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승 (135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승(明昇)은 서촉을 근거지로 한 명하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다. 1366년 11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모후 팽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며, 1371년 명나라에 항복하여 고려로 귀화했다. 고려 공민왕과 조선 태조의 지원을 받았으며, 조선에서 화촉군에 봉해지고 왕족의 예우를 받았다. 명승의 어머니 팽황후는 조선 궁중 의복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후손들은 조선 시대 명문가로 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귀족 - 탕화
    탕화는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의 군인으로 주원장을 도와 명나라 건국에 공을 세워 신국공에 봉해졌으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주원장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명나라 초 공신으로 평가받는다.
  • 명나라의 귀족 - 곽흥
    곽흥은 원나라 말 주원장을 섬기며 홍건적의 난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고, 명나라 건국 후에는 섬서행도독부첨사가 되었으나 이선장의 옥에 연좌되어 작위를 박탈당했다.
  • 연안 명씨 - 명옥진
    명옥진은 원나라 말 홍건적의 난에 참여하여 사천 지역을 평정하고 대하국을 세웠으나, 사후 아들 대에 명나라에 의해 멸망한 인물이다.
  • 연안 명씨 - 명로진
    명로진은 1984년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여 시인, 드라마 배우, 방송인, 작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프로그램 진행과 저술 활동 및 작가 양성에도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예술가이다.
  • 서촉 명씨 - 명계남
    명계남은 연세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제작사 이스트필름을 창립하고 영화 제작 및 배우 활동을 하였으며, 2002년 노무현 후보 지지 활동을 하기도 했다.
  • 서촉 명씨 - 명세빈
    명세빈은 1996년 뮤직비디오 출연으로 데뷔하여 청순한 이미지로 인기를 얻은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영화, 뮤지컬, 텔레비전, 라디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명승 (135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명승
원래 이름명승 (明昇)
묘호(미상)
시호순제 (順帝, 명나라 홍무제에 의해 추증)
출생과 사망
출생일1356년
사망일1393년
매장지조선국 풍해도 송도 흥국사 납골릉
정치
작위귀의후 화촉군 종황제
정치 체제황제
재위 기간1362년 ~ 1366년
연호개희(开熙): 1367년 ~ 1371년
전임자명옥진
후임자(멸망) 명 태조 주원장
섭정팽태후(前)
가족 관계
아버지명하 태조 소무제 명옥진
어머니명하 황태후 팽옥경화
배우자초배: 황후 왕씨
계배: 택주 윤씨
자녀5남 1녀
외딸: 명척자(明傶字)
장남: 명선자(明宣字)
차남: 명의자(明儀字)
삼남: 명현자(明俔字)
사남: 명준자(明俊字)
오남: 명신자(明信字)
기타
왕조명하
가문풍해도 연안 서촉 명씨 귀족
종교불교
조선 귀화조선 왕조 귀화 귀족
장인초씨 장인: 왕의배(王誼培)
계씨 장인: 윤희종(尹熙宗)
한국어 표기명승 (明昇)
로마자 표기Ming Seung

2. 생애

서촉을 근거지로 세운 명하 제국의 황제 명옥진의 아들이다. 1366년 아버지 명옥진이 사망하자 11세의 어린 나이로 황제 자리에 올랐으나, 1371년 명나라에 항복하여 명하는 멸망했다.[4] 이후 홍무제에 의해 고려로 추방되어 조선 건국 후에는 왕족으로 예우받으며 여생을 보냈다.

1372년 5월 명나라 태조(홍무제 주원장)는 명승을 한주(漢主) 출신 진우량의 아들 진리와 함께 고려로 귀화시켰다. 이때 명승은 부인 왕씨를 포함한 27명의 가솔을 동반하였다.[5] 고려공민왕은 명승과 그의 모후 팽태후를 개경 흥국사에 머물게 하고, 연안, 백천 두 현의 공물로 이들을 봉양하였다.

1373년 총랑(摠郎)을 지낸 윤희종(尹熙宗)의 딸과 재혼하였으며,[6] 1389년에는 폐가립진을 지지하며 고려 공양왕을 옹호하였다. 조선 건국 이후에는 조선 태조 이성계를 지지하여 조선 왕족으로서의 예우를 받았다. 1394년 (조선 태조 2년)에는 화촉군(華蜀君)에 봉해지고 충훈세록(忠勳世錄)을 하사받았다.

어머니 팽황후는 자수(刺繡)에 능하여 조선 태조 이성계에게 용포(龍袍) 등 궁중 관복(宮中 官服)을 지어 올리고, 부인들의 당의(唐衣)와 수식(首飾)도 처음으로 보급하였다.

