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비뇽 블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비뇽 블랑은 프랑스 루아르 계곡과 보르도 지역이 원산지인 백포도 품종이다. 19세기 필록세라 전염병 이후 캘리포니아, 뉴질랜드 등 전 세계로 퍼져나가 다양한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소비뇽 블랑은 기후와 양조 방식에 따라 다양한 풍미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신선하고 풀 향, 시트러스 향을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도 품종 - 샤인머스캣
    샤인머스캣은 일본에서 개발된 씨 없는 포도 품종으로, 유럽 머스캣의 맛과 미국 품종의 재배 용이성을 결합하여 크고 달콤하며 향이 강하지만 해외 유출로 한국과 중국 등지에서 대량 재배되며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포도 품종 - 피노 누아르
    피노 누아르는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이 원산인 적포도 품종으로, 다양한 테루아를 반영하여 체리, 라즈베리 등의 과실 향과 숙성된 사냥고기 향을 지닌 복합적인 풍미를 내는 섬세하고 낭만적인 와인 품종이며 샴페인 제조에도 사용된다.
  • 포도주 - 신의 물방울
    《신의 물방울》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연재된 와인 만화로, 주인공들이 아버지의 유산을 상속받기 위해 와인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통해 와인과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며, 드라마, 소셜 게임으로도 제작되었다.
  • 포도주 - 보졸레 누보
    보졸레 누보는 프랑스 보졸레 지역의 햇포도주로, 가메이 포도를 사용하여 빠르게 생산되며, 매년 11월 셋째 주 목요일에 전 세계 동시 출시를 기념하는 축제와 함께 많은 사랑을 받는 신선하고 과일 향이 풍부한 와인이다.
소비뇽 블랑
품종 정보
이름 (프랑스어)소비뇽 블랑
품종 색상블랑 (Blanc, 흰색)
잘 익은 소비뇽 블랑 포도
잘 익은 소비뇽 블랑 포도
학명Vitis vinifera
다른 이름Sauvignon jaune 소비뇽 존
Blanc Fume 블랑 퓌메 (프랑스)
Muskat-Silvaner 무스카트-질바너 (독일, 오스트리아)
Fumé Blanc 퓌메 블랑
Sav Blanc 사브 블랑 (호주)
기타 동의어
원산지프랑스
재배 위험 요소흰가루병
오이디움
검은썩음병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잿빛 곰팡이병)
주요 재배 지역남아프리카 공화국
칠레
뉴질랜드
캘리포니아주
이란
루아르 계곡
보르도
우크라이나
주요 와인소테른
상세르

2. 역사

소비뇽 블랑은 프랑스루아르 계곡보르도 지역에서 유래되었지만, 이 지역이 진정한 기원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 품종은 사바냥 품종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으며, 카르미네르 품종과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8세기에 이 품종과 카베르네 프랑을 교배하여 카베르네 소비뇽이 만들어졌다.

19세기에는 소비뇽 베르[26](칠레에서는 소비니노나스라고 불린다)와 소비뇽 그리[27]가 부분적으로 함께 심어졌다. 필록세라 재앙(19세기 프랑스의 필록세라 재앙) 이전의 소비뇽 베르는 묘목으로 칠레에 반입되어 현재에도 재배가 이어지고 있다. 루아르 계곡에서 재배되는 소비뇽 로제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소비뇽 블랑과는 관련이 없다.[28]

1880년대에 크레스타 블랑카 와이너리의 설립자인 찰스 웨트모어가 소테른의 샤토 디켐 포도밭에서 소비뇽 블랑 묘목을 가져와 캘리포니아 리버모어 밸리에 심었다. 1968년에는 로버트 몬다비가 이 와인을 퓌메 블랑이라고 명명하여 홍보하였다. 1970년대에는 뉴질랜드에 처음 소개되어 뮐러-투르가우와 혼합하기 위한 실험적인 재배가 이루어졌다.[30]

