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라왁 왕령식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라왁 왕령식민지는 1946년부터 1963년까지 존재했던 영국의 식민지였다. 1839년 제임스 브룩이 해적 소탕에 기여한 것을 계기로 브루나이 술탄으로부터 사라왁을 영지로 하사받아 사라왁 왕국이 세워졌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 점령되었다. 종전 후 브룩 왕가가 복위했지만, 1946년 영국 직할 식민지가 되면서 왕국은 종말을 맞았다. 영국 통치에 대한 반발로 독립 운동이 일어났으나 실패하였고,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에 가입하여 사라왁 왕령식민지는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령 보르네오 - 보르네오 전역 (1945년)
    보르네오 전역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군이 일본군으로부터 보르네오 섬을 탈환하기 위해 감행한 작전으로, 호주군 주도하에 천연 자원 확보와 해군 기지 건설을 목표로 오보에 작전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 영국령 보르네오 - 북보르네오
    북보르네오는 1877년 구스타프 오버벡이 브루나이와 술루 술탄국으로부터 토지 양허를 받아 설립된 지역으로, 이후 영국 세력의 진출과 보호령 편입, 회사 행정 체제, 경제 발전, 일본 점령, 그리고 영국의 직할 식민지화 과정을 거쳤다.
  • 사라왁주 - 림방
    림방은 사라왁주 림방 지구의 도시이자 지구 이름으로, 브루나이 제국으로부터 사라왁에 합병되어 브루나이와 영유권 분쟁의 역사를 가지며, 브루나이를 통해 연결되는 지리적 특징과 다양한 민족 구성, 림방 공항을 통한 항공 서비스, 그리고 북부 지역 개발청 주도의 개발이 특징이다.
  • 사라왁주 - 사리케이
    사리케이는 라잔 강 유역에 위치한 도시로, 브루나이 제국 시대부터 존재하며, 후추와 고무 농업을 거쳐 현재는 파인애플 생산으로 유명하고, 중국계, 이반족, 말레이족 등 다양한 인종이 거주하며, 도로와 수상 교통이 발달하고, 파인애플 축제 등 문화 및 관광 자원을 보유한다.
  • 말레이시아의 역사 - 항 투아
    항 투아는 15세기 말라카 술탄국 시대의 전설적인 해군 제독이자 무술가로,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뛰어난 무술 실력과 술탄에 대한 충성심으로 유명하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충성심과 용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말레이시아의 역사 - 조호르 술탄국
    조호르 술탄국은 15세기 말 말라카 해협에서 건국된 말레이 왕국으로, 말라카 왕국의 계승을 자처하며 성장했으나, 아체 술탄국, 포르투갈, 네덜란드, 잠비 왕국 등과의 전쟁과 내부 권력 투쟁으로 혼란을 겪으며 네덜란드와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다가 말라야 연방 독립과 함께 독립을 선언하고 말레이시아 연방의 조호르주가 되었으며, 술탄의 세습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사라왁 왕령식민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반 명칭사라왁
제국영국
지위식민지
존속 기간1946년–1963년
시대새로운 제국주의
시작 연도1946년
종료 연도1963년
시작 날짜7월 1일
종료 날짜9월 16일
시작 사건사라왁이 왕령 식민지로 이양됨
종료 사건말레이시아 협정
사건 1자치 정부
사건 날짜 11963년 7월 22일
이전 국가 1영국 군정 (보르네오)
계승 국가 1사라왁
사라왁의 깃발 (1947–1963)
사라왁의 깃발 (1947–1963)
사라왁 왕령 식민지의 문장
사라왁 왕령 식민지의 문장
국가 모토Dum Spiro Spero (숨 쉴 때 나는 희망한다)
국가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1946–1952)
말레이시아 사라왁
말레이시아 사라왁
수도쿠칭
공용어영어
이반어
멜라나우어
비다유어
사라왁 말레이어
중국어
현재 국가말레이시아
정치
정치 체제왕령식민지
군주군주
군주 1조지 6세
군주 재임 기간 11946년–1952년
군주 2엘리자베스 2세
군주 재임 기간 21952년–1963년
총독총독
총독 1찰스 클라크
총독 재임 기간 11946년–1949년
총독 2알렉산더 워델
총독 재임 기간 21960년–1963년
입법부Council Negri
경제
통화사라왁 달러, 이후 말라야 및 영국령 보르네오 달러
기타
통화$

2. 역사

1658년 이 지역은 브루나이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1839년 영국인 모험가인 제임스 브룩이 이곳에 출몰하는 해적을 소탕하는 공로를 세우자, 당시 브루나이의 술탄이던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가 감사의 표시로 이곳을 브룩의 영지로 하사하였고, 1841년에 그를 사라왁 왕국의 왕으로 봉하였다. 제임스 브룩1868년에 모국인 영국으로 돌아가서, 그 해에 잉글랜드의 데본 주에 있는 그의 저택에서 생을 마감하였지만, 그의 영지는 조카인 찰스 앤서니 존슨 브룩에게 상속되었다. 그러나, 그의 아들인 찰스 바이너 브룩이 통치하던 1941년에 제2차 세계대전의 일환으로 사라왁 지역 전역이 일본 제국에 점령 하에 놓였고, 그동안 사라왁 국왕 일가 전원이 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로 망명하여, 일본 제국의 점령이 끝난 1945년까지 그곳에서 생활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자, 1945년에 사라왁 왕실이 복위하지만, 같은 해 영국 군령이 되어 독립은 사실상 끝났다. 1946년 영국의 직할 식민지 및 보호령이 되었으며, 결국 사라왁 왕국은 종말을 고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일환으로 사라왁 지역 전역이 일본 제국에 점령되었고, 그동안 사라왁 국왕 일가 전원은 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로 망명하여, 일본 제국의 점령이 끝난 1945년까지 그곳에서 생활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자, 1945년에 사라왁 왕실이 복위하였다.

1946년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네그리 평의회(현재 사라왁 주 의회)에서 할양 법안이 논의되었고, 19대 16표로 승인되었다. 유럽 관리들은 대체로 할양을 지지했지만, 말레이시아 관리들은 할양에 강력히 반대했다. 약 300~400명의 말레이시아 공무원들이 항의의 표시로 사임했다.[4]

할양은 말레이 지식인들 사이에서 민족주의를 불러일으켰다. 그들은 시부와 쿠칭을 중심으로 할양 반대 운동을 시작했다.[4] 한편, 대다수의 중국인들은 영국이 사라왁에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며, 영국 통치하에 불법 도박과 아편 매매가 금지되어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할양을 지지했다. 대다수의 이반족은 라자(Raja)가 사라왁 주민들의 최상의 이익을 위해 행동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라자의 결정을 존중했다. 한편, 사라왁의 인도인들도 영국의 통치 원칙을 만족스럽게 여겨 할양을 지지했다.[4]

