는 표준시가 UTC+3이고 일광 절약 시간이 UTC+4였으며, 2011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는 연중 UTC+4였다)2. 2. 강
다게스탄 공화국에는 1,800개 이상의 강이 존재한다. 이 중 테레크강은 다게스탄 공화국 중부를 통과해서 흐른다. 주요 강은 다음과 같다.- 술락강
- 사무르강
- 테레크강
- 아바르 코이수(Avar Koisu)
- 안디 코이수
- 카지-쿠무흐 코이수(Kazi-Kumukh Koisu)
2. 3. 호수
다게스탄 공화국은 카스피해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인 카스피해에 약 405km의 해안선을 접하고 있다.2. 4. 산
대부분이 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쪽에 볼쇼이캅카스산맥이 위치해 있다.[1] 가장 높은 산은 바자르듀지봉(4,466 m)이다.[1]다게스탄의 대부분은 산악 지형이며, 공화국의 남쪽에는 대카프카스 산맥이 펼쳐져 있다.[2] 최고봉은 아제르바이잔과의 국경에 위치한 바자르듀지봉(4,470m)이다.[2] 러시아 최남단 지점은 이 산봉우리에서 남서쪽으로 약 7km 떨어진 곳에 있다.[2] 다른 주요 산으로는 디클로스므타산(4,285m), 고라 아달라 슈켈메즈르 산(4,152m), 고라 듈티다그 산(4,127m)이 있다.[2] 쿠무흐 마을은 산간 지방의 여러 정착지 중 하나이다.[2]
2. 5. 천연자원
다게스탄에는 석유, 천연가스, 석탄 등 많은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11]2. 6. 기후
다게스탄 공화국의 기후는 강수량이 매우 부족한 대륙성 기후로 분류되며, 러시아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 중 하나이다. 산악 지대는 아한대 기후에 속한다. 1월 평균 기온은 2°C이며, 7월 평균 기온은 26°C이다. 연간 평균 강수량은 북부 평원의 경우 250mm, 산악 지대의 경우 800mm이다.[12]3. 행정 구역
다게스탄은 41개의 행정 구(raions)와 10개의 도시로 나뉜다. 구는 19개의 도시형 취락과 363개의 농촌 오크루그와 스타니차 오크루그로 더 세분화된다.
4. 역사
7세기에 이 지역은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18세기에는 러시아와 이란이 이곳에서 전투를 벌였다. 1813년에 이 지역은 러시아에 합병되었다. 1830년대부터 1850년대까지 이곳에서는 이맘 샤밀이 주도한 반러 봉기가 계속 일어났으나, 결국 진압되었다. 1921년에 다게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Дагестанская АССР)이 설치되었다. 1991년 9월 17일에 잠시 다게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가, 소련 해체 전인 1991년 12월 17일 다게스탄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 1994년에는 다게스탄 공화국 헌법이 제정되었다.[10]
서기 1세기부터 몇 세기 동안, 카프카스 알바니아(현재 아제르바이잔과 다게스탄 남부에 해당)는 파르티아 제국의 속국이었다가 사산 제국에 종속되었다. 후기 고대에는 로마 제국이 이 지역에 대한 사산 왕조의 지배에 이의를 제기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수세기 동안 다게스탄 지역 주민들은 기독교와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했다.
5세기에 사산 왕조가 우위를 점했고, 6세기에는 데르벤트에 강력한 요새를 건설하여 카스피아 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훈족은 다게스탄 북부를 침략했고, 뒤이어 카프카스 아바르족이 침입했다. 사산 왕조 시대에 다게스탄 남부는 데르벤트를 중심으로 페르시아 문화와 문명의 중심지가 되었다.[13]
초기 이슬람 정복 기간 동안, 다게스탄 인(데르벤트 지역)들은 643년 아랍인들의 정복 이후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15] 8세기에는 아랍인들이 카자르인들과 여러 차례 충돌(Arab–Khazar wars)했다. 905년과 913년에 현지 주민들이 데르벤트의 아랍인들에게 반란을 일으켰지만, 이슬람교는 이슬람화되었고, 이후 고지대로 점차 확산되었다. 15세기까지 기독교는 사라졌고, 10세기 다투나 교회만이 그 존재를 증명하는 유일한 기념물로 남았다.
11세기 후반, 셀주크 투르크는 다게스탄 지역 일부를 지배했다.[16]
몽골 제국군은 1221년부터 1222년까지 이 지역을 약탈했고, 조지아 침입과 두르주케티아 침입 기간인 1236년부터 1239년까지 데르벤트와 그 주변 지역을 정복했다. 몽골 제국 이후 티무르 제국이 이 지역을 자신의 영토에 편입했다.[16]
몽골의 지배력이 약해짐에 따라, 카이타기와 타르키에 새로운 권력 중심지가 등장했다. 16세기 초, 페르시아(사파비 왕조)는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재확립했으며, 이는 19세기 초까지 간헐적으로 지속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법 전통이 체계화되었고, 산악 지역 사회(djamaats)는 상당한 자치권을 얻었다. 1720년대, 사파비 왕조의 붕괴와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의 결과로 러시아는 잠시 사파비 왕조로부터 해안 다게스탄을 병합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다게스탄 내륙을 장악할 수 없었고, 오스만 제국군의 도움을 받아 바쿠 앞에서만 진격을 멈출 수 있었다. 1724년 조약은 사파비 이란의 영토를 양국이 분할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데르벤트, 바쿠 및 이 지역의 다른 일부 지역은 러시아에 남게 되었다. 다게스탄은 1578년부터 1606년까지 잠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16]
그러나 이 영토들은 1735년 간자 조약에 따라 페르시아에 반환되었다.
