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산군부인 송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산군부인 송씨는 진천 송씨 출신으로, 은언군 이인의 부인이자, 천주교 신유박해 때 순교한 인물이다. 그녀는 양제궁에서 생활하며 천주교를 접하고, 며느리와 함께 세례를 받아 '송마리아'로 불렸다. 신유박해 당시 천주교 신자들을 숨겨준 혐의로 체포되어 사약을 받고 순교했다. 이후 철종 때 신원되었으며, 묘소는 6.25 전쟁 중 실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천 송씨 - 송석준
    송석준은 행정고시 출신으로 국토교통부 고위 공무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3선 국회의원으로, 국토교통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국민의힘 경기도당 위원장, 원내부대표 등을 역임했고, 국가안보실장 이석 논란 및 친인척 채용 문제 등이 있었다.
  • 진천 송씨 - 송광호
    송광호는 제14, 16, 18, 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뇌물 수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조선 장조 - 정조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탕평책 계승, 규장각 설치, 장용영 설치, 신해통공 실시, 수원 화성 건설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으며, 47세에 사망하여 건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 장조 - 정성왕후
    정성왕후는 조선 영조의 왕비로, 효장세자와 사도세자를 친아들처럼 아끼고 64세에 세상을 떠나 서오릉 홍릉에 묻혔으며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의 존호를 받았다.
  • 1753년 출생 - 요세프 도브로프스키
    요세프 도브로프스키는 헝가리 왕국 출신의 체코 문헌학자, 역사학자, 가톨릭 사제로, 체코어와 슬라브어 연구를 통해 체코 민족 부흥 운동에 기여했으며 특히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 대한 연구로 체코 슬라브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 1753년 출생 - 조제프 드 메스트르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계몽주의와 반합리주의를 주창하고 정부의 권위는 종교에서 기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상가이자 외교관이다.
상산군부인 송씨
상산군부인 송씨
고종비 명성황후
고종비 명성황후
기본 정보
본관은진 송송(恩津 宋氏)
생몰년1578년 10월 23일 ~ 1643년 5월 26일
묘소순강원(順康園)
가족 관계
아버지송응개(宋應漑)
어머니여산 송씨(礪山 宋氏)
남편정창군 이주(定昌君 李珘)
아들영선군 이징(永善君 李澄)
며느리증 정경부인 평산 신씨(平山 申氏)
손자동창군 이기(東昌君 李岐)

2. 생애

상산군부인 송씨는 1754년 남편 은언군 이인이 사망한 후, 맏며느리 군부인 신씨(신 마리아)와 함께 천주교에 귀의하였다.[2] 주문모 신부에게서 마리아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강완숙에게 교리를 배우고, 1795년 강완숙의 인도로 주문모 신부에게서 영세를 받았다.

송씨와 신씨는 조선인 천주교회 교리 연구 단체인 명도회에도 참여하였고, 종종 주문모 신부를 초청하여 강론을 들었으며, 양제궁에 딸린 시종과 궁인들도 이때 세례를 받고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1798년에는 양제궁 나인 강경복(수산나)을 천주교에 입교시키고 교리를 배우게 했다.

1801년 신유박해가 발생하여 주문모 신부에게 왕실의 양제궁을 은신처로 제공하였다. 그러나 1801년 3월 12일 주문모는 스스로 의금부에 자수하였다. 천주교 신봉 의혹을 받던 양제궁 역시 수색되어 송씨와 며느리 신씨는 압송되었다.[7]

정순왕후는 이들을 '풍화(風化)에 관계되는 죄인'으로 규정하고, 왕실의 법도를 바로 세운다는 명분으로 처형했다.[7]

姑婦俱陷邪學|고부구함사학중국어하여 외인(外人)의 흉추(凶醜)와 왕래하여 서로 만났으며, 방금(邦禁)이 엄중함을 두려워함이 없이 방자하게 그 집안에 숨겨 주었으니, 그 부범(負犯)한 죄를 논하면 하루도 천지 사이에 용납할 수가 없다.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모두 사학에 빠져한국어

1801년 3월 16일 사사(賜死) 명령을 받고 4월 4일 사사되었다. 그리스도교 교리상 자살은 죄가 되어 상산군부인 송씨와 며느리 평산군부인 신씨는 독약을 마시는 것을 거부하자, 의금부 포졸들이 강제로 사약을 부었다.[7]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혔을 때 뒤주를 지켰던 구선복은 그의 외할아버지 구선원의 일족이었다.[3] 외삼촌 구명겸과 외재종조부 구선복 등은 훗날 그녀의 아들 상계군 담과 연관되어 사형당한다.

2. 1. 초기 생애와 가계

본관은 진천(鎭川)이며, 참봉 송낙휴(宋樂休)와 능성 구씨(綾城 具氏)의 딸로 태어났다. 친정 가계는 정치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나, 외가는 인헌왕후의 친정아버지 구사맹의 후손으로 당대 유력한 가문이었다. 증조부 송수량은 음서로 관직에 올라 선공감 감역으로 시작해 군수에 이르렀다. 고조부 송창도승지, 공조판서, 한성부 판윤을 지내고 사후 증 의정부좌찬성추증되었지만 본부인에게서 아들이 없고, 첩에게만 서자들이 있어서 자신의 사촌 송정(宋晶)의 아들들 중 한 명인 5촌 조카 송수량을 양자로 삼았고, 송수량은 상산군부인의 증조부가 된다.