말레이인들은 시부에 말레이 청년 협회(''Persatuan Pemuda Melayu'' (PSM))를, 쿠칭에 사라왁 말레이 국가 협회(''Persatuan Kebangsaan Melayu Sarawak'' (PKMS))를 설립했다.[4] 정부 직책에서 사퇴한 공무원들은 예언자 무함마드가 바드르 전투에서 338명의 보병을 이끌고 승리한 것을 상징하는 "그룹 338"이라는 단체를 결성했다. 처음에는 할양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 강연을 열고, 포스터를 걸고, 각서에 서명하고, 시위에 참여했다. 앤서니 브룩 또한 할양에 반대하려고 했지만 영국 식민 정부에 의해 사라왁 입국이 금지되었다. 말레이 공동체의 요구와 호소는 영국에 의해 무시되었다. 이로 인해 1948년 8월 20일 아왕 람블리(Awang Rambli)를 지도자로 하는 루쿤 13(Rukun 13)이라는 더욱 과격한 단체가 시부에 설립되었다.[4] 아왕 람블리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4]

기적이 일어나기를 기다리며 오랫동안 그러한 시위를 조직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우리는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한다면 독립이 여전히 우리 손에 달려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총독보다 더 잘 죽일 사람은 없습니다.

— 1975년 시드 후세인 알라타스(Syed Hussein Alattas)가 보고함

따라서 사라왁의 두 번째 총독인 던컨 스튜어트는 1949년 12월 3일 시부에서 로슬리 도비(Rosli Dhobi)에 의해 칼에 찔렸다.[4] 이후 루쿤 13은 불법화되었고, 로슬리 도비와 단체의 다른 세 명의 구성원은 교수형에 처해졌고 나머지는 투옥되었다. 이 사건은 영국의 사라왁 할양 반대 운동 탄압 노력을 증가시켰다. 할양 반대와 관련된 모든 단체가 금지되었고, 할양 반대 문서는 압수되었다. 이 사건 이후 앤서니 브룩은 사라왁 총독 암살 음모와 연관되는 것을 우려하여 할양 반대 운동과 거리를 두려고 했다. 사라왁 주민들 또한 영국 식민 정부의 반발을 두려워하여 할양 반대 운동을 지지하는 것을 꺼렸다. 이로 인해 1951년 2월 할양 반대 운동이 종식되었다.[4] 할양 반대 운동은 실패로 끝났지만, 말레이시아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사라왁 원주민들 사이의 민족주의의 시작점으로 간주한다. 이 사건은 또한 영국에 사라왁 현지 주민들을 경솔하게 대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영국은 루쿤 13의 구성원을 반역자로 묘사했지만, 말레이시아 역사가들의 눈에는 루쿤 13의 구성원은 사라왁의 독립을 위해 싸운 영웅으로 여겨진다.[4]

1951년 2월 4일, 사라왁의 여러 할양 반대 단체는 사라왁의 미래 계획에 대한 전보를 영국 총리에게 보냈다. 그들은 영국 총리로부터 사라왁을 영연방의 자치로 이끌어갈 영국의 의도와 사라왁 국민이 헌법에 따라 적절한 경로를 통해 의견을 자유롭게 표명할 수 있으며 그들의 의견은 영국 정부에 의해 충분히 고려될 것이라는 확신을 담은 답장을 받았다.[4]

1658년 이 지역은 브루나이의 영토였다. 1839년 영국인 모험가 제임스 브룩이 해적 소탕에 공을 세우자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가 그를 사라왁 왕국의 왕으로 봉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1945년 사라왁 왕실이 복위했지만, 같은 해 영국 군령이 되었다. 1946년 영국의 직할 식민지가 되면서 사라왁 왕국은 종말을 고했다.

영국 통치에 대한 사라왁 주민들의 반발로 독립운동이 일어났으나 실패했다. 1963년 7월 22일 영국으로부터 자치권을 획득했는데, 이는 말라야 연방 가입을 위한 것이었다. 결국 1963년 9월 16일 사라왁은 사바, 싱가포르, 말라야 연방과 함께 말레이시아로 합병되었다.

말레이시아 합병은 처음부터 논란이 많았다. 1965년 싱가포르의 탈퇴[36] 이후, 사바의 주수상이었던 툰 푸아드 스테픈스는 조약 무효를 선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연방정부는 이를 부정했고, 인도네시아의 침공 경력 탓에 독립은 쉽지 않았다. 1970년대부터 사라왁 주는 자치권을 잃고 말레이시아의 통제를 받으며 가장 가난한 주로 전락했다. 최근 SSKM 등 독립단체들이 결성되어 독립운동이 거세지고 있다.

2. 1. 브룩 왕조 통치 시기 (1841년 ~ 1946년)

1658년 이 지역은 브루나이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1839년 영국인 모험가인 제임스 브룩이 이곳에 출몰하는 해적을 소탕하는 공로를 세우자, 당시 브루나이의 술탄이던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가 감사의 표시로 이곳을 브룩의 영지로 하사하였고, 1841년에 그를 사라왁 왕국의 왕으로 봉하였다. 제임스 브룩1868년에 모국인 영국으로 돌아가서, 그 해에 잉글랜드의 데본 주에 있는 그의 저택에서 생을 마감하였지만, 그의 영지는 조카인 찰스 앤서니 존슨 브룩에게 상속되었다. 그러나, 그의 아들인 찰스 바이너 브룩이 통치하던 1941년에 제2차 세계대전의 일환으로 사라왁 지역 전역이 일본 제국에 점령 하에 놓였고, 그동안 사라왁 국왕 일가 전원이 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로 망명하여, 일본 제국의 점령이 끝난 1945년까지 그곳에서 생활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자, 1945년에 사라왁 왕실이 복위하지만, 같은 해 영국 군령이 되어 독립은 사실상 끝났다. 1946년 영국의 직할 식민지 및 보호령이 되었으며, 결국 사라왁 왕국은 종말을 고했다.

2. 2. 일본 점령기 (1941년 ~ 1945년)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일환으로 사라왁 지역 전역이 일본 제국에 점령되었고, 그동안 사라왁 국왕 일가 전원은 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로 망명하여, 일본 제국의 점령이 끝난 1945년까지 그곳에서 생활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자, 1945년에 사라왁 왕실이 복위하였다.

