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종기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종기도는 '주님의 천사'를 뜻하는 'Angelus Domini'로 시작하여 'Angelus'라고도 불리며, 아침 6시, 정오, 저녁 6시에 종을 칠 때 바치는 기도를 의미한다. 11세기 십자군 운동 당시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십자군의 승리를 위해 종을 치며 기도하도록 한 데서 기원하며, 13세기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을 중심으로 성모송을 세 번 바치는 관습이 생겨났다. 14세기부터 유럽 각 지역에서 삼종기도를 위해 종을 치는 기록이 있으며, 교황 갈리스토 3세는 이슬람교도로부터 그리스도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삼종기도를 바치도록 했다. 1560년경 베네치아에서 발간된 교리문답에서 현재 형태의 삼종기도가 나타났으며,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종이 울리면 무릎을 꿇고 삼종기도를 바칠 것을 권고했다. 삼종기도는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의 신비를 묵상하며, 성모 마리아 공경을 드러내는 기도이며, 현재는 교황이 매주 수요일 바티칸 광장에서 삼종기도를 바치고 교황 강복을 하는 전통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기도는 ‘Angelus Domini(주님의 천사)’로 시작하기 때문에 ‘Angelus’라 불린다.[1] 주님의 기도(Pater noster)나 성모송(Ave Maria)처럼 전통적으로 기도 내용의 첫 말을 따서 기도문의 이름을 정한다.[1]
삼종기도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대체로 11세기 십자군 운동 시기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십자군의 승리를 기원하며 성당 종을 치면서 기도하게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 13세기에는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을 중심으로 저녁 기도 시간에 성모송을 바치는 관습이 있었는데, 보나벤투라는 이를 신자들에게도 권장했다.
삼종기도는 세 번의 계응(주고 받는 형식)으로 기념할 내용을 바치고, 각 계응 다음에 성모송을 바친다. 그 후 성모의 간구와 하느님께 드리는 청원을 덧붙여 기도를 마친다.[20]
2. 명칭
하루에 세 번, 아침 6시, 정오, 저녁 6시에 종을 칠 때 바치는 기도이기 때문에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1]
‘Angelus’는 평시에 바치는 삼종기도이며, 부활시기 동안에는 ‘Angelus’ 대신 부활 송가인 Regina Caeli(하늘의 모후님)를 바친다.[1]
3. 기원과 역사
14세기 초에는 유럽 여러 지역에서 삼종기도를 위해 종을 쳤다는 기록이 나타나며, 교황 요한 22세는 저녁에 성모송을 바치는 이들에게 은사를 베풀었다. 15세기에는 아침에도 성모송을 바치기 시작했고, 16-17세기에는 낮에도 성모송을 바치게 되면서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 교황 갈리스토 3세는 삼종기도의 목적이 이슬람교도로부터 그리스도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삼종기도의 완전한 형태는 1560년경 베네치아에서 발간된 교리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1724년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종이 울리면 무릎을 꿇고 삼종기도를 바칠 것을 권고했으며, 부활 시기에는 다른 기도를 대신하도록 했다. 20세기 교황 비오 12세는 교황 갈리스토 3세의 회칙을 상기시키며 삼종기도를 드릴 수 있도록 하루 세 번 종을 치게 했다. 이 전통은 현재까지 이어져 교황이 직접 삼종기도를 바치고 강복을 베풀고 있다.
3. 1. 초기 기원 (11-13세기)
삼종기도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11세기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십자군의 승리를 위해 성당 종을 세 번 치면서 기도를 바치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본다.[5]
13세기에는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을 중심으로 저녁 종소리가 울릴 때 성모송을 세 번 바치는 관습이 있었다. 보나벤투라는 수사들에게 저녁 기도 종이 울릴 때 신자들도 세 번씩 성모송을 바치도록 권유했는데, 이는 가브리엘 천사가 마리아에게 나타나 인사를 한 시간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5] 1269년, 성 보나벤투라는 신자들에게 저녁기도 종이 울릴 때 세 번의 'Hail Mary'를 암송하는 프란치스코회의 관습을 따르도록 촉구했다.
