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치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치섬은 아드리아해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의 섬으로, 달마티아 제도에서 가장 크다.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석회암 채석과 농업이 발달했다. 중세 시대에는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에 자치권을 유지했다. 20세기 초 인구 감소를 겪었으나, 현재는 관광, 어업, 농업, 석회암 채석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수페타르가 가장 큰 도시이며, 볼은 관광지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체티나강
체티나강은 디나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가는 크로아티아의 강으로, 페루차 호를 지나 시니, 트릴을 거쳐 오미슈에서 바다로 유입되며 수력 발전소 건설에 이용된다. - 크로아티아의 섬 - 코르나트섬
- 크로아티아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브라치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섬 정보 | |
![]() | |
위치 | 아드리아해 |
군도 | 달마티아 제도 |
면적 | 396km² |
최고점 | 비도바 고라 |
해발고도 | 780m |
행정 구역 | |
국가 | 크로아티아 |
현 | 스플리트-달마티아 주 |
최대 도시 | 수페타르 |
최대 도시 인구 | 3,326명 |
인구 통계 | |
인구 | 13,931명 (2021년) |
민족 | 크로아티아인 |
기타 정보 | |
언어 | 크로아티아어 |
로마자 표기 | Brač |
이탈리아어 표기 | Brazza |
라틴어 표기 | Brattia |
2. 역사
브라치섬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구석기 시대의 흔적이 코파키나 동굴에서 발견되었지만, 신석기 시대 이후의 흔적은 없다.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에는 일리리아인들이 섬 내륙에 살았다.
기원전 4세기경 그리스인들이 아드리아해 여러 섬을 식민지화했지만, 브라치섬에는 정착하지 않았다. 그들은 섬을 방문하여 일리리아인들과 교역했고, 관련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브라치섬은 살로나에서 비스섬과 포강으로 가는 교역로가 교차하는 곳에 위치했다.
9세기에는 로마 제국이 달마티아를 정복하면서 브라치섬도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살로나가 새로운 주의 수도가 되었고, 브라치섬은 살로나와 가까워 로마인들의 활용도가 높아졌다. 섬 전체에서 로마 시대의 흔적이 발견되지만, 주로 로마 빌라나 농장 형태로 남아있다. 슈크립과 스플리츠카 사이 지역은 초기 채석장이 있던 곳으로, 스플리트의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건축에 사용된 석회암이 이곳에서 채석되었다. 포도주와 올리브 재배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다.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의 침입으로 살로나가 파괴되자, 브라치섬은 피난처가 되었다. 이후 브라치섬은 베네치아 공화국, 헝가리 왕국, 보스니아 왕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번갈아 받았다. 1420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다시 섬을 점령하여 1797년까지 통치했다.[83] 이 시기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 진출로 인해 많은 보스니아 난민들이 브라치섬으로 피난해 왔다.[83]
나폴레옹 전쟁 동안 브라치섬은 잠시 프랑스 제1 제국과 몬테네그로의 지배를 받기도 했지만, 1815년 빈 회의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반환되었다. 19세기 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에서 브라치섬은 달마티아 왕국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20세기 초, 경제적 어려움과 필록세라로 인한 포도 농사의 피해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라틴 아메리카와 뉴질랜드, 호주 등으로 이주하였다.[69]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군과 독일군에게 점령당하기도 했다.[69] 전후 브라치섬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고, 1991년 크로아티아가 독립하면서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었다.[69]
2. 1. 선사 시대
구석기 시대부터 브라치섬에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스페탈과 도니 후마크 사이의 코파키나 동굴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유물이 이를 증명한다.[83] 하지만 신석기 시대 이후의 인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2. 2. 고대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에 일리리아인이 섬 내륙에서 살았다. 이 시기에 많은 마을이 있었지만,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기원전 4세기, 그리스인의 아드리아해 섬들과 본토 연안 식민지화는 있었지만, 브라치에 정착하지는 않았다. 그리스인들은 섬을 방문하여 일리리아인과 교역했다. 그리스 유물은 로지슈차 근교의 비챠에서 발견되었다. 브라치섬은 살로나(현재의 솔린)에서 비스섬과 포강으로 가는 교역로가 교차하는 곳에 있었다.