2. 3. 영국 왕령 식민지 시기 (1946년 ~ 1963년)

1946년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네그리 평의회(현재 사라왁 주 의회)에서 할양 법안이 논의되었고, 19대 16표로 승인되었다. 유럽 관리들은 대체로 할양을 지지했지만, 말레이시아 관리들은 할양에 강력히 반대했다. 약 300~400명의 말레이시아 공무원들이 항의의 표시로 사임했다.[4]

할양은 말레이 지식인들 사이에서 민족주의를 불러일으켰다. 그들은 시부와 쿠칭을 중심으로 할양 반대 운동을 시작했다.[4] 한편, 대다수의 중국인들은 영국이 사라왁에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며, 영국 통치하에 불법 도박과 아편 매매가 금지되어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할양을 지지했다. 대다수의 이반족은 라자(Raja)가 사라왁 주민들의 최상의 이익을 위해 행동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라자의 결정을 존중했다. 한편, 사라왁의 인도인들도 영국의 통치 원칙을 만족스럽게 여겨 할양을 지지했다.[4]

말레이인들은 시부에 말레이 청년 협회(''Persatuan Pemuda Melayu'' (PSM))를, 쿠칭에 사라왁 말레이 국가 협회(''Persatuan Kebangsaan Melayu Sarawak'' (PKMS))를 설립했다.[4] 정부 직책에서 사퇴한 공무원들은 예언자 무함마드가 바드르 전투에서 338명의 보병을 이끌고 승리한 것을 상징하는 "그룹 338"이라는 단체를 결성했다. 처음에는 할양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 강연을 열고, 포스터를 걸고, 각서에 서명하고, 시위에 참여했다. 앤서니 브룩 또한 할양에 반대하려고 했지만 영국 식민 정부에 의해 사라왁 입국이 금지되었다. 말레이 공동체의 요구와 호소는 영국에 의해 무시되었다. 이로 인해 1948년 8월 20일 아왕 람블리(Awang Rambli)를 지도자로 하는 루쿤 13이라는 더욱 과격한 단체가 시부에 설립되었다.[4] 아왕 람블리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4]

따라서 사라왁의 두 번째 총독인 던컨 스튜어트는 1949년 12월 3일 시부에서 로슬리 도비에 의해 칼에 찔렸다.[4] 이후 루쿤 13은 불법화되었고, 로슬리 도비와 단체의 다른 세 명의 구성원은 교수형에 처해졌고 나머지는 투옥되었다. 이 사건은 영국의 사라왁 할양 반대 운동 탄압 노력을 증가시켰다. 할양 반대와 관련된 모든 단체가 금지되었고, 할양 반대 문서는 압수되었다. 이 사건 이후 앤서니 브룩은 사라왁 총독 암살 음모와 연관되는 것을 우려하여 할양 반대 운동과 거리를 두려고 했다. 사라왁 주민들 또한 영국 식민 정부의 반발을 두려워하여 할양 반대 운동을 지지하는 것을 꺼렸다. 이로 인해 1951년 2월 할양 반대 운동이 종식되었다.[4]

할양 반대 운동은 실패로 끝났지만, 말레이시아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사라왁 원주민들 사이의 민족주의의 시작점으로 간주한다. 이 사건은 또한 영국에 사라왁 현지 주민들을 경솔하게 대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영국은 루쿤 13의 구성원을 반역자로 묘사했지만, 말레이시아 역사가들의 눈에는 루쿤 13의 구성원은 사라왁의 독립을 위해 싸운 영웅으로 여겨진다.[4]

1951년 2월 4일, 사라왁의 여러 할양 반대 단체는 사라왁의 미래 계획에 대한 전보를 영국 총리에게 보냈다. 그들은 영국 총리로부터 사라왁을 영연방의 자치로 이끌어갈 영국의 의도와 사라왁 국민이 헌법에 따라 적절한 경로를 통해 의견을 자유롭게 표명할 수 있으며 그들의 의견은 영국 정부에 의해 충분히 고려될 것이라는 확신을 담은 답장을 받았다.[4]

2. 3. 1. 할양 반대 운동

할양은 말레이 지식인들 사이에서 민족주의를 불러일으켰다. 그들은 시부와 쿠칭을 중심으로 할양 반대 운동을 시작했다.[4] 한편, 대다수의 중국인들은 영국이 사라왁에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며, 영국 통치하에 불법 도박과 아편 매매가 금지되어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할양을 지지했다. 대다수의 이반족은 라자(Raja)가 사라왁 주민들의 최상의 이익을 위해 행동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라자의 결정을 존중했다. 한편, 사라왁의 인도인들도 영국의 통치 원칙을 만족스럽게 여겨 할양을 지지했다.[4]

말레이인들은 시부에 말레이 청년 협회(말레이어: ''Persatuan Pemuda Melayu'' (PSM))를, 쿠칭에 사라왁 말레이 국가 협회(말레이어: ''Persatuan Kebangsaan Melayu Sarawak'' (PKMS))를 설립했다.[4] 정부 직책에서 사퇴한 공무원들은 예언자 무함마드가 바드르 전투에서 338명의 보병을 이끌고 승리한 것을 상징하는 "그룹 338"이라는 단체를 결성했다. 처음에는 할양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 강연을 열고, 포스터를 걸고, 각서에 서명하고, 시위에 참여했다. 앤서니 브룩 또한 할양에 반대하려고 했지만 영국 식민 정부에 의해 사라왁 입국이 금지되었다. 말레이 공동체의 요구와 호소는 영국에 의해 무시되었다. 이로 인해 1948년 8월 20일 아왕 람블리(Awang Rambli)를 지도자로 하는 루쿤 13(Rukun 13)이라는 더욱 과격한 단체가 시부에 설립되었다.[4] 아왕 람블리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4]

기적이 일어나기를 기다리며 오랫동안 그러한 시위를 조직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우리는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한다면 독립이 여전히 우리 손에 달려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총독보다 더 잘 죽일 사람은 없습니다.

— 1975년 시드 후세인 알라타스(Syed Hussein Alattas)가 보고함

따라서 사라왁의 두 번째 총독인 던컨 스튜어트는 1949년 12월 3일 시부에서 로슬리 도비(Rosli Dhobi)에 의해 칼에 찔렸다.[4] 이후 루쿤 13은 불법화되었고, 로슬리 도비와 단체의 다른 세 명의 구성원은 교수형에 처해졌고 나머지는 투옥되었다. 이 사건은 영국의 사라왁 할양 반대 운동 탄압 노력을 증가시켰다. 할양 반대와 관련된 모든 단체가 금지되었고, 할양 반대 문서는 압수되었다. 이 사건 이후 앤서니 브룩은 사라왁 총독 암살 음모와 연관되는 것을 우려하여 할양 반대 운동과 거리를 두려고 했다. 사라왁 주민들 또한 영국 식민 정부의 반발을 두려워하여 할양 반대 운동을 지지하는 것을 꺼렸다. 이로 인해 1951년 2월 할양 반대 운동이 종식되었다.[4] 할양 반대 운동은 실패로 끝났지만, 말레이시아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사라왁 원주민들 사이의 민족주의의 시작점으로 간주한다. 이 사건은 또한 영국에 사라왁 현지 주민들을 경솔하게 대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영국은 루쿤 13의 구성원을 반역자로 묘사했지만, 말레이시아 역사가들의 눈에는 루쿤 13의 구성원은 사라왁의 독립을 위해 싸운 영웅으로 여겨진다.[4]

1951년 2월 4일, 사라왁의 여러 할양 반대 단체는 사라왁의 미래 계획에 대한 전보를 영국 총리에게 보냈다. 그들은 영국 총리로부터 사라왁을 영연방의 자치로 이끌어갈 영국의 의도와 사라왁 국민이 헌법에 따라 적절한 경로를 통해 의견을 자유롭게 표명할 수 있으며 그들의 의견은 영국 정부에 의해 충분히 고려될 것이라는 확신을 담은 답장을 받았다.[4]

2. 4. 말레이시아 연방 가입 (1963년)

1658년 이 지역은 브루나이의 영토였다. 1839년 영국인 모험가 제임스 브룩이 해적 소탕에 공을 세우자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가 그를 사라왁 왕국의 왕으로 봉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1945년 사라왁 왕실이 복위했지만, 같은 해 영국 군령이 되었다. 1946년 영국의 직할 식민지가 되면서 사라왁 왕국은 종말을 고했다.