2. 1. 프랑스에서의 역사

소비뇽 블랑 품종은 프랑스루아르 계곡보르도 지역에서 유래되었다. 포도나무의 기원이 프랑스 서부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연구에 따르면 사바냥의 후손일 수도 있으며, 카르미네르 계열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18세기경 보르도에서는 카베르네 프랑과 소비뇽 블랑을 교배하여 카베르네 소비뇽 포도를 재배하기 시작했다.[49] 19세기에는 소비뇽 베르(칠레에서는 소비니노나스라고 불린다)와 소비뇽 블랑의 분홍색 변종인 소비뇽 그리가 널리 퍼져 있었다.[26][27] 그러나 필록세라 전염병이 프랑스 포도밭을 황폐화시키면서, 많은 나무들이 칠레로 옮겨졌고, 칠레에서는 지금까지도 19세기 보르도에서 재배하던 품종을 흔히 볼 수 있다. 루아르 계곡의 소비뇽 로제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소비뇽 블랑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28]

1880년대 크레스타 블랑카 와이너리의 창업자인 찰스 웨트모어가 소비뇽 블랑을 캘리포니아로 가져오면서 처음 재배가 시작되었다.[50] 이 포도들은 프랑스 샤토 디켐의 소테른 포도밭에서 가져온 것이다.[7] 묘목은 리버모어 밸리에서 잘 자랐고, 1968년 로버트 몬다비의 홍보로 캘리포니아에서 퓌메 블랑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1970년대 뉴질랜드에서는 실험적으로 뮐러-투르가우와 혼합시킨 나무를 처음 발표하였다.[51]

2. 2. 미국으로의 전파

최초의 소비뇽 블랑은 리버모어 밸리의 크레스타 블랑카 와이너리에서 캘리포니아에 도입되었다.


1880년대 찰스 웨트모어가 소테른의 샤토 디켐에 심어져 있던 소비뇽 블랑 묘목을 캘리포니아 리버모어 밸리에 들여와 크레스타 블랑카 와이너리에 심었는데, 이는 성공적이었다.[29] 1968년에는 로버트 몬다비가 이 와인을 퓌메 블랑이라고 명명하여 홍보하였다.

2. 3. 뉴질랜드로의 전파

1968년 로버트 몬다비가 캘리포니아에서 퓌메 블랑(Fumé Blanc)이라는 별칭으로 홍보하여 알려지게 된 소비뇽 블랑은, 1970년대뉴질랜드에 처음 소개되었다.[8] 뉴질랜드에서는 뮐러-투르가우와 혼합하기 위한 실험적인 재배가 이루어졌다.[8]

3. 기후 및 지리

상세르의 포도밭은 흰가루병균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 소비뇽 블랑 주위에 장미를 심었다.


소비뇽 블랑 포도는 싹은 늦게 트지만 숙성은 빠른 품종으로, 맑은 날씨가 지속되면서도 너무 덥지 않은 기후에서 잘 자란다. 너무 뜨거운 지역에서는 포도가 빨리 익어 향이 약해지고 산도가 낮아진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소비뇽 블랑의 수확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53]

소비뇽 블랑 와인의 향은 재배 지역의 기후에 따라 뚜렷한 풀 향에서 달콤한 열대 과일 향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서늘한 기후에서는 강한 산미와 함께 풀, 피망, 쐐기풀 같은 "푸른 향"이 나타나며, 패션프루트 같은 열대 과일이나 엘더플라워 같은 꽃 향이 느껴지기도 한다. 온난한 기후에서는 열대 과일 향이 더 두드러지지만, 지나치게 익으면 향이 사라지고 복숭아나 자몽 같은 핵과류 향만 남게 된다.[24] 루아르 와인이나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은 "상쾌하고 우아하며 신선하다(crisp, elegant, and fresh)"라는 표현으로 묘사되기도 한다.[23]

