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지방산림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부지방산림청은 산림청 소속의 지방 행정기관으로,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거제시, 의령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한다. 1967년 안동영림서 설치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1996년 서부지방산림관리청으로, 200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청장 아래 산림재해안전과, 산림경영과, 기획운영팀을 두고, 정읍, 무주, 영암, 순천, 함양국유림관리소를 소속기관으로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원시 소재의 관공서 - 민속국악원
민속국악원은 1992년 남원시에 개원하여 창극단, 기악단, 무용단으로 구성된 예술단을 운영하며 국악 공연, 교육, 자료 전시 등의 활동을 하는 국악 기관이다. - 남원시 소재의 관공서 - 남원경찰서
남원경찰서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위치하여 남원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서로, 경무과, 생활안전과, 수사과, 정보보안과, 경비교통과 등의 부서와 남원시 내 여러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를 관할하며 1945년 개서 후 2002년 현재 청사로 이전했다. - 대한민국 산림청 - 중부지방산림청
중부지방산림청은 대한민국 산림청 소속으로 대전, 세종, 충청남북도 지역의 산림 행정을 담당하며, 산림 재해 예방,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 및 자원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 산림청 -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은 조선 시대 왕실 숲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수목원으로, 광릉 주변 지역을 보호하며 한국 전쟁 이후 수목원과 산림 박물관으로 조성되었으나, 2020년 노키즈존 지정으로 논란이 있었다. - 2006년 설립 - 오션월드
오션월드는 대한민국에 위치한 워터파크로, 실내외에 다양한 놀이 시설과 익스트림존, 다이나믹존, 메가 슬라이드존 등 여러 구역, 그리고 파도풀, 유수풀, 슬라이드 등 다양한 어트랙션을 제공하며, 특히 슈퍼 익스트림 리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강력한 수압을 자랑한다. - 2006년 설립 - 통합막료감부
통합막료감부는 일본 자위대의 육해공 자위대 활동을 조정하고 지휘하는 기관으로, 군종 대립 해소와 지휘권 통합을 위해 2006년 개편되었으며, 통합 운용을 통해 방위, 재해 파견, 훈련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서부지방산림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2006년 1월 1일 |
전신 | 서부지방산림관리청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동면 요천로 2311 |
기관장 직함 | 청장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산림청 |
웹사이트 | 서부지방산림청 웹사이트 |
2. 연혁
- 1967년 9월 1일: 산림청 소속 안동영림서가 설치되었다.[2]
- 1969년 9월 24일: 소속기관이 영주, 영덕, 남원관리소로 통합되었다.[3]
- 1972년 7월 21일: 남부영림서로 개편되었다.[4]
- 1987년 12월 30일: 영주, 영덕, 남원관리소에 출장소들이 설치되었다.[5]
- 1991년 5월 31일: 남원영림소와 안동영림소로 분리되었다.[6]
- 1995년 2월 24일: 정주관리소가 정읍관리소로 개편되었다.[8]
- 1996년 1월 1일: 서부지방산림관리청으로 개편되었다.[9]
- 1999년 5월 24일: 보성국유림관리소가 폐지되었다.[11]
- 2006년 1월 1일: 서부지방산림청으로 개편되었다.[12]
2. 1. 기관 연혁
- 1967년 9월 1일: 산림청 소속 안동영림서 설치.[2]
- 1969년 9월 24일: 소속기관을 영주, 영덕, 남원관리소로 통합.[3]
- 1972년 7월 21일: 남부영림서로 개편.[4]
- 1987년 12월 30일: 영주관리소 소속 영월, 상동, 풍기, 춘양, 현동, 단양출장소, 영덕관리소 소속 울진, 삼근, 영양, 수비, 평해, 영해출장소, 남원관리소 소속 남원, 함양, 산청, 하동, 무주출장소 설치.[5]
- 1991년 5월 31일: 남원영림소와 안동영림소로 분리. 남원영림소 소속기관은 정주, 무주, 보성, 영암, 함양관리소로 개편.[6][7]
- 1995년 2월 24일: 정주관리소를 정읍관리소로 개편.[8]
- 1996년 1월 1일: 서부지방산림관리청으로 개편. 정읍, 무주, 보성, 영암, 함양관리소를 정읍, 무주, 보성, 영암, 함양국유림관리소로 개편.[9][10]
- 1999년 5월 24일: 보성국유림관리소 폐지.[11]
- 2006년 1월 1일: 서부지방산림청으로 개편.[12]
3. 관할 구역
지역 | 관할 구역 |
---|---|
광주광역시 | 전체 |
전북특별자치도 | 전체 |
전라남도 | 전체 |
경상남도 |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거제시, 의령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
제주특별자치도 | 전체 |
4. 조직
서부지방산림청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 소속기관
명칭 | 위치 | 관할구역 |
---|---|---|
정읍국유림관리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정읍시, 김제시, 순창군, 고창군, 부안군, 완주군 |
무주국유림관리소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
영암국유림관리소 | 전라남도 영암군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목포시, 나주시, 강진시,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장흥군 |
순천국유림관리소 | 전라남도 순천시 |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
함양국유림관리소 | 경상남도 함양군 | 경상남도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거제시, 의령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
4. 1. 청장
산림재해안전과[13], 산림경영과[13], 기획운영팀[13][14]이 있다.4. 2. 소속기관 (국유림관리소)
명칭 | 위치 | 관할구역 |
---|---|---|
정읍국유림관리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벚꽃로 564-20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정읍시, 김제시, 순창군, 고창군, 부안군, 완주군 |
무주국유림관리소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주계로 152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
영암국유림관리소 | 전라남도 영암군 도포면 입비동길 1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목포시, 나주시, 강진시,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장흥군 |
순천국유림관리소 |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만길 180 |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
함양국유림관리소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함양로 1072 | 경상남도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거제시, 의령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
참조
[1]
법령
산림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14조제1항
[2]
법령
대통령령 제2843호 및 농림부령 제258호
[3]
법령
농림부령 제409호
[4]
법령
대통령령 제6294호
[5]
법령
농림수산부령 제993호
[6]
법령
대통령령 제13381호
[7]
법령
농림수산부령 제1078호
[8]
법령
농림수산부령 제1173호
[9]
법령
대통령령 제14842호
[10]
법령
농림수산부령 제1216호
[11]
법령
농림부령 제1330호
[12]
법령
대통령령 제19237호
[13]
기타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 또는 임업사무관으로 보한다.
[14]
기타
2021년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5]
기타
임업사무관으로 보한다. 다만, 영암국유림관리소장은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27조제3항에 따라 상호이체하여 배정·운영하는 기술서기관 또는 임업사무관으로 보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