영국 통치에 대한 사라왁 주민들의 반발로 독립운동이 일어났으나 실패했다. 1963년 7월 22일 영국으로부터 자치권을 획득했는데, 이는 말라야 연방 가입을 위한 것이었다. 결국 1963년 9월 16일 사라왁은 사바, 싱가포르, 말라야 연방과 함께 말레이시아로 합병되었다.

말레이시아 합병은 처음부터 논란이 많았다. 1965년 싱가포르의 탈퇴[36] 이후, 사바의 주수상이었던 툰 푸아드 스테픈스는 조약 무효를 선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연방정부는 이를 부정했고, 인도네시아의 침공 경력 탓에 독립은 쉽지 않았다. 1970년대부터 사라왁 주는 자치권을 잃고 말레이시아의 통제를 받으며 가장 가난한 주로 전락했다. 최근 SSKM 등 독립단체들이 결성되어 독립운동이 거세지고 있다.

3. 정치

1963년 7월 22일 영국으로부터 자치권을 획득하여 새로운 내각을 구성했다. 사라왁 직할 식민지 시절 마지막 총독이었던 알렉산더 워델 경이 총독으로 있었으며, 사라왁의 지도자로 계속 있었다. 사라왁의 새 내각은 54일만에 붕괴되었고, 스테픈 칼롱 닝칸이 주수상으로 선출되었다.

사라왁 영국령 식민지의 총독(말레이어: Tuan Yang Terutama Gabenor Koloni Mahkota British Sarawakms)직은 1946년 브루크 가문이 사라왁(Raj of Sarawak)을 영국 정부에 할양함에 따라 영국 정부가 신설한 직책이었다.[7] 총독은 조지 6세, 이후 엘리자베스 2세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이 수립될 때까지 유지되었다.[7] 말레이시아 연방 수립 이후 직책 명칭은 '사라왁 주지사'로 변경되었고, 이후 말레이시아 국왕이 임명하게 되었다. 사라왁 총독의 공식 관저는 사라왁 강 북쪽 강둑에 위치한 아스타나였다.

style="text-align: left;" |사라왁 영국령 식민지 총독 목록[8]
번호이름취임일퇴임일비고
1.찰스 아덴-클라크1946년 10월 29일1949년 7월 27일사라왁 영국령 식민지 초대 총독.
2.던컨 스튜어트1949년 10월 31일1949년 12월 10일1949년 12월 3일 시부 방문 중 로슬리 도비에게 암살당해 12월 10일 사망.
3.앤서니 아벨1949년 12월 11일1959년 11월 16일당초 3년 임기로 임명되었으나 1959년까지 연장됨. 이후 코볼드 위원회 위원을 역임.
4.알렉산더 와델1960년 2월 23일1963년 9월 15일사라왁 마지막 총독.



사라왁은 기존의 행정 기관들이 새로운 체제 하에서도 계속 유지되었다는 점에서 다른 영국령 식민지들과는 다소 달랐다. 브루크 가문의 1941년 헌법에 따라 설립된 최고회의와 네그리 의회는 라자가 총독으로 대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권한을 유지했다.[9] 총독은 권한을 행사할 때 최고회의와 협의해야 했다.[9]

지방 정부는 거주민(resident)이 감독하는 5개의 구역으로 나뉘었다. 각 구역은 구역장(district officers)이 감독하는 여러 지역으로 세분되었고, 이는 다시 하위 지역으로 나뉘었다. 각 구역과 지역에는 자문회의가 있었고, 지역에는 중국인 자문위원회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9] 1954년까지 약 26만 명이 통합 지역에 거주했으며, 초기 지방 자치 단체는 인종 기반이었지만, 곧 통합되었다.[9]

1956년, 민주적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헌법이 개정되었다. 네그리 의회는 45명으로 확대되었는데, 그중 24명은 선출된 비공무원, 14명은 당연직, 4명은 총독이 임명하였고, 3명은 상임 의원이었다. 새로운 최고회의는 당연직 3명, 임명직 2명, 네그리 의회에서 선출된 5명으로 구성되었다.[10]

3. 1. 영국령 식민지 정부

사라왁 영국령 식민지의 총독(말레이어: Tuan Yang Terutama Gabenor Koloni Mahkota British Sarawak)직은 1946년 브루크 가문(Brooke Administration)이 사라왁(Raj of Sarawak)을 영국 정부에 할양함에 따라 영국 정부가 신설한 직책이었다. 총독은 조지 6세(King George VI), 이후 엘리자베스 2세(Queen Elizabeth II)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Federation of Malaysia)이 수립될 때까지 이어졌다.[7] 말레이시아 연방 수립 이후 직책 명칭은 '사라왁 주지사'로 변경되었고, 이후 말레이시아 국왕(Yang di-Pertuan Agong)이 임명하게 되었다. 사라왁 총독의 공식 관저는 사라왁 강(Sarawak River) 북쪽 강둑에 위치한 아스타나(The Astana, Sarawak)였다.

style="text-align: left;" |사라왁 영국령 식민지 총독 목록[8]
번호이름취임일퇴임일비고
1.찰스 아덴-클라크1946년 10월 29일1949년 7월 27일사라왁 영국령 식민지 초대 총독.
2.던컨 스튜어트1949년 10월 31일1949년 12월 10일1949년 12월 3일 시부 방문 중 로슬리 도비에게 암살당해 12월 10일 사망.
3.앤서니 아벨1949년 12월 11일1959년 11월 16일당초 3년 임기로 임명되었으나 1959년까지 연장됨. 이후 코볼드 위원회 위원을 역임.
4.알렉산더 와델1960년 2월 23일1963년 9월 15일사라왁 마지막 총독.