3. 1. 주요 재배 지역

소비뇽 블랑은 싹은 늦게 트지만 숙성은 빠른 품종으로, 맑은 날씨가 지속되면서도 너무 덥지 않은 기후에서 잘 자란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미국 캘리포니아와 같이 따뜻한 지역에서는 소노마 카운티의 알렉산더 밸리와 같이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가진 곳에서 더 좋은 품질을 보인다.[52] 너무 더운 지역에서는 포도가 지나치게 빨리 익어 향이 약해지고 산도가 낮아진다.[53]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소비뇽 블랑의 수확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53]

프랑스보르도루아르 강 유역이 원산지이다.[54] 이탈리아를 비롯한 중부 유럽, 미국 캘리포니아, 호주, 칠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샤르도네의 대안을 찾는 화이트 와인 애호가들 사이에서 소비뇽 블랑의 인기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캘리포니아 등 일부 뉴월드 지역에서는 로버트 몬다비가 푸이이 퓌메를 본떠 만든 판매 전략의 일환으로 퓨메 블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4. 포도 재배

뉴질랜드 말보로의 포도밭, 제한적인 가지치기 방식을 보여줌


양조가들은 포도의 숙성도에 따라 다양한 블렌딩 특성을 부여한다. 소비뇽 블랑의 특징적인 풍미는 메톡시피라진이라는 화학 물질에서 비롯된다.

소비뇽 블랑은 와인 양조 과정에서의 결정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퓨메 블랑으로 라벨이 붙은 워싱턴 주산 소비뇽 블랑
오크 숙성은 와인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데, 오크는 풍미를 둥글게 하고 포도의 자연적인 높은 산도를 부드럽게 한다. 뉴질랜드와 상세르의 와인 제조업체와 같은 일부는 날카로운 집중력과 풍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배럴보다 스테인리스 스틸 발효 탱크를 선호한다.[21]

소비뇽 블랑은 다양한 요리와 조합할 수 있다. 가벼운 고기로는 닭고기나 칠면조와 잘 어울리며, 바닷가재, 오징어 등 해산물과도 좋은 조합을 보인다. 페타 치즈, 셰브르 치즈 또는 버팔로 모차렐라와 같은 부드러운 치즈나, 가지나 호박과 같은 채소 요리와 백리향이나 월계수 잎과 같은 향신료에도 적합하다.[22]

4. 1. 수확 시기

뉴질랜드와 칠레의 와인 생산자들은 포도의 숙성 정도에 따라 다양한 맛과 향의 변화를 활용하기 위해 수확 시기를 조절한다. 덜 익은 포도는 사과산 함량이 높고, 숙성될수록 단고추 향이 강해지며 최종적으로 단맛과의 균형을 이룬다.[55] 이러한 매운 향은 숙성 기간이 길어질수록 강해지는 메톡시피라진(methoxypyrazines) 성분 때문이다. 뉴질랜드 말보로 와이라우(Wairau) 지역은 평탄하지 않은 지형 덕분에 다양한 숙성 단계의 포도를 재배하기 용이하다.[9]

4. 2. 포도 껍질 접촉

뉴질랜드 와인 산업 초창기에는 남섬에 와이너리가 없었기 때문에 갓 수확한 포도를 트럭으로 운반한 후 배로 북섬오클랜드까지 옮겨야 했다. 이 때문에 포도 껍질과 과즙이 오랫동안 접촉하게 되었고, 이는 와인의 강렬함과 자극성을 강화시켰다. 일부 와인 제조업체는 루아르처럼 블렌딩을 목적으로 머스트(must, 포도즙)의 소량을 의도적으로 껍질과 접촉시키기도 한다. 반면, 캘리포니아와 같은 다른 와인 제조업체는 와인의 숙성 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껍질과의 접촉을 피한다.[56]