로마 제국은 9세기에 달마티아를 정복했다. 살로나는 새로운 주의 수도가 되었다. 브라치는 살로나와 인접했기 때문에 큰 마을이나 도시는 없었다. 로마인 주민의 흔적은 섬 전체에서 발견되었지만, 독립적인 별장에서 생활했다. 특히 초기 채석장이 있던 슈크립과 스프리츠카 사이 지역과, 스프리츠카는 살로나나 달마티아 전체로 돌을 운반하는 가장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스플리트의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은 브라치에서 운반된 석회암으로 대부분 건설되었다.[15] 와인이나 올리브 재배 중심의 농업도 같은 시대에 시작되었다.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에 의한 살로나 파괴 후, 브라치는 연안에서 도망쳐 온 사람들의 첫 번째 피난처가 되었다. 슈크립은 피난 온 살로나 주민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전해져 왔지만, 마을 자체는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
2. 3. 로마 시대
기원전 3세기부터 로마 제국이 달마티아를 정복하면서 브라치섬도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살로나가 달마티아 속주의 수도가 되었고, 브라치섬은 살로나와 가까워 로마인들의 활용도가 높아졌다.[15] 섬 전체에서 로마 시대의 흔적이 발견되지만, 주로 로마 빌라나 농장, 저수지 형태로 남아있다.[15] 슈크립과 스플리츠카 사이 지역은 초기 채석장이 있던 곳으로, 노예들이 채석장에서 일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는 전쟁 포로였지만 나중에는 지역 주민들이 동원되기도 했다.[15]스플리츠카는 살로나와 달마티아로 돌을 운반하는 주요 항구가 되었다.[15] 스플리트의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은 브라치섬에서 채석된 석회암으로 건설되었다.[15] 포도주와 올리브 재배 중심의 농업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다.[15]
볼, 푸치슈차, 포블랴, 수페타르 등 오늘날의 해안 마을과 그 근처에서 로마 시대의 벽, 빌라, 석관, 저수지 등이 발견되었다.[16] 내륙, 특히 네레지슈차, 슈크립, 도니 후마크, 드라체비차 주변에서는 포도주, 올리브, 무화과뿐만 아니라 양과 염소도 재배되었다.[17]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박물지''에서 브라치를 염소로 유명하다고 언급하고 있다.[17]
로마 통치 초기 유물 중 일부는 다양한 신들에게 바쳐졌으며, 가장 흔한 신은 헤라클레스였다.[18] 숭배 대상이 된 다른 신으로는 미트라, 유피테르, 메르쿠리우스, 넵투누스 등이 있다.[18]
2. 4. 중세
476년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브라치섬은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555년 동로마 제국의 지배가 회복될 때까지 고트족의 지배를 받았다.[20] 614년(또는 639년) 파노니아 아바르족이 살로나를 약탈하고 파괴하자[21], 브라치는 피난처가 되었다. 이 당시 달마티아 지역과 그 해안에는 크로아티아인, 남슬라브족이 거주했는데, 이들은 아바르 카간의 지배를 받았다.[22]9세기경, 슬라브 부족인 네렌테인이 브라치섬을 장악했다.[24] 네렌테인은 이교도였으며, 브라치를 주로 축산업에 사용했다. 그들의 행정 중심지는 브라치 동부 고원 지대에 있는 그라다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4] 872년에는 크레테에서 온 사라센(아랍) 약탈자들이 브라치를 공격하기도 했다.[26]
10세기 말, 베네치아 공화국이 브라치섬을 정복했다. 이후 베네치아와 헝가리 왕국이 섬의 지배권을 번갈아 가졌다. 1268년부터 1357년까지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종주국으로, 그 후에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390년에는 보스니아 왕 트브르트코 1세가 섬을 지배했으나, 그의 사후 헝가리가 다시 섬을 차지했다. 이 시기 동안 브라치섬은 기본적인 자치권을 유지했으며, 지역 귀족들이 행정을 담당하고 섬 중심부의 네레지슈차에서 의회를 개최했다.[83]
2. 5.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 (1420-1797)
1420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다시 브라치섬을 점령하여 1797년까지 4세기 동안 통치했다.[83] 베네치아는 브라치섬의 법령을 인정하고 섬의 자치를 어느 정도 보장했지만, 오스만 제국의 위협으로부터 섬을 완전히 보호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 진출로 인해, 많은 보스니아 난민들이 브라치섬으로 피난해 왔다. 이 시기에 많은 마을이 새로 건설되었고, 인구가 섬 내륙에서 해안 지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83]2. 6. 근대
1797년, 나폴레옹 전쟁의 결과로 브라치섬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병합되었다.[83] 1806년에는 나폴레옹에게 짧은 기간 동안 정복당했고,[83] 1807년에는 러시아 제국 해군의 지원을 받은 몬테네그로의 페타르 1세 페트로비치 네고쉬 주교가 브라치섬을 점령하기도 했다.[83] 그러나 1815년 빈 회의에서 섬은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반환되었다.[83]1827년, 브라치섬의 행정 중심지가 네레지슈차에서 수페타르로 이전되었다.