사라왁은 기존의 행정 기관들이 새로운 체제 하에서도 계속 유지되었다는 점에서 다른 영국령 식민지들과는 다소 달랐다. 브루크 가문의 1941년 헌법에 따라 설립된 최고회의(Supreme Council)와 네그리 의회(Council Negri)는 라자(Rajah)가 총독으로 대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권한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기구는 전적으로 임명직이었다. 1954년 네그리 의회는 입법 및 재정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2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는데, 14명은 공무원, 11명은 다양한 민족 및 이해 집단을 대표하는 비공무원이었다. 총독은 권한을 행사할 때 최고회의와 협의해야 했다.[9]

지방 정부의 경우, 사라왁은 각각 거주민(resident)이 감독하는 5개의 구역으로 나뉘었다. 각 구역은 구역장(district officers)이 감독하는 여러 지역으로 세분되었고, 이는 다시 하위 지역으로 나뉘었다. 각 구역과 지역에는 자문회의가 있었고, 지역에는 중국인 자문위원회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정부는 전쟁 전에 지방 자치 제도를 건설하기 시작했고, 1954년까지 약 26만 명이 통합 지역에 거주했다. 초기 지방 자치 단체는 인종 기반이었지만, 이는 실행 불가능한 제도로 판명되었고, 지방 자치 단체는 곧 통합되었다.[9]

1956년, 민주적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헌법이 개정되었다. 네그리 의회는 45명으로 확대되었는데, 그중 24명은 선출된 비공무원, 14명은 당연직, 4명은 총독이 충분히 대표되지 않는다고 간주하는 이익을 대표하기 위해 임명되었고, 3명은 상임 의원이었다. 새로운 최고회의는 당연직 3명(수석 비서관, 재무 비서관, 법무장관), 임명직 2명, 네그리 의회에서 선출된 5명으로 구성되었다.[10]

3. 1. 1. 역대 총독

역대 총독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summary`와 `source`에 해당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은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2. 지방 행정

사라왁 영국령 식민지의 총독(말레이어: Tuan Yang Terutama Gabenor Koloni Mahkota British Sarawak)직은 1946년 브루크 가문이 사라왁을 영국 정부에 할양함에 따라 영국 정부가 신설한 직책이다.[7] 총독은 조지 6세, 이후 엘리자베스 2세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이 수립될 때까지 유지되었다.[7] 말레이시아 연방 수립 이후 직책 명칭은 '사라왁 주지사'로 변경되었고, 이후 말레이시아 국왕이 임명하게 되었다. 사라왁 총독의 공식 관저는 사라왁 강 북쪽 강둑에 위치한 아스타나였다.

style="text-align: left;" |사라왁 영국령 식민지 총독 목록[8]
번호이름취임일퇴임일비고
1.찰스 아덴-클라크1946년 10월 29일1949년 7월 27일사라왁 영국령 식민지 초대 총독.
2.던컨 스튜어트1949년 10월 31일1949년 12월 10일1949년 12월 3일 시부 방문 중 로슬리 도비에게 암살당해 12월 10일 사망.
3.앤서니 아벨1949년 12월 11일1959년 11월 16일당초 3년 임기로 임명되었으나 1959년까지 연장됨. 이후 코볼드 위원회 위원을 역임.
4.알렉산더 와델1960년 2월 23일1963년 9월 15일사라왁 마지막 총독.



사라왁은 기존의 행정 기관들이 새로운 체제 하에서도 계속 유지되었다는 점에서 다른 영국령 식민지들과는 달랐다. 브루크 가문의 1941년 헌법에 따라 설립된 최고회의와 네그리 의회는 라자가 총독으로 대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권한을 유지했다.[9] 총독은 권한을 행사할 때 최고회의와 협의해야 했다.[9]

지방 정부는 거주민(resident)이 감독하는 5개의 구역으로 나뉘었다. 각 구역은 구역장(district officers)이 감독하는 여러 지역으로 세분되었고, 이는 다시 하위 지역으로 나뉘었다. 각 구역과 지역에는 자문회의가 있었고, 지역에는 중국인 자문위원회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9] 1954년까지 약 26만 명이 통합 지역에 거주했으며, 초기 지방 자치 단체는 인종 기반이었지만, 곧 통합되었다.[9]

1956년, 민주적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헌법이 개정되었다. 네그리 의회는 45명으로 확대되었는데, 그중 24명은 선출된 비공무원, 14명은 당연직, 4명은 총독이 임명하였고, 3명은 상임 의원이었다. 새로운 최고회의는 당연직 3명, 임명직 2명, 네그리 의회에서 선출된 5명으로 구성되었다.[10]

4. 경제

사라왁 왕령식민지의 경제는 농업에 크게 의존했으며, 정부 지출과 상품 수출입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3] 인구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했기 때문에 소비와 투자는 경제에서 작은 부분을 차지했다.[3] 사라왁의 민간 및 상업 경제는 중국인이 지배했지만, 대다수의 중국인은 농업에 종사했다.[3]

사라왁의 연간 예산은 경상예산과 자본예산으로 나뉘었다.[3] 경상예산은 공공 서비스 지출을 위해 매년 책정되었고, 안정적인 수입원에서 조달되었다.[3] 자본예산은 사라왁의 장기적인 개발에 사용되었으며, 영국의 지원금, 대출, 수출 관세 잉여금 등 불확실한 수입원에서 조달되었다.[3] 1947년부터 1962년까지 정부 총 수입은 연간 1200만 달러에서 7800만 달러로, 총 지출은 연간 1000만 달러에서 8200만 달러로 증가했다.[3] 정부 예산이 적자를 기록한 해는 1949년, 1958년, 1962년뿐이었다.[3]

식민지 시대에는 여러 새로운 세금 및 사업 관련 법규가 도입되었지만, 변호사는 거의 없었다.[3] 이는 브룩 왕조가 사라왁에서 변호사 활동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소송이 법원에 이르는 경우는 드물었다.[3] 사라왁의 농업은 낭비적인 화전 농업 기법, 통신 부족, 고무 의존 다변화 실패로 인해 발전이 저조했다.[3]

일본 점령 후, 찰스 바이너 브룩 라자는 1946년 사라왁 예산 지출에 대한 마지막 공급 조례에 서명했다.[3] 영국령 식민지 수립 후, 공공 사업과 재무부는 전후 재건과 정부 재정 개편의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3] 1951년 예산은 지방 자치 단체, 원주민 문제, 국방 및 내부 안보에 대한 배정을 강조했다.[3] 1956년에는 교육 지출이 크게 증가하여 1957년에는 총 예산의 15.5%를 차지했으며, 식민지 시대 말까지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3] 영국이 사라왁의 방위를 전적으로 책임졌기 때문에 국방비 지출은 최소 수준이었다.[3] 소득세 수입이 급증했지만, 관세 및 소비세가 식민지 시대 내내 정부의 가장 큰 수입원이었다.[3]

쌀은 사라왁의 주요 수입 품목이었다.[3] 세리아 유전의 원유 또한 주요 수입 품목이었으며, 루통 정유소에서 가솔린, 등유, 가스, 중유, 경유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었다.[3] 주요 수출 품목은 고무, 후추, 사고 가루, 젤루통, 제재목, 코프라 씨앗 및 석유였다.[3] 한국 전쟁의 영향으로 고무 수요가 증가하면서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정부 수입이 증가했다.[3] 1956년까지 사라왁의 후추 수출은 세계 후추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3] 식민지 후반기에는 세마탄의 보크사이트 수출이 증가했지만, 식민지 시대 말에는 고갈되었다.[3]

전반적으로 식민지 시대의 정부 지출은 브룩 시대에 비해 모든 부문에서 크게 증가했지만, 말레이 반도의 주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뒤처져 있었다.[3]