1251년 카르투지오 수도회 총회에서도 끝기도 후에 ‘살베 레지나’를 노래한 뒤, 무릎을 꿇고 ‘성모송’을 바치도록 결정하였다. 처음에는 일의 끝마침이나 소등을 알리는 타종과 ‘성모송’을 외우는 일은 관련이 없었지만, 점차 석양이 질 무렵 수도원의 타종은 ‘성모송’ 기도를 하도록 알리는 것이 되었다.
1263년 피사에서 있었던 프란치스코 수도회 총회와 몬테카시노의 수도원장 토마스 1세(Tommaso I di Montecassino, 1285-1288)도 수도회 형제들에게 신자들이 ‘성모송’으로 기도할 수 있도록 아침과 저녁에 종을 울릴 것을 결정하였다. 이는 1269년 아시시 총회에서 다시 한번 선언되었다.
3. 2. 발전과 확산 (14-17세기)
삼종기도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11세기 팔레스티나 성지 회복을 위한 십자군 운동 당시 그레고리오 9세가 십자군의 승리를 위해 성당 종을 세 번 치면서 기도를 바치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5]
13세기에는 저녁 종소리에 맞춰 성모송을 세 번 바치는 관습이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성 보나벤투라는 수사들에게 저녁 기도 종이 울릴 때 신자들도 세 번씩 성모송을 바치도록 권유했는데, 이는 가브리엘 천사가 마리아에게 나타나 인사를 한 시간을 기념하기 위함이었다.[5] 1251년 카르투지오 수도회 총회에서도 끝기도 후 ‘살베 레지나(Salve Regina)’를 노래한 뒤, 무릎을 꿇고 ‘성모송’을 바치도록 결정하였다. 처음에는 일의 끝마침이나 소등을 알리는 타종과 ‘성모송’을 외우는 일은 관련이 없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석양이 질 무렵 끝기도 후 수도원의 타종은 ‘성모송’ 기도를 알리는 것이 되었다. 이러한 관습은 주교좌 성당과 지역 본당으로 확산되었다. 1263년과 1295년에는 이탈리아의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에서 이 기도를 사용한 기록이 있다. 1269년, 성 보나벤투라는 신자들에게 저녁기도 종이 울릴 때 세 번의 성모송을 암송하는 프란치스코회의 관습을 따르도록 촉구했다.[5]
14세기 초,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삼종기도를 위해 종을 쳤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1318년 요한 22세 교황은 저녁 종이 울릴 때 세 번의 성모송을 외우는 신자들에게 은사를 베풀었다. 1327년에는 ‘성모송’이 로마에도 도입되었다.
15세기에 들어 아침에 세 번 성모송을 하도록 종을 울렸고, 16-17세기에는 세 번의 성모송을 한낮에도 바치도록 하였다. 이로써 저녁, 아침, 낮 삼종기도 순서로 현재의 형태가 갖춰졌다. 갈리스토 3세는 삼종기도를 바치는 목적이 이슬람교도로부터 그리스도교를 보호하는 데 있다고 하였다. 이는 삼종기도가 이슬람 기도 시각에 맞추어 바치는 그리스도교 기도임을 보여준다.
1560년경 베네치아에서 발간된 교리서에는 ‘성모송’을 외우기 전에 세 가지 응답으로 주고받는 성서 구절이 삽입된 완전한 형태의 삼종기도가 나타난다.
