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득세는 개인 및 법인의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현대적 소득세는 1799년 영국에서 프랑스 혁명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이후 세계 각국으로 확산되었다. 소득세는 누진세, 균일세, 역진세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과세 대상 소득의 종류, 세율, 공제 제도 등에서 국가별 차이를 보인다. 소득세는 소득 재분배, 국가 재정 확보에 기여하지만, 조세 회피, 복잡한 제도, 경제적 왜곡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소득세의 개념은 제한적, 소비형, 포괄적 소득 개념으로 나뉘며, 현재는 포괄적 소득 개념이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득세 - 음의 소득세
음의 소득세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사람들에게 정부가 현금을 지급하여 빈곤층 소득을 보충하는 제도로, 시장 경제의 효율성과 소득 분배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논의되어 왔다. - 소득세 -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자산 양도로 발생한 소득 중 과세 대상 소득을 의미하며, 투자 및 자산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자산 종류 및 보유 기간에 따라 과세 방식이 달라진다. - 국세 - 인지세
인지세는 1624년 네덜란드에서 처음 도입되어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특정 문서나 거래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부동산, 주식 거래 등에 적용되며, 디지털 시대에 맞춰 전자문서 과세 및 제도 개선 논의와 형평성 및 세수 확보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국세 - 법인세 (대한민국)
대한민국 법인세는 법인의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으로, 익금에서 손금을 차감하여 소득금액을 계산하고, 이월결손금 공제 등을 적용하여 과세표준을 산출한 후 세율을 곱하여 결정되며, 법인 종류에 따라 세율이 차등 적용되고 중간예납 및 연결납세제도를 운영한다. - 조세 - 지방세
지방세는 대한민국과 일본의 지방 자치 단체가 부과하는 세금으로, 일반 경비 충당을 위한 보통세와 특정 목적 사용을 위한 목적세로 구분되며, 한국은 취득세, 재산세, 지방소득세 등이 있고, 일본은 도도부현세와 시정촌세로 나뉜다. - 조세 - 연말정산
연말정산은 납세자가 1년간의 소득에 대해 세금을 정산하는 절차로,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를 통해 환급 또는 추가 납부할 수 있으며, 국세청 홈택스 또는 일본의 신고납세제도 등을 통해 진행된다.
소득세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세금 |
대상 | 소득 |
부과 주체 | 정부 |
일반 사항 | |
정의 | 개인이 얻은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
목적 | 정부 재정 조달, 소득 불평등 완화 |
특징 | 누진세 구조가 일반적 |
한국의 소득세 | |
과세 대상 소득 | 이자소득, 배당소득, 부동산 소득, 사업 소득, 근로 소득, 연금 소득, 퇴직 소득, 양도 소득 |
세율 | 소득 구간에 따라 6% ~ 45% |
신고 및 납부 |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
주요 국가별 소득세 | |
미국 | 연방 소득세와 주 소득세로 구분, 누진세 구조 |
일본 | 국세인 소득세와 지방세인 주민세로 구분, 누진세 구조 |
독일 | 높은 세율과 다양한 공제 제도를 특징으로 함 |
프랑스 | 가족 상황을 고려한 과세 시스템 |
소득세의 영향 | |
경제적 영향 | 소비 및 투자에 영향, 정부 재정 확보 |
사회적 영향 | 소득 재분배 효과, 복지 정책 재원 마련 |
윤리적 논쟁 | 고소득층에 대한 과세 수준 논쟁 |
2. 역사
최초의 소득세는 고대 이집트에서 비롯하였다.[79] 로마 공화정 초기에는 공공세가 소유한 부와 재산에 대한 과세로 이루어졌다. 평상시 세율은 1% 정도였고 전쟁과 같은 상황에서는 3%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세금은 토지, 주택, 기타 부동산, 노예, 짐승, 사유품, 화폐에 부과되었으며, 재산이 많을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는 방식이었다.[80]
소득에 세금을 부과하는 개념은 현대적인 혁신으로, 화폐 경제, 정확한 회계, 수입, 지출 및 이윤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을 보유한 질서 정연한 사회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문명 역사에서 이러한 전제 조건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세금은 부, 사회적 지위, 생산 수단(일반적으로 토지와 노예)의 소유 등 다른 요소를 기반으로 했다. 십일조와 같은 관행은 고대부터 존재했으며 소득세의 전신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정확성이 부족했고 순증가 개념에 기반하지 않았다.