1730년부터 1740년대 초까지, 나디르 샤는 이 지역을 완전히 정복하기 위해 장기간에 걸친 다게스탄 지역 원정을 이끌었다.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지만, 결국 극심한 날씨, 질병 발생, 다게스탄의 여러 민족 집단의 잦은 습격으로 인해 군대를 이끌고 후퇴해야 했다. 1747년부터 페르시아가 지배하는 다게스탄 지역은 데르벤트 칸국을 통해 관리되었다. 1796년 페르시아 원정의 결과로 러시아는 1796년 데르벤트를 점령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내부 정부 문제로 인해 다시 카프카스 전역에서 후퇴해야 했고, 페르시아는 다시 영토를 점령할 수 있었다.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804년-1813년) 이후에야 러시아의 다게스탄 지배가 확고해졌고, 카자르 페르시아가 공식적으로 러시아에 그 영토를 할양했다. 1813년, 러시아의 전쟁 승리 후 페르시아는 굴리스탄 조약에 따라 주요 도시인 데르벤트를 포함한 다게스탄 남부와 코카서스 지역의 광대한 영토를 러시아에 할양하도록 강요받았다.[17] 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은 러시아의 다게스탄 지배를 무기한으로 공고히 하고 페르시아를 군사적 요소에서 제외시켰다.[18]
그러나 러시아 행정은 고지대 주민들을 실망시키고 분노하게 만들었다. 과중한 조세 부과와 토지 몰수, 요새 건설(마하츠칼라 포함)이 더해지면서, 다게스탄 이맘국(Imamate of Dagestan)의 지도자인 가지 무하마드(Ghazi Mohammed)(1828–1832), 함자트 베크(Hamzat Bek)(1832–1834), 그리고 샴실(1834–1859)의 지휘 아래 고지대 주민들은 봉기했다. 이 카프카스 전쟁(Caucasian War)은 1864년까지 지속되었다.
다게스탄과 체첸은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1878)(Russo-Turkish War (1877–1878))을 이용하여 러시아 제국(Russian Empire)에 맞서 함께 일어섰다. 체첸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내내 여러 차례 다시 봉기했다.
1917년 12월 21일, 잉구셰티야, 체첸, 다게스탄 그리고 북카프카스의 나머지 지역은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북카프카스 연합 산악 주민"(혹은 북카프카스 산악 공화국)이라는 단일 국가를 수립했다. 새 국가의 수도는 테미르한슈라로 이전되었다.[19][20] 이 국가의 초대 총리는 저명한 체첸 정치가인 타파 체르모예프였다. 두 번째 총리는 잉구시 정치가인 바산-기레이 자바기예프였는데, 그는 1917년에 이 지역의 헌법을 제정하기도 했으며, 1920년에는 세 번째 임기로 재선되었다.[21] 볼셰비키 혁명 이후, 오스만 군대가 아제르바이잔과 다게스탄을 점령했고, 이 지역은 짧게 존재했던 북카프카스 산악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볼셰비키는 백군과 지역 민족주의자들과 3년 이상 싸운 끝에 승리를 거두었고, 1921년 1월 20일 다게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새로 건설된 소비에트 연방이 이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하면서, 다게스탄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내의 공화국임을 선언했지만, 다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처럼 주권을 선포하지는 않았다.[22]
1999년 8월 7일, 샤밀 바사예프(Shamil Basayev), 이븐 알-카타브(Ibn Al-Khattab), 람잔 아흐마도프(Ramzan Akhmadov) 등의 군벌이 이끄는 체첸(Chechnya) 출신 이슬람주의 단체인 이슬람 국제 평화유지 여단(Islamic International Peacekeeping Brigade, IIPB)이 다게스탄(Dagestan)의 독립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슈라(Shura) 분리주의 반군을 지원하기 위해 다게스탄 침공을 감행했다.
침입자들은 일부 지역 주민들의 지원을 받았지만 러시아군과 지역 준군사 조직에 의해 격퇴되었다.[23] 이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러시아군은 같은 해 말 체첸을 재침공했다.[24]
다게스탄은 러시아에서 실업률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25]
다게스탄 병사들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참여했으며, 그중 많은 수가 전사했다.[26][27][28] 9월에는 다게스탄이 2022년 러시아 동원령에 대한 북 코카서스 시위의 중심지가 되었다.[29]
2023년 하마스-이스라엘 전쟁 기간 동안 다게스탄을 포함한 북 코카서스 전역에서 반유대주의 공격이 발생했다.[30][31]
- 고대부터 쿠라-아락세스 문화(기원전 3400년 - 기원전 2000년)가 번영하였다. 카프카스 알바니아 왕국(기원전 2000년 - 8세기) 시대에는 기원전 4세기까지 남캅카스의 데를벤트를 수도로 하였으나, 그 후에는 새로운 수도 카발라(Qabala)를 중심으로 번영하였다.
- 아르메니아의 역사가 모브세스 카간카트바츠이에 따르면, 동로마-사산 전쟁(602년-628년)에 서돌궐이 개입한 제3차 페르시아-튀르크 전쟁(627년 - 629년)이 데를벤트에서 일어났다. 비밀리에 진행되던 니네베 전투(627년)가 중동의 군사적 균형을 바꾸면서 이슬람교도의 페르시아 정복(633년 - 644년)이 성공하였다. 이 개입 전쟁이 세계사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 654년 정통 칼리파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아랍인이 실크로드를 지배함에 따라, 하자르 카간국과의 사이에 아랍-하자르 전쟁(642년 - 799년)이 시작되어 우마이야 왕조와 압바스 왕조 시대까지 전쟁이 계속되었다.
- 12세기에는 기독교 국가 "Sarir"이 멸망하였다.
- 몽골 제국의 조지아·아르메니아 침공
- * 1223년, 칼카강 전투
- 훈자흐(Khunzakh)를 수도로 하는 아바르 칸국(13세기 초–1864년)이 성립되었다.