3. 3. 정착과 현대 (18세기-현재)
15세기에 아침에 세 번 성모송을 하도록 종을 울렸고, 16-17세기에는 낮에도 세 번씩 성모송을 바치도록 하였다. 저녁 삼종기도가 제일 먼저 생겼고, 그 다음에 아침 삼종기도, 마지막에 낮 삼종기도가 생겼다.[5] 갈리스토 3세(1455-1458년 재위)는 삼종기도를 바치는 목적이 이슬람교도들에게서 그리스도교를 보호해 줄 것을 청하는 데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삼종기도는 이슬람 기도 시각에 맞추어 바치는 그리스도교 기도라고 볼 수 있다.[6]
1560년경 베네치아에서 발간된 교리서에서 '성모송'을 외우기 전에 세 가지 응답으로 주고받는 성서 구절이 삽입된 완전한 형태가 나타났다.[6]
1724년 교황 베네딕토 13세(1394-1417년 재위)는 종이 울리면 무릎을 꿇고 삼종기도를 바칠 것을 권고했다. 부활 시기에는 "Regina Caeli(천상의 여왕이신 어머니)"를 대신하도록 하였다. 이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진다.[6]
20세기에 들어와서 교황 비오 12세(1939-1958년 재위)는 모든 신자들이 삼종기도를 드릴 수 있도록 성당의 종을 하루에 세 번 타종하게 하였던 갈리스토 3세 교황(1455-1458년 재위)의 회칙 ''Summus Pontifex'' (1456년)을 상기시켰다. 이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교황은 로마를 찾는 순례자들을 위해 매주 수요일 바티칸 광장에서 삼종기도를 함께 바치고 교황 강복을 베풀고 있다.[5]
교황 바오로 6세는 사도적 서한 ''마리아 숭배''(1974)에서 삼종기도를 중요한 것으로 여기고, 하느님의 아들의 성육신을 기억함으로써, "그의 수난과 십자가를 통해 그의 부활의 영광으로" 인도되기를 기도하는 신실한 가톨릭 신자들에게 파스카 신비를 상기시키는 것으로 격려했다.[9]
4. 내용과 예식
종이 울릴 때 이 기도를 바치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을 세 번씩 세 번 친 다음, 나머지 기도문을 다 암송할 때까지 길게 종을 친다.
"그 말씀이 육신이 되시어/우리 가운데 계셨다"라는 구절에서는 머리를 숙이거나 무릎을 꿇어 예수의 성육신에 주목한다.
부활 시기에는 삼종기도 대신 마리아 안티폰인 ''Regina Cœli''를 바친다.[5]
일부 가톨릭 학교와 대부분의 프란치스코회, 묵상 수도원에서는 하루에 세 번 삼종기도를 바친다.
삼종기도는 보통 무릎을 꿇고 바치지만, 부활 시기나 부활 시기가 아닌 주일에는 서서 바친다.[5]
4. 1. 삼종기도의 내용: 강생의 신비 묵상
''℟''. 성령으로 잉태하셨네.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도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저희 죄인을 위하여, 지금과 저희 죽을 때에 빌어주소서. 아멘."
''℣''. 주님의 종이 여기 있나이다.
''℟''. 말씀하신 대로 이루어지이다.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도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저희 죄인을 위하여, 지금과 저희 죽을 때에 빌어주소서. 아멘."
''℣''. 이에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 저희 가운데 계시네.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도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저희 죄인을 위하여, 지금과 저희 죽을 때에 빌어주소서. 아멘."
''℣''. 천주의 성모님,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 그리스도의 약속을 얻게 하소서.
''기도문''.
주님, 간구하오니, 당신의 은총을 저희 마음 안에 부어주소서. 천사의 말씀을 통하여, 그리스도 당신 아들의 잉태를 알았으니, 그분의 수난과 십자가를 통하여 부활의 영광에 이르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20]
4. 2. 삼종기도 바치는 예식
부활 시기 동안에는 천사 기념 기도 대신 후렴구와 기도가 있는 마리아 안티폰인 ''Regina Cœli''를 바친다.[5]
일부 가톨릭 학교에서는 천사 기념 기도를 정기적으로 바친다. 대부분의 프란치스코회와 묵상 수도원에서는 하루에 세 번 천사 기념 기도를 바친다.
4. 3. 자세
삼종 기도는 무릎을 꿇고 암송하며, 부활 삼종 기도는 서서 암송한다.[5] 부활 시기가 아닌 주일에 삼종 기도를 바칠 경우, 예수 부활이 일요일(주일)이므로 부활의 기쁨을 표현하기 위해 무릎을 꿇지 않고 서서 바친다. 따라서 부활 시기의 삼종 기도는 항상 부활의 기쁨을 표현하기에 늘 서서 바친다.
천사 기념 기도를 바칠 때, "그 말씀이 육신이 되시어/우리 가운데 계셨다"라는 구절에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들은 머리를 숙이거나 무릎을 꿇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행위는 모두 예수의 성육신의 순간에 주목하게 한다.
5. 삼종기도의 목적 (교황 바오로 6세의 가르침)
교황 바오로 6세는 1974년에 그리스도인들이 삼종기도를 바치는 참된 목적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였다.
