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관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남 관화는 중국어의 방언 중 하나로, 관화에 속하며, 쓰촨, 충칭, 윈난, 구이저우, 후베이, 후난, 광시 등 중국 남서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대부분의 서남 관화 방언은 4개의 성조를 가지며, 자음과 모음의 특징이 있다. 《중국어 방언 지도》에 따르면 12개의 방언 그룹으로 분류되며, 청두-충칭 방언, 쿤구이 방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화 - 쓰촨어
쓰촨어는 쓰촨성과 충칭시를 중심으로 쓰촨분지 일대에서 약 1.2억 명이 사용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파촉어에서 기원하여 이민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보통화 보급 정책 속에서도 생존하고 있다. - 관화 - 동북관화
동북 관화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만주어와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베이징어와 차이를 보이며, 권설음 부재, 낮은 음평성, 얼화 현상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미얀마의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미얀마의 언어 - 리수어
리수어는 중국 남서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로, 프레이저 문자로 문자화되었으나, 사용자 감소 문제와 다양한 방언 및 문자 체계가 존재한다. - 중국어의 방언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영향력을 지니며, 다양한 방언과 표기법을 갖고 일상 대화, 지방극, 대중가요 등에서 사용된다.
서남관화 | |
---|---|
언어 정보 | |
이름 | 서남관화 (西南官話), 상강관화 (上江官話) |
원어 이름 | 시난 관화 (西南官话), 상장 관화 (上江官话) |
사용 지역 | 쓰촨 성, 윈난 성, 광시 성, 구이저우 성, 후베이 성, 홍콩, 기타 |
사용 인구 | 2억 6천만 명 (2012년 기준) |
사용 국가 | 중국 (광시 성) 홍콩 마카오 미얀마 (와 주, 코캉 자치구) 베트남 (라오까이 성) |
언어 계통 |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중국어파 |
어족 | 중국어 |
분파 | 관화 |
언어 코드 | |
ISO 639-3 | 존재하지 않음 |
ISO 639-6 | xghu |
Glottolog | xina1239 (Southwestern Guanhua) |
LinguaLibre | 79-AAA-bh |
2. 역사
서남 관화는 명[2][3]과 청나라[4] 시기 이주민들에 의해 형성된 중국어 방언이다. 비교적 최근에 형성되어 현대 표준 중국어와 유사한 점이 많지만, 권설음 부재와 입성 미보존 등 뚜렷한 차이점도 존재한다.[5][6] 과거에는 광둥어나 오어처럼 별개의 방언 갈래로 분류되기도 했다.[7] 중국 남서부 지역 외에도 미얀마, 베트남, 태국 등지의 일부 지역 및 소수 민족 사이에서도 사용된다.[8][9][10][11][12][13][14][3][15][16]
2. 1. 명나라, 청나라 시대 이주
현대 서남 관화는 명[2][3]과 청나라[4] 시대에 이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비교적 최근의 이주로 인해, 서남 관화는 광둥어나 민남어와 같은 다른 중국어 방언보다 현대 표준 중국어와 더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남부 중국 방언처럼 서남 관화에는 표준 중국어의 권설음 (zh, ch, sh, r)이 없다. 하지만 남부 방언들이 대부분 유지하고 있는 입성은 서남 관화에서는 유지되지 못했다. 청두-충칭 지역과 후베이성의 방언은 명나라 시대 공용어의 일부 특징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서남 관화의 기원이 하강남 관화와 더 유사할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6] 서남 관화는 관화 그룹에 속하지만, 표준 중국어와는 뚜렷한 차이가 있어 1955년까지는 광둥어나 오어처럼 별도의 중국어 방언 갈래로 분류되기도 했다.[7]서남 관화는 미얀마 북부 코캉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며, 이 지역 주민 대다수는 코캉족이다. 또한 미얀마 내 자치주인 와 주에서는 와어와 함께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와어는 고유 문자가 없어 중국어(서남 관화)가 와 주 정부의 공식 실무 언어로 사용된다.[8][9] 친 하우로 알려진 일부 화자들은 태국에도 거주한다.[10] 베트남 북부 지역에서도 서남 관화가 사용된다.[11] 베트남 라오까이 성의 소수 민족들은 서로의 언어가 통하지 않을 때 서남 관화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했다.[12] 이 외에도 중국 윈난[13][14], 구이저우[3], 광시[3][15][16] 지역의 여러 소수 민족 사이에서도 사용된다.