4. 3. 발효 온도

프랑스 와인 제조업체는 와인의 미네랄 풍미를 끌어내기 위해 약 16–18 °C의 다소 따뜻한 온도에서 발효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신세계 와인 제조업체는 더 많은 과일과 열대 풍미를 끌어내기 위해 약간 더 낮은 온도에서 발효하는 것을 선호한다.[57] 루아르의 소수 와인 제조업체는 젖산 발효를 거치게 하는데, 이는 뉴질랜드 와인과 더 관련이 있는 관행이다.[57]

5. 와인 생산 지역

소비뇽 블랑은 전 세계 와인 생산지에서 재배되며, 대부분 상쾌한 드라이 화이트 와인이 된다. 소테른과 바르삭에서는 달콤한 디저트 와인에도 사용된다. 프랑스 외에도 칠레,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워싱턴주캘리포니아주에서 널리 재배되며, 캘리포니아 등 일부 뉴월드에서는 퓌메 블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는 로버트 몬다비가 푸이이 퓌메를 본떠 만든 판매 전략이다.

소비뇽 블랑 와인의 향은 재배 지역의 기후에 따라 뚜렷한 풀 향에서 달콤한 열대 과일 향까지 다양하다. 서늘한 기후에서는 강한 산미와 풀, 피망, 쐐기풀 같은 "푸른 향"을 띠며, 패션프루트엘더플라워 같은 꽃 향이 나기도 한다. 온난한 기후에서는 열대 과일 향이 더 두드러지지만, 과숙하면 향이 사라지고 복숭아나 자몽 향만 남을 수 있다.[24]

루아르 와인이나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은 "crisp, elegant, and fresh"와 같이 표현되기도 한다.[23] 차갑게 한 소비뇽 블랑은 생선 요리나 셰브르 치즈와 잘 어울리며, 스시와도 잘 어울리는 와인 중 하나이다.[25]

리슬링과 함께 소비뇽 블랑은 스크류 캡 병으로 상업적으로 출시된 최초의 와인 중 하나이며, 특히 뉴질랜드 생산자들이 많이 사용한다. 소비뇽 블랑 와인은 보통 어릴 때 마시며 숙성해도 품질이 좋아지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숙성을 통해 완두콩이나 아스파라거스 같은 식물성 향을 띠기도 한다. 오크 통 숙성된 보르도의 페삭-레오냥과 그라브 산 드라이 화이트 와인, 보르도 달콤한 와인, 푸이이 퓌메와 상세르 등 루아르 산 와인은 숙성 잠재력이 있다.[24]

5. 1. 프랑스

프랑스에서 소비뇽 블랑은 해양성 기후인 보르도(특히 드라이 와인인 앙트르 드 메르, 그라브, 페삭 레오냥과 스위트 와인인 소테른)와 대륙성 기후인 루아르(푸이 퓌메, 상세르, 투렌)에서 재배된다. 이 지역의 기후는 포도나무의 숙성을 늦추는 데 유리하며, 이는 포도가 산도와 당도 사이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더 많은 시간을 허용한다. 이러한 균형은 와인의 아로마 강도를 개발하는 데 중요하다. 프랑스의 와인 생산자들은 토양의 ''테루아'' 특성과 와인에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상세르와 푸이의 백악질과 킴메리지안 멀은 풍부하고 복잡한 와인을 생산하는 반면, 더 조밀한 백악질 토양의 지역은 더 섬세하고 향기로운 와인을 생산한다. 루아르 강과 그 지류 근처에서 발견되는 자갈 토양은 매콤하고, 꽃 향과 미네랄 풍미를 부여하는 반면, 보르도에서는 와인이 더 과일 향을 낸다. 부싯돌에 심은 포도나무는 가장 활기차고 오래 지속되는 와인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9]

