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촉 명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촉 명씨는 중국 호북성 출신 명옥진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명옥진은 원나라 말 서수휘의 무장으로 활동하다가 1362년 촉왕을 칭하고 대하(大夏)를 건국했으나, 5년 만에 사망했다. 그의 아들 명승은 명나라 태조 주원장에게 멸망한 후 고려로 귀화하여 정착했다. 명승의 후손들은 조선 시대에 화촉군으로 봉해졌으며, 여러 파로 분파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서촉 명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무과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현재는 충청남도 청양군, 전라남도 해남군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촉 명씨 - 명계남
    명계남은 연세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제작사 이스트필름을 창립하고 영화 제작 및 배우 활동을 하였으며, 2002년 노무현 후보 지지 활동을 하기도 했다.
  • 서촉 명씨 - 명세빈
    명세빈은 1996년 뮤직비디오 출연으로 데뷔하여 청순한 이미지로 인기를 얻은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영화, 뮤지컬, 텔레비전, 라디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서촉 명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서촉 명씨
한자 표기西蜀 明氏
로마자 표기Seochok Myeong ssi
본관쓰촨성(四川省)
국가한국
기원
창시자명옥진
설립불명
지역쓰촨성
역사적 정보
중요 인물명승
명화섭
미명세빈
기타 가문불명
전통불명
현대 정보
연결된 구성원명세빈
웹사이트명씨대종회
인구 (2015년)27,133명

2. 역사

서촉 명씨의 도시조 '''명옥진'''은 중국 호북성 수주(隨州) 사람으로, 원나라서수휘의 휘하에서 무장으로 활약하다가 1362년 대하를 건국하였다. 명옥진은 원래 민(旻)씨였으나, 당시 백련교(명교)를 숭상하던 시대적 배경에 따라 명(明)씨로 바꾸었다.

1366년 명옥진 사후 아들 명승이 왕위를 이었으나, 명나라에 밀려 고려로 귀화하였다. 공민왕은 이들을 환대하였고, 명승은 조선 태종 때 화촉군(華蜀君)에 봉해지기도 했다.

2. 1. 시조 명옥진과 대하(大夏) 건국

명옥진(1330년~1366년)은 중국 호북성 수주(隨州) 사람이다. 원나라가 기울어 가는 시기 서수휘의 무장(武將)이 되어 원군(元軍)과 싸웠고, 중경(重慶)을 함락시켜 그곳을 근거로 사천(四川) 지방을 평정했다. 1360년(지정(至正) 20년) 서수휘가 부하에게 살해되자, 1362년 자립하여 촉왕(蜀王)이란 칭호로 대하(大夏)를 세웠다. 나라를 8도(道)로 나누고, 주제(周制)를 본받아 관제(官制)를 두었으며, 세금을 경감하고 과거를 시행하는 등 선정(善政)을 베풀었지만, 재위 5년 만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명옥진은 원래 민(旻)씨였으나 명(明)씨로 바꾸었는데, 이는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국호를 '대명(大明)'으로 정한 것과 비슷한 이유였다. 당시 한족들이 원나라에 대항하면서 백련교(명교(明敎))를 숭상했기 때문이었다.

2. 2. 명승의 고려 귀화와 정착

1366년 명옥진이 사망하자 아들 명승이 왕위를 이었다. 그러나 명나라 태조 주원장의 세력에 밀려 명승은 어머니 팽씨(彭氏)[13]와 함께 가족을 거느리고 고려로 귀화했다.[12]

공민왕은 같은 해 6월 이들에게 저포(苧布) 9필을 하사했고,[14] 이듬해 명승은 총랑(摠郎) 윤희종(尹熙宗)의 딸과 혼인했다.[15] 이후 명승은 개경(開京)에서 살았다. 조선 건국 이후에는 왕족으로서 예우를 받았으며, 태종 때 화촉군(華蜀君)에 봉해지고 충훈세록(忠勳世錄)을 하사받았다.[16] 명승이 죽은 뒤 황해도 연안에 사당이 세워졌다.