서기 9년, 신(新)나라의 왕망 황제는 야생 약초와 과일 채집, 어업, 목축, 그리고 다양한 비농업 활동과 무역에서 발생하는 순이익의 10%에 대한 최초의 소득세를 도입했다.[1] 사람들은 정부에 세금을 신고해야 했고, 관리들은 이러한 보고서를 감사했다.[1] 탈세할 경우 징역 1년과 재산 전액 몰수의 처벌을 받았다.[1] 이로 인해 민심이 불안해지자 이 소득세는 22년에 폐지되었다.[1]
제3차 십자군 원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헨리 2세가 1188년에 도입한 살라딘 십일조는 최초로 기록된 소득세 중 하나이다.[3] 이 십일조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모든 평신도에게 개인 소득과 동산의 10분의 1을 세금으로 부과했다.[4]
1641년 포르투갈은 ''데시마(décima)''라는 개인 소득세를 도입했다.[5]
2. 1. 현대
현대 소득세는 1799년 헨리 비크[81]가 제안한 것이 시초이다.[82] 이 소득세는 프랑스 혁명 전쟁에 필요한 무기와 장비 구매 예산을 충당할 목적으로 1798년 12월 수상 윌리엄 피트가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에 도입하였다.[1]일반적으로 현대 소득세는 1799년 브리스톨 대성당 학장이 될 헨리 비크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고 본다.[7] 1798년 12월, 영국의 총리 윌리엄 핏 더 영거는 프랑스 혁명 전쟁에 필요한 무기와 장비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소득세를 도입했다.[1] 핏의 새로운 누진 소득세는 60파운드를 초과하는 소득에 대해 파운드당 2올드 페니를 부과하고, 200파운드를 초과하는 소득에는 파운드당 2실링(10%)까지 부과했다. 핏은 새로운 소득세로 연간 1,000만 파운드를 거둘 것으로 예상했지만, 1799년 실제 수입은 600만 파운드를 약간 넘었다.[8]
핏의 소득세는 1799년부터 1802년까지 부과되었고, 아미앵 조약 기간 동안 헨리 애딩턴에 의해 폐지되었다. 애딩턴은 1801년 핏이 가톨릭 해방 문제로 사임한 후 총리가 되었다. 소득세는 1803년 애딩턴에 의해 다시 도입되었지만, 워털루 전투 1년 후인 1816년에 다시 폐지되었다. 소득세 반대자들은 전쟁 자금 조달에만 소득세를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소득세 기록을 폐지와 함께 모두 파기하기를 원했다. 재무장관은 기록을 공개적으로 소각했지만, 사본은 세무 법원 지하실에 보관되었다.[9]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에서 소득세는 1842년 소득세법에 의해 로버트 필 경에 의해 재도입되었다. 보수당원이었던 필은 1841년 총선에서 소득세에 반대했지만, 예산 적자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자금원이 필요했다. 애딩턴의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소득세는 150파운드 이상의 소득에 부과되었다. 이 조치는 처음에는 일시적인 것으로 의도되었지만, 곧 영국 조세 제도의 고정 요소가 되었다.
1851년 조셉 휴메가 위원회를 구성하여 이 문제를 조사했지만, 명확한 권고안을 도출하지는 못했다.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1852년부터 재무장관을 지낸 윌리엄 에워트 글래드스톤은 누진 소득세를 유지하고 크림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확대했다. 1860년대까지 누진세는 영국 재정 제도의 불만스럽지만 받아들여진 요소가 되었다.[10]
각 국가별 소득세 도입 시기는 다음과 같다.
국가 | 도입 시기 | 비고 |
---|---|---|
영국 | 1799년 | 나폴레옹 전쟁 전비 조달 목적. 폐지와 도입 반복 후 1842년 정착. |
스위스 | 1840년 | |
프로이센 (독일) | 1851년 | 독일 제국 성립 후 1891년 대폭 개정, 현대 소득세 모델 확립. |
미국 | 1861년 | 남북 전쟁 전비 조달 목적. 헌법 위반으로 폐지 후 1913년 헌법 개정으로 재도입. |
이탈리아 | 1864년 |
세계 각국의 소득세 제도는 매우 다양하며, 세율, 과세 대상 소득, 공제 제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일부 국가는 소득세가 없거나, 특정 유형의 소득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하기도 한다.
1976년 이탈리아에서는 국가 재정 압박으로 소득세 전납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는 원천징수를 받지 않는 경영자 등을 대상으로 다음 해 3월까지 소득세를 납부하게 하고, 9월까지 3월 납부액의 75%를 전납하게 하는 제도이다.[67]
1981년 레이건 행정부 이전에는 소득세 최고 세율이 70%였으나, 레이건 행정부부터 단계적으로 인하되어 2018년 현재는 28%이다.
3. 나라별 소득세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득세를 사용하며, 세금 제도는 균일세, 누진세, 역진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세계 각국의 세율을 비교하는 것은 복잡하며, 세법의 복잡성과 정부 서비스의 차이로 인해 더욱 어렵다.
소득에 세금을 부과하는 국가는 일반적으로 거주지원천과세 또는 거주지세 시스템 중 하나를 사용한다. 거주지원천과세 시스템에서는 국내 소득만 과세하고, 거주지세 시스템에서는 해당 국가의 세금 거주자는 전 세계 소득(국내 및 해외 소득)에 대해, 비거주자는 국내 소득에 대해서만 과세한다. 미국과 같이 일부 국가는 비거주 시민의 전 세계 소득에도 세금을 부과한다.
거주지세 시스템을 사용하는 국가는 일반적으로 거주자가 해외 소득에 대해 이미 납부한 세금에 대한 공제 또는 세액 공제를 허용하며, 많은 국가가 조세 조약을 체결하여 이중과세를 줄인다.