“삼종 기도는 단순한 구성과 성서적 성격, 평화와 안녕을 비는 역사적 기원, 아침, 낮, 저녁 시간을 거룩하게 하는 준전례적 리듬 그리고 하느님 아들의 강생을 기념하면서 ‘그의 고난과 십자가로 부활의 영광에 이르도록 기도하는 파스카 신비를 회상하게 하는 특징들로 이루어져 있다.”(「마리아 공경」 41항).[38]
교황 요한 23세는 삼종기도에 대해 "세 권의 책으로 된 '그리스도교 서사시'의 요약"이라고 말했다. "하느님의 초대와 시작, 순종의 인간적인 응답, '피아트', 그리고 이 순종의 결과인 말씀이 육신이 되심."[13]
6. 예수 그리스도 강생의 신비와 마리아 공경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의 「올바른 성모신심」에서는 삼종기도를 성모 공경을 드러내는 기도 중 하나로 분류한다. 삼종기도는 '강생의 신비'를 묵상하고 기념하는 기도이면서,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성모 마리아에 대한 공경을 표현하는 기도임을 알 수 있다.[1]
삼종기도의 초기 형태인 세 번의 성모송은 그 자체가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에 관한 성경 내용(루카 1,26-45)을 담고 있다.[1] 나중에 추가된 세 개의 계응(繫應) 역시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에 관한 내용과 마리아의 응답을 담고 있는 성경 구절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1]
- 세 번의 성모송을 읊기 전에 각각 추가된 첫 번째, '주님의 천사가 마리아께 아뢰니 성령으로 잉태하셨나이다'는 부분은 루카 1,31.35에 해당한다.[1]
- 두 번째, '주님의 종이오니, 그대로 이루어지소서'는 루카 1,38의 내용이다.[1]
- 마지막 세 번째는 요한 1,14의 내용이다.[1]
삼종기도는 마리아에 대한 전구(轉求)와 하느님께 드리는 청원 기도로 마무리된다. 네 번째 계응에서도 마리아에 대한 호칭인 '천주의 성모님'이 포함된다.[1]
부활 삼종기도에도 마리아의 호칭인 '하늘의 모후', '동정 마리아님'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호칭은 모두 마리아에 대한 공경을 드러낸다. 또한 부활 삼종기도의 전체 내용의 흐름은 주님의 부활의 기쁨을 드러낸다.[1]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삼종기도는 마리아 공경을 드러냄과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을 드러낸다. 부활 삼종기도는 마리아 공경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기쁨을 동시에 드러낸다.[1]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삼종기도가 마리아 공경 기도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그리스도의 강생의 신비를 담고 있는 신심 기도라는 것이다. 삼종기도에서 중요한 내용은 마리아를 통하여, 그리고 마리아의 응답으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신을 취하시어 이 세상에 오셨다는 것이다.[1]
7. 기도문

: ○ 주님의 천사가 마리아께 아뢰니
: ● 성령으로 잉태하셨나이다.
Ave Maria, gratia plena, Dominus tecum. Benedicta tu in mulieribus, et benedictus fructus ventris tui, Iesus.|성모송|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la
: ○ 주님의 종이오니
: ● 그대로 제게 이루어지소서.
Ave Maria…|성모송|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la
: ○ 이에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 ● 저희 가운데 계시나이다.
Ave Maria…|성모송|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la
: ○ 천주의 성모님,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시어
: ● 그리스도께서 약속하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소서.
: † 기도합시다.
: 하느님,
: 천사의 아룀으로 성자께서 사람이 되심을 알았으니
: 성자의 수난과 십자가로 부활의 영광에 이르는 은총을 저희에게 내려주소서.
: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 아멘.
Sancta Maria, Mater Dei, ora pro nobis peccatoribus, nunc et in hora mortis nostræ. Amen.|성모송|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la
Gloria Patri, et Filio, et Spiritui Sancto. Sicut erat in principio, et nunc, et semper, et in sæcula sæculorum. Amen.|성호경|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la
7. 1. 삼종기도
: ○ 주님의 천사가 마리아께 아뢰니
: ● 성령으로 잉태하셨나이다.