- 코카서스 전쟁
- * 코카서스 이맘국(1828년–1859년)
- 체첸 분쟁
- * 제1차 체첸 전쟁
- * 제2차 체첸 전쟁
- ** 다게스탄 침공(1999년)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우크라이나를 향해 다수의 다게스탄 공화국 출신 병사가 동원되었고, 8월 시점에서 267명이 사망하였다.[70] 같은 해 9월에 제한적인 동원령이 내려지자, 체포자 100명 이상을 낸 항의 시위도 일어났다.[71]
- 2024년 6월 23일, 수도 마하츠칼라와, 그 도시에서 약 120km 떨어진 남부 데를벤트에서 종교 시설을 공격하는 테러가 발생했다. 경찰 15명과 교회 사제 1명이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72]
5. 정치
다게스탄의 의회는 인민회의(People's Assembly)이며, 4년 임기의 72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다. 인민회의는 공화국의 최고 행정 및 입법 기관이다.[32]
2003년 7월 10일에 채택된 다게스탄 헌법에 따르면, 최고 행정권은 14개 민족의 대표자들로 구성된 국가평의회(State Council)에 있다. 다게스탄 헌법회의는 4년 임기의 국가평의회 의원을 임명하며, 국가평의회는 정부 구성원을 임명한다.[32]
국가평의회에 대표되는 민족은 아바르인, 다르긴인, 쿠믹인, 레즈긴인, 락인, 아제르바이잔인, 타바사란인, 러시아인, 체첸인, 노가이인, 아굴인, 루툴인, 차후르인, 타트인이다.[32]
이전에는 국가평의회 의장이 공화국 최고 행정직이었으며, 2006년까지 마고메달리 마고메도비치 마고메도프가 이 직책을 맡았다. 2006년 2월 20일, 인민회의는 이 직책을 폐지하고 국가평의회를 해산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신설된 다게스탄 공화국 대통령직에 무후 알리예프를 인민회의에 추천했고, 인민회의는 이를 수락하여 무후 알리예프가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2010년 2월 20일, 알리예프는 마고메드살람 마고메도프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그 후 라마잔 아브둘라티포프가 (마고메도프 사임 후 2013년~2017년) 대통령 직무대행을 맡았다. 2017년 10월 3일, 블라디미르 바실리예프가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32]
비판가들이 조작되고 부정행위가 있었다고 비난한 2024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33]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다게스탄에서 92.93%의 득표율을 기록했다.[34]
다게스탄 공화국 수장은 러시아 연방 내 다게스탄 공화국의 정부 최고위직으로, 크렘린에서 임명한다. 2003년 7월 10일 다게스탄 의회에서 채택된 헌법에 따라 국가 원수급 직책으로 대통령직이 신설되었으나, 이후 러시아 내 공화국의 수장이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사용하는 것이 금지됨에 따라 다게스탄에서는 2014년 1월 1일 이후 "수장"으로 직책명이 변경되었다.[32]
6. 주민
이 나라 사람들을 다게스탄인이라고 부른다. 다게스탄에는 여러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 다게스탄인 — 80%
- * 북동캅카스어족 그룹 67%
- ** 아바르족 — 28%, 50만 명
- ** 다르긴인 — 16%, 30만 명
- ** 레즈긴인 — 12%, 20만 명
- ** 라크인 — 5%, 10만 명
- ** 타바사란인 — 4%, 7만 명
- ** 루툴인 — 1%, 35,240명
- ** 아굴인 — 1%, 15,000명
- ** 차후르인 — 1만 명
- * 투르크어족 19%
- ** 쿠미크인 — 13%, 20만 명
- ** 노가이인 — 2%, 35,000명
- ** 아제르바이잔인 — 1%, 15,000명
- ** 타타르인 — 1만 명
- 러시아인 — 9%, 85,000명
- 체첸인 — 3%, 65,000명
- 기타 — 8%
- * 우크라이나인 — 1만 명
- * 쿠르드족 — 5,000명
- * 오세티야인 — 5,000명
- * 산악유대인 — 5,000명
- * 타트족 — 1,000명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는 발카르족, 기누흐족(200명), 아흐와흐족 등을 포함해서 40개의 민족이 거주한다. 라크인과 훈지브족, 훈잘족과 아랍인, 이란인, 튀르키예인도 거주한다.
러시아어가 공용어이며, 30개 이상의 지방 언어가 쓰인다.