2. 2. 기원 논쟁
현대 서남 관화는 명나라[2][3]와 청나라[4] 시대에 해당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비교적 최근의 이주로 인해, 서남 관화는 광둥어나 민남어와 같은 다른 남부 중국어 방언들보다 현대 표준 중국어와 더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남부 중국 방언처럼 서남 관화에는 표준 중국어의 권설음 (zh, ch, sh, r)이 없지만, 동시에 남부 방언들이 일반적으로 유지하는 입성은 대부분 보존하지 못했다. 청두-충칭 및 후베이 방언은 명나라 시대에 사용된 중국어 공용어의 일부 특징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서남 관화의 기원이 하강남 관화와 더 유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6] 서남 관화는 관화 그룹에 속하지만, 표준 중국어와는 뚜렷한 차이가 있어 1955년까지는 광둥어 및 오어와 함께 중국어의 독립적인 방언 갈래로 분류되기도 했다.[7]3. 음운
서남 관화의 음운 체계는 표준 중국어와 유사성을 가지면서도 독자적인 특징을 발전시켜 왔다. 주요 특징으로는 성조 체계의 변화, 특정 자음의 부재 및 통합 현상 등이 있다.
성조는 대부분 표준 중국어와 같이 4개의 성조(음평, 양평, 상성, 거성)를 유지하지만, 중고 중국어의 입성 처리가 다르다. 서남 관화에서는 입성이 주로 평성으로 합류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표준 중국어에서는 다른 성조로 분산된다.[17] 일부 지역에서는 입성이 독립적으로 유지되기도 한다.
자음에서는 표준 중국어의 권설음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 외에도 여러 지역에서 치경 비음 /n/과 치경 설측 접근음 /l/, 비음 종성 /-n/과 /-ŋ/ 등의 구별이 사라지는 현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모음은 전반적으로 표준 중국어와 유사하나, 자음 체계의 차이, 특히 권설음 부재가 모음 발음에 영향을 준다. 자세한 성조, 자음, 모음의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성조
대부분의 서남 관화 방언은 표준 중국어처럼 중고 중국어의 8개 성조 중 4개(음평, 양평, 상성, 거성)만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입성(入聲)은 대부분의 서남 방언에서 평성(平聲)과 완전히 병합되었는데, 이는 나머지 성조에 무작위로 분산되는 것으로 보이는 표준 중국어와 차이가 있다.[17] 일부 지역(약 3분의 1)에서는 여전히 입성이 독립된 성조로 보존되어 있거나 양평으로 합류하기도 한다.이름 | 음평(陰平) | 양평(陽平) | 상성(上聲) | 음거(陰去) | 양거(陽去) | 입성(入聲) | 지리적 분포 |
---|---|---|---|---|---|---|---|
쓰촨 (청두 방언) | (55) | (21) | (42) | (213) | 평성 병합 | 쓰촨 분지, 구이저우 일부 지역 | |
루저우 방언 | (55) | (21) | (42) | (13) | (33) | 쓰촨 분지 남서부 | |
루딩 현 방언 | (55) | (21) | (53) | (24) | 음평 병합 | 야안 인근 지역 | |
네이장 방언 | (55) | (21) | (42) | (213) | 거성 병합 | 퇀 강 하류 지역 | |
한중 방언 | (55) | (21) | (24) | (212) | 평성 병합 | 산시 성 남부 | |
쿤밍 방언 | (44) | (31) | (53) | (212) | 평성 병합 | 윈난 성 중부 | |
거지우 방언 | (55) | (42) | (33) | (12) | 평성 병합 | 윈난 성 남부 | |
바오산 방언 | (32) | (44) | (53) | (25) | 평성 병합 | 윈난 성 서부 | |
후광 (우한 방언) | (55) | (213) | (42) | (35) | 평성 병합 | 후베이 성 중부 | |
스서우 방언 | (45) | (13) | (41) | (33) | (214) | (25) | 후베이 성 남부(징저우) |
한서우 방언 | (55) | (213) | (42) | (33) | (35) | (55) | 후난 성 북서부(창더) |
리 현 방언 | (55) | (13) | (21) | (33) | (213) | (평성) (35) | 후난 성 북서부(창더) |
샹판 방언 | (34) | (52) | (55) | (212) | 평성 | 후베이 성 북부 | |
구이린 방언 | (33) | (21) | (55) | (35) | 평성 | 광시 좡족 자치구 북부, 구이저우 성 남부, 후난 성 일부 |
3. 2. 자음
서남 관화 방언은 표준 중국어의 권설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다른 관화 방언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청음과 탁음의 구별이 없다. 다만 후난성 일부 지역의 서남 관화에서는 아직 구별하기도 한다.많은 지역에서 특정 자음들의 구별이 사라졌다.