4. 1. 개관

사라왁 왕령식민지의 경제는 농업에 크게 의존했으며, 정부 지출과 상품 수출입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3] 인구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했기 때문에 소비와 투자는 경제에서 작은 부분을 차지했다.[3] 사라왁의 민간 및 상업 경제는 중국인이 지배했지만, 대다수의 중국인은 농업에 종사했다.[3]

사라왁의 연간 예산은 경상예산과 자본예산으로 나뉘었다.[3] 경상예산은 공공 서비스 지출을 위해 매년 책정되었고, 안정적인 수입원에서 조달되었다.[3] 자본예산은 사라왁의 장기적인 개발에 사용되었으며, 영국의 지원금, 대출, 수출 관세 잉여금 등 불확실한 수입원에서 조달되었다.[3] 1947년부터 1962년까지 정부 총 수입은 연간 1200만 달러에서 7800만 달러로, 총 지출은 연간 1000만 달러에서 8200만 달러로 증가했다.[3] 정부 예산이 적자를 기록한 해는 1949년, 1958년, 1962년뿐이었다.[3]

식민지 시대에는 여러 새로운 세금 및 사업 관련 법규가 도입되었지만, 변호사는 거의 없었다.[3] 이는 브룩 왕조가 사라왁에서 변호사 활동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소송이 법원에 이르는 경우는 드물었다.[3] 사라왁의 농업은 낭비적인 화전 농업 기법, 통신 부족, 고무 의존 다변화 실패로 인해 발전이 저조했다.[3]

일본 점령 후, 찰스 바이너 브룩 라자는 1946년 사라왁 예산 지출에 대한 마지막 공급 조례에 서명했다.[3] 영국령 식민지 수립 후, 공공 사업과 재무부는 전후 재건과 정부 재정 개편의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3] 1951년 예산은 지방 자치 단체, 원주민 문제, 국방 및 내부 안보에 대한 배정을 강조했다.[3] 1956년에는 교육 지출이 크게 증가하여 1957년에는 총 예산의 15.5%를 차지했으며, 식민지 시대 말까지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3] 영국이 사라왁의 방위를 전적으로 책임졌기 때문에 국방비 지출은 최소 수준이었다.[3] 소득세 수입이 급증했지만, 관세 및 소비세가 식민지 시대 내내 정부의 가장 큰 수입원이었다.[3]

쌀은 사라왁의 주요 수입 품목이었다.[3] 세리아 유전의 원유 또한 주요 수입 품목이었으며, 루통 정유소에서 가솔린, 등유, 가스, 중유, 경유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었다.[3] 주요 수출 품목은 고무, 후추, 사고 가루, 젤루통, 제재목, 코프라 씨앗 및 석유였다.[3] 한국 전쟁의 영향으로 고무 수요가 증가하면서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정부 수입이 증가했다.[3] 1956년까지 사라왁의 후추 수출은 세계 후추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3] 식민지 후반기에는 세마탄의 보크사이트 수출이 증가했지만, 식민지 시대 말에는 고갈되었다.[3]

전반적으로 식민지 시대의 정부 지출은 브룩 시대에 비해 모든 부문에서 크게 증가했지만, 말레이 반도의 주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뒤처져 있었다.[3]

4. 2. 주요 산업

4. 3. 경제 정책

사라왁의 경제는 농업 부문에 크게 의존했으며, 정부의 경제 지출, 상품 수출입에 큰 영향을 받았다. 인구 대다수가 농업 부문에서 일했기 때문에 소비와 투자는 경제에서 작은 부분만을 차지했다.[3] 사라왁의 민간 및 상업 경제는 중국인이 지배했지만, 대다수의 중국인은 농업에 종사했다.[3]

사라왁의 연간 예산은 경상예산과 자본예산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경상예산은 정부가 공공 서비스 지출을 위해 매년 책정한 예산으로, 안정적인 수입원에서 조달되었다. 자본예산은 사라왁의 장기적인 개발에 사용되었으며, 영국 식민지 개발 및 복지 기금의 지원금, 대출 및 수출 관세 잉여금과 같은 불확실한 수입원에서 조달되었다.[3] 1947년부터 1962년까지 정부의 총 수입은 연간 1200만 달러에서 7800만 달러로 증가했고, 총 지출은 연간 1000만 달러에서 8200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했다. 정부 예산이 적자를 기록한 해는 1949년, 1958년, 1962년 세 해뿐이었다.[3] 자료 부족으로 이 기간 동안의 국내총생산(GDP) 수치는 알려진 바 없다.[3]

식민지 시대에 여러 새로운 세금 및 사업 관련 법규가 도입되었지만, 변호사는 거의 없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브룩 왕조가 사라왁에서 변호사의 활동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송이 법원에 이르는 경우는 드물었다.[3] 사라왁의 농업은 농부들의 교육 부족으로 인해 낭비적인 화전 농업 기법이 사용되었고, 통신 부족 및 고무에 대한 의존 다변화 실패로 인해 이 시대에는 발전이 저조했다.[3]

일본 점령 후, 찰스 바이너 브룩 라자는 1946년 사라왁 예산 지출에 대한 마지막 공급 조례에 서명했다. 지출의 대부분은 "연금 체납"에 사용되었고, 재무부, 공공 사업, 연금 및 퇴직 연금, 의료 및 보건, 사라왁 경찰에 대한 지출이 이어졌다. 영국령 식민지가 수립된 후, 공공 사업과 재무부는 전후 재건과 정부 재정 개편의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그 뒤를 이어 연금, 경찰, 보건이 있었다. 1951년 예산은 지방 자치 단체, 원주민 문제, 국방 및 내부 안보에 대한 배정을 강조했다. 1953년에는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배정이 증가했다. 1956년에는 교육 지출이 크게 증가하여 1957년에는 총 예산의 15.5%를 차지했다. 교육 지출의 대부분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투입되었다. 고등교육은 1961년에야 사라왁에서 시작되었다.[3]

영국이 사라왁의 방위를 전적으로 책임졌기 때문에 국방비 지출은 이 기간 내내 최소 수준이었다. 1952년 소득세 수입이 급증했지만, 관세 및 소비세가 식민지 시대 내내 정부의 가장 큰 수입원이었다. 그러나 소득세 수입은 식민지 시대 내내 꾸준히 감소했다.[3]

쌀은 사라왁의 주요 수입 품목이었다. 사라왁에서도 쌀이 재배되지만, 브룩 시대 이후로 인구를 먹여 살리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또 다른 주요 수입 품목은 세리아 유전의 원유로, 루통 정유소에서 가솔린, 등유, 가스, 중유, 경유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요 수출 품목은 고무, 후추, 사고 가루, 젤루통(고무 원료), 제재목, 코프라 씨앗 및 석유였다.[3] 한국 전쟁의 영향으로 고무 수요가 증가하면서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정부 수입이 증가했다. 1956년까지 사라왁의 후추 수출은 세계 후추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3] 초기에는 식민 정부가 금을 수출했지만, 1959년 이후 정부의 금 수출 개입은 중단되었다.[3] 식민지 후반기에 제1구역(세마탄)의 보크사이트 수출이 증가했지만, 식민지 시대 말에는 이 광물이 고갈되었다.[3]