국가별로 개인과 법인에 대해 서로 다른 세금 제도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개인에게는 거주지세, 법인에게는 거주지원천과세 시스템을 사용하고,[51] 싱가포르는 그 반대이며,[52] 브루나이는 법인 소득에는 세금을 부과하지만 개인 소득에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53]
여러 연방 국가에서는 주 또는 지방 정부가 별도로 소득세를 부과하기도 한다. 캐나다, 독일, 스위스, 미국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도시에서도 소득세를 부과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연방 정부 차원에서 징수되는 세금과 통합될 수 있다. 퀘벡과 미국에서는 연방 정부와 주 정부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소득세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연도 국가 내용 9년 신(新)나라 왕망 야생 약초/과일 채집, 어업, 목축, 비농업 활동 및 무역 순이익의 10% 소득세 도입 (22년 폐지)[1] 1188년 잉글랜드 왕국 헨리 2세 살라딘 십일조 도입 (개인 소득과 동산의 1/10)[3] 1641년 포르투갈 개인 소득세 데시마(décima) 도입[5] 1799년 영국 윌리엄 핏 더 영거 총리, 프랑스 혁명 전쟁 비용 충당 위해 누진 소득세 도입[1] (1802년 폐지) 1803년 영국 헨리 애딩턴 총리, 소득세 재도입 (1816년 폐지) 1840년 스위스[17] 1842년 영국 로버트 필 경, 1842년 소득세법 통해 소득세 재도입 1860년 인도 (영국령 인도 제국) [18] 1861년~1872년 미국 1861년 세입법으로 최초의 소득세 부과 (800달러 초과 소득의 3%)[11][12] (1862년 폐지) 1864년 이탈리아[19] 1872년 프랑스[20] 1887년 일본[21] 1891년 뉴질랜드 (당시 영국의 식민지)[22] 1894년~1895년 미국 윌슨-고어먼 관세법으로 소득세 도입 (4000달러 초과 소득의 2%)[15] (위헌 판결) 1900년 스페인[23] 1903년 덴마크[24], 스웨덴 1908년 인도네시아[25] 1911년 노르웨이[26] 1913년 미국 미국 헌법 수정 조항 16조 통과, 연방 소득세 도입 1916년 오스트레일리아[27], 1914[28] 1918년 캐나다 1920년 핀란드, 폴란드[29] 1921년 아이슬란드 1924년 브라질[30], 멕시코[31] 1932년 볼리비아[32], 아르헨티나[33] 1934년 페루[34] 1937년 1928[35] 1942년 베네수엘라[36] 2007년 우루과이[37]
현대 일본과 미국에서는 국세 세목 중 높은 비율[56]을 차지하는 기간세이다. 소득세의 징수 방식으로는 확정신고로 친숙한 신고납세 방식과 원천징수 방식이 있으며,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후자 쪽이 더 높다.
일본의 소득세는 과세표준으로 총소득금액, 퇴직소득금액, 임야소득금액의 세 가지를 두고 있다. 이는 종합소득과세를 기본으로 하면서, 퇴직소득 및 임야소득에 대해서는 분리소득과세를 실현하는 것이다.
3. 1. 한국의 소득세
소득세는 누진세와 각종 인적공제를 혼합함으로써 조세의 수직적 형평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조세로 여겨진다.
4. 소득 개념론
소득세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 개념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크게 제한적 소득 개념, 소비형 소득 개념, 포괄적 소득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오늘날에는 이 세 가지 중 '''포괄적 소득 개념'''이 유력하지만, 한편으로 유럽 여러 나라에서는 '''제한적 소득 개념'''에 대한 생각도 강하다. 예를 들어, 독일이나 프랑스에서는 주식 양도 차익이 비과세로 취급된다. 또한, 북유럽 국가에서는 주로 포괄적 소득 개념의 비효율성에 주목하여 투자 소득과 근로 소득을 구분하여 전자에는 비례세율 과세를 하고, 후자에는 누진세율을 적용하는 '''이원적 소득세'''가 채택되고 있다.
- '''제한적 소득 개념''':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에서 얻어지는 소득만을 과세 대상으로 하며, 우발적이거나 일시적인 소득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한다. 산업혁명 이후, 임금, 이윤, 이자, 배당, 지대 등의 안정적인 세원을 바탕으로 소득세가 성립되면서, 19세기부터 20세기 초 독일(독일 제국)을 중심으로 소득원천설이 주장되었다.[1]
- '''소비형 소득 개념''': 소득 중 소비를 통해 효용을 얻은 부분만을 소득으로 보는 관점으로, 존 스튜어트 밀과 어빙 피셔의 이론에 기반한다. 저축은 소득에서 제외되는 반면, 차입금에 의한 소비는 소득에 포함된다. 인도와 스리랑카(실론)에서 단기간 시행되었으나, 조세 역진성 증대, 소비 파악의 어려움, 징수 효율 저하 등의 문제로 정착하지 못했다.
