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바스테의 40명의 순교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바스테의 40명의 순교자는 4세기에 세바스테 근처에서 기독교 신앙을 지키다 순교한 40명의 로마 병사들을 가리킨다. 이들은 기독교인임을 공개적으로 고백하여 얼어붙은 연못에서 옷을 벗은 채로 얼어 죽는 형벌을 받았으며, 한 명이 굴복하여 목욕탕으로 갔으나 충격으로 사망하고 감시병이 기독교로 개종하여 40명의 숫자가 유지되었다. 새벽에 시신은 불태워졌지만 유해는 수집되어 여러 도시에 배포되었고, 이후 40명의 순교자에 대한 존경심이 널리 퍼졌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3월 9일을 축일로 기념하며, 서방 교회에서는 3월 10일에 기념했으나 1969년에 폐지되었다. 이들은 비잔틴 예술에서 자주 묘사되었으며, 정교회 성상화의 주요 소재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20년 사망 - 장식 (전량)
장식은 장궤의 아들로 양주 자사를 역임하고 서진에 복종하며 군사 지원을 했으며, 전조 멸망 후 동진에 복속했으나 유홍의 반란을 진압하다 염섭에게 암살당하여 소공으로 시호되었다. - 명수 40 - CAC 40
CAC 40은 프랑스 주식 시장의 상위 40개 기업으로 구성된 유로넥스트 파리 거래 주가 지수로, 프랑스 경제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이다. - 명수 40 - 40-40 클럽
40-40 클럽은 야구에서 한 시즌에 40홈런과 40도루 이상을 기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메이저 리그 역사상 6명, KBO 리그에서는 에릭 테임즈만이 달성한 기록이다. - 4세기 기독교 순교자 - 루치아
루치아는 로마 제국 시대 시칠리아 시라쿠사 출신의 기독교 성인이자 순교자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했으며, 가톨릭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시각 장애인과 안과 질환자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 4세기 기독교 순교자 - 아녜스
아녜스는 4세기 초 로마 제국에서 순교한 초기 기독교 성녀로,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정결을 서약하고 순교하여 순결, 정원사 등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으며, 매년 축일에는 교황이 축복한 어린 양털로 팔리움을 만드는 전통이 있다.
세바스테의 40명의 순교자 | |
---|---|
기본 정보 | |
![]() | |
순교 날짜 | 기원후 320년경 |
순교자 | 황제 리키니우스 |
순교 방법 | 노출 |
기념일 | 3월 9일 |
공경하는 교파 | 가톨릭 교회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루터교회 성공회 |
출생지 | 알 수 없음 |
사망지 | 세바스테 (터키의 현대 시바스) |
시성 날짜 | 전례 성인 |
시성 장소 | 알 수 없음 |
시성자 | 알 수 없음 |
상징 | 순교자의 관 |
수호 | 박해받는 기독교인 |
주요 성지 | 알 수 없음 |
주목할 만한 인물 | 세바스테의 40명의 순교자 중 아카키우스 |
2. 순교
로마 제국의 황제 리키니우스가 기독교도를 박해하던 시기, 카파도키아 세바스테(현재 튀르키예 시바스)에 주둔하던 로마 군대의 병사 40명이 기독교 신앙을 버리기를 거부하여 순교한 사건이다.[1][2] 이들은 혹한 속에 얼어붙은 연못에 던져져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2. 1. 순교 과정

성 바실리우스에 따르면, 기독교 신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힌 40명의 병사는 추운 날씨에 세바스테 근처의 얼어붙은 연못에 벌거벗은 채로 들어가 얼어 죽으라는 판결을 받았다. 병사 중 한 명은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동료들을 떠나 근처에 마련된 따뜻한 목욕탕으로 향했다. 그러나 그는 목욕탕에 들어가자마자 쇼크로 즉사했다.
순교자들을 감시하던 경비병 아글라우스는 그 순간 그들 위로 초자연적인 빛이 비추는 것을 목격했다. 그는 즉시 자신도 기독교 신자임을 선언하고 옷을 벗어 던진 뒤, 연못에 있던 39명의 병사들과 함께했다.[3] 이로써 순교자의 수는 다시 40명이 되었다.
날이 밝자, 아직 숨이 붙어 있는 순교자들의 얼어붙은 몸을 화장하여 그 재를 강에 뿌렸다. 하지만 기독교 신자들은 흩어진 재(유해)를 유물로서 소중히 수습했고, 이는 여러 도시로 퍼져나갔다. 이후 40명 순교자에 대한 존경은 널리 퍼지게 되었다.[1]
2. 2. 순교자 명단
동방 정교회 메나이온은 40명의 순교자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나열한다.