2. 1. 어린 시절과 즉위

1362년 1월 16일 명하 제국의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며, 1366년 11세의 어린 나이로 군주(君主) 자리에 올랐다. 어머니 팽태후의 섭정(攝政)을 받았으며, 1367년 8월 21일, 황후 왕씨(皇后 王氏)와 첫 결혼을 하였다.[4]

천통 4년(1366년), 아버지 명옥진의 죽음에 따라 10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개희로 연호를 고쳤다. 즉위 당시 나이가 어려 어머니 팽태후가 섭정을 했지만, 중신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했다. 명승은 마니교와 관련된 "광명 소주"라는 칭호를 받았는데, 이는 반란 지도자 한림아가 사용한 "광명 소왕"과 유사한 칭호였다. 명승은 왕조 내 계승의 성격상, 정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아버지의 전례를 따르는 것을 매우 강조했다. 그의 계승 이후 만들어진 조서에서 명승은 "나는 선조의 모범을 따라 그의 웅대한 유산을 이어간다."라고 선언했다.

2. 2. 명나라와의 관계와 멸망

1372년 (고려 공민왕 21년, 명나라 태조 홍무제 주원장) 명하 제국의 황제였던 명승을 한주(漢主) 출신 진우량의 아들 진리와 함께 고려로 귀화시켰다. 이때 명승은 부인 왕씨를 포함한 27명의 가솔을 동반하였다.[4][5]

고려 공민왕은 명승과 그의 모후 팽태후를 개경 흥국사에 머물게 하고, 연안, 백천 두 현의 공물로 이들을 봉양하였다. 홍무제는 명승과 진리가 명나라에 불만을 품은 세력의 중심이 될 것을 우려하여 고려로 보냈으며, 공민왕은 이를 수용하였다.[5]

1371년 명나라의 사천 정복 당시 탕화와 요영충의 연합군이 명승을 포로로 잡았다. 명승은 남경으로 이송되었고, 그곳에서 '의를 되찾은 후작'이라는 작위를 받고 진리와 함께 살았다. 그러나 홍무제는 명나라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의 구심점이 될 것을 우려하여 고려공민왕에게 서신을 보내 이들을 제거하길 원했고, 명승과 진리는 고려로 보내졌다.[4]

1365년, 주원장은 호광의 지사 양경 (명나라)을 명하에 보내 우호적인 항복 서신을 전달했으나, 명승은 응답하지 않았다. 1367년에는 명승을 항복시키기 위해 명승의 사절 중 한 명에게 서달의 군대를 관찰하게 했으나, 이는 오히려 명하의 방어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외교적으로는 명옥진의 정책을 계승하여 주원장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1368년 주원장이 대도를 함락했을 때 축하 서신을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북벌 이후 명나라 측의 태도가 달라졌다.

1369년, 주원장은 순제에게 특산물 헌상을 요구했고, 순제가 이에 응하자 조공에 대한 답신으로 옥새를 새긴 서신을 보냈다. 또한, 주원장은 양경을 사신으로 보내 귀순을 권했으나, 명승은 이를 거절했다. 이후 명나라와 명하의 관계는 단절되었고, 1370년 주원장이 운남 정벌 시 사신을 보냈지만, 명하는 답신하지 않았다.

1371년 정월, 명나라는 명하에 원정군을 파견했다. 탕화·요영충 등의 수군은 구당협을 통해 충칭을, 부우덕·고시 등의 육상 부대는 간쑤 방면에서 청두를 목표로 진격했다.

코코 템르 등 명나라에 저항하는 세력이 있었기에, 명하 조정은 구당협을 거점으로 방어전을 펼쳤으나, 명하군이 대패하고 규주마저 함락되자 순제는 청두로 도망쳤다. 결국 팽태후의 항복 주장으로 순제는 항복했고, 명하는 멸망했다.

2. 3. 고려 망명과 조선에서의 삶

1362년 1월 16일명하 제국의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며, 1366년 11세의 어린 나이로 군주 자리에 올랐다. 모후 팽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며, 1367년 8월 21일 황후 왕씨와 첫 결혼을 하였다.[4] 그러나 1371년 명나라 명 태조 홍무제 주원장명하를 멸망시키자 항복하여 귀의후(歸義侯)에 봉해졌다.[4]

1372년(고려 공민왕 21년) 5월, 홍무제는 한주(漢主) 출신 진우량의 아들 진이(陳理)와 함께 명승을 고려로 보냈다. 이때 명승은 남녀 27인과 부인 왕씨를 동반하였다.[5] 고려 공민왕은 이들에게 노비와 집을 주어 편안하게 살도록 배려하였고, 같은 해 6월 명승에게 저포(苧布) 9필을 하사하였다.[5]

공민왕은 명승과 모후 팽씨를 개경 흥국사에 거주하게 하고, 연안, 백천 두 현(懸)의 공물(供物)로 생활을 지원하였다. 1373년 명승은 총랑(摠郎)을 지낸 윤희종(尹熙宗)의 딸과 재혼하였다.[6]

1389년 폐가립진을 지지하며 고려 공양왕을 옹호하였으나, 조선 건국 이후에는 조선 태조 이성계를 지지하여 조선 왕족으로서의 예우를 받았다. 1394년 (조선 태조 2년)에는 화촉군(華蜀君)에 봉해지고 충훈세록(忠勳世錄)을 하사받았다.