- '''포괄적 소득 개념''': 독일의 재정학자 게오르크 폰 샨츠(Georg von Schanz)가 제창한 순자산증가설을 시작으로, 미국의 로버트 M. 헤이그(Robert M. Haig)와 해리 C. 사이먼스(Henry C. Simons)에 의해 발전된 개념이다. 샨츠-헤이그-사이먼스 개념 또는 H-S 개념이라고도 한다. 납세 능력을 증가시키는 경제적 이득은 모두 순자산의 증가이며 소득이라는 생각으로, "소득 = 저축 + 소비"라는 식으로 표현된다.[62][63] 상속도 소득으로 보며, 복지국가에 적합한 소득 개념으로 폭넓은 지지를 얻었다.[64] 다만, 미실현 이익이나 귀속 소득은 포착 또는 평가가 어려워 과세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63]
4. 1. 제한적 소득 개념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에서 얻어지는 소득만을 과세 대상으로 하는 개념이다. 우발적이거나 일시적인 소득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는 취득형 소득 개념의 하나로 간주된다.[1]산업혁명 이후, 자본의 순환 과정을 통해 임금, 이윤, 이자, 배당, 지대 등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이익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소득은 안정적인 세원(稅源)이었고, 파악하기도 쉬웠기 때문에 소득세 성립을 촉진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익을 생산하는 원천에 주목하여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에서 얻어지는 소득만을 소득으로 보는 학설인 '''소득원천설'''이 등장하였다. 소득원천설은 국민소득론을 바탕으로 19세기부터 20세기 초 독일(독일 제국)을 중심으로 주장되었다.[1]
제한적 소득 개념을 전제로 하는 소득세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
종류 | 설명 |
---|---|
분류소득세 | 소득을 원천에 따라 분류하고, 각 소득마다 다른 세율과 세액을 과세하는 방식 (예: 영국) |
종합소득세 | 소득의 원천별로 순소득을 산출하고, 이를 합산하여 과세하는 방식 (예: 프로이센, 전쟁 전 일본) |
4. 2. 소비형 소득 개념
소비형 소득 개념은 소득 중 소비를 통해 효용을 얻은 부분만을 소득으로 보는 관점이다. 소득은 사람이 일정 기간 동안 소비한 총액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저축은 소득에서 제외하는 반면, 차입금에 의한 소비는 소득에 포함된다. 존 스튜어트 밀과 어빙 피셔의 이론에 기반하며, 피셔와 칼도어에 의해 제창되어 현재에도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지지를 받는 등, 이론적으로는 일정한 유용성이 인정되고 있다.하지만, 소비형 소득세 개념을 채택하는 소득세(소비형·지출형 소득세, 지출세)는 인도와 스리랑카(실론)에서 단기간 시행된 적이 있으나 정착하지 못했다. 저축 제외에 따른 조세의 역진성이 증대되어 오히려 부유층에게 유리한 상황이 된 것, 애초에 소비의 파악 및 귀속 판정이 어려워 징수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 것, 그리고 최종 소비자의 비영업 소득을 소비 개념으로 대체함으로써 이론에서 벗어난 것 등이 원인이다.
4. 3. 포괄적 소득 개념
독일의 재정학자 게오르크 폰 샨츠(Georg von Schanz)가 제창한 순자산증가설을 시작으로, 미국의 로버트 M. 헤이그(Robert M. Haig)와 해리 C. 사이먼스(Henry C. Simons)에 의해 발전된 개념이다. 샨츠-헤이그-사이먼스 개념, 헤이그와 사이먼스의 머릿글자를 따서 H-S 개념이라고도 한다.[62][63] 납세 능력을 증가시키는 경제적 이득은 모두 순자산의 증가이며 소득이라는 생각으로, “소득 = 저축 + 소비”라는 식으로 표현된다. 일시적·우발적인 이득도 소득이 되며, 상속도 소득으로 본다(상속세 참조).포괄적 소득 개념은 공평 부담의 요구(납세 능력에 따른 부담의 원칙)에 부합하고, 20세기의 복지국가에 적합한 소득 개념이었기 때문에 폭넓은 지지를 얻게 되었다. 포괄적 소득 개념을 채택하는 종합 누진 소득세는 모든 소득을 하나의 누진세율표에 적용하여 과세할 수 있게 되어, 국가 재정 조달 기능, 재분배 기능, 경기 조정 기능, 자원 배분 기능을 높일 수 있다.[64]
한편, 문제점도 있다. 원래라면 미실현 이익이나 귀속 소득도 과세 대상이 되어야 하지만, 포착 또는 평가가 어려워 과세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미실현 이익의 하나인 자본이득은 실현되지 않으면 과세되지 않는다.[63] 1970년대 경제 침체기 미국에서 포괄적 소득세 개념은 이론적으로는 명확하지만, 현실의 과세 파악에서는 개념의 모호함을 없애지 못하고, 과세 당국이 소득 파악에 어려움을 겪어 한계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어, 지하경제의 소득에 대한 파악은 매우 어려워 미국 사회에서 소득 과세의 불공평감이 확산되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세율을 일률적으로 하고 세무상의 절차를 간소화·명확하게 하는 플랫 택스라는 세제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65]
5. 소득세의 장단점
소득세 제도에는 대부분 거주자가 사업 및 기타 유형의 공제를 통해 과세 소득을 줄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장점이 있다. 반면 비거주자는 일반적으로 대부분 소득 유형의 총액과 관할 구역 내 순사업 소득에 대해 소득세가 부과되는 차이가 있다.