험준한 지형 때문에 이동과 통신이 어려워 다게스탄은 이례적으로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며, 여전히 부족 사회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러시아에서 가장 이질적인 공화국이다. 다게스탄의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35]
다게스탄은 세계에서 근친혼율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며, 계수는 0.005에서 0.0134까지로 현재까지 알려진 세계 최대치에 근접한다.[36] 이러한 현상은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인 세계 여러 지역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2019년 | 2021년 | |
---|---|---|
평균 | 79.1세 | 76.6세 |
남성 | 76.6세 | 74.1세 |
여성 | 81.4세 | 79.0세 |
평균 인구 (천 명) | 출생아 수 | 사망자 수 | 자연 증감 | 조출생률 (천 명당) | 조사망률 (천 명당) | 자연 증감률 (천 명당) | 합계출산율 | |
---|---|---|---|---|---|---|---|---|
1970 | 1,438 | 41,381 | 9,543 | 31,838 | 28.8 | 6.6 | 22.1 | |
1975 | 1,544 | 42,098 | 10,292 | 31,806 | 27.3 | 6.7 | 20.6 | |
1980 | 1,655 | 44,088 | 11,188 | 32,900 | 26.6 | 6.8 | 19.9 | |
1985 | 1,744 | 50,053 | 12,010 | 38,043 | 28.7 | 6.9 | 21.8 | |
1990 | 1,848 | 48,209 | 11,482 | 36,727 | 26.1 | 6.2 | 19.9 | 3.07 |
1991 | 1,906 | 47,461 | 12,062 | 35,399 | 24.9 | 6.3 | 18.6 | 2.94 |
1992 | 1,964 | 44,986 | 12,984 | 32,002 | 22.9 | 6.6 | 16.3 | 2.70 |
1993 | 2,012 | 41,863 | 14,777 | 27,086 | 20.8 | 7.3 | 13.5 | 2.46 |
1994 | 2,117 | 44,472 | 15,253 | 29,219 | 21.0 | 7.2 | 13.8 | 2.45 |
1995 | 2,209 | 45,680 | 15,700 | 29,980 | 20.7 | 7.1 | 13.6 | 2.41 |
1996 | 2,251 | 42,282 | 15,565 | 26,717 | 18.8 | 6.9 | 11.9 | 2.19 |
1997 | 2,308 | 41,225 | 15,662 | 25,563 | 17.9 | 6.8 | 11.1 | 2.10 |
1998 | 2,363 | 41,164 | 15,793 | 25,371 | 17.4 | 6.7 | 10.7 | 2.05 |
1999 | 2,417 | 38,281 | 16,020 | 22,261 | 15.8 | 6.6 | 9.2 | 1.87 |
2000 | 2,464 | 38,229 | 16,108 | 22,121 | 15.5 | 6.5 | 9.0 | 1.82 |
2001 | 2,511 | 38,480 | 15,293 | 23,187 | 15.3 | 6.1 | 9.2 | 1.79 |
2002 | 2,563 | 41,204 | 15,887 | 25,317 | 16.1 | 6.2 | 9.9 | 1.85 |
2003 | 2,609 | 41,490 | 15,929 | 25,561 | 15.9 | 6.1 | 9.8 | 1.81 |
2004 | 2,647 | 41,573 | 15,724 | 25,849 | 15.7 | 5.9 | 9.8 | 1.76 |
2005 | 2,684 | 40,814 | 15,585 | 25,229 | 15.2 | 5.8 | 9.4 | 1.69 |
2006 | 2,721 | 40,646 | 15,939 | 24,707 | 14.9 | 5.9 | 9.1 | 1.64 |
2007 | 2,761 | 45,470 | 15,357 | 30,113 | 16.5 | 5.6 | 10.9 | 1.81 |
2008 | 2,804 | 49,465 | 15,794 | 33,671 | 17.6 | 5.6 | 12.0 | 1.94 |
2009 | 2,850 | 50,416 | 16,737 | 33,679 | 17.7 | 5.9 | 11.8 | 1.92 |
2010 | 2,896 | 52,057 | 17,013 | 35,044 | 18.0 | 5.9 | 12.1 | 1.92 |
2011 | 2,914 | 54,646 | 16,872 | 37,774 | 18.1 | 5.8 | 12.3 | 1.98 |
2012 | 2,931 | 56,186 | 16,642 | 39,544 | 19.1 | 5.7 | 13.4 | 2.03 |
2013 | 2,955 | 55,641 | 16,258 | 39,383 | 18.8 | 5.5 | 13.3 | 2.02 |
2014 | 2,982 | 56,888 | 16,491 | 40,397 | 19.1 | 5.5 | 13.6 | 2.08 |
2015 | 3,003 | 54,867 | 16,188 | 38,679 | 18.3 | 5.4 | 12.9 | 2.02 |
2016 | 3,029 | 52,867 | 15,719 | 37,148 | 17.4 | 5.2 | 12.2 | 1.98 |
2017 | 3,041 | 50,174 | 15,473 | 34,701 | 16.4 | 5.1 | 11.3 | 1.91 |
2018 | 3,077 | 48,120 | 14,871 | 33,249 | 15.6 | 4.8 | 10.8 | 1.86 |
2019 | 3,110 | 45,977 | 14,941 | 31,036 | 14.8 | 4.8 | 10.0 | 1.78 |
2020 | 3,138 | 47,051 | 19,750 | 27,301 | 15.1 | 6.3 | 8.8 | 1.87 |
2021 | 3,182 | 44,330 | 19,766 | 24,564 | 14.1 | 6.3 | 7.8 | 1.76 |
2022 | 3,186 | 42,515 | 16,344 | 26,171 | 13.4 | 5.2 | 8.2 | 1.73 |
2023 | style="text-align:right;"| | 42,075 | 14,605 | 27,470 | 13.1 | 4.5 | 8.6 | 1.75 |
다게스탄의 인구는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38] 북동 코카서스인(다게스탄의 아바르인, 다르긴인, 레즈긴인, 락인, 타바사란인, 루툴인, 체첸인 포함)이 다게스탄 인구의 거의 75%를 차지한다. 투르크계 민족인 쿠믹인, 아제르바이잔인, 노가이인은 21%를, 러시아인은 3.3%를 차지한다. 그 외 다른 민족들(예: 타트인(이란계 민족))은 각각 전체 인구의 0.4% 미만이다.