외할아버지 구선원은 인헌왕후의 친정아버지 구사맹의 넷째 아들 구굉의 5대손으로, 조선 영조, 정조 때의 무신 출신 정승 구선복, 무신 구선행(具善行) 등과 사촌간이다. 구선복은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혔을 때 뒤주를 지켰던 인물이었다.[3] 외삼촌 구명겸과 외재종조부 구선복 등은 훗날 그녀의 아들 상계군 담과 연관되어 사형당한다.

2. 2. 천주교 입교와 신앙 활동

한성에 남아있던 상산군부인 송씨는 맏며느리 신씨(신 마리아)와 함께 천주교에 귀의하였다.[2] 신부 주문모에게서 마리아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천주교 여성회장이던 강완숙(골룸바)에게 교리를 배우고, 1795년 강완숙의 인도로 주문모 신부에게서 영세를 받았다.

송씨와 신씨는 조선인 천주교회 교리 연구 단체인 명도회에도 참여하였고, 종종 주문모 신부를 초청하여 강론을 들었으며, 양제궁에 딸린 시종과 궁인들도 이때 세례를 받고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1798년에는 양제궁 나인 강경복(수산나)을 천주교에 입교시키고 교리를 배우게 했다.

2. 3. 신유박해와 순교

1801년(순조 1) 2월 신유박해가 발생하여 조정에서 천주교도를 체포하라는 명이 떨어지자, 상산군부인 송씨는 청나라 사제인 주문모 신부에게 왕실의 양제궁을 은신처로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는 누군가에 의해 왕실에 제보되었고, 1801년 3월 12일 주문모조선인 천주교도들이 체포되어 고문당하는 것을 보고 스스로 의금부에 자수하였다. 천주교 신봉 의혹을 받던 양제궁 역시 수색되어 송씨와 며느리 신씨는 압송되었다.[7]

양제궁의 궁녀, 하인들을 의금부에서 체포하여 투옥, 고문하는 과정에서 양제궁 궁인인 서경의(徐景儀)의 자백으로 상산군부인 송씨와 평산군부인 신씨가 천주교에 입교한 것이 밝혀졌다. 정순왕후는 재판과 심문 없이 송씨와 며느리 신씨에게 사약을 내릴 것을 명하였다.[7]

정순왕후는 이들을 '풍화(風化)에 관계되는 죄인'으로 규정하고, 왕실의 법도를 바로 세운다는 명분으로 처형했다.[7]

姑婦俱陷邪學|고부구함사학중국어하여 외인(外人)의 흉추(凶醜)와 왕래하여 서로 만났으며, 방금(邦禁)이 엄중함을 두려워함이 없이 방자하게 그 집안에 숨겨 주었으니, 그 부범(負犯)한 죄를 논하면 하루도 천지 사이에 용납할 수가 없다.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모두 사학에 빠져한국어

그해 3월 16일 사사(賜死) 명령을 받고 4월 4일 사사되었다. 그리스도교 교리상 자살은 지옥에 가는 죄가 되어 상산군부인 송씨와 며느리 평산군부인 신씨는 독약을 마시는 것을 거부하자, 의금부의 포졸들 몇 명이서 달려들어 강제로 사약을 부었다.[7]

2. 4. 최후

1801년 3월 16일 정순왕후에게서 사사(賜死) 명령을 받고, 4월 4일 사사되었다. 상산군부인 송씨와 며느리 평산군부인 신씨는 그리스도교 교리상 자살은 지옥에 가는 죄가 되므로 독약을 마시는 것을 거부하였다. 그러자 의금부의 포졸들 몇 명이 달려들어 강제로 사약을 부었다.[7]

남편 은언군 이인은 강화도에 안치되어 있다가, 조정 관료들의 거듭된 탄핵과 공격을 받아 5월 30일 사약을 받고 사사되었다. 이후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외동) 산 78-1번지 북한산 이말산 유좌(酉坐) 언덕, 은언군의 묘소 오른쪽에 합장되었다.[7] 그러나 은언군과 본부인 송씨의 묘는 6.25 전쟁 중 실전되었다.

3. 천주교 순교자로서의 재조명

파리 외방 전교회 소속 신부로 당시 조선과 청나라 지역을 오가던 클로드 달레(Claude Dallet)는 <한국천주교회사>프랑스어에 상산군부인 송씨와 며느리 평산군부인 신씨의 순교와 명성이 박해받는 교회에 크나큰 격려가 되었다고 기록하였다.[1]

4. 가계와 후손

상산군부인 송씨는 진천 송씨 참봉 송낙휴(宋樂休)와 능성 구씨의 딸이다. 증조부 송수량은 음서로 관직에 올라 군수를 지냈고, 고조부 송창(宋昌)은 도승지, 공조판서, 한성부 판윤을 지내고 사후 의정부좌찬성추증되었으나, 본부인에게서 아들이 없어 5촌 조카 송수량을 양자로 삼았다. 이 송수량이 상산군부인의 증조부가 된다.