소득 발생 활동(거래, 사업, 임대 등)에서 발생한 비용은 일반적으로 공제 가능하나, 일부 유형의 비용이나 활동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사업 비용에는 활동에 도움이 되는 모든 종류의 비용이 포함된다. 자산 활동에 사용된 자산 비용 회수를 위한 자본 수당 또는 감가상각 공제와 같은 허용액이 거의 항상 허용된다. 자본 수당 규칙은 매우 다양하며, 종종 자산 수명 동안 비례적으로 회수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비용 회수를 허용한다.
대부분의 제도에서는 개인에게 추정 공제 또는 세금이 0인 금액을 허용하며, 주택 담보 대출 이자 또는 의료비와 같은 일부 유형의 개인 비용 공제를 허용하는 제도도 많다.
개인이나 법인이 영위하는 사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순수익만이 과세 대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몇 가지 예외는 존재). 많은 국가에서는 사업체가 재무제표를 작성하도록 요구하며,[39] 이 재무제표는 감사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국가들의 조세 제도는 과세 소득을 해당 재무제표의 소득으로 정의하고, 몇 가지 조정을 하거나 전혀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거의 모든 국가의 세법은 거주자에게 동일한 종류의 다른 관할 구역에 납부한 소득세에 대한 세액공제를 허용한다. 즉, 다른 국가에 납부한 소득세에 대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세액공제가 허용된다. 많은 소득세 제도는 다양한 종류의 다른 세액공제를 허용하는데, 이러한 세액공제는 관할 구역에 따라 고유한 경우가 많다.
일부 관할 구역, 특히 미국, 미국의 주들, 스위스에서는 일반 소득세와 대체세 중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기도 한다.
5. 1. 장점 (일본)
- 세금 및 정치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57]
- 누진세를 통해 부유층으로부터 더 많은 세금을 징수하여 소득 재분배를 이룰 수 있다.[58]
- 누진세가 고소득자의 노동 공급을 억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나타났다.[59] (오히려 저소득자가 높은 소득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노동 공급을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5. 2. 단점 (일본)
누진세 제도는 세금 계산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58]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밀턴 프리드먼 등 자유주의자들은 소득이 기여도에 따라 지급되어야 하며, 누진세 등에 의한 소득 재분배 정책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은 빈곤 문제 방치에 대해서는 반대했다.[60]또한, 절세 및 탈세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도 있다. 일하는 방식에 따라 소득 파악률이 달라지는 '크로용(クロヨン)' 문제처럼, 소득세가 반드시 공평하고 평등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61] 소득세가 실제로 노동 의욕에 미치는 영향은 불분명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58]
6. 소득세의 경제적 측면
소득세의 경제적 영향에 대해서는 여러 상반되는 이론들이 제시되어 왔다. 소득세는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세금 부담이 증가하는 누진세로 간주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소득세가 노동시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제안했다.[41]
6. 1. 비판
조세 회피 전략과 조세 회피의 허점이 소득세법 내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납세자들이 세금 납부를 피할 수 있는 합법적인 방법을 찾을 때 발생한다. 입법자들은 추가 입법을 통해 이러한 허점을 막으려고 시도한다. 이는 점점 더 복잡한 회피 전략과 입법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42] 이 악순환은 점점 더 정교한 세금 계획에 따른 전문가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대기업과 부유한 개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있으며,[43] 따라서 최소한의 소득세 제도조차도 진보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는 개념에 도전하게 된다.소득세에 의해 노동과 자본에 부과되는 더 높은 비용은 경제에 사회적 손실을 야기한다. 이는 세금이 그러한 활동에 부과하는 부담 때문에 사람들이 자본을 투자하거나 시간을 생산적으로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제 활동의 손실이다. 또한 개인과 전문 자문가가 경제적으로 생산적인 활동 대신 조세 회피 행위에 시간을 할애함으로써 발생하는 손실도 있다.[44]
누진세를 도입할 경우, 제도 및 세금 계산이 복잡하다.[58] 또한 중산층과 고소득층의 노동 의욕을 저하시킨다는 비판이 있다. 자유주의자로 여겨지는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밀턴 프리드먼은 소득은 기여도에 따라 지급되어야 하며 누진세 등에 의한 소득 재분배 정책은 인정하지 않는다.[60]
절세 및 탈세가 행해지기 쉽다. 일하는 방식에 따라 소득 파악률이 다른 문제(크로용(クロヨン))가 있으며, 반드시 공평·평등하지는 않다.[61] 소득세가 실제로 노동 의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불명확하다는 지적이 있다.[58]
6. 2. 브래킷 크리프 (Bracket creep)
'''브래킷 크리프'''(Bracket creep)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명목 소득이 증가하면서 더 높은 세율 구간으로 넘어가 재정적 끌림 현상을 겪게 되는 것을 말한다.[45][46][47] 세율 구간이 하나뿐이거나, 같은 구간 내에 있더라도 소득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 브래킷 크리프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한계 세율은 그대로여도 평균 세율은 올라가는 것이다.대부분의 누진세 시스템은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여 조정되지 않는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임금과 급여가 명목상으로만 오르면, 실질적인 가치는 그대로인데도 세금 부담은 커진다. 이는 실질적인 세금 인상과 같다. 세율이나 과세 구간을 조정하여 이러한 현상을 보상해야 한다.