봇리흐인, 안디인, 아흐바흐인, 체즈인 등 약 10개의 다른 소수 민족들은 1926년과 1939년 인구 조사 사이에 아바르인으로 재분류되었다.[39]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right;"
|- style="background:#e0e0e0;"
! rowspan="2" | 민족
집단
! colspan="2" | 1926년 인구 조사
! colspan="2" | 1939년 인구 조사
! colspan="2" | 1959년 인구 조사
! colspan="2" | 1970년 인구 조사
! colspan="2" | 1979년 인구 조사
! colspan="2" | 1989년 인구 조사
! colspan="2" | 2002년 인구 조사
! colspan="2" | 2010년 인구 조사
! colspan="2" | 2021년 인구 조사1
|- style="background:#e0e0e0;"
! 인원
! %
! 인원
! %
! 인원
! %
! 인원
! %
! 인원
! %
! 인원
! %
! 인원
! %
! 인원
! %
! 인원
! %
|-
| style="text-align:left;"| '''아바르인'''
| 177,189
| 22.5%
| 230,488
| 24.8%
| 239,373
| 22.5%
| 349,304
| 24.5%
| 418,634
| 25.7%
| 496,077
| 27.5%
| 758,438
| 29.4%
| 850,011
| 29.4%
| 956,831
| 30.5%
|-
| style="text-align:left;"| '''다르긴인'''
| 125,707
| 16.0%
| 150,421
| 16.2%
| 148,194
| 13.9%
| 207,776
| 14.5%
| 246,854
| 15.2%
| 280,431
| 15.6%
| 425,526
| 16.5%
| 490,384
| 17.0%
| 521,381
| 16.6%
|-
| style="text-align:left;"| '''쿠믹인'''
| 87,960
| 11.2%
| 100,053
| 10.8%
| 120,859
| 11.4%
| 169,019
| 11.8%
| 202,297
| 12.4%
| 231,805
| 12.9%
| 365,804
| 14.2%
| 431,736
| 14.9%
| 496,455
| 15.8%
|-
| style="text-align:left;"| '''레즈긴인'''
| 90,509
| 11.5%
| 96,723
| 10.4%
| 108,615
| 10.2%
| 162,721
| 11.4%
| 188,804
| 11.6%
| 204,370
| 11.3%
| 336,698
| 13.1%
| 385,240
| 13.3%
| 416,963
| 13.3%
|-
| style="text-align:left;"| '''락인'''
| 39,878
| 5.1%
| 51,671
| 5.6%
| 53,451
| 5.0%
| 72,240
| 5.1%
| 83,457
| 5.1%
| 91,682
| 5.1%
| 139,732
| 5.4%
| 161,276
| 5.6%
| 162,518
| 5.2%
|-
| style="text-align:left;"| '''타바사란인'''
| 31,915
| 4.0%
| 33,432
| 3.6%
| 33,548
| 3.2%
| 53,253
| 3.7%
| 71,722
| 4.4%
| 78,196
| 4.6%
| 110,152
| 4.3%
| 118,848
| 4.1%
| 126,319
| 4.0%
|-
| style="text-align:
7. 언어
다게스탄에는 여러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30개가 넘는 지역 언어가 널리 사용된다. 이 언어들 대부분은 낙-다게스탄어족에 속한다. 러시아어는 공용어이며, 20세기 동안 다게스탄의 주요 공용어가 되었다.[41]
유네스코가 지정한 러시아의 131개 멸종 위기 언어 중 20개 이상이 다게스탄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멸종 위기 언어 대부분은 다게스탄-조지아 국경의 산악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사용한다.[42]
소비에트 통치 이전에는 고전 아랍어가 어느 정도 문어로서 공용어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43] 훈자흐의 북부 아바르어 방언 또한 아바르어 관련 민족이 거주하는 다게스탄 산악 지역에서 공용어 역할을 했다.[44] 수세기 동안 쿠믹어는 1930년대까지 다게스탄에서 카바르다까지 북 코카서스 대부분 지역의 공용어였다.[45][46][47] 쿠믹어는 또한 러시아 제국 행정부가 현지 주민들과 소통하기 위한 공식 언어이기도 했다.[48]
오늘날 다게스탄의 언어에 대해 쓰여진 최초의 러시아어 문법은 쿠믹어에 관한 것이었다.[49]
다게스탄 공화국의 각 언어별 공식 명칭은 다음과 같다.
-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Дагеста́н|Respublika Dagestanru
- 아바르어: Дагъистаналъул Жумгьурият|Daġistanałul Jumhuriyatav
- 달긴어: Дагъистан Республика|Daġistanes Respublikadar
- 쿰크어: Дагъыстан Жумгьурият|Dağıstan Cumhuriyatkum
- 레즈긴어: Республика Дагъустан|Respublika Daġustanlez
- 락어: Дагъусттаннал Республика|Daġusttannal Respublikalbe
- 타바사란어: Дагъустан Республика|Daġustan Respublikatab
- 루툴어: Республика Дагъустан|Respublika Daġustanrut
- 아굴어: Республика Дагъустан|Respublika Daġustanagx
- 노가이어: Дагы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Dağıstan Respublikasınog
- 체첸어: Дегӏестан Республика|Deġestan Respublikace
- 아제르바이잔어: Дағы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Dağıstan Respublikası/داغیستان رئسپوبلیکاسیaz
- 타트어: Республикей Догъисту|Respublikei Doġistuttt
8. 종교
다게스탄 공화국의 주민 대다수는 이슬람교를 믿으며, 코카서스 지역에서는 드물게 수니파가 주류를 이룬다. 와하브파도 소수 존재한다.[15] 643년 아랍인들의 정복 이후, 다게스탄인(특히 데르벤트 지역)들은 현재 러시아 영토 내에서 이슬람교를 최초로 받아들인 민족이 되었다.[15] 8세기에는 아랍인들과 카자르인들 사이에 여러 차례 충돌이 발생했다. 905년과 913년에는 데르벤트의 아랍인들에 대한 반란이 일어났지만, 사만다르와 쿠바치(제레치게란) 등의 도시를 중심으로 이슬람화가 진행되었고, 이후 고지대로 확산되었다. 15세기에는 기독교가 사라졌으며, 10세기 다투나 교회만이 유일한 기독교 유적으로 남아있다.