Ave Maria, gratia plena, Dominus tecum. Benedicta tu in mulieribus, et benedictus fructus ventris tui, Iesus.|성모송|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la
: ○ 주님의 종이오니
: ● 그대로 제게 이루어지소서.
Ave Maria…|성모송|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la
: ○ 이에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 ● 저희 가운데 계시나이다.
Ave Maria…|성모송|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la
: ○ 천주의 성모님,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시어
: ● 그리스도께서 약속하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소서.
: † 기도합시다.
: 하느님,
: 천사의 아룀으로 성자께서 사람이 되심을 알았으니
: 성자의 수난과 십자가로 부활의 영광에 이르는 은총을 저희에게 내려주소서.
: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 아멘.
Sancta Maria, Mater Dei, ora pro nobis peccatoribus, nunc et in hora mortis nostræ. Amen.|성모송|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la
Gloria Patri, et Filio, et Spiritui Sancto. Sicut erat in principio, et nunc, et semper, et in sæcula sæculorum. Amen.|성호경|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la
7. 1. 1. 부활 삼종기도
Regina Caelila(하늘의 모후님)는 평시에 바치는 삼종기도이며, 부활 시기 동안에는 삼종기도 대신 부활 송가인 부활 삼종기도를 바친다.: ○ 하늘의 모후님, 기뻐하소서. 알렐루야.
: ● 태중에 모시던 아드님께서, 알렐루야.
: ○ 말씀하신 대로 부활하셨나이다. 알렐루야.
: ● 저희를 위하여 하느님께 빌어주소서. 알렐루야.
: ○ 동정 마리아님, 기뻐하시며 즐거워하소서. 알렐루야.
: ● 주님께서 참으로 부활하셨나이다. 알렐루야.
: † 기도합시다.
: 하느님,
: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로 온 세상을 기쁘게 하셨으니
: 성자의 어머니 동정 마리아의 도움으로
: 영생의 즐거움을 얻게 하소서.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 아멘.
8. 현대적 의의와 실천
가톨릭 교회에서는 프란치스코회와 묵상 수도원을 중심으로 하루 세 번 삼종기도를 바치는 전통이 있다.[5] 일부 가톨릭 학교에서도 삼종기도를 정기적으로 바친다. 독일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가톨릭 교회(일부 개신교 교회 포함)에서는 매일 세 번 삼종기도 종을 친다.
아일랜드에서는 RTÉ One 채널에서 저녁 메인 뉴스(Six-One 뉴스) 직전인 매일 저녁 6시에 ''The Angelus''를 방송하며,[7] 자매 라디오 방송국인 Radio 1에서는 정오와 저녁 6시에 방송한다.[7] 2015년 RTÉ 청중 조사에 따르면 아일랜드 시청자 대다수는 "Angelus" 방송 유지를 선호하며, "신앙심이 있는 사람에게는 은총의 순간이고, 신앙이 없는 사람에게는 평화의 순간"이라고 평가한다.[7]
멕시코 몬테레이에서는 매일 오전 6시, 정오, 오후 6시에 라디오로 삼종기도를 방송한다. 브라질에서는 가톨릭 라디오 네트워크(포르투갈어: ''Rede Católica de Rádio'') 소속 라디오 방송국에서 매일 오후 6시에 삼종기도를 방송한다.
필리핀에서는 필리핀 가톨릭 교회의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과 일부 수도원에서 오전 6시, 정오, 오후 6시 PST (GMT+8)에 삼종기도를 방송한다. 일부 쇼핑몰과 가톨릭 교육 기관에서도 평일 정오에 방송하며, 개별 본당 교회에서도 오후 6시에 종을 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평신도가 운영하는 일부 가톨릭 라디오 방송국에서 매일 삼종기도를 방송한다. 미국의 트라피스트 수도원과 수녀원은 종종 삼종기도를 정오 기도 또는 저녁 기도와 결합한다. 포틀랜드 대학교에서는 정오와 오후 6시에 삼종기도 종소리가 울린다.