7. 소득의 종류
소득세는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국가와 세법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는 임금, 급여, 이자, 배당금 및 임대 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한다.[48]
- '''근로소득''': 가장 일반적인 소득세 과세 대상은 임금과 급여이며, 거의 대부분 고용주가 원천징수하는 세금의 대상이다. 직원에게 지급되는 상여금과 같은 일회성 지급액도 과세 대상이다.
- '''이자소득''', '''배당소득''': 주식 또는 채권에서 발생하는 배당금과 이자도 일반적으로 과세된다.[49] 국가별로 세율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 벨기에, 아랍에미리트 등은 이자와 배당금에 대한 소득세를 낮게 부과하는 반면, 덴마크, 프랑스, 미국 등은 높은 소득세를 부과한다.
- '''부동산소득''': 임대 소득 또한 소득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지만, 많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소득에 대해 공제 또는 면제를 제공하기도 한다.[50]
- '''양도소득''': 자산 또는 부동산을 매각하여 얻은 이익(자본 이득)에 대한 소득세는 국가마다 다르며, 다른 유형의 소득과는 다르게 취급된다.
한국의 소득세법에서는 다음과 같이 10가지 소득 종류를 규정하고, 각각의 계산 방법을 정하고 있다.
종류 | 내용 | 관련 법 조항 |
---|---|---|
이자소득 | 이자 소득 | 소득세법 제23조 |
배당소득 | 배당 소득 | 소득세법 제24조 |
부동산소득 | 부동산 소득 | 소득세법 제26조 |
사업소득 | 사업 소득 | 소득세법 제27조 |
근로소득 | 근로 소득 | 소득세법 제28조 |
퇴직소득 | 퇴직 소득 | 소득세법 제30조 |
임야소득 | 임야 소득 | 소득세법 제32조 |
양도소득 | 양도 소득 | 소득세법 제33조 |
일시소득 | 일시 소득 | 소득세법 제34조 |
기타소득 | 위 9가지 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소득 | 소득세법 제35조 |
이 중 이자소득, 배당소득, 부동산소득은 재산소득이며, 근로소득, 퇴직소득은 근로소득이다. 사업소득 및 임야소득은 재산소득과 근로소득이 결합된 것이다. 재산소득과 근로소득은 모두 고정소득에 해당한다. 또한 양도소득 및 일시소득은 임시소득에 해당한다.
8. 전 세계의 소득세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득세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소득세는 거주지원천과세 또는 거주지세 시스템 중 하나를 따른다.
거주지원천과세 시스템은 해당 국가 내에서 발생한 소득에만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반면, 거주지세 시스템은 해당 국가의 세금 거주자에게 전 세계 소득(국내 및 해외 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고, 비거주자에게는 국내 소득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한다. 미국과 같이 일부 국가는 자국민이 해외에 거주하더라도 전 세계 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기도 한다.
거주지세 시스템을 채택한 국가는 보통 거주자가 해외 소득에 대해 이미 납부한 세금을 공제해주거나 세액 공제를 제공한다. 또한, 많은 국가들이 조세 조약을 체결하여 이중과세를 방지하거나 줄이고 있다.
국가별로 개인과 법인에 적용하는 세금 제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개인에게 거주지세 시스템을, 법인에게 거주지원천과세 시스템을 적용하는 반면,[51] 싱가포르는 반대로 개인에게 거주지원천과세, 법인에게 거주지세 시스템을 적용한다.[52] 브루나이는 법인 소득에는 세금을 부과하지만, 개인 소득에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53]
소득세는 누진세와 각종 인적공제를 결합하여 조세의 수직적 형평성을 유지하는 효과적인 세금으로 간주된다.
현대 일본과 미국에서는 국세 세목 중 높은 비율[56]을 차지하는 기간세이다. 소득세는 확정신고를 통한 신고납세 방식과 원천징수 방식으로 징수되며,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원천징수 방식이 더 높다.
각국의 소득세 제도는 다음과 같다.
9. 투명성 및 공개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에서는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초를 기준으로 개인 소득세 신고 내용이 공개된다.[54][55] 스웨덴에서는 이 정보가 1905년부터 매년 발행되는 ''Taxeringskalendern''(세금 캘린더)에 게재되었다.
참조
[1]
서적
China's Public Finance: Reforms, Challenges, and Op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Roman Taxes
http://www.unrv.com/[...]
2014-04-12
[3]
웹사이트
Saladin Tithe
http://www.medievals[...]