- 치경 비음 /n/과 치경 설측 접근음 /l/을 구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la'와 'na' 소리가 일반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 비음 종성 /-n/과 /-ŋ/의 구별이 사라졌다. 예를 들어, 'fen'과 'feng' 소리가 구별되지 않는다.
- 순치음 /f/와 연구개음 /x/(병음 'h')를 구별하지 않는다. 일부 방언에서는 성문음 /h/와도 구별하지 않기도 한다.
- 치경음(/s/, /ts/, /tsʰ/)과 권설음(/ʂ/, /ʐ/, /ʈʂ/, /ʈʂʰ/)의 구별이 없다. 하지만 일부 제한적인 지역에서는 베이징어처럼 이들을 엄격하게 구별하기도 한다.
3. 3. 모음
서남 관화는 표준 중국어와 달리 권설 자음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다른 음운론적 특징은 대부분 공유한다.대부분의 서남 관화 방언에서는 비음 자음(/n/)과 설측 자음(/l/)을 구별하지 않으며, 비음 종성 /-n/과 /-ŋ/ 역시 구분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la'와 'na'의 발음이 같고, 'fen'과 'feng'의 발음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일부 방언에서는 순치음(/f/)과 성문음(/h/)를 구별하지 않기도 한다.
다른 관화 방언과 비교했을 때, 치경 비음(n)과 연구개 비음(ŋ)을 구별하지 않는 점은 동일하지만, 양순 비음(m)은 아직 치경 비음(n)으로 완전히 합류되지 않은 차이가 있다.
서남 관화에서 연구개 비음(ŋ) 종성은 핀인 'i'나 'e' 뒤에 올 경우, 연구개 비음(ŋ)으로 발음되지 않고 치경 비음(n)으로 발음된다. 또한, 핀인 'b', 'p', 'm', 'f' 뒤에 오는 'eng'는 'ong'으로 발음되는 특징이 있다.
4. 하위 방언
서남 관화는 《중국어 방언 지도》에 따라 12개의 하위 방언 그룹으로 분류된다.[18] 각 그룹의 명칭과 주요 사용 지역은 다음과 같다.
분류 | 명칭 | 주요 사용 지역/방언 |
---|---|---|
1 | 청위 (成渝) | 청두, 충칭 |
2 | 뎬시 (滇西) | 윈난성 서부 (야오리 姚里, 바오루 保潞) |
3 | 첸베이 (黔北) | 구이저우성 북부 |
4 | 쿤구이 (昆貴) | 쿤밍, 구이양 |
5 | 관치 (灌赤) | 쓰촨성 중부 (관 현 ~ 츠수이강), 윈난성 북부 일부 (민장 岷江, 런푸 仁富, 야몐 雅棉, 리촨 丽川) |
6 | 어베이 (鄂北) | 후베이성 북부 |
7 | 우톈 (武天) | 우한, 톈먼 (후베이성) |
8 | 첸장 (岑江) | 구이저우성 동부 |
9 | 첸난 (黔南) | 구이저우성 남부 |
10 | 샹난 (湘南) | 후난성 남부 (융저우, 천저우) |
11 | 구이류 (桂柳) | 광시성 북부 (구이린, 류저우) |
12 | 창허 (常鹤) | 후난성 북서부 (창더, 장자제), 후베이성 남서부 (허펑 현) |
또한, 셀리부어는 서남 관화를 기반으로 하면서 중원 관화의 잔재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19] 알랑 캄어의 형태 통사적 및 의미론적 특징이 혼합된 언어로 분류되기도 한다.[20]
5. 사용 지역
서남 관화는 중국 본토 외에도 주변 국가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된다.