슬로바키아의 가톨릭 라디오 루멘은 정오에 10분 동안 매일 삼종기도와 다른 기도를 방송한다.[10] TV 룩스도 삼종기도를 정기적으로 방송한다.[11]
교황 요한 23세 이후, 바티칸 시국의 교황은 매주 일요일 정오(부활절 일요일에는 부활절 월요일에 대신함)에 이탈리아어로 연설을 한다. 교황 요한 23세는 삼종기도를 "세 권의 책으로 된 '그리스도교 서사시'의 요약"이라고 칭했다.[13] 이 연설은 온라인 플랫폼(바티칸 뉴스 - 동시 통역 포함), 공영 텔레비전(라이 1) 및 유로비전 네트워크를 통해 생중계된다. 연설 후에는 성 베드로 광장의 군중들과 텔레비전 시청자들에게 Regina Cœli 또는 삼종기도를 이끌고 축복을 내린다.
성공회의 많은 앵글로-가톨릭 공동체에서는 주일 본당 미사 전후에 삼종기도를 노래하는 전통이 있다.[16][17][18]
9. 미디어에서의 삼종기도
독일에서는 특정 교구와 해당 라디오 방송국에서 삼종기도를 방송한다. 또한 로마 가톨릭 교회(일부 개신교 교회 포함)에서는 매일 세 번 삼종기도 종을 친다.
아일랜드에서는 현재 ''The Angelus''가 주 채널인 RTÉ One에서 저녁 메인 뉴스인 Six-One 뉴스가 시작되기 전 매일 저녁 6시에 방송되며,[7] 방송사의 자매 라디오 방송국인 Radio 1에서는 정오와 저녁 6시에 방송된다. 2015년, RTÉ는 독립 영화 제작자에게 삼종기도 버전을 제작하도록 의뢰하는 광고에서 삼종기도 방송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7]
> RTÉ One에서 매일 방송되는 "Angelus"는 RTÉ의 가장 오래 지속되고 가장 많이 시청되는 종교 프로그램이다. 또한, 아마도 가장 논란이 많은 프로그램일 것이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하루 1440분 중 단 1분만 방송되고 RTÉ TV 채널에서 단 하나만 방송되는 이 성찰의 시간은 여권에 있는 하프처럼 아일랜드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의 일부이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시대착오적인 요소—더 동질적이고 관찰적인 기독교 시대에 대한 기억이다.[7]
2015년 기준으로, RTÉ 청중 조사는 아일랜드 시청자 대다수가 여전히 "Angelus" 방송, 종소리 등을 유지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매력은 한 청취자에 의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신앙심이 있는 사람에게는 은총의 순간이고, 신앙이 없는 사람에게는 평화의 순간이다. 싫어할 이유가 무엇인가?" 방송국은 또한 기도 자체가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방송되지 않는다고 언급한다.[7]
멕시코 몬테레이시에서는 삼종기도가 매일 오전 6시, 정오, 오후 6시에 라디오로 방송된다.
브라질에서는 가톨릭 라디오 네트워크(포르투갈어로 ''Rede Católica de Rádio'')와 관련된 라디오 방송국에서 매일 오후 6시에 삼종기도를 방송하며, 네트워크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가톨릭 관계자가 운영하는 라디오 방송국에서도 같은 시간에 기도를 방송한다.
필리핀에서는 필리핀 가톨릭 교회의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과 일부 수도원에서 오전 6시, 정오, 오후 6시 PST (GMT+8)에 삼종기도를 방송한다. 이 기도는 일부 쇼핑몰의 공공 주소 시스템과 많은 가톨릭 교육 기관에서 평일 정오에 방송된다. 개별 본당 교회에서도 오후 6시에 종을 친다. 한때 저녁 삼종기도 시간에 가족이 집에 모여 집 제단 앞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를 드리는 것이 관습이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평신도가 운영하는 일부 가톨릭 라디오 방송국에서 매일 삼종기도를 방송한다. 미국 트라피스트 수도원과 수녀원은 종종 삼종기도를 정오 기도 또는 저녁 기도와 결합하여 교회에서 함께 기도한다. 로마 가톨릭 포틀랜드 대학교에서는 캠퍼스 중앙 근처의 종탑에서 정오와 오후 6시에 삼종기도 종소리가 울린다.