푸이 퓌메는 상세르 코뮌 바로 맞은편 루아르 강 건너편에 위치한 푸이 쉬르 루아르 마을에서 유래되었다. 이곳의 토양은 석회암 퇴적물이 있는 매우 부싯돌이 많은데, 현지인들은 이로 인해 와인에 스모키하고 부싯돌 맛이 난다고 믿었고, 따라서 "스모키"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단어인 ''Fumé''가 와인에 붙여졌다.[11] 소비뇽 블랑은 세미용, 뮈스카델, 위니 블랑과 함께 화이트 보르도 와인 생산에 허용되는 4가지 화이트 포도 품종 중 하나이다. 주로 블렌딩용 포도로 사용되는 소비뇽 블랑은 샤토 마고의 ''파빌리옹 블랑''의 주요 포도 품종이다.[12] 북부 론 밸리에서는 소비뇽 블랑을 종종 트레사리에와 블렌딩하여 톡 쏘는 화이트 와인을 만든다.[13]

소비뇽 블랑과 세미용 블렌딩으로 만든 드라이 화이트 보르도


소테른 지역에서는 이 포도를 세미용과 블렌딩하여 레이트 하비스트 와인인 ''소테른''을 만든다. 소비뇽 블랑의 구성은 생산자에 따라 다르며 5~50%까지 다양하며, ''프리미에 크뤼 슈페리외르'' 샤토 디켐은 20%를 사용한다. 소테른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통적인 관행은 세미용 열 사이사이에 소비뇽 블랑 포도나무를 간격을 두고 심는 것이다. 그러나 소비뇽 블랑은 1~2주 먼저 익는 경향이 있어 포도가 포도나무에 더 오래 매달려 있으면서 일부 강도와 향을 잃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생산자들이 소비뇽 블랑의 포도밭을 분리하게 되었다.[14]

샤블리 코뮌 근처에는 소비뇽 블랑 생산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브리 AOC라는 AOC가 있다.[15]

5. 2. 뉴질랜드

1990년대에 뉴질랜드, 특히 남섬의 해양성 기후 지역에서 생산된 소비뇽 블랑 와인이 와인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다. 말보로 와인 지역에서는 셰일 조각 위에 모래 토양이 포도 재배에 가장 적합한 곳이 되었는데, 이는 토양 배수가 잘 되고 비옥하지 않아 포도나무가 낮은 수확량으로 풍미를 집중시키도록 하기 때문이다.[9] 와이라우 강 계곡의 범람원에서는 토양이 동서 방향으로 띠를 이루며 분포한다. 이는 북-남 방향으로 심어진 포도원에서 다양한 풍미를 만들 수 있는데, 비옥한 토양에서는 늦게 익는 포도로부터 풀 냄새가 더 강한 와인이 생산되고, 돌이 많은 토양에 심어진 포도나무에서는 더 일찍 익어 풍부하고 열대적인 풍미를 더한다. 이러한 토양의 차이와 와인 생산자가 해야 하는 수확 시기 결정이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에 독특한 요소를 더한다.[9]

말보로 산 소비뇽 블랑


남섬의 길고 좁은 지형은 어떤 포도원도 해안에서 약 128.75km 이상 떨어져 있지 않도록 한다. 이 지역의 시원한 해양성 기후는 포도가 익고 산과 당분의 자연스러운 균형을 이루는 길고 꾸준한 생육 기간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이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을 구별하는 풍미와 강도를 이끌어낸다.[16] 최근에는 남섬의 와이파라와 북섬의 기즈번, 호크스 베이에서 소비뇽 블랑이 출시되어 말보로 지역 와인과는 미묘한 차이를 보여주며 주목을 받고 있다.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에서 흔히 연상되는 아스파라거스, 구스베리, 녹색 풍미는 메톡시피라진이라고 알려진 풍미 화합물에서 유래하며, 서늘한 기후 지역의 와인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농축된다.[17] 패션 프루트와 같은 더 익은 풍미는 티올 농도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박스우드와 같은 다른 노트가 나타날 수 있다.[18]