[4]
서적
Income tax in common law jurisdictions: from the origins to 1820, Volume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An Economic History of Portugal, 1143-2010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Income tax in common law jurisdictions: from the origins to 1820, Volume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Gentleman's Magazine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A tax to beat Napoleon
https://web.archive.[...]
HM Revenue & Customs
2007-01-24
[9]
서적
Those Dirty Rotten Taxes: the tax revolts that built America
https://archive.org/[...]
The Free Press
1998
[10]
서적
Anglo-American Corporate Taxation: Tracing the Common Roots of Divergent Approa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법률
Revenue Act of 1861
1861-08-05
[12]
논문
The First National Income Tax, 1861–1872
2014
[13]
법률
Revenue Act of 1862
1862-07-01
[14]
웹사이트
THIRTY-EIGHTH CONGRESS. SESS.. I. C. 173. 1864
https://web.archive.[...]
2018-11-07
[15]
논문
The New Income Tax
1894
[16]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Income Tax
https://mises.org/st[...]
Ludwig von Mises Institute
2004-09-07
[17]
웹사이트
An outline of Swiss Tax System
https://web.archive.[...]
2019-05-06
[18]
뉴스
The evolution of income-tax
https://www.thehindu[...]
2000-02-13
[19]
웹사이트
1864 - 1973 Imposta di ricchezza mobile
https://www.finanze.[...]
2023-03-14
[20]
웹사이트
Top Incomes in France in the Twentieth Century Inequality and Redistribution, 1901–1998 by Thomas Piketty
https://www.europeno[...]
[21]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Income Tax in Japan
https://www.jstor.or[...]
1935
[22]
논문
Taxation for New Zealand's future: The introduction of New Zealand's progressive income tax in 1891
https://www.research[...]
2011
[23]
웹사이트
Corporate income tax subjects: Spain
http://www.eatlp.org[...]
Ministry of Economy and Competitiveness of Spain
2013-05-06
[24]
보고서
Tax Policy Reforms in Denmark
https://www.oecd.org[...]
[25]
웹사이트
Who pulled the strings? A comparative study of Indonesian and Vietnamese tax reform
https://www.rug.nl/r[...]
2019-05-06
[26]
백과사전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Income in Nordic Tax Law
http://www.scandinav[...]
The Stockholm University Law Faculty
2003
[27]
웹사이트
Income Tax at 100 Years: A Little History
https://www.austaxpo[...]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6-06-06
[28]
논문
Russia's First Income Taxes: The Effects of Modernized Taxes on Commerce and Industry, 1885-1914
https://www.jstor.or[...]
1993
[29]
법률
Ustawa z dnia 16 lipca 1920 r. o państwowym podatku dochodowym i podatku majątkowym
1920-07-16
[30]
뉴스
Income tax in Brazil: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brazilian.re[...]
2018-10-18
[31]
서적
Autocracy and Redistribution: the politics of land refor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32]
서적
The Bolivian Tin Mining Industry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s://sas-space.sa[...]
Institute of Latin American Studies
1993
[33]
웹사이트
Institutions and Factor Endowments: Income Taxation in Argentina and Australia
https://web.archive.[...]
2019-05-06
[34]
학술지
Collection Agencies and Systems in Peru
https://www.ciat.org[...]
[35]
백과사전
Kong Xiangxi, Chauncey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2002
[36]
학회
Tax elasticity in Venezuela: A dynamic cointegration approach
http://www.cemla.org[...]
2014
[37]
웹사이트
6 años de IRPF, evaluación de la imposición a la renta personal
https://www.dgi.gub.[...]
Jornadas Tributarias
2013-10-30
[38]
뉴스
Income Tax Slabs - Economic Times
https://economictime[...]
[39]
웹사이트
UK requirements
http://www.companies[...]
[40]
웹사이트
Why Americans Don't Cheat on Their Taxes
https://www.theatlan[...]
2019-03-10
[41]
논문
2024-06-00
[42]
웹사이트
Why are taxes so complicated?
https://www.taxpolic[...]
Tax Policy Center
2020-05-00
[43]
뉴스
How to Pay No Taxes: 10 Strategies Used by the Rich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2-04-18
[44]
웹사이트
Deadweight Loss Of Taxation
https://www.investop[...]
Investopedia
2022-03-15
[45]
웹사이트
Hidden tax increases - the extra tax burden of the bracket creep and the expected impact of income tax rates 'on wheels' on tax reliefs
https://www.ifo.de/e[...]
2021-11-09
[46]
간행물
The tax-price implications of bracket-creep
https://www.journals[...]
2021-11-09
[47]
웹사이트
Bracket creep and its fiscal impact
https://www.aph.gov.[...]
Parliament of Australia
2021-09-29
[48]
웹사이트
Income Definition: Types, Examples, and Taxes
https://www.investop[...]
2022-02-21
[49]
웹사이트
Topic No. 403, Interest Received
https://www.irs.gov/[...]
2023-04-04
[50]
웹사이트
Reducing Capital Gains Tax on a Rental Property
https://smartasset.c[...]