19세기 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에서 브라치섬은 달마티아 왕국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2. 7. 현대
20세기 초, 브라치섬의 인구는 약 4만 명이었으나, 경제적 어려움과 필록세라로 인한 포도 농사의 피해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라틴 아메리카(특히 아르헨티나, 칠레)와 뉴질랜드, 호주 등으로 이주하였다.[69] 이러한 이민 행렬은 20세기 내내 계속되었으며, 후세대들은 독일 등 유럽 국가로 이주하는 경향을 보였다.[69] 칠레 작가 안토니오 스카르메타와 현 칠레 대통령 가브리엘 보리치는 이러한 이민자들의 후손이다.[69]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된 후, 브라치섬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부터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69] 1939년에는 이 섬을 포함하는 자치 크로아티아 바나테가 창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이탈리아군이 섬을 점령하였고, 섬 주민들은 산악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펼치며 저항했으나, 점령군은 체포와 처형으로 가혹하게 대응했다.[69] 1943년 이탈리아 항복 이후, 독일군이 1944년 1월 12일과 13일에 섬을 점령했지만, 같은 해 7월에 패배하였다.[69] 1944년 9월 18일, 섬은 해방되었다.[70]
전후 브라치섬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고, 1991년 크로아티아가 독립하면서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었다.[69]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섬에서 직접적인 전투는 거의 없었지만(밀나에 대한 짧은 폭격),[69] 전쟁의 여파, 특히 관광 산업의 손실은 섬에 큰 타격을 주었다. 최근에 들어서야 섬은 수십 년간의 불황에서 회복되고 있다.
3. 지리
브라치섬은 아드리아해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며, 달마티아에서 가장 큰 섬이다. 섬의 면적은 396km2이며, 대략 타원형 모양을 하고 있다. 동서 길이는 약 40km, 남북 길이는 약 14km이다. 브라치섬의 해안선은 180km가 넘으며, 수많은 작은 만과 큰 만이 있다. 특히 수페타르(Supetar), 스플리스카(Splitska), 푸치슈차(Pučišća), 포블랴(Povlja), 수마르틴(Sumartin), 밀나(Milna), 보보비슈차(Bobovišća)의 자연 항구가 눈에 띈다.
브라치섬은 북쪽의 브라치 해협으로 본토와 분리되어 있으며, 해협의 폭은 5km 에서 13km이고 깊이는 최대 78m이다.[2] 북쪽으로는 스플리트와 오미쉬를 마주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흐바르섬을 마주보고 있으며, 최대 깊이 91m의 흐바르 해협으로 분리되어 있다. 서쪽으로는 약 800m 폭의 스플리트 문으로 숄타섬과 분리되어 있다.