전반적으로 식민지 시대의 정부 지출은 브룩 시대에 비해 모든 부문에서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말레이 반도의 주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뒤처져 있었다. 알렉산더 고든 크로커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예산 지출은 식민 정부가 주의 천연 자원을 착취하는 대신 사라왁을 개발하려고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3]

5. 사회

5. 1. 인구

194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사라왁의 인구는 546,385명이었으며, 이 중 이반족(Iban people), 중국계, 사라왁 말레이족(Sarawak Malay)이 인구의 79.3%를 차지했다.[3] 식민지 시대 초기에 인구의 72%는 자급자족 농업(subsistence agriculture)에 종사했고, 13%는 상품 작물(cash crops)을 재배했으며, 15%는 유급 노동자였다.[3] 사라왁의 다양한 민족 집단 중 중국계만이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3]

사라왁의 민족 집단 (1947)[3]
민족비율
이반족(Iban)34.8%
중국계(Chinese)26.6%
말레이족(Malay)17.9%
비다유족(Bidayuh)7.7%
멜라나우족(Melanau)6.5%
기타(원주민)(Others (indigenous))5.5%
유럽계(European)0.1%
기타(비원주민)(Others (non-indigenous))0.9%



사라왁의 인구[3]
연도인구
1947546,385
1948*554,786
1949*563,187
1950*571,558
1951*579,989
1952*588,390
1953596,790
1954*607,919
1955*620,056
1956631,431
1957648,362
1958*675,994
1959703,525
1960752,314
1961768,545
1962776,990


  • 보간된 수치. 1962년(6월 종료)을 제외하고 모두 12월 31일 기준이다. 1948년~1952년과 1958년의 인구 조사 데이터가 없으므로, 연간 데이터는 연도 간 차이를 균등하게 나누어 보간했다. 1954년과 1955년의 데이터는 6월 기준이므로, 두 해의 수치는 12월 31일 기준으로 보간했다.[3]

5. 2. 언어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이반어 등이 사용되었으나, 실질적인 공용어는 영어였다. 영국의 영향 때문인데, 현재도 이 시기에 태어나거나 교육을 받은 사라왁인들은 지금까지도 말라야인과 비교될 정도로 높은 수준의 영어를 구사한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로 합병된 후 영어는 공용어의 지위를 박탈당했으며, 후에 태어나거나 교육받은 세대들은 영어를 아예 못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원주민인 이반이나 다약이반어, 다약어 등을 구사했으나, 합병 후에는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대부분이 말레이어를 구사한다. 현대 이반 중 이반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것은 전혀 이상하지 않다.

5. 3. 교육

우드헤드 보고서(1954)와 맥렐런 보고서(1960) 등 여러 보고서에서 각각 중국어 학교와 중등학교에서 영어 사용을 옹호했다. 사라왁 주지사는 1960년 네그리 의회(현 사라왁주 의회) 연설에서 모든 중등학교에서 영어 사용을 거듭 강조했다.[11]

학생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1957년에는 79,407명에 달했다. 같은 해 총 70개의 초등학교가 개교했다.[12]

바투 린탕 교원 양성 센터(BLTTC)는 1948년에 개교하여 농촌 원주민 방언학교 교사를 양성했다. 교사들을 위한 영어 교육 과정도 제공되었다. BLTTC에는 초등학교에서 선발된 학생들이 입학하는 하위 중등학교도 부설되어 있었다. 중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BLTTC에서 교사로 양성되거나 공무원이 될 수 있었다. 농촌 지역의 성인 문해력을 높이고 원주민의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948년 5월에 카노윗 농촌 개선학교가 개교했다. 그러나 원주민들의 교육에 대한 무관심으로 1947년부터 1960년까지 문해율은 약간만 향상되었다. 농촌 개선학교는 1957년에 폐교되었다.[13]

5. 4. 보건

말라리아는 사라왁에서 풍토병이었다. 1952년부터 1953년까지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해안 지역은 말라리아 유행률이 낮았지만 구릉지대와 산악지대 내륙은 질병이 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사라왁의 의료 서비스는 영국 식민지 의료 서비스의 일부가 되었다. 의료 인력은 말레이 연합(현재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수입해야 했다.[16][17] 1947년 7월 21일, 사라왁 의료부가 별도의 기관으로 설립되었으며, 이 부서의 지출은 정부 수입의 약 10%였다.[16][18] 의사, 드레서(병원 조수로도 알려짐), 간호사를 포함하여 인력 부족이 있었으나, 1959년까지 인력 상황이 크게 개선되어 지역 의료 책임자(오늘날의 최고 의료 및 보건 책임자에 해당)가 임명되었고, 더 많은 간호 학교와 농촌 진료소가 개설되었다.[16][19] 말라리아 방제 프로젝트(1953년)와 결핵 방제 프로젝트(1960년)와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16][20] 의료 등록 조례(1948년), 치과의사 등록 조례(1948년), 마약류 조례(1952년), 공중보건 조례(1963년)와 같은 법률이 통과되었다.[16][20]

1947년에는 사라왁에 쿠칭 종합병원(현재 사라왁 종합병원)(255병상)과 시부 라우 킹 호우 병원(현재 라우 킹 호우 병원 기념 박물관)(55병상) 두 곳의 정부 병원만 있었다. 미리에는 사라왁 쉘 오일필드 유한회사가 병원을 건설했다. 브루나이 정부와 림방 환자를 브루나이 주립병원에 입원시키는 데 동의했다. 브루나이 보건 서비스는 림방을 정기적으로 매달 방문했다.[16][21] 1957년에는 쿠칭에 사라왁 정신병원이 건설되었다.[16][22] 1952년에는 미리에 정부 병원이 건설되었고,[16][23] 1957년에는 미국 감리교회가 카핏에 크리스트 병원을 건설했으며,[16][24] 1958년에는 림방 병원이 건설되었다.[16][25] 1947년에는 드레서와 간병인이 근무하는 21개의 농촌 진료소가 있었다.[16][26] 카노윗 진료소와 사라톡 진료소는 각각 1953년[16][27]과 1960년에 개설되었다.[16][28] 이러한 진료소의 연간 총 업무량은 13만 명의 환자였다.[16][29] 1947년에 식민 정부는 두 곳의 농촌 진료소와 16곳의 이동 진료소 설립을 위한 교부금을 할당했다. 그러나 필요한 인력을 모집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라장강에 농촌 지역 사회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두 곳의 이동 진료소만 운영되었다.[16][30]

일본 점령은 사라왁의 치과 서비스를 방해했다. 1949년에는 호주 치과 의사가 사라왁의 치과 서비스를 담당하게 되었다. 영국 문화원과 콜롬보 계획 장학금은 주를 위한 더 많은 치과 의사를 배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6][31] 1950년대에는 치과 간호사가 채용되었다. 병원 기반 치과 서비스는 1959년과 1960년에 시부미리로 확장되었다. 1961년에는 시망강(현재 스리 아만)의 상수도 불소화가 시행되었다.[16][32]