2. 3. 조선시대 서촉 명씨

명옥진의 아들 명승1366년 아버지 명옥진이 죽고 왕위를 이었으나, 명나라 태조 주원장 세력에 밀려 어머니 팽씨(彭氏)와 함께 가족을 거느리고 고려로 왔다.[12]

공민왕은 명승의 귀화를 환영하여 같은 해 6월에 저포(苧布) 9필을 하사했고,[14] 이듬해 명승은 총랑(摠郎) 윤희종(尹熙宗)의 딸과 혼인했다.[15] 이후 명승은 개경(開京)에서 살았으며, 조선 개창 후에는 왕족으로서의 예우를 받았다. 태종 때는 화촉군(華蜀君)에 봉해지고 충훈세록(忠勳世錄)을 하사받았다.[16] 명승이 죽은 뒤 황해도 연안에 사당이 세워졌다.

3. 분파

명승의 네 아들을 파조로 하여 분파되었다. 명의는 자헌공파, 명현은 총랑공파, 명준은 부사공파, 명신은 시랑공파의 파조가 되었다. 황해도 연안에는 자헌공 명의의 후손들이 뿌리를 내려 선조의 유적이 남아있어, 일부는 아직도 관향을 연안으로 쓰고 있다. 그러나 1986년에 간행된 명씨대동보에서는 서촉과 연안을 합본으로 묶었다.[1]

3. 1. 분파 형성 과정

명승의 네 아들을 파조로 하여 분파되었는데, 명의(明儀)는 자헌공파(資憲公派), 명현(明俔)은 총랑공파(摠郞公派), 명준(明俊)은 부사공파(副使公派), 명신(明信)은 시랑공파(侍郞公派)의 파조가 되었다. 황해도 연안은 자헌공 명의(明儀)의 후손들이 뿌리를 내렸던 지역으로 선조의 유적이 있는 곳으로 일부에서는 아직도 관향을 연안으로 쓰고 있으나 1986년에 간행된 명씨대동보에서는 서촉과 연안의 합본으로 되어 있다.[1]

3. 2. 이성동본

승(昇)씨도 명승을 시조로 하고 있는 혈손이며,[17] 원래 성씨 민(旻)씨도 서로 혼인을 하지 않았다.[17]

4. 주요 인물

서촉 명씨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명광계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참전하여 조헌 등과 함께 전사한 충신으로, 그의 애국심은 오늘날까지도 귀감이 되고 있다.[17] 명정구, 명범석은 조선시대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을 역임하였다. 명완벽은 한말의 가야금 연주자로 이름을 알렸다.

근현대에는 정치, 경제, 법조, 학계,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 많다. 특히, 명승환은 대통령직속 디지털뉴딜 분과장, 국무총리실 정부업무평가위원 등을 역임하며 한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4. 1. 조선시대


  • 명광계(明光啓, 1543년~1592년): 진사 명세겸(明世謙)의 아들로 개성 출신이다. 1573년(선조 6) 진사시에 합격하고, 1576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벼슬을 지냈다. 1592년 평택현감으로 재직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휘하의 정예병 수백 명을 거느리고 출전, 조헌 등이 이끄는 의병과 합세하여 청주에서 왜적을 크게 무찔렀다. 이어 금산 전투에서 조헌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17] 선조는 이를 가상히 여겨 그의 자손을 등용하라는 명을 내렸다.
  • 명정구(明廷耉, 1651년~?): 1693년(숙종 19)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좌랑, 연원찰방, 은계도찰방, 보령현감 등을 지냈다.
  • 명범석(明範錫, 1865년~?): 1880년(고종 17년) 문과에 급제하여 연안군수를 역임하며 선정을 베풀어 생비(生碑)가 세워졌다.
  • 명완벽(明完璧, 1842년 ∼ 1929년): 한말 국악사, 가야금 연주자