이 섬은 '물이 없는 섬'(otok bez vode)으로 불려왔지만, 소수의 샘물이 있다. 대부분의 물은 체티나 강에서 파이프를 통해 본토에서 가져온다. 섬은 다른 달마티아 섬들보다 더 험준하고 산악 지형을 이루고 있다. 섬의 가장 높은 봉우리인 비도바 고라(Vidova gora) 또는 성 비드 산(Mount St. Vid)은 780m이며,[3] 아드리아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11]
4. 인구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브라치섬의 인구는 13,931명이다. 주민 대부분은 크로아티아인이며,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인구는 가장 큰 도시인 수페타르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69]
20세기 초 약 4만 명이었던 브라치섬의 인구는 20세기 말에 약 1만 3천 명으로 급격히 감소했는데, 이는 대규모 이민 때문이었다. 이민자들은 대부분 라틴 아메리카, 특히 아르헨티나와 칠레, 그리고 뉴질랜드와 호주로 이주했다. 이민은 세기 내내 계속되었으며, 후세대는 주로 독일을 포함한 유럽 국가로 이주하는 것을 선호했다. 칠레 작가 안토니오 스카르메타는 이러한 이민자들의 후손이며, 현 칠레 대통령인 가브리엘 보리치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민의 대부분은 섬의 경제적 기회가 줄어들면서 발생했으며, 특히 필록세라로 인해 포도원에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다.[69]
5. 경제
브라치섬의 경제는 대부분 관광업을 기반으로 한다. 어업과 농업(특히 포도주와 올리브 생산) 또한 매우 중요하며, 석회암 채석도 이루어지고 있다.[71][72][73] 플리니우스는 브라티아섬(브라치의 라틴어 명칭)이 뛰어난 치즈와 와인, 올리브유를 생산한다고 언급할 정도로 브라치섬은 전통적으로 염소로 유명했다. 브라치섬은 달마티아 제도 전체 올리브유의 약 절반을 생산하고 있다.
5. 1. 관광업

브라치섬은 20세기 초부터 관광지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1938년에는 2,850명의 관광객이 브라치섬을 방문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관광객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1960년대에는 매년 3만 명 이상이 방문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직전인 1989년과 1990년에는 11만 5천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여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전쟁 중인 1992년에는 9,400명으로 급감했다.[74] 2018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관광객 수가 크게 줄어들기 전까지 24만 4천 명의 관광객이 브라치섬을 방문했다.[75] 브라치섬 경제는 대부분 관광업을 기반으로 한다.
5. 2. 농업
농업에서는 특히 포도주와 올리브 생산이 중요하다. 브라치섬의 올리브 오일은 원산지 보호 명칭을 받았다.[76][77] 현지 포도 품종으로 만든 시럽인 '바레닉'은 보호받는 지리적 표시이다.[78] 플리니우스(Pliny)는 브라치섬이 염소로 유명하다고 언급했다.[79]5. 3. 석회암 채석
브라치섬의 유명한 백색 석회암은 수천 년 동안 채석되었다. 이 석회암은 스플리트의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노비사드의 바노비나 궁전, 캐나다 국립 비미 기념관 건설에 사용되었다.[80] 워싱턴 D.C.의 백악관에도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논란의 여지가 있다.[81][82]6. 주요 정착지
수페타르는 브라치섬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행정 중심지이다. 볼은 즈라트니 라트(황금 곶) 해변으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슈크립은 로마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던 섬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이다. 푸치슈차는 석조 건축과 석공예 학교로 유명한 마을이다. 스플리츠카는 로마 시대에 석회암을 운반하던 항구였다. 그 외에도 포스티라, 네레지슈차, 도니 후마츠, 밀나, 밀차, 고르니 후마츠, 돌, 스티반, 수마르틴, 플라즈니차, 무르비차, 포블랴, 드라체비차, 로지슈차 등의 촌락이 있다.[71][72][73]
참조
[1]
학술지
Coastline lengths and areas of islands in the Croatian part of the Adriatic Sea determined from the topographic maps at the scale of 1 : 25 000
https://hrcak.srce.h[...]
2004-06
[2]
웹사이트
Brački kanal
http://www.enciklope[...]
[3]
간행물
Croatia Yearbook 2015
[4]
웹사이트
Brač
[5]
Q인용
Q110945262
[6]
문서
The suggestion is due to Anton Mayer (1957), adducing [[Stephanus of Byzantium|Stephanus ''De urbibus'']]: "Brettia, insula maris Adriatici habens fluvium Brettium. Hanc Graeci Elaphusam, alii vero Bretanidem appellant", cited after Stanisław Rospond, ''Slawische Namenkunde: Die slawischen Ortsnamen'' (1992), p. 162.
[7]
웹사이트
Island of Brač - Split and Dalmatia County Tourist Board
https://www.dalmatia[...]