이름 | 이름 | 이름 | 이름 | 이름 |
---|---|---|---|---|
헤시치우스 | 멜리톤 | 헤라클리우스 | 스마라그두스 | 돔누스 |
에우노이쿠스 | 발렌스 | 비비아누스 | 클라우디우스 | 프리스쿠스 |
테오둘루스 | 유티키우스 | 요한 | 크산티아스 | 헬리아누스 |
시시니우스 | 키리온 | 앙기우스 | 아이티우스 | 플라비우스 |
아카키우스 | 에크디티우스 | 리시마쿠스 | 알렉산더 | 엘리아스 |
칸디두스 | 테오필루스 | 도메티안 | 가이우스 | 고르곤 |
유티케스 | 아타나시우스 | 키릴 | 사케르돈 | 니콜라스 |
발레리우스 | 필록티몬 | 세베리안 | 추디온 | 아글라이우스 |
안토니오 보렐리에 따르면 그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이름 | 이름 | 이름 | 이름 |
---|---|---|---|---|
아이티우스 | 유티키우스 | 키리우스 | 테오필루스 | 시시니우스 |
스마라그두스 | 칸디두스 | 아지아 | 가이우스 | 쿠디오 |
헤라클리우스 | 요한 | 필로테몬 | 고르곤 | 키릴루스 |
세베리아누스 | 테오둘루스 | 니칼루스 | 플라비우스 | 크산티우스 |
발레리우스 | 에시키우스 | 에우노이쿠스 | 도미티안 | 도미누스 |
헬리아누스 | 레온티우스 (테오크티스투스) | 발렌스 | 아카키우스 | 알렉산더 |
빅라티우스 (비비아누스) | 프리스쿠스 | 사케르도스 | 에크디키우스 | 아타나시우스 |
리시마쿠스 | 클라우디우스 | 일레 | 멜리토 | 유투쿠스 (아글라이우스) |
3. 공경
순교자들의 시신은 불태워져 재가 강에 뿌려졌으나, 기독교인들은 이들의 유해를 수습했다. 이 귀중한 유물은 여러 도시로 배포되었고, 이를 계기로 40명 순교자에 대한 존경심이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전반에 걸쳐 널리 퍼지게 되었다.[1]
3. 1. 초기 공경
카파도키아의 카이세리아(카이세리)에는 40명의 순교자들을 기리는 교회가 세워졌고, 바실은 이 교회에서 공개적으로 설교했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40인의 순교자들에게 특히 헌신적이었는데, 그가 이 순교자들에게 헌정된 교회에서 설교하며 그들을 칭찬한 두 편의 담화가 여전히 남아 있다.[6] 또한 그는 부모가 사망하자 그 유해를 순교자들의 유해 옆에 안장했다. 에프렘 시리아 역시 40인의 순교자를 찬양하는 글을 남겼다.[7] 소조멘은 목격자로서,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풀케리아 황후의 도움을 받아 카이사리우스가 지은 성 티르수스의 성지에서 순교자들의 유해가 발견된 것에 대한 흥미로운 기록을 남겼다.[8]
3. 2. 동방 정교회
40 순교자들에 대한 기억은 동방 정교회 전역에 널리 퍼져 있다. 현대 알바니아의 사란다에 있는 40 성인 수도원은 이 도시의 그리스어 이름(Άγιοι Σαράντα|하기오이 사란다ell)의 유래가 되었으며, 서기 6세기에 지어져 중요한 순례지였던 것으로 여겨진다.[9] 북마케도니아 오흐리드의 성 소피아 교회와 우크라이나 키이우에는 각각 11세기와 12세기에 제작된 40 순교자들의 묘사가 남아 있다. 40 성인에게 봉헌된 여러 부속 예배당이 있으며, 성전 (교회 건물) 전체가 그들에게 봉헌된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아토스 산의 크세로포타무 수도원과 불가리아 벨리코 터르노보에 있는 13세기의 성 40 순교자 교회가 있다. 비잔티움 제국의 황녀 안나 콤네네는 그녀의 저서 알렉시아스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위치했던 40 성인 교회를 언급하기도 했다. 2013년 북마케도니아 슈티프의 성 40 순교자 축일은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10]
시리아에서는 알레포의 아르메니아 대성당과 홈스의 그리스 정교 대성당이 40 순교자들에게 봉헌되었다.