명승의 어머니 팽황후는 자수(刺繡)에 능하여 조선 태조 이성계에게 용포(龍袍) 등 궁중 관복(宮中 官服)을 지어 올렸고, 부인들의 당의(唐衣)와 수식(首飾)도 처음으로 보급하였다. 1394년(조선 태조 3년) 명나라에서 왕비의 관복(冠服)이 선물로 왔을 때, 궁중에서 적의(翟衣)를 입는 법을 몰라 팽옥경화의 가르침을 받기도 하였다.[7] 팽황후는 조선 태조의 조선 건국 후 조선 초대 군주 즉위식에 대례복을 지어주었다고 한다.

명승은 이성계와 교분이 깊어 함께 바둑을 두었으며, 이성계가 권지 조선국사로 봉해졌을 때 팽씨가 손수 지은 용포를 선물하기도 하였다. 이성계는 감사의 표시로 명승을 화촉군에 봉하고 "충훈세록"을 하사하였다. 팽씨 사망 후에는 송도의 만수산에 장례를 치러주었다.[1]

3. 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명옥진
어머니태후 팽씨본명은 팽옥경화
초배 부인초배 황후 왕씨장인: 왕의배(王誼培)
명척자(明傶字)윤성암의 아들 윤홍박(尹弘博)과 결혼, 자녀 없음
장남명선자(明宣字)윤앙안의 딸 파평 윤씨와 결혼, 자녀 없음
계배 부인파평 윤씨 부인장인: 윤희종(아명은 윤희왕(尹熙汪))
차남명의자(明儀字)어린 시절 요절
삼남명현자(明俔字)어린 시절 요절
사남명준자(明俊字)어린 시절 요절
오남명신자(明信字)어린 시절 요절



명승의 4명의 자식은 모두 조선 왕조의 고관으로 활약했으며, 그 후손인 서촉 명씨, 연안 명씨, 남원 승씨는 후세의 조선에서 명문가가 되었다.


  • 장남: 명의, 자헌공(資憲公)·자헌대부(資憲大夫)
  • 차남: 명견, 총랑공(総郎公)·가정대부(嘉靖大夫)
  • 삼남: 명준, 부사공(副使公)·가정대부(嘉靖大夫)
  • 사남: 명신, 시랑공(侍郎公)·통훈대부(通訓大夫)

4. 사후

1396년에 병으로 죽은 뒤 황해도 연안에 사당이 세워졌고, 그 후 조선 태종은 1404년 한성부에서 훙서한 폐태후 팽옥경화(명승의 모후)의 묘를 숙릉이라 하여 국빈으로서의 예를 베풀었다.[8]

김하담의 《파적록》에 따르면 "아직도 명승의 후손은 지금까지도 끊어지지 않아 간혹 이들 중에는 과거에 급제하는 자도 있는데, 진이는 결국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졌다."며, 조선시대 혼례에 쓰이는 부인의 머리꾸밈과 붉은 장삼의 제도가 명승에게서 나왔다고 한다.[8]

태조는 명승의 후손들에게 특권을 부여했다. 평양과 연주에 거주하던 명승의 후손들은 1636년 청의 조선 침략 이후 특권을 잃었다. 한국 지방 관리들은 이 특권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1636년 말에 특권이 회복되었다가 1655년에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그의 후손들은 현재도 한국에 거주하고 있다.

5. 평가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元末大夏国後裔在韓国 http://www.cctv.com/[...]
[2] 서적 고려사 권43, 〈세가〉43, 공민왕 21년(1372년) 5월 19일(을축), "陳理·明昇等, 男婦共二十七人入京. (중략) 昇年十八, 理年二十二."
[3] 서적 《태조실록》 권3, 태조 2년(1393년) 2월 25일(경자)
[4] 서적 《명사》 권2, 〈본기〉2, 홍무 4년(1371) 7월 15일(을축)
[5] 서적 《고려사》 권43, 〈세가〉43, 공민왕 21년(1372년) 6월 6일(신사)
[6] 서적 《고려사》 권44, 〈세가〉44, 공민왕 22년(1373년) 2월 19일(신묘)
[7] 서적 용재총화
[8] 서적 파적록(破寂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