5. 3. 미국

워싱턴주의 야키마 밸리에서 생산된 소비뇽 블랑


캘리포니아 소비뇽 블랑


북미 지역에서 캘리포니아는 소비뇽 블랑의 주요 생산지이며, 워싱턴 주, 캐나다 나이아가라 반도의 쇼트힐스 벤치, 오카나간 밸리에서도 재배된다. 소비뇽 블랑은 또한 오하이오의 이리호와 오하이오 강을 따라 작은 지역에서도 재배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소비뇽 블랑 포도로 생산된 와인을 퓌메 블랑(Fumé Blanc)이라고도 한다.

이 캘리포니아 와인은 1968년 나파 밸리의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몬다비는 한 재배자로부터 특히 품질이 좋은 소비뇽 블랑 포도를 제공받았다. 당시 이 품종은 풀 냄새와 강렬한 아로마 때문에 캘리포니아에서 평판이 좋지 않았다. 몬다비는 오크통 숙성을 통해 이러한 강렬함을 완화하려고 시도했고, 프랑스의 푸이-퓌메를 연상시키는 퓌메 블랑이라는 이름으로 와인을 출시했다.[14] 이 용어의 사용은 주로 마케팅 기반으로, 캘리포니아 와인 제조업자들은 선호하는 이름을 선택한다. 오크 숙성된 소비뇽 블랑 와인과 오크 숙성되지 않은 소비뇽 블랑 와인 모두 퓌메 블랑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19]

캘리포니아 소비뇽 블랑은 두 가지 스타일로 나뉘는 경향이 있다. 뉴질랜드의 영향을 받은 소비뇽 블랑은 감귤류와 패션프루트 노트와 함께 더 풀 냄새가 나는 언더톤을 가지고 있다. 몬다비의 영향을 받은 퓌메 블랑은 멜론 노트와 함께 더 둥근 느낌을 준다.[8]

5. 4. 기타 지역

오스트레일리아, 특히 마가렛 리버 지역에서 소비뇽 블랑은 종종 세미용과 블렌딩된다. 단일 품종(Varietal) 스타일은 애들레이드 힐스와 패더웨이에서 생산되며, 뉴질랜드산 와인보다 풍미가 더 풍부하고 흰 복숭아와 라임 향이 나며 산도가 약간 더 높은 특징을 보인다.[8]

1990년대 초, 포도 품종학자들은 칠레에서 소비뇽 블랑과 소비뇽아스 재배를 구별하기 시작했다. 블렌딩되지 않은 칠레 소비뇽 블랑의 특징은 뉴질랜드 와인보다 산도가 눈에 띄게 낮으며 칠레 와인의 전형적인 프랑스 스타일과 더 유사하다. 발파라이소 지역은 칠레에서 소비뇽 블랑으로 가장 유명한 지역인데, 다른 지역보다 최대 6주 늦게 포도를 수확할 수 있는 더 시원한 기후 때문이다. 브라질에서는 포도 품종학자들이 이 지역에 심어진 소비뇽 블랑이라고 불리는 포도나무가 실제로는 세이발 블랑이라는 것을 발견했다.[8]

소비뇽 블랑은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스텔렌보스와 더반빌 지역, 이탈리아의 콜리오 고리지아노 지역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15] 이탈리아의 가장 유명한 스위트 와인 중 하나인 무파토 델라 살라의 주요 재료이기도 하다.