2012년 조사에 따르면,[50] 다게스탄 인구의 83%는 이슬람교, 2.4%는 러시아 정교회, 2%는 코카서스 민간 종교 및 기타 토착 신앙, 1%는 비종파 기독교를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는 "영적으로는 종교적이지 않음", 2%는 무신론자, 0.6%는 기타 및 무응답으로 조사되었다.[50]
다게스탄의 이슬람 신자 대부분은 샤피이 학파의 수니파 무슬림이다. 데르벤트 항구 도시와 그 주변 카스피해 연안에서는 아제르바이잔인을 중심으로 시아파가 분포한다. 살라피 소수파도 존재하지만, 때때로 공식적인 탄압을 받기도 한다.[51]
14세기부터 수피즘적 신비주의가 다게스탄에 등장했다. 북카프카스 지역에 널리 퍼진 수피 수도회로는 낙시반디와 카디리야가 있다. 이들은 다양한 민족 간의 관용과 공존을 설파했다. 1917년 공산 혁명 이후 공산주의자들의 종교 불관용 정책으로 수피 운동도 억압받았다. 셰이크 사이드 아판디 알-치르카위는 사망 전까지 다게스탄에서 낙시반디와 샤들릴리 타리카의 저명한 학자이자 영적 지도자, 무르시드(지도자)였다.[52]
소련 해체 이후, 다게스탄에서는 이슬람 부흥이 일어났다. 1996년에는 1,670개의 모스크, 9개의 이슬람 대학교, 25개의 마드라사, 670개의 마크탑이 등록되었고, 다게스탄 주민 5명 중 1명꼴로 이슬람 교육에 참여했다. 또한 약 2만 명의 러시아 순례자 중 절반 이상이 다게스탄 출신이었다(하지).[53]
과거 다게스탄 해안 지역에는 다수의 타트어(카프카스)를 사용하는 "산악 유대인"들이 거주했다. 그러나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많은 이들이 이스라엘과 미국으로 이주했다. 이들은 국경 너머 아제르바이잔의 구바와 샤마키 지역의 더 큰 아제르바이잔 유대인 공동체의 일부였다.[54]
슬라브계가 아닌 토착민 중 기독교인은 매우 적으며, 2,000명에서 2,500명 사이로 추산된다. 이들 대부분은 락 민족 출신의 오순절교 신자들이다.[55][56] 가장 큰 교회는 마하치칼라에 있는 오산나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오순절교)로, 1,000명 이상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57]
- 성모 승천 대성당은 마하치칼라시에 위치한 동방 정교회 대성당으로, 마하치칼라 교구의 주교좌 성당이다.
- 성 블라디미르 대공 교회는 마하치칼라시에 위치한 마하치칼라 교구의 러시아 정교회 대성당이다.
![]() | ![]() | ![]() | ![]() |
---|
9. 경제
다게스탄의 주요 산업으로는 석유 생산, 기계 공학, 화학 산업, 기계 제조, 섬유 제조, 식품 가공, 임업 등이 있다. 석유 매장량은 좁은 해안 지역에 위치해 있다. 다게스탄의 천연가스 생산은 대부분 지역 수요를 충족하는 데 사용된다.[59] 농업은 다양하며 곡물 재배, 포도 재배 및 와인 생산, 양 사육, 낙농업 등을 포함한다. 기계 공학 및 금속 가공 산업은 공화국 산업 생산 자산의 20%를 소유하고 있으며, 모든 산업 노동자의 25%를 고용하고 있다. 다게스탄의 수력 발전 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술락 강에는 5개의 발전소가 있으며 수력 발전을 제공한다. 다게스탄의 총 수력 발전 잠재력은 44억 kW로 추산된다. 다게스탄은 잘 발달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철도는 수도 마하츠칼라를 모스크바, 아스트라한,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와 연결한다. 모스크바-바쿠 러시아 고속도로도 카프카스 고속도로를 통해 다게스탄을 통과하며, 주요 도시와의 항공편도 있다.[59][60]
다게스탄의 경제 개발 여건은 유리하지만, 2006년 기준으로 시장 경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공화국의 낮은 출발 수준과 만연한 부패로 인해 이 지역은 지하 경제와 러시아 중앙 정부의 보조금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60][61] 다게스탄의 부패는 전 소비에트 연방의 다른 지역보다 더 심각하며, 번성하는 암시장과 씨족 기반 경제 시스템과 결합되어 있다.[62]
2011년 로스텔레콤은 다게스탄 공화국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백본 네트워크에 WDM 기반 장비 구축을 시작했다. WDM 도입으로 광섬유 통신 회선 대역폭이 2.5 Gbit/s로 증가했다. 로스텔레콤은 이 프로젝트에 약 4800만러시아 루블을 투자했다.[63]
10. 문화
다게스탄의 문화는 다양한 민족 구성만큼이나 다채롭다. 아바르족의 서사시, 음악, 민속춤, 격투기, 요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특한 문화 유산을 엿볼 수 있다.
아바르족 사이에서는 영웅적인 이야기를 담은 서사시와 역사 노래가 인기가 많았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를 거치면서 아바르 문학은 크게 발전했으며, 여러 유명한 시인들을 배출했다. 다게스탄에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국립 아카데믹 무용단이 있으며, 민속춤인 레즈긴카는 빠른 춤사위가 특징이다.
최근 다게스탄은 격투기 강국으로 떠올랐다. 종합격투기, 레슬링, 복싱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다.