2019-09-18
[8]
학술지
Roots and Echoes of Pliny's Observation ...et capris laudata Brattia... in the Classical Heritage of the Island of Brač
https://hrcak.srce.h[...]
2019
[9]
서적
STEPHANUS BYZANTIUS ETHNICA [vol. A] [ ALPHA GAMMA] [ 2006] By Margarethe Billerbeck
https://archive.org/[...]
2006
[10]
서적
Stephani Byzantii Ethnicorvm quae svpersvnt
https://books.google[...]
G. Reimeri
1849
[11]
Q인용
Q113677298
[12]
Q인용
Q113677302
[13]
Q인용
Q113677302
[14]
Q인용
Q113677302
[15]
문서
C. Michael Hogan. 2007
[16]
Q인용
Q113677302
[17]
Q인용
Q113677302
[18]
Q인용
Q113677302
[19]
Q인용
Q113677302
[20]
Q인용
Q113677302
[21]
Q인용
Q113677302
[22]
서적
Dalmatia
Clarendon Press
1887
[23]
Q인용
Q113677302
[24]
Q인용
Q113677302
[25]
Q인용
Q113677302
[26]
문서
The Italian Cities and the Arabs before 1095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55
[27]
학술지
The Early Mediaeval Civitates of the Central Dalmatian Islands Civitas, murorum menibus turriumque hedificiis munitus
https://hrcak.srce.h[...]
1997
[28]
Q인용
Q113677302
[29]
Q인용
Q113677302
[30]
Q인용
Q113677302
[31]
Q인용
Q113677302
[32]
문서
Zadar u srednjem vijeku do 1409.
Filozofski fakultet Zadar
1976
[33]
Q인용
Q113677302
[34]
Q인용
Q113677302
[35]
Q인용
Q113677302
[36]
Q
[37]
Q
[38]
Q
[39]
Q
[40]
Q
[41]
Q
[42]
Q
[43]
Q
[44]
Q
[45]
Q
[46]
Q
[47]
Q
[48]
Q
[49]
Q
[50]
웹사이트
Bol - History of Bol - Discover Bol
https://www.bol.hr/d[...]
2019-09-18
[51]
Q
[52]
Q
[53]
Q
[54]
서적
The Croatian Adriatic Tourist Guide
Naklada Naprijed
[55]
Q
[56]
Q
[57]
Q
[58]
Q
[59]
Q
[60]
Q
[61]
Q
[62]
Q
[63]
서적
Toponomija otoka Brača
Skupština općine Brač, Savjet za prosvjetu i kulturu
[64]
Q
[65]
Q
[66]
간행물
Tracing Ancestry of Yugoslavs and Czechoslovakians, Part I:Research in Yugoslavia
http://files.lib.byu[...]
1969-08-05
[67]
Q
[68]
Q
[69]
웹사이트
Operation "Morgenwind I"
http://www.axishisto[...]
[70]
웹사이트
Oslobodjen Brač
https://www.antifasi[...]
[71]
Q인용
[72]
학술지
Demografski razvoj otoka Brača i sklonost otočana iseljavanju
https://hrcak.srce.h[...]
2016-12-30
[73]
Q인용
[74]
학술지
Razvoj i suvremeno stanje turizma na otoku Braču
https://hrcak.srce.h[...]
1999
[75]
웹사이트
Turizam u brojkama 2019.
https://www.htz.hr/s[...]
Ministry for tourism of the Republic of Croatia
2020
[76]
웹사이트
"Brač olive oil" receives the European label of origin
https://supetar.hr/n[...]
2022
[77]
웹사이트
Bračko maslinovo ulje
https://www.tmdn.org[...]
2022
[78]
웹사이트
Brački varenik
https://www.tmdn.org[...]
2020
[79]
서적
Natural Histories
[80]
서적
Fabijančić, Tony; Croatia: Travels in Undiscovered Country p. 127; University of Alberta, 2003
https://books.google[...]
[81]
서적
Adriatic : a concert of civilizations at the end of the modern age
https://www.worldcat[...]
2022
[82]
웹사이트
Yugoslavs Claim Bit Of White House
http://articles.sun-[...]
2015-12-05
[83]
웹사이트
Operation "Morgenwind I"
http://www.axishis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