6. 와인 양조



뉴질랜드와 칠레의 와인 생산자들은 포도의 숙성도에 따라 다양한 블렌딩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간격으로 포도를 수확한다. 가장 덜 익은 단계에서 포도는 사과산이 높다. 숙성될수록 포도는 붉은색 & 녹색 피망 풍미를 내며 결국 당도의 균형을 이룬다.[9] 소비뇽 블랑의 특징적인 풍미는 메톡시피라진에서 비롯된다. 말보로의 와이라우 밸리에서 재배된 포도는 땅의 약간의 불균등으로 인해 포도밭 전체에서 서로 다른 숙성도를 보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와인과 유사한 풍미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소비뇽 블랑은 와인 양조 과정에서의 결정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한 가지 결정은 머스트가 포도 껍질과 접촉하는 정도이다. 뉴질랜드 와인 산업 초창기에는 남섬에 와이너리가 없었기 때문에 갓 수확한 포도를 트럭으로 운반한 후 배로 북섬으로, 종종 오클랜드까지 옮겨야 했다. 이로 인해 껍질과 주스가 오랫동안 노출되어 와인의 강렬함과 자극성이 강화되었다. 루아르와 같이 일부 와인 제조사는 블랜딩을 위해 의도적으로 포도껍질 노출 시간을 연장했다. 그러나 보통 캘리포니아나 다른 양조장들은 일반적으로 와인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포도 껍질 노출은 되도록 피한다.[56]

발효 온도 또한 중요한 결정 사항이다. 프랑스 와인들은 주로 미네랄 풍미를 위해 따뜻한 발효를 선호하는 반면 (약 16-18 °C) 신세계 와인은 과일과 열대 풍미를 더 많이 내기 위해 더 낮은 온도를 선호한다. 몇몇 루아르 와인은 젖산 발효를 통해 만들기도 하며, 뉴질랜드에서도 이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57]

6. 1. 오크 숙성

소비뇽 블랑 와인은 양조 방식에 따라 그 특징이 크게 달라진다.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포도 껍질과 과즙의 접촉 시간이다. 뉴질랜드 와인 산업 초기에는 남섬에 양조장이 없어 갓 수확한 포도를 트럭과 배를 이용해 북섬의 오클랜드까지 운반해야 했다.[40] 이 때문에 껍질과 과즙의 접촉 시간이 길어져 와인의 강렬함과 자극성이 강해졌다. 루아르 지역처럼 일부 와인 제조사는 블렌딩을 위해 의도적으로 껍질 접촉 시간을 늘리기도 하지만, 캘리포니아 등에서는 와인의 숙성 능력 감소를 우려해 껍질 접촉을 피하는 경우가 많다.[41]

또 다른 중요한 결정은 발효 온도이다. 프랑스 와인 제조사들은 미네랄 풍미를 살리기 위해 16~18℃의 비교적 따뜻한 온도에서 발효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신세계 와인 제조사들은 과일과 열대 과일 풍미를 강조하기 위해 더 낮은 온도를 선호한다. 루아르의 일부 와인 제조사는 젖산 발효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뉴질랜드 와인에서 더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이다.[41] 오크 숙성은 와인의 풍미를 둥글게 하고 산도를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지만, 뉴질랜드와 상세르의 와인 제조사들은 소비뇽 블랑 특유의 날카로운 풍미를 유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를 선호하기도 한다.[23]

6. 2.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 발효

뉴질랜드와 상세르의 와인 제조업체들은 소비뇽 블랑 특유의 날카로운 풍미와 향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오크통 숙성보다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 발효를 선호한다.

7. 음식과의 조화

소비뇽 블랑은 생선 요리나 치즈(특히 셰브르 치즈)와 잘 어울리며, 스시와도 잘 어울리는 와인 중 하나이다.[25]

7. 1. 해산물

소비뇽 블랑은 스시와 어울리는 와인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25] 약간 차갑게 한 소비뇽 블랑에는 생선 요리나 치즈(특히 셰브르 치즈)가 잘 어울린다.

