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손선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선지는 1820년 충청도 임천에서 태어난 한국 천주교의 순교자이다. 유아세례를 받고 교리 교사로 활동하며 전주 대성동의 교우촌에서 선교 활동을 펼쳤다. 1866년 박해 당시 체포되어 고문에도 배교를 거부하고 순교했으며,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군 출신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부여군 출신 - 정한모
    정한모는 1955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문화공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다수의 시집과 학술서 저술, 남북 문학 통합 기여, 여러 문학상 수상 등의 활동을 했다.
  • 1866년 사망 - 김정호
    김정호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대동여지도를 비롯한 여러 지도와 지리지를 제작하여 조선 시대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95016 김정호가 명명되었다.
  • 1866년 사망 -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프랑스 출신 로마 가톨릭 주교이자 조선교구 사도대목구장이었던 안토니 다블뤼는 1845년 한국에 입국하여 선교 및 문서 선교에 기여, 주교 서품 후 사도대목구장을 이어받았으나 병인박해 때 순교, 1984년 시성되었고 그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20년 출생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1820년 출생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영국의 간호사이자 통계학자, 사회개혁가로서 크림 전쟁 당시 헌신적인 활동으로 '램프를 든 여인'으로 불리며 병원 위생 개선, 통계학 발전, 간호학교 설립, 간호 이론 발전에 공헌하여 현대 간호학과 공중 보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손선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손선지 베드로
출생일1820년
사망일1866년 12월 13일
축일9월 20일
교파로마 가톨릭교회
출생지충청도 임천군
사망지전라도 전주
직업순교자
시복일1968년 10월 6일
시복인교황 바오로 6세
시성일1984년 5월 6일
시성인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매장지절두산 순교성지

2. 생애

손선지는 1820년 충청도 임천 괴인돌 마을에서 태어나 유아세례를 받고 아버지에게서 교리와 신앙 생활을 배웠다.[1] 16살 때부터 이웃들에게 덕행이 알려졌으며, 성인이 된 후 샤스탕 신부에게 교리 교사로 임명되었다.[1] 전라도 전주 대성동(현재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 교우촌에서 살았으며, 그의 집은 세례를 주고 사람들을 가르치는 선교지로 사용되었다.[1] 순교할 때까지 교리 교사직을 충실히 수행했다.[1]

1866년 가을, 혹독한 박해 소식을 들었음에도 1866년 12월 3일 주일 미사 후 정문호 바르톨로메오, 한원서 베드로 등과 함께 포도대에 체포되었다. 어머니가 관장에게 아들의 목숨을 살려달라고 빌었으나, 배교를 거부하고 전주 감옥에 수감되었다. 극심한 고문에도 신앙을 지켰고, 옥중에서도 교우들을 위로하고 격려하였다. 회장이라는 이유로 더 가혹한 고문을 받아 팔이 부러졌지만, 모든 고문고통을 평온하게 견뎌냈다.

1866년 12월 13일 전주 숲정이에서 예수마리아의 이름을 부르며 기도하다 참수되어 순교하였다.(향년 47세)

2. 1. 출생과 성장

손선지는 1820년충청도 임천의 괴인돌 마을에서 태어났다. 유아세례를 받았고 아버지에게 교리와 독실한 신앙 생활을 배웠다.[1]

16살 때부터, 그의 덕행이 이웃들 사이에서 알려지기 시작했다.[1]

2. 2. 교리 교사 활동

샤스탕 신부는 성인이 된 손선지를 교리 교사로 임명했다.[1] 손선지는 순교할 때까지 교리 교사직을 매우 충실히 수행했다.[1] 그는 전라도 전주 대성동(현재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의 교우촌에 살았는데, 그의 집은 세례를 주고 사람들을 가르치는 선교지로 사용되었다.[1] 많은 사람들이 그의 집에 와서 기도했다.[1]

2. 3. 체포와 투옥

1866년 가을, 손선지는 장작꾼들에게서 혹독한 박해가 일어날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1866년 12월 3일 주일 미사가 끝나고, 손선지는 자신의 이름을 부르는 소리를 듣고 뒷문으로 아내와 자식들을 대피시킨 후, 정문호 바르톨로메오, 한원서 베드로 등과 함께 포도대에 체포되었다.

손선지의 어머니가 관장을 찾아가 아들의 목숨을 살려달라고 빌었으나, 손선지는 배교를 거부하였다.

다음날, 손선지와 일곱 명의 죄수는 전주 감옥에 수감되었다. 극심한 고문에도 불구하고 손선지는 배교하지 않았고, 옥중에서도 교우들을 위로하고 격려하였다. 형리는 손선지가 회장인 것을 알고 더 가혹하게 고문했고, 손선지는 팔이 부러져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먹을 수도 마실 수도 없게 되었지만 평온하게 모든 고문고통을 견뎌냈다.

2. 4. 순교

손선지는 팔이 부러지는 고통 속에서도 평온함을 잃지 않고 신앙을 지켰다. 1866년 12월 13일 전주 숲정이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향년 47세) 순교 직전까지 예수마리아의 이름을 부르며 기도하였다.

3. 시복 및 시성

1968년 10월 6일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바오로 6세가 집전한 24위[3] 시복식을 통해 복자 품에 올랐고,[4] 1984년 5월 6일 서울특별시 여의도에서 한국 천주교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집전한 미사 중에 이뤄진 103위 시성식을 통해 성인 품에 올랐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newsaints.fai[...]
[2] 웹인용 절두산 순교성지 성인유해실 http://www.jeoldusan[...] 2015-03-01
[3] 백과사전 103위 성인 (百三位聖人) http://preview.brita[...] 2015-03-01
[4] 뉴스 [교황 방한] 1925년·1968년·2014년…로마에서 서울까지 3번의 시복식 http://news1.kr/arti[...] 뉴스1 2014-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