외할아버지 구선원은 인헌왕후의 친정아버지 구사맹의 넷째 아들 구굉의 5대손으로, 조선 영조, 정조 때의 무신 출신 정승 구선복과 사촌간이다. 구선복은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혔을 때 뒤주를 지켰던 인물이었다.[3] 외삼촌 구명겸과 외재종조부 구선복 등은 후일 그녀의 아들 상계군 이담과 연관되어 사형당한다.

남편 은언군 이인과의 사이에서 상계군 이담, 이창순, 이창덕, 풍계군 이당(은전군의 양자로 출계), 한각신에게 출가한 딸 등을 두었다. 남편의 첩실 소생으로는 이성득, 이철득, 전계대원군 이광(철종의 생부) 등이 있다.

상산군부인 송씨 가계
구분내용
남편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
장남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 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
장자부군부인 신씨(1770년 6월 13일 - 1801년 4월 4일)
손자익평군 이희(益平君 李曦, 1824 ~ 1863), 풍계군의 서자[8]
며느리이름 미상,[9]
차남이창순(李昌順, 생물년미상)
삼남이창덕(李昌德, 생물년 미상)
4남풍계군 이당(豊溪君 李塘, 1783년 - 1826년), 삼촌 은전군의 양자로 감
전주이씨(? - 1872년 4월 4일)
사위한각신(韓覺新, 1795년 2월 28일 ~ 1853년 8월 14일)
외손자한응국, 한계신의 양자로 출계
양외손자한응필(1832년 12월 14일 ~ 1883년 12월 1일), 생부는 한매신
남편의 첩이름 미상(? ~ 1821년 12월 26일)
서자이성득(李成得, 1775년 ~ 1817년 11월 27일)[10]
서자이철득(李鐵得, 1780년 ~ ?)[11]
남편의 첩전산군부인 이씨(全山郡夫人 李氏, 1764 ~ 1819)
서자요절
서자전계대원군 이광(全溪大院君 李壙, 1785년? ~ 1841년)
서며느리완양부대부인 최씨(完陽府大夫人 崔氏, 1804 ~ 1840)[12]
서손자회평군 원경(懷平君 元慶, 1827년 - 1844년)
서손자영평군 욱(永平君 昱, 1828년 - 1901년)
서며느리용성부대부인 염씨(龍城府大夫人 廉氏, 1793 ~ 1863)[13]
서손자철종 원범(哲宗 元範, 1831년 - 1863년)
친정아버지송낙휴(宋樂休, 1732년 - 1799년)
친정어머니능성 구씨(綾城 具氏, 생물년 미상)
친정오라비송문교(宋文敎)
친정 사촌문노, 문준, 문건, 문전
친정 자매2인
친정증조부송수량(宋秀良, 1666년 - 1728년)
삼촌송익휴(宋翼休), 송철휴
외조부구선원(具善元), 구선복과 4촌
외삼촌구명겸(具明謙, 1737년 - 1786년 12월 9일), 구선복과 같이 상계군 관련자로 지목되어 효시되었다.
외재종조부구선복(具善復, 1718년 - 1786년 12월 9일), 상계군 추대 음모로 지목되어 효시되었다.


5. 기타

철종 즉위 직후, 그리고 철종 때와 고종 때 남편 은언군 이인 관련 자료, 아들 상계군 이담이 역적으로 몰린 것에 대한 관련 자료, 송 마리아와 신 마리아 등에 대한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기사 및 관련 기록, 체포, 국문 등에 대한 기록들을 대량으로 세초, 먹줄, 파기해 대부분 인멸되었다.[1]

1989년 9월 26일 후손 이우용이 천주교에 기증한 신도비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96-1번지 절두산 천주교 성지 내, 남종삼 동상과 순교사적비 옆에 보존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janggak.sn[...]
[2] 뉴스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서울신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3]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4] 실록 "추국 죄인 주문모의 공초문. 대왕 대비가 사학에 연루된 은언군 이인의 처와 며느리를 사사하다" 순조실록 1801-03-16
[5] 문서 전동의 양제궁은 상산군부인 송마리아와 며느리 평산군부인 신마리아가 거주하자, 역적의 폐궁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6] 문서 주문모 신부 조선 입국 전이라 한다.
[7] 문서 은언군 신도비문
[8] 문서 풍계군의 서자였으나 상계군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9] 문서 상계군 이담의 첩, 궁인 출신
[10] 실록 의금부에서 강화 죄인 성득이 물고되었으니, 금부 도사를 보내 검험하라고 하다 순조실록 1817-11-27
[11] 문서 1801년 5월, 초 아버지 은언군과 함께 [[강화도]]를 탈출, 도주하려다 실패했다.
[12] 문서 전계대원군 광의 본처
[13] 문서 서자인 전계군의 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