7. 2. 치즈

염소젖 치즈와 특히 잘 어울린다.[25] 스시와도 잘 어울리는 와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25]

참조

[1] 서적 "'The Wine Bible" https://www.karenmac[...] Workman Publishing 2001
[2] 간행물 '"Wine and Spirits: Understanding Wine Quality"' London 2012
[3]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4] 웹사이트 Materman, "Stuff of legends: Marlborough Sauvignon blanc." http://www.quaffers.[...]
[5] 서적 KISS Guide to Wine DK Pub 2000
[6]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7] 웹사이트 Wine Pros Sauvignon blanc http://www.winepros.[...]
[8]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9]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10] 웹사이트 Wine Lover's Page, '"Sauvignon blanc"' http://www.winelover[...]
[11]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12]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13] 서적 Vines, Grapes & Wines Mitchell Beazley 1986
[14] 서적 Vines, Grapes & Wines Mitchell Beazley 1986
[15] 뉴스 Saved by Sauvignon The Wine Spectator 2007-07-31
[16]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17] 논문 Effect of canopy microclimate, season and region on sauvignon blanc grape composition and wine quality http://www.sasev.org[...]
[18] 논문 Contribution of volatile thiols to the aromas of white wines made from several ''Vitis vinifera'' grape varieties http://www.ajevonlin[...]
[19]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20]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ttps://ozclarke.com[...] Harcourt Books 2001
[21]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22] 웹사이트 Sauvignon blanc https://www.winetour[...] Winetourism.com 2023-07-17
[23] 서적 The wine bible https://www.worldcat[...] Workman Pub 2001
[24] 서적 Wines and spirits : understanding style and quality https://www.worldcat[...] Wine & Spirit Education Trust 2012
[25] 서적 K.I.S.S. guide to wine https://www.worldcat[...] Dorling Kindersley 2000
[26] 문서 ヴェールはフランス語で「緑」の意味
[27] 문서 ソーヴィニヨン・ブランのピンク色突然変種である。グリはフランス語で「灰色」の意味。
[28] 서적 Oz Clarke's encyclopedia of grapes https://www.worldcat[...] Harcourt 2001
[29] 웹사이트 Wine Pros Sauvignon blanc http://www.winepros.[...] 2018-04-02
[30] 서적 Oz Clarke's encyclopedia of grapes https://www.worldcat[...] Harcourt 2001
[31] 서적 Oz Clarke's encyclopedia of grapes https://www.worldcat[...] Harcourt 2001
[32] 웹사이트 SUNTORY ワインの基礎知識 ソーヴィニヨン・ブラン https://www.suntory.[...] 2018-04-03
[33] 문서 ロワール川下流域は海洋性気候であるが、ソーヴィニヨン・ブランが作られているのは大陸性気候の中上流域である。
[34] 서적 日本ソムリエ協会教本 2017
[35] 서적 Vines, grapes and wines. https://www.worldcat[...] Mitchell Beazley 1987
[36] 서적 Vines, grapes and wines. https://www.worldcat[...] Mitchell Beazley 1987
[37] 간행물 Saved by Sauvignon The Wine Spectator 2007-07-31
[38] 논문 Effect of canopy microclimate, season and region on sauvignon blanc grape composition and wine quality http://www.sasev.org[...] 1999
[39] 문서 オークランドは北島の中でもやや北よりに位置する。
[40] 서적 Oz Clarke's encyclopedia of grapes https://www.worldcat[...] Harcourt 2001
[41]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42] 간행물 "Wine and Spirits: Understanding Wine Quality" Wine & Spirits Education Trust 2012
[43]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44] 웹사이트 Stuff of legends: Marlborough Sauvignon blanc. http://www.quaffers.[...]
[45] 서적 KISS Guide to Wine DK Pub 2000
[46] 간행물 "Wine and Spirits: Understanding Wine Quality" Wine & Spirits Education Trust 2012
[47] 웹인용 국제 소비뇽블랑의 날 therealreview.com https://www.therealr[...]
[48]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49] 웹사이트 Wine Pros Sauvignon blanc http://www.winepros.[...]
[50]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51]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52]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53] 웹사이트 Sauvignon blanc http://www.winelover[...]
[54]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55]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56]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57]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