6. 문화

1954년 6월 8일, BBC의 기술 지원으로 사라왁 라디오가 설립되었다.[33] 방송 서비스는 말레이어, 이반어, 중국어, 영어의 네 부문으로 구성되었다.[33] 이반어 부문은 매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 방송되었으며, 뉴스, 농업, 축산, 이반 민속 및 서사시를 다루었다.[33] 1958년에는 콜롬보 계획에 따라 학교 방송 서비스가 설립되었다.[33] 1959년에 영어 수업이 시작되었고, 초등학교에 라디오가 배포되어 학생들이 영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33] 1960년대에는 사라왁에 467개의 참여 학교가 있었고, 850명의 교사가 11개의 연수 과정에 참석했다.[33] 1963년 말레이시아가 건립되면서 사라왁 라디오는 사라왁 말레이시아 라디오로 개명되었다.[33]

식민 정부는 영국 교육과 원주민 문화가 새로운 세대의 이반 교사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여, 1958년 9월 15일, 보르네오 문학국(BLB)을 설립하였다. 보르네오 문학국은 지역 문학을 육성하고 장려하는 동시에, 특히 사라왁과 사바의 원주민들에게 배포될 기술 및 교육 관련 원고를 포함한 정부의 자료 배포를 지원했다. 원주민 언어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로 된 문서도 출판되었다.[33] BLB는 1961년 11월부터 1977년 9월까지 총 191호의 "돌핀" 잡지를 발행하여 사라왁 공산당 반란 기간 동안 좌익 문학이 금지된 후 대체 독서 자료를 제공하고자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34]

전쟁 후, 특히 쿠칭 지역의 사라왁 예술가들은 풍경과 자연과 같은 부드러운 주제와 사회적 안녕을 그림의 주제로 선택하였고, 닭싸움과 전통 무용과 같은 원주민 특징을 묘사하였다.[35]

6. 1. 라디오 방송

1954년 6월 8일, BBC의 기술 지원으로 사라왁 라디오가 설립되었다.[33] 방송 서비스는 말레이어, 이반어, 중국어, 영어의 네 부문으로 구성되었다.[33] 이반어 부문은 매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 방송되었으며, 뉴스, 농업, 축산, 이반 민속 및 서사시를 다루었다.[33] 1958년에는 콜롬보 계획에 따라 학교 방송 서비스가 설립되었다.[33] 1959년에 영어 수업이 시작되었고, 초등학교에 라디오가 배포되어 학생들이 영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33] 1960년대에는 사라왁에 467개의 참여 학교가 있었고, 850명의 교사가 11개의 연수 과정에 참석했다.[33] 1963년 말레이시아가 건립되면서 사라왁 라디오는 사라왁 말레이시아 라디오로 개명되었다.[33]

6. 2. 문학

1954년 6월 8일, BBC의 기술 지원으로 사라왁 라디오가 설립되었다. 방송 서비스는 말레이어, 이반어, 중국어, 영어의 네 부문으로 구성되었다. 1958년에는 콜롬보 계획에 따라 학교 방송 서비스가 설립되었고, 1959년에 영어 수업이 시작되어 초등학교에 라디오가 배포되었다.[33] 1963년 말레이시아 건립으로 사라왁 라디오는 사라왁 말레이시아 라디오로 개명되었다.[33]

식민 정부는 영국 교육과 원주민 문화가 새로운 세대의 이반 교사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여, 1958년 9월 15일, 보르네오 문학국(BLB)을 설립하였다. 보르네오 문학국은 지역 문학을 육성하고 장려하는 동시에, 특히 사라왁과 사바의 원주민들에게 배포될 기술 및 교육 관련 원고를 포함한 정부의 자료 배포를 지원했다. 원주민 언어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로 된 문서도 출판되었다.[33] BLB는 1961년 11월부터 1977년 9월까지 총 191호의 "돌핀" 잡지를 발행하여 사라왁 공산당 반란 기간 동안 좌익 문학이 금지된 후 대체 독서 자료를 제공하고자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34]

전쟁 후, 특히 쿠칭 지역의 사라왁 예술가들은 풍경과 자연과 같은 부드러운 주제와 사회적 안녕을 그림의 주제로 선택하였고, 닭싸움과 전통 무용과 같은 원주민 특징을 묘사하였다.[35]

6. 3. 예술

참조

[1] 웹사이트 Sarawak as a British Crown Colony (1946–1963) http://www.sarawak.g[...] Sarawak State Government 2017-08-04
[2] 서적 Ten eventful years: a record of events of the years preceding, including and following World War II, 1937 through 1946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3] 논문 The economic history of Sarawak during the colonial period (1946–1963) https://ir.unimas.my[...]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 Universiti Malaysia Sarawak 2002
[4] 논문 Penyerahan Sarawak Kepada Kerajaan British, 1946–1951 (Cession of Sarawak to the British, 1946 to 1951) http://myrepositori.[...] 2001
[5] 논문 British colonial rule in Sarawak, 1946–1963 https://researchport[...] Murdoch University 1994
[6] 위키소스 Report of the Commission of Enquiry, North Borneo and Sarawak, 1962 – Chapter 1 – Item 86
[7] 서적 Borneo Trilogy Sarawak: Volume 2 https://books.google[...] Booksmango 2017
[8] 웹사이트 Previous governors of Sarawak http://www.sarawak.g[...] The Sarawak government
[9] 간행물 Annual Report Sarawak, 1954 https://archive.org/[...] H.M.S.O.
[10] 간행물 Annual Report Sarawak, 1961 https://archive.org/[...] H.M.S.O.
[11] 논문 Implementation of the Use of Bahasa Melayu in Sarawak Between the State and 2019-04
[12] 서적 Sarawak annual report 1957 https://archive.org/[...] Sarawak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58
[13] 서적 Post-War Borneo, 1945–1950: Nationalism, Empire and State-Build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 서적 The power behind the state Sarawak Electricity Supply Corporation 1999
[15] 논문 Malaria in Sarawak and Brunei 1956
[16] 서적 Heritage in Health: The Story of Medical and Health Care Services in Sarawak Sarawak State Health Department 2012
[17]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18]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19]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0]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1]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2]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3]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4]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5]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6]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7]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8]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29]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30]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31]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32] 간행물 Sarawak Health 2014
[33] 서적 Media and Nation Building: How the Iban became Malaysian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6
[34] 논문 Establishment of Borneo Literature Bureau and its role in the publication of Chinese edition of Dolphin magazine in the Cold War era http://malrep.uum.ed[...] Universiti Putra Malaysia 2018
[35] 논문 Development of Paintings in Sarawak; 1946–1963 (Colonial and Post Colonial Era) https://www.academia[...] 2010
[36] 뉴스 Road to Independence http://ourstory.asia[...] Headlines, Lifelines, by AsiaOne 2006-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