40 순교자들의 축일은 3월 9일이다. 율리우스력을 따르는 정교회에서는 이 날짜가 사순절 기간에 포함되도록 의도적으로 정해졌다. 이는 순교자의 숫자(40)와 금식 기간의 일수(40)가 같다는 점을 이용한 언어유희이기도 하다. 이들의 축일이 사순절 기간에 포함된 이유는 순교자들이 보여준 인내가 믿는 이들에게 천상의 보상(파스카, 즉 예수의 부활)을 얻기 위해 끝까지(즉, 40일의 금식 기간 동안) 인내해야 함을 보여주는 모범이 되기 때문이다.
이 날에는 "종달새"(종달새 모양의 페이스트리)를 굽는 경건한 관습이 있는데, 이는 이 시기에 종달새가 노래하며 봄의 도래를 알린다고 믿었기 때문이다.[3]
세바스테의 40 성 순교자를 언급하는 기도는 정교회 결혼 예식("관례"라고 불림)에도 포함된다. 이는 신랑과 신부가 오래전에 살았던 이 성인들처럼 그리스도에게 충실하면 천국에서 영적인 면류관을 받게 될 것임을 상기시키기 위함이다.
3. 3. 서방 교회
세바스테의 40명의 순교자에 대한 특별한 숭배는 서방 교회에 일찍부터 도입되었다. 브레시아의 가우덴티우스 주교(서기 410년 또는 427년경 사망)는 동방 여행 중 순교자들의 유해 조각을 받아, 자신이 세운 바실리카의 제단에 다른 유물들과 함께 안치했다. 그는 이 제단을 봉헌하면서 설교를 했는데, 이 설교는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5세기에 로마 포룸에 지어진 산타 마리아 안티콰 교회에는 40명의 순교자에게 봉헌된 예배당이 있다. 이는 고대 부지에 교회를 세운 것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6세기 또는 7세기에 제작된 벽화에는 순교 장면이 묘사되어 있으며, 이 프레스코화에는 후대 자료에서도 발견되는 고해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이 순교자들의 행적은 나중에 그리스어, 시리아어, 라틴어로 기록되었으며, 40명 순교자의 "유언"과 함께 현재까지 전해진다.
서방에서는 세바스테의 40명 순교자 축일이 3월 10일에 기념되었으나, 1969년에 폐지되었다.[1] 폴란드와 슬로베니아를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3월 10일을 축일의 흔적으로 '순교자의 날'이라고 부르며, 일부 사람들은 이를 남성의 날로 기념하기도 한다.[12][13] 참고로 국제 남성의 날은 11월 19일이다.
4. 예술에서의 묘사
(내용 없음)
4. 1. 정교회 성화
비잔틴 예술가들은 인간의 절망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이 주제에 매료되었다. 순교자들은 얼어 죽기 직전의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추위로 떨고, 따뜻함을 위해 스스로를 껴안거나, 고통과 절망에 얼굴이나 손목을 감싸쥐고" 있었다.[11] 이는 특히 베를린 보데 박물관 소장 10세기 대형 상아 부조와 덤바턴 오크스 소장 팔레올로고스 시대의 밀랍 휴대용 모자이크 세트에서 두드러진다.
이 주제는 정교회 성상화가들 사이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orty Martyrs of Sebaste
https://www.oxfordre[...]
2024-03-10
[2]
문서
Homilies xix in P.G., XXXI, 507 sqq.
[3]
웹사이트
Martyr Acacius of the Holy 40 Martyrs of Sebaste
https://oca.org/sain[...]
[4]
문서
(Slavonic)
http://puhtitsa.ee/l[...]
[5]
문서
Santi Quaranta Martiri di Sebaste
http://www.santiebea[...]
[6]
문서
P. G., XLVI, 749 sqq., 773 sqq.
[7]
문서
Hymni in SS. 40 martyres.
[8]
문서
Historia Ecclesiastica, IX, 2
[9]
웹사이트
40 shenjtoret, zbulohen 6 vaska pagëzimi, befasohen arkeologët, Fatmira Nikolli
http://www.balkanweb[...]
2014-04-17
[10]
웹사이트
Feast of the Holy Forty Martyrs in Štip
http://www.unesco.or[...]
unesco.org
2015-12-23
[11]
웹사이트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www.metmuseum[...]
[12]
논문
Mednarodni dan žena, mednarodni dan moških / Materinski dan, dan očetov
https://dokumen.tips[...]
2011-11
[13]
뉴스
Dzień Mężczyzn: Już w piątek święto wszystkich panów
https://www.rmf24.pl[...]
2024-03-06
[14]
문서
Homilies xix in P.G., XXXI, 507 sqq.
[15]
웹인용
Martyr Acacius of the Holy 40 Martyrs of Sebaste
https://oca.org/sain[...]
[16]
문서
(Slavonic)
http://puhtitsa.e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