- 미얀마: 북부의 코캉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며, 이곳 인구는 주로 코캉족이다.[8][9] 또한, 미얀마 내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자치 주인 와 주의 두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와어와 함께 사용된다. 와 주는 고유 문자가 없기 때문에 중국어(서남 관화)가 와 주 정부의 공식적인 실무 언어이다.[8][9]
- 태국: 친 하우로 알려진 일부 화자들이 태국에 거주하며 서남 관화를 사용한다.[10]
- 베트남: 북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11] 특히 베트남 라오까이 성의 소수 민족들은 서로의 언어를 이해할 수 없을 때 의사소통 수단으로 서남 관화를 사용하기도 했다.[12]
- 중국: 윈난,[13][14] 구이저우,[3] 광시[3][15][16] 지역의 여러 소수 민족 사이에서도 서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된다.
6. 다른 언어와의 관계
현대 서남 관화는 명[2][3]과 청나라[4] 시대에 해당 지역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이주로 인해, 서남 관화는 광둥어나 민남어 같은 다른 중국어 방언보다 현대 표준 중국어와 더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남부 방언처럼 표준 중국어의 권설음(zh, ch, sh, r)은 없지만, 다른 남부 방언들과 달리 입성은 대부분 유지하지 못했다. 청두-충칭 및 후베이 지역의 방언은 명나라 시대에 사용된 중국어 공용어의 일부 특징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서남 관화의 기원이 하강남 관화와 더 유사할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6] 서남 관화는 관화에 속하지만 표준 중국어와 뚜렷한 차이가 있어, 1955년 이전까지는 보통 광둥어, 오어와 함께 별도의 중국어 방언 갈래로 분류되기도 했다.[7]
서남 관화는 미얀마 북부의 코캉 지역에서도 널리 사용되며, 이 지역 인구의 다수는 코캉족이다. 또한 미얀마의 와 주에서는 와어와 함께 2개의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와어는 고유 문자가 없어 중국어(서남 관화)가 와 주 정부의 공식 실무 언어 역할을 한다.[8][9] 친 하우로 알려진 일부 서남 관화 사용자는 태국에도 거주한다.[10] 베트남 북부 지역에서도 서남 관화가 사용된다.[11] 베트남 라오까이성의 소수 민족들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어려울 때 서남 관화를 공용어처럼 사용하기도 했다.[12] 중국 내에서도 서남 관화는 윈난[13][14], 구이저우[3], 광시[3][15][16] 지역의 여러 소수 민족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로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Zhōngguó yǔyán dìtú jí (dì 2 bǎn): Hànyǔ fāngyán juǎn
The Commercial Press
[2]
서적
Mapping the Old Zhuang Character Script: A Vernacular Writing System from Southern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3]
서적
Language Power and Hierarchy: Multilingual Educ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4]
서적
Emergent Lingua Francas and World Orders: The Politics and Place of English as a World Langu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논문
"The pronunciation and historical evolution of '虽遂'-class characters in Ba-Shu dialects" 《巴蜀方言中“虽遂”等字的读音及历史演变》
Zhonghua Wenhua Luntan 中华文化论坛
[6]
논문
"Consonants in Ming Dynasty Repopulation Area Dialects and Southern Mandarin" 《明代人口重建地区方言的知照系声母与南系官话》
Chongqing Normal University Journal 重庆师范大学学报
[7]
논문
"Special Vocabulary Research in Mandarin Dialects" 《官话方言特征词研究》
Yuwen Yanjiu 语文研究
[8]
웹사이트
Interactive Myanmar Map
http://www.stimson.o[...]
The Stimson Center
[9]
웹사이트
Wa
http://www.infomekon[...]
Infomekong
[10]
서적
Pluricentric Languages: Differing Norms in Different Nation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1]
서적
Politics of Ethnic Classification in Vietnam
[12]
서적
Politics of Ethnic Classification in Vietnam
https://books.google[...]
Kyoto University Press
[13]
서적
Education in Languages of Lesser Power: Asia-Pacific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4]
서적
Dialectology as Dialectic: Interpreting Phula Variatio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5]
서적
Killing a buffalo for the ancestors: a Zhuang cosmological text from Sou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Southeast Asia Publications,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16]
서적
China's Southwest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17]
문서
Southwestern Mandarin Areas (Draft)
[18]
서적
Chinese Language(s): A Look Through the Prism of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Dialects''
Walter de Gruyter
[19]
서적
The Tibetic Languages: an introduction to the family of languages derived from Old Tibetan
https://lacito.cnrs.[...]
LACITO
2023
[20]
간행물
Evidentiality in Selibu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21-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