2022-05-19
[51]
웹사이트
International tax - France Highlights 2012
https://web.archive.[...]
Deloitte
2012
[52]
웹사이트
International tax - Singapore Highlights 2012
https://web.archive.[...]
Deloitte
2012
[53]
웹사이트
International tax – Brunei Darussalam Highlights 2012
https://web.archive.[...]
Deloitte
2012
[54]
뉴스
Should Tax Bills Be Public Information?
https://www.nytimes.[...]
2010-02-13
[55]
뉴스
How much do you make? It'd be no secret in Scandinavia
http://usatoday30.us[...]
2008-06-18
[56]
일반
[57]
웹사이트
再び「日本の消費税制は欠陥税制」
http://www.nippon-dr[...]
신당일본
2010-08-08
[58]
저널
個人所得に対する望ましい課税
http://www.cuc.ac.jp[...]
千葉商科大学
[59]
서적
ミクロ経済学II 効率化と格差是正
東洋経済新報社
[60]
논문
2010年9月 日本における貧困議論の現状と展望
http://research.n-fu[...]
2010-09
[61]
서적
30語でわかる日本経済
日本経済新聞社
[62]
서적
租税基本講義
[63]
웹사이트
http://kraft.cside3.[...]
[64]
서적
[65]
간행물
米国における税制改革の問題 -フラット・タックスを中心に-
http://www.mof.go.jp[...]
財務省財務総合政策研究所
2003-12
[66]
웹사이트
各国の税制
http://www.toshi.or.[...]
日本都市センター
2018-04-24
[67]
뉴스
イタリアで所得税の前払い 物価手当、手直しも
朝日新聞
1976-11-12
[68]
보고서
OECD Economic Surveys: Japan 2021
OECD
2019
[69]
웹사이트
滝田洋一(日本経済新聞)@yoichitakita 日本経済新聞編集委員、テレビ東京ワールドビジネスサテライト(WBS)解説キャスター
https://mobile.twitt[...]
2021-09-26
[70]
웹사이트
所得税の税率|所得税|国税庁
https://www.nta.go.j[...]
[71]
웹사이트
申告分離課税制度(国税庁)
https://www.nta.go.j[...]
[72]
웹사이트
総合課税制度
https://www.nta.go.j[...]
[73]
웹사이트
個人の方に係る復興特別所得税のあらまし|国税庁
https://www.nta.go.j[...]
[74]
웹사이트
創設所得税法概説
https://www.nta.go.j[...]
国税庁
1998-06-30
[75]
웹사이트
租税及び印紙収入決算額調一覧 財務省
https://www.mof.go.j[...]
[76]
뉴스
富裕層の申告漏れ、過去最高の980億円 国税庁まとめ: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11-22
[77]
뉴스
所得税の追徴課税1398億円余 過去最多に “AI取り入れた結果”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4-11-29
[78]
웹사이트
事業所得を有する個人の1件当たりの申告漏れ所得金額が高額な上位10業種|国税庁
https://www.nta.go.j[...]
[79]
서적
Ancient Records, Volume 2
Breasted
[80]
웹사이트
Roman Taxes
http://www.unrv.com/[...]
2014-04-12
[81]
서적
The Gentleman's magazine, Vol 161
https://books.google[...]
[82]
서적
Income tax in common law jurisdictions: from the origins to 1820, Volume 1
https://books.googl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국세청, 3년간 133만명 전수 방문해 체납 실태 조사 추진
“아무리 유리지갑이라지만, 월급쟁이가 봉이냐?”...내년 근로소득세 비중 더 커져
내년 근소세 비중 더 커져 … 월급쟁이만 봉
[매경경영지원본부] 정관은 형식이 아닌, 기업 세무리스크를 막는 방패
청년미래적금 신설…3년 만기 최대 2200만원 수령 [2026년 예산안]
내년 세수 390조 전망…조세지출 첫 80조 원 돌파
주병기 공정위원장 후보, 세금·과태료 상습미납…지명 직후 급히 납부
해외금융계좌 신고액 작년보다 45%↑…"가상자산 신고자 증가"
‘성별영향평가’로 여성 ‘경력단절’ 예방…개선된 4천건 뭐가 있나
지역화폐 발행 의무화 … 지방가는 기업에 200억 보조금
내년 예산 27조 절감한다는데…교육·실업급여·근로장려금 손 못 대는 이유는
신용카드로 세금 내면 최대 0.1%P 수수료 인하···영세 자영업자는 최대 0.4%P 인하
상반기 재정적자 94조원, 역대 네번째 큰 규모...하반기엔 더 커진다
올 상반기 나라살림 적자 94.3조 원…역대 4번째 규모
올 상반기 나라살림 적자 94조원
‘1400만 주주’ 눈치에 흔들리는 주식시장 과세
[뉴스분석]이재명 정부, 자산 과세 원칙이 없다
‘대주주 양도소득세’ 논란, 외국엔 있다? 없다?
[사설] 길 잃은 주식 양도차익 과세, ‘자본이득세 선진화’ 포기 말아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