4. 2. 근현대

이름출생활동 내용 및 기타 사항
명범석(明範錫)1865년1880년(고종 17년) 문과에 급제하여 연안군수를 역임하며 선정을 베풀어 생비(生碑)가 세워졌다.
명완벽(明完璧)1842년한말 국악사, 가야금 연주자
명화섭(明華燮)1927년제12대 국회의원
명의식(明宜植)1934년충남 청양출신. 서울대농경제학과, 국회사무관, 농수산부 차관보, 축협중앙회 회장, 전 명씨대종회 회장
명위진(明渭鎭)1941년대아공무주식회사 회장, 현 재단법인 대하장학회 설립자, 이사장
명노승(明魯昇)1946년제45대 법무부 차관, 현 법무법인 강남 대표변호사
명동성(明東星)1953년제34대 법무연수원 원장, 제50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현 법무법인 세종 대표변호사, 현 명씨대종회 회장
명영철(明煐喆)1954년제4대 SK 와이번스 단장
명형섭(明亨燮)1957년대상 대표이사 사장
명광주(明光周)1958년한성대학교 교수, 학생처장, 현 예술대학원장
명광민(明光敏)1959년충남 청양군 거주. 명씨족보 임진보(1892) 명기상의 후손. 명씨족보 을축보(1925) 명의경, 명요진의 후손. 명씨 최초족보 1701 명씨 신사보 명이례의 계출손. 현 명씨대종회 청양청년회장. 향토 유학자. 보학자.
명승환 (明承煥)1963년현 인하대 교수, 정책대학원장, 한국정책학회회장, 대통령직속 디지털뉴딜 부분과장, 국무총리실 정부업무평가위원, 감사원 자체감사활동위원, 관세청 자체업무평가위원
명순구(明淳龜)1962년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원장
명승권(明承權)1968년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의생명과학과 교수
명노창1970년클래식기타 제작가
명현(明賢)1970년국악학자, 국립남도국악원 4대 원장
명로진(明魯鎭)1966년배우
명세빈(明世彬)1975년배우
명준표1979년직업환경의학과
명대관(明大觀)1982년고려대학교 법학. 그는 전국 최연소 삼성화재 지점장 출신이다.
명윤백(明胤伯)1992년예능인. 새드개스 대표
명승호(明昇鎬)1994년축구 선수


5. 과거 급제자

서촉 명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4명, 무과 급제자 3명, 생원·진사 15명을 배출하였다.[18]

과거 종류급제자
문과명광계, 명범석, 명정구, 명하율
무과명달해, 명성일, 명진흥
생원시명만년, 명이협, 명제긍, 명해천
진사시명광계, 명내갑, 명만경, 명세겸, 명윤덕, 명이준, 명재형, 명제인, 명주전, 명해붕, 명해종


6. 집성촌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서촉명씨 西蜀明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2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6
[4] 서적 Flow Cytometry and Cell Sort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0
[5] 서적 Zhu Yuanzhang and Early Ming Legislation: The Reordering of Chinese Society Following the Era of Mongol Rule https://books.google[...] BRILL 1995
[6] 서적 The Mongols in China During the Hung-wu Period (1368-1398). https://books.google[...] Impr. Sainte-Catherine 1959
[7] 서적 Sino-Mongol Relations During the Ming, Volume 1 https://books.google[...] Institut belge des hautes études chinoises 1967
[8]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서촉명씨 西蜀明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9]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10]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11] 웹사이트 명씨(明氏) 본관(本貫) 서촉(西蜀), 연안(延安)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12] 문서 고려사 권43, 〈세가〉43, 공민왕 21년(1372년) 5월 19일(을축)
[13] 문서 성종실록 권282, 성종 24년(1493년) 9월 11일(임인) 2번째 기사
[14] 문서 고려사 권43, 〈세가〉43, 공민왕 21년(1372년) 6월 6일(신사)
[15] 문서 고려사 권44, 〈세가〉44, 공민왕 22년(1373년) 2월 19일(신묘)
[16] 문서 이덕무, 《청장관전서》 권69, 〈한죽당섭필〉하, 명씨의 사적
[17] 문서 윤행임, 《석재고》 권19, 평택 현감 명 공 광계 묘표
[18]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촉 명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