다게스탄의 대표 음식으로는 힝갈-바트(Khingal-bat)가 있다. 이는 숫양 고기 국물에 삶은 작은 만두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산간 지역과 계곡 지역의 식재료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난다.[66]
10. 1. 문학
아바르족 사이에서는 아프샤르 투르크 나디르 샤의 군대 패배와 19세기 전쟁의 여러 에피소드를 다룬 서사시적 역사 노래가 인기가 많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호치바르"와 "카말릴 바시르" 발라드이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아바르 문화와 문학은 크게 발전했다. 잘 알려진 아바르 문학 인물로는 인호의 시인 알리가지(1875년 사망), 찬카(1866~1909), 서정시인 마흐무드(1873~1919), 풍자 시인 차다사 감자토프(1877~1951), 그리고 시인 라술 감자토프(1923~2003)가 있다. 라술 감자토프의 시 중에는 유명한 러시아 노래가 된 "주라블리"가 있다.[64]10. 2. 음악
다게스탄에는 다게스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국립 아카데믹 무용단이 있다. 다게스탄 출신 최초의 전문 작곡가로 알려진 갓프리드 하사노프는 1945년 다게스탄 최초의 오페라인 《호치바르》(Khochbar)를 작곡했다.[65] 다게스탄 민속춤에는 레즈긴카라고 불리는 빠른 춤이 있다. 이 춤의 이름은 레즈긴족에서 유래했지만, 아제르바이잔인, 체르케스인, 아브하즈인, 산악 유대인, 코카서스 아바르인, 러시아 쿠반 및 테렉 코사크, 그리고 다른 많은 부족들도 자신들만의 버전을 가지고 있다.[65]10. 3. 스포츠
다게스탄은 격투기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선수들을 배출하는 지역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인구 대비 MMA 파이터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다게스탄 출신인 하빕 누르마고메도프는 무패로 은퇴한 UFC 라이트급 챔피언이었다.[67][68] 그의 훈련 파트너이자 역시 다게스탄 출신인 이스람 마카체프는 현재 UFC 라이트급 챔피언이다. 하빕의 사촌인 우마르 누르마고메도프는 UFC 밴텀급에서 무패 전적을 기록 중인 파이터이다. 우마르의 남동생인 우스만 누르마고메도프는 현재 벨라토르 라이트급 챔피언이다. 다게스탄 출신인 마고메드 안칼라예프는 2022년 UFC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을 위해 싸웠다. 아부바카르 누르마고메도프는 하빕의 사촌이며, 17승 4패 1무의 프로 MMA 파이터이다.다게스탄은 역사적으로 자유형 레슬링에서 많은 올림픽 및 세계 챔피언들을 배출해 왔다. 역대 최고의 자유형 레슬러로 여겨지는 부바이사르 사이티예프와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압둘라시드 사두라예프도 다게스탄 출신이다.
복싱에서는 아르투르 베테르비예프가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리스트이자, 올림픽에 2회 출전했으며, 현재 (2024년 10월) IBF, IBO, WBO, WBC 라이트 헤비급 통합 챔피언으로 21승 20KO승을 거두고 있다.
종합격투기에서는 무패로 은퇴한 전 UFC 세계 라이트급 챔피언 하빕 누르마고메도프(Хабиб Нурмагомедов), 하빕 누르마고메도프의 친구이자 현 UFC 세계 라이트급 챔피언 이스람 마카체프(Ислам Махачев)[74], 라이트헤비급의 마고메드 안칼라에프(Магомед Анкалаев), 현 벨라토르 세계 라이트급 챔피언 우스만 누르마고메도프(Усман Нурмагомедов), 밴텀급의 우마르 누르마고메도프(Умар Нурмагомедов) 등이 있다.[75]
복싱에서는 현 WBA 슈퍼・WBC・IBF・WBO 세계 라이트헤비급 통일챔피언 아르투르 베테르비예프(Артур Бетербиев), 현 WBA 세계 브리저급 챔피언 무슬림 가지마고메도프(Муслим Гаджимагомедов), 2020년 도쿄 올림픽 남자 복싱 페더급 금메달리스트이자 현 WBA 세계 슈퍼페더급 잠정챔피언 알베르트 바티르가지예프(Альберт Батыргазиев) 등이 있다.
레슬링에서는 2016년 리우 올림픽 남자 자유형 86kg급, 2021년 도쿄 올림픽 남자 자유형 97kg급 금메달리스트 압둘라시드 사두라예프(Абдулрашид Садулаев), 유도에서는 2012년 런던 올림픽 유도 100kg급 금메달리스트 타길 하이브라예프(Тагир Хайбулаев) 등이 있다.
10. 4. 요리
힝갈-바트(Khingal-bat)는 다게스탄 공화국의 대표 음식으로, 숫양 고기 국물에 삶은 작은 만두이다. 만두는 요리사의 민족에 따라 타원형 또는 둥근 모양이며, 고기 또는 치즈로 속을 채우고 마늘이나 사워크림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66] 산간 지역에서는 유제품과 고기가 식단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계곡 지역에서는 과일, 식용 조롱박, 식용 허브, 야생 풀과 함께 채소와 곡물 가루를 먹는다.[66]참조
[1]
법률
[2]
서적
Solntsev et al.
[3]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4]
법률
[5]
법률
[6]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web.archive.[...]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2020-10-24
[7]
백과사전
Dagestan
https://www.britanni[...]
2020-10-24
[8]
서적
Will Russia Become a Muslim Society?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2-08-06
[9]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2-08-06
[10]
서적
The Caspian Sea Encyclopedia
Springer
[11]
웹사이트
Dagestan Republic
http://www.investing[...]
2019-05-08
[12]
웹사이트
Climate in Dagestan, Russia
https://www.worlddat[...]
2019-05-08
[13]
서적
Bitter Choices: Loyalty and Betrayal in the Russian Conquest of the North Caucasus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Dagestan
http://www.iranicaon[...]
2015-06-11
[15]
웹사이트
Islam: Islam in the Caucasus and the Middle Volga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16]
웹사이트
DAĞISTAN –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2022-08-08
[17]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ABC-CLIO
[18]
서적
Ottoman Wars, 1700–1870: An Empire Besieged
Routledge
[19]
웹사이트
Republic of the North Caucasus Federation
https://web.archive.[...]
2022-01-14
[20]
웹사이트
ISO Brain – Premium Supplement For Your Brain
https://web.archive.[...]
2022-09-18
[21]
웹사이트
Вассан-Гирей Джабагиев
http://vainah.info/b[...]
[22]
학술지
Sovereignisation and State Languages: Early Formation of Language Policy of Russia's Finno-Ugric Republics in the Conditions of the USSR Disintegration
https://core.ac.uk/d[...]
2013
[23]
뉴스
Rebels stage new invasion of Dagestan
https://www.independ[...]
1999-09-06
[24]
뉴스
Russia Sends Ground Troops into Chechnya, Raising Fears
https://archive.nyti[...]