슬로바키아의 가톨릭 라디오 루멘은 정오에 10분 동안 매일 삼종기도와 다른 기도를 방송한다.[10] 마찬가지로 TV 룩스는 삼종기도를 정기적으로 방송한다.[11]
참조
[1]
서적
Prayer: a history
[2]
웹사이트
Angelus
http://www.preces-la[...]
2017-11-23
[3]
서적
Faith in Art: Religion, Aesthetics, and Early Abstraction
Bloomsbury Publishing
2023-06-15
[4]
성경
[5]
서적
Angelu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20-04-27
[6]
백과사전
Angelus
[7]
웹사이트
RTÉ Independent Productions
http://www.rte.ie/co[...]
2023-11-06
[8]
웹사이트
Recording of the Angelus on Irish television
https://www.youtube.[...]
2007-01-02
[9]
웹사이트
Marialis Cultus (February 2, 1974) - Paul VI
https://www.vatican.[...]
2017-11-23
[10]
웹사이트
Modlitba Anjel Pána + zamyslenie
https://www.lumen.sk[...]
2023-05-29
[11]
웹사이트
ANJEL PÁNA
https://www.tvlux.sk[...]
2023-05-31
[12]
웹사이트
Catholic.Org Unofficial English translation of Enchiridion of Indulgences
https://www.catholic[...]
[13]
서적
The Mariology of Three Popes
https://www.theway.o[...]
[14]
서적
The Practice of Religion: A Short Manual of Instructions and Devotions
Morehouse-Gorham Co.
[15]
서적
Saint Augustine's Prayer Book: A Book of Devotion for members of the Episcopal Church
Holy Cross Publications, Revised Edition
[16]
웹사이트
An example from a Lincolnshire, England, Anglican church
https://www.youtube.[...]
[17]
웹사이트
Demonstration video by an Anglican priest
https://www.youtube.[...]
[18]
웹사이트
Singing the Angelus as part of Anglican patrimony
https://ordinariatee[...]
2013-10-25
[19]
웹사이트
Mary and the Patrimony
http://www.theangloc[...]
2011-10-07
[20]
웹사이트
LATIN PRAYERS
http://www.ewtn.com/[...]
2017-11-23
[21]
서적
Angelus
https://www.newadven[...]
Robert Appleton Company
[22]
웹사이트
Apostolic Constitution «Indulgentiarum Doctrina»
http://www.vatican.v[...]
1967-01-01
[23]
서적
Massime eterne
Libreria Editrice "Aquileia"
[24]
웹사이트
Enchiridion indulgentiarum
http://www.vatican.v[...]
1999-07-16
[25]
웹사이트
The gift of Indulgence
http://www.vatican.v[...]
2021-02-11
[26]
백과사전
Angelus Bell
http://www.newadvent[...]
2013-04-24
[27]
뉴스
The Angelus
http://americamagazi[...]
2013-04-24
[28]
웹사이트
Ferko Urbánek: Dramatická literatúra 2. Činohry (Sedláček V. — Príborský Fr.: A keď zvonili na Anjel Pána) - elektronická knižnica
https://zlatyfond.sm[...]
2021-12-12
[29]
웹사이트
The Irish Unionist's farewell to Greta Hellastrom
http://famouspoetsan[...]
[30]
웹사이트
The Angelus by Francis Bret Harte
http://allpoetry.com[...]
2017-11-23
[31]
웹사이트
The Bell-Founder Part II – Triumph And Reward (Denis Florence MacCarthy Poems) - Famous Inspirational Poems, Poetry, Quotes
http://www.inspirati[...]
2017-11-23
[32]
위키소스
De l'Angélus de l'aube à l'Angélus du soir
:wikisource:fr:De l'[...]
[33]
웹사이트
The Angelu
http://www.timberhea[...]
[34]
뉴스
History – 1916 Easter Rising – Rebel Songs (Part 4)
https://www.bbc.co.u[...]
BBC
[35]
시
Hymn
[36]
웹사이트
The Dry Salvages by T.S. Eliot
http://www.davidgorm[...]
2023-03-22
[37]
웹사이트
가톨릭 대사전
http://info.catholic[...]
[38]
웹인용
마리아 공경 (Marialis cultus) 교황 문헌 문헌마당 한국천주교주교회의
http://www.cbck.or.k[...]
2019-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