1999-10-01
[25]
웹사이트
Занятость и безработица 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феврале 2020 года (по итогам обследования рабочей силы)
https://gks.ru/bgd/f[...]
2020-05-27
[26]
뉴스
Most Russian soldiers killed in action in Ukraine come from Russia's poorest regions
https://www.pravda.c[...]
2022-04-25
[27]
뉴스
Дагестан лидирует по числу погибших в Украине
https://belsat.eu/ru[...]
[28]
웹사이트
Больше, чем в Афгане. Почему Дагестан лидирует по потерям в Украине?
https://www.kavkazr.[...]
2022-05
[29]
뉴스
Ukraine war: Protests in Russia's Dagestan region against new draft
https://www.bbc.com/[...]
2022-09-26
[30]
뉴스
Hundreds storm airport in Russia in antisemitic riot over arrival of plane from Israel – CBS News
https://www.cbsnews.[...]
2023-10-30
[31]
뉴스
Anti-Israel mob storms Dagestan airport in Russia
https://www.bbc.com/[...]
2023-10-29
[32]
웹사이트
Vladimir Vasilyev appointed Acting Head of Dagestan
http://en.kremlin.ru[...]
2017-10-03
[33]
뉴스
The extent of fraud in Russia's presidential election begins to emerge
https://www.lemonde.[...]
2024-03-20
[34]
웹사이트
Итоги выборов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https://ria.ru/20240[...]
2024-03-18
[35]
학술지
Islamic Resistance and Political Hegemony in Dagestan
https://web.archive.[...]
2008-03-29
[36]
논문
Genetic subdivision of Dagestan ethnic populations
https://pubmed.ncbi.[...]
2003-01-01
[37]
웹사이트
ЕМИСС
https://www.fedstat.[...]
[38]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39]
서적
The Peoples of the USSR: An Ethnographic Handbook
M. E. Sharpe, Inc
[40]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2010: русских становится больше
http://www.perepis-2[...]
Perepis-2010.ru
2011-12-19
[41]
서적
Dagestan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Benchmark
2013-04-04
[42]
웹사이트
UNESCO Interactive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016-10-03
[43]
서적
Exploring the Caucasus in the 21st Century: Essays on Culture, History and Politics in a Dynamic Context
Pallas Publications
2013-04-04
[44]
서적
The Languages of the Soviet Un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4-04
[45]
서적
Studies in language companion series. From linguistic areas to areal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46]
서적
Gjennem Kaukasus til Volga (Oslo: Jacob Dybwads Forlag, 1929)
[47]
논문
О народах Кавказа
[48]
간행물
Язы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соседних государств. Том 2. К-Р, стр. 183
[49]
웹사이트
Kafkaz Lehçeni Tatar Grammatikası, Makarov 1848
http://caucasian.spa[...]
2017-06-28
[50]
간행물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51]
뉴스
Salafis mustered
https://www.economis[...]
[52]
웹사이트
Biography of Shaykh Said Afandi al-Chirkawi
http://www.islamdag.[...]
Islamdag.info
2012-05-04
[53]
서적
Dagestan: Russian Hegemony and Islamic Resistance in the North Caucasus
M. E. Sharpe
[54]
웹사이트
Mountain Jews
http://www.everycult[...]
[55]
웹사이트
Slavic Center for Law & Justice
http://www.sclj.org/[...]
SCLJ
2012-01-15
[56]
논문
On Christianity in Dagestan
2001
[57]
웹사이트
http://www.sclj.ru/n[...]
[58]
논문
Genetic structure of Dagestan populations: a study of 11 Alu insertion polymorphisms
https://pubmed.ncbi.[...]
2006-08-01
[59]
웹사이트
Dagestan
http://uk.encarta.ms[...]
[60]
웹사이트
Dagestan Republic
http://www.kommersan[...]
2004-03-10
[61]
뉴스
Dagestan's Economic Crisis: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ww.jamestown[...]
2006-12-31
[62]
웹사이트
Russia's Dagestan: Conflict Causes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14-04-07
[63]
뉴스
Broadband Russia Newslatter
[64]
웹사이트
Makhachkala Russia
https://www.britanni[...]
2020-07-15
[65]
웹사이트
Lezginka dance
https://www.britanni[...]
2020-07-15
[66]
웹사이트
Подготовка и защита диссертации Казимагомедовой Айшат Абдулгапуровны
http://www.naukadgpu[...]
2020-07-15
[67]
뉴스
A Wrestling Culture That Helps Keep Boys Away From Fighting
https://www.nytimes.[...]
2021-11-04
[68]
웹사이트
How Dagestan is raising the next generation of MMA champions in the wrestling room
https://www.mmafight[...]
2021-11-04
[69]
서적
서기 언어는 러시아어 외에 아구르어, 아바르어, 아제르바이잔어, 체첸어, 달긴어, 쿰크어, 레즈기어, 라크어, 노가이어, 루툴어, 타바사란어, 무슬림 타트어, 차훌어
[70]
뉴스
러시아 전사자, 소수민족 지역이 두드러져…"격전지 투입" 차별적이라고 반발 움직임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2-08-16
[71]
웹사이트
ロシア南部ダゲスタン共和国で動員反対デモ、100人拘束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2-09-26
[72]
웹사이트
ロシア南部ダゲスタンで教会など襲撃、警官15人と司祭1人死亡
https://www.cnn.co.j[...]
CNN
2024-06-24
[73]
서적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2012
[74]
웹사이트
UFC 280 results: Islam Makhachev clubs and subs Charles Oliveira to fulfill Nurmagomedov prophecy
https://mmajunkie.us[...]
MMA Junkie
2022-10-22
[75]
웹사이트
Bellator 288 results: Usman Nurmagomedov dominates Patricky Freire to win lightweight title
https://mmajunkie.us[...]
MMA Junkie
2022-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